KR20020007992A - 샤워 장치 - Google Patents

샤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992A
KR20020007992A KR1020010037345A KR20010037345A KR20020007992A KR 20020007992 A KR20020007992 A KR 20020007992A KR 1020010037345 A KR1020010037345 A KR 1020010037345A KR 20010037345 A KR20010037345 A KR 20010037345A KR 20020007992 A KR20020007992 A KR 20020007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pray
shower
shower device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구치마사오
나카시마아키히코
시라이시게루
가와구리마사아키
후루타사토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99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에 온열 효과를 갖는 발생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샤워 장치에 있어서, 샤워 장치의 분무되는 광각형 분무 노즐로부터 샤워가 샤워 커튼을 형성하다. 그 얇은 냉기 차단막의 물 샤워가 대략 목부와, 양옆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를 향하여 분무된다. 그리고 형성된 샤워 커튼이 인체의 목아래의 대략 수평면과, 인체의 좌우의 대략 상하방향의 수직면과, 인체의 하반신을 중심으로 하는 신체전면을 싸 넣는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냉기가 차단되는 동시에 내부의 열기가 봉입된다. 입욕자가 완전히 차가워진 욕실에 들어갔을 때에 발생하는 “냉감각”의 발생이 방지된다. 전신이 온욕될 수 있다.

Description

샤워 장치{WATER SHOWER APPARATUS}
본 발명은 샤워온욕을 실시하는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샤워 장치는 일본 특허 공개 제 98-28656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종래의 샤워 장치(1)의 외관측면도가 도 16에 나타내어진다. 샤워 장치(1)는 가옥내외의 욕실(2) 또는 전용샤워룸내에 설치된다. 이 종래의 샤워 장치(1)에 있어서 복수개의 분무 노즐(4)은 일정 간격으로 노즐 아암(5) 또는 샤워 장치(1)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복수개의 분무 노즐(4)은 착석하여 샤워온욕하는 입욕자(3)에 대하여 일정의 넓어짐(즉 분무 패턴이 모두 원추형이고 분무각은 약 30°∼50°의 범위임)을 갖고, 입욕자(3)의 전면과 후면의 일부를 향하여 분무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분무 노즐(4)로부터 분무되는 온수 샤워는 입욕자(3)의 하반신부의 전후좌우에 간격을 두고 요철형으로 분무된다.
그러나 일반적 가정에 있어서 특히 동계나 중간기에 있어서의 욕실내에 있어서 실온이 낮고 습도도 높다. 그 때문에 욕실이 완전히 차가워져 있다. 또 입욕이 차례차례 실시되어도 입욕간격이 중단될 때 바로 욕실내는 차가워지기 쉽다. 당연히 입욕자는 나체로 욕실에 들어가기 때문에 체감온도는 보다 낮게 민감하게 느낀다. 따라서 종래의 샤워 장치에 있어서는 입욕하여 몸이 따뜻해지기까지의 잠시 동안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분무 노즐에 의하여 발생하는 분무기류가 욕실내의 냉기를 끌어 넣는다. 그 냉기가 입욕자의 몸표면의 상하, 전후, 좌우로부터 입욕자에게 복잡하게 외풍을 쐰다. 그 때문에 이 냉기는 심신장애가 없는 사람에 대하여 불쾌감을 준다. 또 고령자, 병약체질, 요(要)간호자 등에 대하여 그 냉기는 특히 큰 불쾌감도를 준다.
또 분무 노즐의 배치위치가 입욕자의 목부 이상의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또한 샤워가 일정한 넓어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분무되는 온수 샤워의 미립자가 안면이나 두발의 일부에 비산하여 닿는다. 그 때문에 온수 샤워입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쾌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 인체에 있어서 가장 온욕작용과 효과를 기억하는 부분은 어깨, 허리, 엉덩이 및 발밑부이지만, 이에 대해 종래의 샤워 장치에 있어서, 특히 발밑부, 엉덩이부 및 양 옆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의 범위에 대한 샤워의 닿음이나쁘고, 그 때문에 입욕의 초기시에 특히 샤워효과가 열악해 있었다.
또한 노즐 아암부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의 폭과 안길이치수가 크다. 그 때문에 샤워 장치가 좁은 욕실내에 설치되었을 때 씻는 장소가 좁아진다. 그 결과 샤워 장치는 입욕자에게 압박감이나 위화감을 준다.
본 발명의 샤워 장치는 샤워 입욕자의 주위에 형성된 냉기 차단막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샤워 장치는 샤워 장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상기 냉기 차단막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냉기가 차단되는 동시에 내부의 열기가 봉입된다. 따라서 샤워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온열 작용과, 샤워 커튼에 의해 봉입된 열기의 봉입 작용이 발생하고, 이들의 작용에 의해 입욕자의 전신이 온욕될 수 있다. 그 결과 입욕자가 완전히 차가워진 욕실에 들어갔을 때에 있어서의 “냉감각”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샤워 장치는 샤워 입욕자의 주위에 형성된 냉기 차단막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샤워 장치는 샤워 장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상기 냉기 차단막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기 차단막은 상기 샤워 입욕자의 대략 목부주변을 덮어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기 차단막은 상기 샤워 입욕자의 대략 양 어깨부로부터 대략 양 옆구리부에 이르는 영역을 덮어서 형성되고, 상기 샤워 입욕자의 좌우의 양측에 온열 효과가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샤워의 분무 각도를 광각형으로 신체를 향하여 분무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온열 효과가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샤워의 분무각을 광각형으로 편평형으로 분무하는 부채꼴형 분무 노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과 제 2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목부 주변을 덮는 제 1 냉기 차단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상기 입욕자의 좌우의 양측을 덮는 제 2 냉기 차단막을 형성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냉기가 차단되는 동시에 내부의 열기가 봉입된다. 따라서 샤워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온열 작용과, 샤워 커튼에 의해 봉입된 열기의 봉입 작용이 발생하고, 이들의 작용에 의해 입욕자의 전신이 온욕될 수 있다. 그 결과 입욕자가 완전히 차가워진 욕실에 들어갔을 때에 있어서의 “냉감각”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샤워 장치는 샤워 입욕자의 주위에 온열 효과를 갖는 냉기 차단막을 발생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이 샤워 장치에 있어서, 샤워 장치의 광각형 분무 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샤워가 샤워 커튼을 형성한다. 그 얇은 냉기 차단막의 물 샤워가 대략 목부와 양옆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를 향하여 분무된다. 그리고 형성된 샤워 커튼이 인체의 목아래의 대략 수평면과, 인체의 좌우의 대략 상하방향의 수직면과, 인체의 하반신을 중심으로 하는 신체전면을 싸 넣는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냉기가 차단되는 동시에 내부의 열기가 봉입된다. 따라서 (a) 샤워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온열 작용과, (b) 목부나 다른 신체에 닿아서 흘러내리면서 입욕자의 몸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온열 작용과, (c) 샤워 커튼에 의해 봉입된 열기의 봉입 작용이 발생하고, 이들의 작용에 의해 입욕자의 전신이 온욕될 수 있다.
그 샤워가 입욕자의 목부주변에 분사되고, 목부주변을 덮어서 온열 효과를 갖는 냉기 차단막을 형성한다. 입욕자의 목부 이하에 규제된 얇은 냉기 차단막으로 이루어지는 온수 샤워 커튼이 입욕자의 목부후부 이하에 닿는다. 그 때문에 (a) 목부주변의 윗쪽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냉기류를 차단하는 냉기 차단 작용과, (b) 온수 샤워 커튼에 의해 아래방향으로부터 상승하는 열기를 밀어넣는 열기밀어넣음 작용과, (c) 근거리로부터 목부후부를 온수 샤워로 따뜻하게 하는 온열 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목부에 닿아서 흐른 온수가 목줄기로부터 양 어깨부분, 등, 가슴부, 하반신부에 흘러내린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의 몸의 대략 전체가 따뜻하게된다. 이 온열 작용에 의해 신체가 보다 빠르게 따뜻하게 될 수 있다. 즉 인체에 있어서 가장 체감이 높은 목부 이하가 집중하여 온욕된다. 그 때문에 완전히 차가워진 욕실내에 들어간 입욕자는 “냉감각”을 줄 수 있는 것이 방지된다. “냉감각”이란 “차갑게 느끼는 감각” 또는 “피부가 차갑게 느끼는 감각”을 의미한다. 그 결과 샤워입욕은 기본적으로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온수 샤워가 두발, 안면 및 양 귀부분에 비산하여 적셔지는 일이 방지되기 때문에 쾌적하고, 또한 스마트한 샤워입욕이 이뤄진다.
또한, 샤워가 샤워 입욕자의 대략 양 어깨부로부터 대략 양 옆구리부에 이르는 인체를 향하여 분사되고, 인체의 좌우양측에 온열 효과를 갖는 냉기 차단막이 형성된다. 냉기 차단막으로 이루어지는 온수 샤워 커튼이 입욕자의 양측배면으로부터 입욕자의 하반신부를 덮도록 생성된다. 또한 그 온수 샤워 커튼이 입욕자의 양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에 이르는 인체를 향하여 분무된다. 그 때문에 (a) 신체의 좌우주변으로부터 끌어 넣어서 유입하는 냉기류를 차단하는 냉기 차단 작용과, (b) 신체를 좌우양측을 싸 넣어서 신체좌우의 양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증기를 밀어넣는 증기밀음작용과, (c) 인체의 양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에 이르는 입욕자의 하반신전체를 온수 샤워 커튼으로 덮으면서 그 일부가 입욕자에게 직접 비춰져서 온욕되는 온열 작용과, (d) 신체의 표면을 흘러내리는 온수의 온열 작용이 발생하고, 이들의 작용에 의해 신체가 보다 빠르게 따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샤워 장치는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을 구비한다.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광각형 분무 노즐을 갖는다. 그 광각형 분무 노즐은 광각형인 분무 각도를 갖는 샤워를 발생하고, 온열 효과를 갖는 냉기 차단막을 형성시킨다. 광각형 분무 노즐은 넓은 각도의 분무 각도의 샤워를 발생한다. 그 샤워가 목부아래와 양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까지의 영역과, 신체의 다른 일부에 접촉하도록 분무 노즐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냉기 차단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a) 냉기 차단 작용과, (b) 열기 봉입 작용과, (c)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온열 작용과, (d) 온수가 몸표면을 흘러내리는 온열 작용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부채꼴형 분무 노즐은 구비한다. 부채꼴형 분무 노즐은 광각인 분무 각도와 편평형인 분무형상을 갖는 샤워를 발생한다. 즉 부채꼴형상과 같은 박막형의 샤워가 분무된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의 목부 이하와, 그 하반신부의 양 어깨부 이하부분의 지역면과 국부를 포함하는 냉기 차단 공간 영역(즉 입욕자의 두상평면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삼각상의 형상을 갖는 영역)에 큰 면적을 갖는 온수 샤워 커튼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적은 노즐수에 의해 넓은 면적을 갖는 샤워 커튼이 얻어진다. 그 결과 신체의 주위로부터 냉기류의 차단작용이 커지고, 또한 내부의 열기를 봉입하는 작용도 높아진다. 그 때문에 온열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목부주변을 덮는 제 1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과, 인체의 좌우양측을 향하여 분사하는 제 2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을 구비한다. 제 1 분무 노즐의 분무각은 제 2 분무 노즐의 분무각보다도 좁은 분무각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온수 샤워가 입욕자의 목부부분에 집중된다. 그 때문에 온수 샤워가 낭비없이 신체에 닿는다. 또한, 온수 샤워의일부가 목덜미로부터 양 어깨와 등후방에 흐르고, 다른 일부가 양 옆구리부에 흐른다 이것에 의해 기본적으로 온수 샤워입욕이 촉진된다. 또한 목부에 온수 샤워가 집중하기 때문에 절수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제 2 분무 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온수 샤워는 입욕자의 양 어깨측부 둘레로부터 하반신부에 넓게 집중하여 효과적으로 신체에 닿는다. 그 때문에 제 1 분무 노즐과 제 2 분무 노즐의 양쪽으로부터의 온수 샤워에 의해 입욕효과가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분무 노즐의 분무 패턴은 대략 수평이고, 제 2 분무 노즐의 분무 패턴은 대략 수직이다. 이것에 의해 제 1 분무 노즐과 제 2 분무 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온수 샤워 커튼의 분사상태가 입욕자의 두상에서 볼 때 본체를 부착한 벽면과 제 2 분무 노즐의 분무 패턴의 형상에 의해 대략 삼각기둥형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분무 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온수 샤워 커튼이 윗덮개형상을 형성하고, 대략 삼각기둥캔을 닮은 온수 샤워 커튼공간영역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샤워 커튼의 영역으로부터 몸이 빠져나오는 부분이 적어진다. 샤워 장치의 본체의 구성이 입욕자의 어깨폭보다 좁고, 소형콤팩트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샤워 장치의 본체를 부착한 벽면으로부터의 복사되는 냉복사열이 입욕자의 엉덩이부분이나 발밑부분에 집중하여 닿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차가운 씻는 장소 바닥면부로부터 혼입되는 냉기기류의 발생이 방지된다. 즉 제 2 분무 노즐에 의한 온수 샤워 커튼이 입욕자의 상반신으로부터 하반신부의 양측면을 덮고, 또한 씻는 장소의 바닥면을 향하여 온수 샤워 커튼의 배리어가 강하게 발생한다. 그 때문에 냉복사열과 냉기기류 등의 악조건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 결과 입욕자에 대한 “냉감각”의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쾌적하고, 또한 효과적인 온수 샤워를 즐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의 분무방향이 적어도 제 1 분무 노즐의 분무 영역의 아래영역이다. 제 2 분무 노즐의 분무방향의 연장선부분이 대략 수평으로 분무되는 제 1 분무 노즐의 분무펀보다도 아래영역으로 되도록 제 2 분무 노즐의 배치가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온수 샤워가 입욕자의 귀부와 안면부분과 두발부분에 비산하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입욕자의 하반신부분과 씻는 장소의 바닥면을 향하여 온수 샤워에 의한 강한 배리어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냉기의 혼입이 억제된다. 또 입욕자에 대하여 집중, 또한 효과적으로 온수 샤워가 닿는다. 그 때문에 쾌적한 온수 샤워를 즐길 수 있다. 또한 3개의 광각형 분무 노즐만이 설치됨으로써 상기의 효과에 가하여 절수에 의한 에너지절약효과도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분무 노즐 또는 제 2 분무 노즐은 복수개의 노즐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중단되는 부분이 적고, 고밀도를 갖는 온수 샤워 커튼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a) 둘레로부터 끌어 넣는 냉기류를 차단하는 냉기 차단 작용과, (b) 샤워 커튼내의 열기를 봉입하는 열기 봉입 작용도 증대한다. 그 때문에 신체가 받는 온열 작용도 더욱 증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샤워 장치는 샤워 장치 본체와, 노즐 이동 아암과, 복수의 분무 노즐을 구비한다. 샤워 장치 본체는 입욕자 등부 후방에 위치한다. 노즐 이동 아암은 샤워 장치 본체에 지지되고, 노즐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복수의 분무 노즐은 노즐 이동 아암에 다른 분무 패턴을 갖는 샤워를 발생한다.수압·전동·수동 등에 의하여 좌우에 설치된 2개의 노즐 이동 아암이 본체로부터 출입 자유롭게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노즐은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노즐 이동 아암은 샤워 장치 본체로부터 좌우로 나뉘어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노즐 이동 아암은 입욕자의 양 어깨상부, 또는 대략 양옆 어깨부를 거쳐서 어깨, 양가슴부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노즐로부터 다른 분무 패턴을 갖는 온수 샤워가 분무된다. 그 복수의 온수 샤워가 입욕자의 전면으로부터 양 어깨부분, 양겨드랑이·가슴·배부분, 무릎, 발밑부분의 영역의 일대를 향하도록 남김없이, 또는 집중적으로 분사된다. 또한 상기 제 1 분무 노즐과 제 2 분무 노즐에 의해 형성되는 온수 샤워 커튼이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의 몸표면의 전후로부터 쾌적하고 효과적인 온수 샤워입욕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에 복수의 분무 노즐을 갖는 노즐 헤더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분무 노즐은 다른 분무 패턴을 갖는 샤워를 발생한다. 노즐 헤더는 좌우 2개의 노즐 아암의 선단에 구비된다.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무되는 복수의 분무 패턴과, 다른 분무 각도를 갖는 복수의 온수 샤워가 입욕자의 전면으로부터 양 어깨부분, 양겨드랑이·가슴·배부분의 영역 일대를 향하도록 남김없이, 또 집중적으로 분사된다. 또한 제 1 광각노즐과 제 2 광각노즐로부터의 분무되는 온수 샤워 커튼이 합쳐진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의 몸표면의 전후로부터 쾌적하고 효과적인 온수 샤워입욕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 헤더는 아암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노즐 헤더가 가장 멀어지는 양무릎, 또는 발밑부분의 먼쪽 부분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a) 소방호스와 같이 직분무적으로 분사되는 온수 샤워가 분무되는 직분무형노즐, 또는 (b) 좁은 분무 각도를 가진 분무 노즐을 배치하여 양가슴부로부터 양겨드랑이·배부의 영역에 마사지작용과 효과가 있으면서 선회형으로 온수 샤워가 분무되는 선회형 분무 노즐이 설치된다. 양 어깨부영역에 광각형으로 분무되는 광각형 분무 노즐이 배치된다. 또한, 정확하게 대상부분에 샤워가 닿도록 노즐 헤더의 회전을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따뜻해지기 어려웠던 몸의 전면부분의 온욕감이 증진하여 혈행촉진이 활성화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헤더가 노즐 아암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수단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의 어깨폭의 대소에 맞추어서 노즐의 분사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입욕자의 어깨폭의 대소에 대응하여 1대의 샤워 장치가 다양한 어깨폭을 갖는 입욕자에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입욕자는 온수 샤워를 대고 싶은 방향으로 노즐 아암을 자유롭게 방향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높은 만족도를 갖는 온수 샤워입욕이 얻어진다. 또한 노즐 헤더에 구비된 복수개의 노즐의 막힘, 고장 등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 등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이 샤워 장치 본체로부터 신축 수단을 통하여 이동한다. 주로 샤워가 신체전면에 남김없이 분무하도록 아암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샤워 종료후에 노즐 헤더를 샤워 본체에 근접하여, 또는 샤워 본체의 속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좁은 욕실이나 샤워룸에 있어서 샤워 장치가방해가 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은 샤워 장치 본체의 아암근원 또는 도중에 설치된 관절 수단을 갖는다. 이 구성에 있어서 아암을 이동할 수 있다. 노즐 이동 아암의 모멘트회전이 간접 신축 수단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노즐선단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샤워가 신체전면의 희망하는 부분에 남김 없이, 또는 집중하고 싶은 부위에 분무된다. 그리고 샤워 종료후에 노즐 헤더를 샤워 본체에 근접하여, 또는 샤워 본체의 속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좁은 욕실이나 샤워룸에 있어서 샤워 장치가 방해가 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이 샤워 장치 본체의 아암근원 또는 도중에 설치된 회전 조인트 수단을 갖는다. 이 수단에 의해 아암을 이동할 수 있다. 노즐 이동 아암은 회전 조인트 수단을 통하여 노즐선단을 회전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조인트면이 구형일 때 아암은 대략 360°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 조인트면이 일정한 경사각으로 접해 있는 경우 회전에 의하여 노즐선단을 회전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샤워가 신체전면의 희망하는 부분에 분무될 수 있다. 그리고 샤워 종료후에 노즐 헤더를 샤워 본체에 근접하여, 또는 샤워 본체의 속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좁은 욕실이나 샤워룸에 있어서 샤워 장치가 방해가 되지 않은 상태로 격납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은 샤워 장치 본체의 아암근원 또는 도중에 설치된 회전 조인트 수단, 관절 수단, 또는 신축 수단 중의 2개 이상의 수단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아암의 이동범위가 3차원에 걸쳐서 넓어지고, 그 때문에 샤워가 신체전면의 희망하는 부분에 분무될 수 있다. 또한 아이들에서 어른 등 다른 신체 사이즈의 입욕자에 대하여 희망하는 장소에 샤워를 대도록 노즐을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이 임의의 위치에 이동하는 구동 수단을 갖는다. 노즐 이동 아암은 휴대조작방식, 수압 등의 유체압을 이용한 압력식, 전동방식(전동 모터방식, 전자방식 등)을 이용한 구동 수단을 갖는다. 신축 수단, 간접수단, 회전 조인트 수단 등을 구동하여 노즐선단이 임의의 위치에 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샤워가 신체전면의 희망하는 부분에 분무된다. 또한 샤워의 도중에서 샤워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샤워 종료후에 노즐 헤더를 샤워 본체에 근접하여, 또는 내부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그 결과 좁은 욕실이나 샤워룸에 있어서는 조작성이 향상하여 편리성이 늘어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수단이 유체압의 작용력에 의해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인체가 앉아 있는 경우 또는 서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노즐 이동 아암은 직선적으로 또는 만곡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한다. 그 때문에 신체전면에 대하여 샤워가 받게 된다. 따라서 신체를 돌릴 필요도 없고, 릴랙스한 샤워욕이 얻어진다. 또한 샤워 종료후에 유체의 유입이 정지하고, 아암내에 체류해 있는 유체가 배수된다. 또한 아암을 샤워전체에 근접하여, 또는 내부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수단이 전동 모터를 갖는다. 구동 수단은 전송 랙에 맞물려진 톱니바퀴 회전축을 내설한 스태핑 모터, 또는 다른 전동 모터, 또는 기어비를 바꾼 스태핑 모터, 또는 다른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 수단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전력절약으로 저전압의 모터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욕실에 있어서의 인체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동동작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이동하는 길이를 임의로 위치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입욕자에 있어서 항상 최적인 위치에서 샤워욕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최선의 릴랙스성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은 복수의 노즐 이동 아암을 갖는다. 복수의 노즐 이동 아암이, 예를 들면 목부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어깨부, 가슴부, 배부, 무릎부, 발밑의 각각의 부위의 좌우에 샤워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특히 몸의 전면의 온욕감이 한결같이 얻어진다. 그 때문에 혈행촉진이 균일하게 골고루 미친다. 그 결과 상쾌한 샤워욕을 즐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에 배치된 복수개의 분무 노즐 중 무릎부로부터 발부에 걸쳐서 분사되는 제 3 분무 노즐과, 배부로부터 가슴부를 분사하는 제 4 분무 노즐과, 어깨부를 향하여 분사하는 제 5 분무 노즐의 각각의 분사각이 제 3 분무 노즐의 분사각 < 제 4 분무 노즐의 분사각 < 제 5 분무 노즐의 분사각으로 되어 있다. 분무 노즐로부터의 분무각이 넓을수록 분무입자가 가늘고 열용량이 작다. 그 때문에 분무거리가 짧은 부분에의 분사에 대해서는 온도가 내려가지 않고 고온의 상태이고, 또한 넓은 면적에서 분무가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분무거리가 길 때 열용량이 작다. 그 때문에 분무도중에 있어서의 열방산에 의한 온도저하가 크고, 차가워진 샤워가 피부에 접촉한다. 한편 분무각이 작을수록 분무입자가 크고 열용량이 크다. 그 때문에 분무거리가 긴 부분에의 분사에 대해서는 분무도중에서의 열방산에 의한 온도저하가 작고, 샤워온도가 내려가지 않는 동안 샤워가 피부에 도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구성은 분무거리가 긴 부위를 대상으로 하는 분무 노즐로서 최적이다. 따라서 각각의 노즐의 분사각도가 분사각을 제 3 분무 노즐의 분무 각도 < 제 4 분무 노즐의 분무 각도 < 제 5 분무 노즐의 분무 각도임으로써 온욕감을 균일하게 맛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에 배치된 복수개의 분무 노즐이 (a) 직분노즐 또는 소분무각의 부채꼴형 분무 노즐, (b) 선회형 분무 노즐 및 (c) 광각형 분무 노즐의 분무 패턴을 갖는 분무 노즐을 갖는다. 각종 분무 노즐 중 직분노즐 또는 소분무각의 부채꼴형 분무 노즐은 분무각이 작고 입자가 크기 때문에 아암으로부터의 분무거리가 긴 발밑으로부터 무릎부에 분무하는 분무 노즐로서 최적이다. 선회형 분무 노즐은 분무 노즐구멍으로부터 선회하면서 분출되어 분무각이 약간 크고, 피부에 접촉하는 촉압도 크기 때문에 온욕감이나 촉감이 둔한 가슴부로부터 배부에 걸쳐서 분사하는 분무 노즐로서 최적이다. 또 광각형 분무 노즐은 입자직경이 작고 분무면적이 넓기 때문에 아암으로부터 분무거리가 짧은 양 어깨부 등 분무하는 분무 노즐로서 최적이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이동 아암이 원호형으로 만곡해 있다. 원호형으로 만곡된 노즐 이동 아암이 좌우대칭으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신체의 전면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서 소형이고 심플한 형태로 된다. 그 때문에 이 구성은 좁은 욕실이나 샤워룸에 있어서의 설치형태로서 합리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신체배면에 대면하는 샤워 본체가 적어도 일부분에 오목형으로 성형한 프론트커버와, 상기 오목형의 프론트커버에 배치된 분무 노즐을 구비한다. 본체의 하반부분을 단순히 좁게 할 뿐만 아니라 신축아암의 오목형으로 만곡한 부분을 따르게 하여 본체의 하반신부분이 오목형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디자인적으로도 콤팩트한 샤워 본체가 얻어진다. 오목형의 본체부분에 온욕분무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분사되는 온수 샤워가 좌우로 넓어진다. 입욕자의 등면허리부분의 넓은 범위에 온수 샤워가 넓어진다. 그 때문에 샤워 온욕 작용이 촉진되고 쾌적한 샤워입욕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샤워 장치는 샤워 입욕자의 주위에 온열 효과를 갖는 냉기 차단막을 형성시키는 분무 노즐과, 입욕자의 몸에 닿아서 온욕효과를 발휘시키는 분무 노즐을 구비한다. 배치된 광각형 분무 노즐은 대략 목부와, 양옆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를 향하여 얇은 냉기 차단막으로 이루어지는 샤워 커튼을 분무한다. 그 샤워 커튼은 목부주변의 대략 수평면과, 인체좌우의 대략 상하방향의 수직면과, 인체하반신을 중심으로 하는 신체전면을 싸 넣는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냉기가 차단되고, 입욕자의 내부의 열기가 봉입된다. 이에 따라 샤워가 (a)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온열 작용, (b) 목부나 다른 신체에 닿아서 흘러내리는 대략 입욕자의 몸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온열 작용과, (c) 샤워 커튼으로 봉입된 열기의 봉입 작용, (d) 신체전면의 양 어깨로부터 가슴부, 배부와, 또한 등의 허리부 등을 대상으로 하는 분무 노즐을 배치하여 얻어지는 온열 작용이 얻어진다. 그 때문에 샤워 커튼내에 있어서의 열기상승과 온열 작용의 증대가 얻어진다. 그 결과 최적인 샤워욕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샤워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샤워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샤워 장치의 냉온수 배관 계통도,
도 5는 도 1의 샤워 장치의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과,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의 주요부 단면도와 분무 패턴도,
도 6a는 도 1의 샤워 장치의 제 3 직분노즐의 주요부 단면도,
도 6b는 제 3 직분노즐의 분무 패턴도,
도 6c는 제 3 직분노즐의 별도의 분무 패턴도,
도 7은 도 1의 샤워 장치의 선회노즐의 주요부 단면도와 분무 패턴도,
도 8a는 도 1의 샤워 장치의 광각형 분무 노즐의 주요부 단면도,
도 8b는 광각형 분무 노즐의 분무 패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샤워 장치에 있어서의 노즐 아암, 노즐 헤더, 자재 이음 및 복수 노즐의 배치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샤워 장치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측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샤워 장치의 외관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손목형
3 : 욕실 4 : 벽면
5 : 바닥면 6 : 입욕자
7 : 의자 8 :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
9 :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 10 : 제 1 노즐 아암
11 : 제 2 노즐 아암 12 : 자재 이음
13 : 노즐 헤더 14 : 직분무 노즐
15 : 선회분무 노즐 16 : 제 3 광각형 분무 노즐
17 : 프론트커버 18 : 오목부
19 : 제 3 광각형 분무 노즐
20 : 지수·유조, 전환 밸브 부착 냉온수 혼합 마개
21 : 샤워 장치 전환 밸브 22 : 배관헤더
23 : 수도 유조 손잡이(수도 밸브 손잡이)
24 : 온도조절 손잡이 25 : 전환 손잡이
26 : 전환 손잡이 27 : 핸드 샤워부
27A : 핸드샤워 28 : 씻는 장소 토수구
29 : 유입구 30 : 분사면
31 : 분출 소구멍 32 : 분출 소구멍
201 : 제 1 온수 샤워 커튼 202 : 제 2 온수 샤워 커튼
203 : 제 3 분무 영역 204 : 제 4 분무 영역
205 : 제 5 분무 영역 206 : 제 6 분무 영역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형적 실시예 1)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의 샤워 장치가 도 1에서 도 9에 나타내어진다. 샤워 장치는 대략 T자형 구성을 갖는 본체(1)를 구비한다. 그 본체(1)의 상부의 가로폭은 입욕자의 성인의 평균어깨폭보다도 넓고, 손목형(2)으로 돌출해 있다. 본체(1)의 하부의 가로폭은 어깨폭보다도 좁다. 본체(1)는 욕실(3)의 벽면(4)의 일부에 바닥면(5)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지그(도시하지 않음),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입욕자(6)는 본체(1)의 전면에 배치된 의자(7)에 앉는다. 본체(1)의 상부중앙부에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이 설치되어 있다. 성인의 평균어깨폭은 일본인의 인체계측데이터집(발행원 : 인간생활공학연구센터)을 참고로 했다.
복수의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이 본체(1)의 상부양좌우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만곡형의 원통형을 갖는 제 1 노즐 아암(10)이 본체(1)의 내부에서 본체(1)의 중심선의 왼쪽과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 1 노즐 아암(10)은 하부보다 윗쪽으로 넓어진 위넓어짐 형상을 갖는다. 제 1 노즐 아암(10)의 내부에 주로 수압 등(또는 다른 동력, 예를 들면 모터, 수동 등이어도 가능)으로 작동하는 제 2 노즐 아암(11)이 내장되어 있다. 제 2 노즐 아암(11)의 선단에 자재이음(12)을 통하여 노즐 헤더(13)가 설치되어 있다. 온수흐름의 하류로부터 차례로 직분무 노즐(14)과 선회분무 노즐(15)과 제 3 광각형 분무 노즐(16)이 노즐 헤더(13)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노즐 아암(10)의 만곡을 따르도록 본체(1)의 프론트커버(17)가 형성되고, 그 프론트커버(17)의 하부의 오목부(18)에 단수 또는 복수의 제 3 광각형 분무 노즐(19)이 설치되어 있다. 지수·유조, 전환 밸브 부착 냉온수 혼합 마개(20)는 본체(1)의 외부하부 또는 내부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수·유조, 전환 밸브 부착 냉온수 혼합 마개(20)로서, 예를 들면 서모식 냉온수 혼합 마개가 이용된다. 샤워 장치 전환 밸브(21)와 제 1 노즐 아암(10)과 복수의 분무 노즐 등은 배관헤더(2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혼합 마개(20)의 급수 급탕측은 수도관(도시하지 않음)과 급탕기(선지(先止)식/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혼합 마개(20)는 수도 유조 손잡이(이하 수도 밸브 손잡이라 부른다)(23)와 온도 조절 손잡이(24)와 전환 손잡이(25)를 갖는다. 전환 손잡이(25)는 핸드 샤워부(27)와 씻는 장소 토수구(28)를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환 밸브(21)는 핸드샤워(27A)의 전환 손잡이(26)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은 온수를 분사하고, 제 1 온수 샤워 커튼(201)을 형성한다. 즉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은 제 1 분무 영역(201)을 분사한다.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은 온수를 분사하여 제 2 온수 샤워 커튼(202)을 형성한다. 즉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은 제 2 분무 영역(202)을 분사한다. 직분형분무 노즐(14)은 온수를 분사하여 제 3 분무 영역(203)을 형성한다. 선회분무 노즐(15)은 온수를 분사하여 제 4 분무 영역(204)을 형성한다.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16)은 온수를 분사하여 제 5 분무 영역(205)을 형성한다. 제 3 광각형 분무 노즐(19)은 온수를 분사하여 제 6 분무 영역(206)을 형성한다.
또한 샤워 장치의 본체(1)는 적어도 전환 밸브(21)를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카식의 2밸브방식, 서모식, 전자식 등의 혼합 마개(20)가 일반적 가정의 욕실(3)에 설치되어 있다. 혼합 마개(20)의 핸드샤워부(27)와 샤워 장치의 본체(1)의 전환 밸브(21)는 간이배관(예를 들면 수도식 카칫배관부품 등/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배관된다.
다음에 동작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온도 조절 손잡이(24)를 샤워온욕온도(예를 들면 40℃)로 설정한다. 다음에 혼합 마개(20)의 전환 손잡이(25)를 핸드샤워부(27)측으로 전환한다. 또 샤워 장치의 본체(1)의 전환 밸브(21)의 전환 손잡이(26)를 샤워 장치측으로 전환한다. 전환 밸브 손잡이(25)를 열었을 때 혼합 마개(20)에 연결된 급탕기(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한다. 수도관으로부터 온수와 냉수가 찬물이 혼합된다. 설정온도(약 40℃)의 냉온수가 배관헤더(22)와 각각의 샤워 장치의 배관 등과 제 1 노즐 아암(10), 제 2 노즐 아암(11), 자재 이음(12) 및 노즐 헤더(13)를 통하여 각각의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 각각의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 직분형분무 노즐(14), 선회형 분무 노즐(15) 및 제 3 광각형 분무 노즐(16, 19)에 공급되고, 각각의 분무 노즐의 분무특성에 따라서 분무된다.
즉,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과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은 도 5의 제 3분무 영역(203)과 같은 박막형의 부채꼴형을 한 분무 패턴형상으로 분무하고, 제 1 분무 영역(201)과 제 2 분무 영역(202)을 갖는 온수 샤워 커튼을 성형한다. 또 직분형분무 노즐(13)은 도 6의 제 4 분무 영역(204)과 같은 수철포형 온수 샤워와 같은 분무 패턴형상으로 분무된다. 제 2 선회 부채꼴형 분무 노즐(6)은 도 7의 제 5 분무 영역(205)과 같은 빈 원추형으로 맥동하여 양동(揚動)하는 소용돌이형의 분무 패턴형상으로 분무된다. 제 3 광각형 분무 노즐(16, 19)은 도 8의 제 6 분무 영역(206)과 같은 원추형의 광각분무 패턴형상으로 분무된다.
따라서 입욕자(6)는 입욕자의 목부 이하로 규제되어 배치된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로부터 분무되는 얇은 막형의 제 1 온수 샤워 커튼(201)을 상기 입욕자의 목부후부 이하에 댄다. 그 때문에 목부주변의 대략 수평면의 제 1 온수 샤워 커튼(201)에 의해 (a) 상층으로부터 인체를 향하여 흘러들어오는 냉기류, 또는 (b) 주변의 벽으로부터의 냉복사를 차단하는 냉기 차단 작용, (c) 온수 샤워 커튼의 하층으로부터 상층으로 상승하여 방산하는 열기류를 밀어넣는 열봉입 작용(c)이 얻어진다. 이것에 덧붙여서 (d) 근거리로부터 목부후부를 중심으로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온열 작용과, (e) 목부에 닿아서 흐르는 온수가 목덜미로부터 양 어깨부분, 등, 그리고 일부의 가슴부, 하반신 부분으로 흘러내리면서 대략 입욕자의 몸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온열 작용이 얻어진다.
즉 인체에 있어서 가장 체감이 높은 목부 이하가 집중하여 온욕된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가 완전히 차가워진 욕실내에 들어갔을 때 목덜미윗쪽으로부터의 냉기혼입이 차단되고 배리어막이 만들어진다. 그 때문에 이른바 “냉감각”이 주어지는 일없이 샤워입욕을 기본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게다가 두발, 안면 및 양 귀부분에 온수 샤워가 비산하여 닿는 일이 방지되고, 이들의 장소가 적셔지는 일이 방지된다. 그 결과 쾌적하고, 또한 스마트한 샤워입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사에 의하여 입욕자(6)의 양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를 향하여 하반신부를 덮도록 생성된 박막형이고 선상의 제 2 샤워 커튼(202)이 만들어진다. 또한 (a) 그 제 2 샤워 커튼(202)의 내측일부를 입욕자(6)의 양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 및 하반신전체를 따르도록 직접 분사된 온열 작용과, (b) 입욕자의 좌우에 형성되는 온수 샤워 커튼에 의하여 좌우주변으로부터 끌어 넣어서 오는 냉기류와, (c) 주변의 벽으로부터의 냉복사를 차단하는 냉기 차단 작용과, (d) 내부로부터 인체좌우의 틈을 거쳐서 상층으로 열방산하는 열기류를 밀어넣는 열봉입 작용 등의 작용이 얻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형적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 2 샤워 커튼(202)이 닿는 장소는 다르지만, 그러나 목덜미부분에 가하여 양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 및 하반신전체에 온수 샤워를 넓은 영역으로 닿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전형적 실시예 1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입욕자(6)가 완전히 차가워진 욕실내에 들어갔을 때 양 어깨부로부터 양 옆구리부 및 하반신전체에 들어가고자 하는 냉기혼입이 차단되어 배리어막이 만들어진다. 그 때문에 이른바 “냉감각”이 방지된다. 상기 전형적 실시예 1과 맞추어서 샤워입욕을 기본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쾌적하고, 또한 스마트한 샤워입욕이 제공된다.
상기의 제 1 샤워 커튼(201)과 제 2 샤워 커튼(202)에 의한 효과에 의해 고령자·요(要)간호자·심장환자 및 건강적으로 신체장애가 있는 입욕자(6)가 동계 등의 연간을 통하여 돌발적인 위험상태를 받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건강한 사람에 있어서도 동계나 중간기에 느끼는 “냉감각”의 발생이 방지된다.
한편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과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을 부채꼴과 같이 박막형으로 분무하는 부채꼴형 노즐이 선정됨으로써 불과 3개의 노즐이 사용되었을 때에 있어서도 입욕자(6)의 두상평면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으로 연속적인 제 1 샤워 커튼(201)과 제 2 샤워 커튼(202)이 형성된다. 이 연속적인 온수 샤워 커튼(201, 202)이 입욕자(6)의 목덜미부 이하와, 그 하반신부(특히 양 어깨·양겨드랑이부 이하부분)의 지역면을 싸 넣고, 국부의 냉기 차단 공간 영역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온수 샤워 커튼(201, 202)이 입욕자(6)의 목부 이하의 몸표면부분을 덮는 동시에 몸표면을 따르도록 분사한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분무 노즐에 의하여 생기는 분무기류에 의한 욕실내의 냉기를 끌어 넣는 작용이 방지된다. 또한 냉기를 차단하고, 내부열기를 봉입하여 피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온열 작용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받는 온열 작용이 얻어진다. 따라서 입욕자(6)에 대한 “냉감각”을 주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입욕자는 욕실에 들어가서 바로 온수 샤워를 몸표면에 분사시키면서 입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온수 샤워입욕의 촉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욕실내의 예열도 필요가 없다.
(전형적 실시예 2)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기본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과 동일 부분 구성을 갖는다. 그 동일 부분의 도시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전형적 실시예 2에 있어서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의 분무각이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각보다도 좁고, 또한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각보다도 넓다. 이와 같이 노즐 사양이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평균 입욕자(6)의 목덜미폭과 양 어깨폭으로부터 양 어깨·양겨드랑이로부터 양발무릎에 이르는 높이방향의 길이치수는 샤워 장치의 높이보다도 크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도 쾌적한 샤워 장치가 얻어진다.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채꼴과 같이 박막형으로 분무하는 부채꼴형 노즐로서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의 분무 각도가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 각도보다도 좁다. 또는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의 제 2 분무 각도가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 각도보다도 넓다.
이것에 의해 온수 샤워는 목부·목덜미 부분에 집중하여 낭비없이 닿는다. 또한 그 샤워의 일부가 목덜미로부터 양 어깨와 등후방에 흐르고, 또한 다른 일부가 양 옆구리부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기본적으로 온수 샤워입욕이 촉진된다. 이것에 가하여 온수 샤워가 목부부분에 집중하기 때문에 입욕자(6)의 양 어깨폭의 범위 이외에 온수 샤워가 비산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낭비가 방지되어 절수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은 입욕자(6)의 양 어깨·겨드랑이측 둘레부분으로부터 하반신부에 넓게 집중하여 온수 샤워 커튼(202)을 효과적으로 댈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의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과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양쪽의 노즐에 의해 상승효과가 얻어지고 온수 샤워의 입욕효과가 더욱 촉진한다.
또 넓은 분무각을 갖는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제 2 샤워 커튼(202)에 의하여 콤팩트한 본체(1)와 입욕자(6)의 사이에 상당한 틈이 생긴다. 그 틈으로부터 냉기의 혼입이 예상되는데, 그러나 이 냉기혼입은 제 2 샤워 커튼(202)의 냉기 차단 배리어 효과에 의해 거의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의 전형적 실시예 1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냉기가 차단되어 입욕자(6)에 대한 “냉감각”이 방지된다. 또한 입욕자가 욕실에 들어가서 바로 온수 샤워를 몸표면에 분사시키면서 입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효과적, 건강적인 온수 샤워입욕을 기대할 수 있다.
(전형적 실시예 3)
본 전형적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일부의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과 동일 부분 구성을 갖는다. 그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전형적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의 분무 패턴이 대략 수평이고,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 패턴이 대략 수직이다. 또한 양쪽의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방향이 전방을 향하여 수렴되도록 위치가 규제된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과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로부터 분무되는 제 1 온수 샤워 커튼(201)과, 제 2 온수 샤워 커튼(202)의 분사상태는 다음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즉 입욕자(6)의 두상으로부터 볼 때 본체(1)를 부착한 벽면(4)과 제 2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 패턴의 형상이 대략 삼각기둥형이다. 또한 그 위에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로부터 분무되는 제 1 온수 샤워 커튼이 윗뚜껑을 붙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삼각기둥캔을 닮은 온수 샤워 커튼공간영역을 형성한다.
특히 본체(1)가 입욕자(6)의 어깨폭보다 좁고 소형콤팩트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에 의한 제 1 온수 샤워 커튼(201),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에 의한 제 2 온수 샤워 커튼(202)이 입욕자의 하반신부를 덮는 동시에 씻는 장소의 바닥면(5)에도 향하여 온수 샤워 커튼의 냉기 차단 배리어가 강하게 펴진다. 따라서 본체(1)를 부착한 벽면(4)으로부터의 냉복사열이 입욕자(6)의 엉덩이부분이나 발밑부분에 집중하여 닿는 일이 방지되고, 또한 차가운 씻는 장소 바닥면(5)부로부터의 냉복사열이 입욕자에게 조사하는 일이 방지되며, 이것에 의해 입욕자(6)가 차가워지는 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입욕자에게 “냉감각”을 느끼게 하는 일이 거의 방지된다. 그 결과 쾌적하고, 또한 효과적인 온수 샤워를 즐길 수 있다.
(전형적 실시예 4)
본 전형적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일부의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과 동일 부분 구성을 갖는다. 그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전형적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방향이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과 직행한다. 또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 영역이 제 1광각형 분무 노즐(8)의 분무 영역보다도 아래영역에 위치한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분무방향의 연장선부분이 적어도 대략 수평으로 분무되는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의 분무펀보다도 아래영역에 위치하도록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의 배치가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특히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로부터 분사되는 제 2 온수 샤워 커튼(202)이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로 형성되는 수평의 제 1 온수 샤워 커튼(201)의 작용과 같도록 입욕자(6)의 귀부, 안면부분, 두발부분에 비산하는 일을 방지하여 적시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입욕자(6)의 하반신부분과 씻는 장소의 바닥면(5)을 향하여 제 2 온수 샤워 커튼(202)에 의한 강한 냉기 차단 배리어가 발생하고 이 냉기 차단 배리어가 냉기 혼입을 억제한다. 또 입욕자(6)에 대하여 집중, 또한 효과적으로 온수 샤워가 닿는다. 그 때문에 쾌적한 온수 샤워를 즐길 수 있다. 따라서 불과 3개의 광각형 분무 노즐만이 설치되었을 때에 있어서도 상기 효과에 가하여 절수에 의한 에너지절약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원추형의 분무 패턴을 나타내는 복수의 분무 노즐이 인체좌우후방의 샤워 장치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배열하고, 이것에 의해 샤워 커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냉기 차단 작용과 열봉입 작용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 많은 노즐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종래의 일본 특허 제 1998-28656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아암에 복수의 광각형 분무 노즐을 배열함으로써 조밀한 샤워 커튼을 만드는 것을 생각할 수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아암의 분무 노즐로부터의 분무가 신체전면이나 무릎곁으로의 온열 작용이 주역할이기 때문에 샤워 커튼을 만들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샤워 커튼이 중단되는 부분을 발생한다. 이 중단의 부분으로부터 열기가 누설해 버리고, 그 때문에 이 누설이 냉기 차단 작용과 열기 봉입 작용의 저하를 초래한다.
(전형적 실시예 5)
본 전형적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일부의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과 동일 부분 구성을 갖는다. 그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전형적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분무 노즐이 노즐 헤더(13)상에 설치되고, 각각의 분무 노즐의 분무 패턴이 다르다. 그 복수의 분무 노즐이 입욕자(6)의 양 어깨·가슴·무릎면 등에 분무된다.
도 5에서 도 8은 다른 분무 패턴을 갖는 노즐구성과 분무 패턴을 나타낸다. 도 5는 광각형으로 부채꼴형상의 분무 패턴을 나타내는 광각형 분무 노즐이고, 도 6은 직분형분무 노즐을 나타낸다. 노즐 헤더(13)의 내부에 유입구(29)가 설치되어 있다. 그 유입구(29)의 분사면(30)에 단수, 또는 복수개의 동일 구경(도시하지 않음)의 분출 소구멍(31)이 설치되어 있다. 분출 소구멍(31)의 구경은 분출 소구멍(32)의 구경과 다르다. 다른 구경을 갖는 복수의 분출 소구멍이 대소 번갈아 병렬적으로 배치된다. 또는 다른 구경을 갖는 복수의 분출 소구멍이 다른 피치로 또는 갈짓자상으로 배치된다. 또는 분사면(30)이 경사 또는 곡면이다. 이와같이 하여 온수 샤워의 분사방향이나 분사영역이 가변된다.
직분형분무 노즐(13)의 원리 그 자체를 바꾸어서 유체 소자 원리를 응용하여 분사되는 온수 샤워가 진동·진폭·요동되는 구성도 사용 가능하다. 도 7에 있어서 선회형 분무 노즐(15)의 선단에 분무구멍(34)이 형성되고, 분무구멍(34)상에 내벽(35)이 구성되어 있다. 일정 간격(36)을 유지하고 미립자발생용의 코어(37)가 장착되어 있다. 코어(37)의 중앙에 분무구멍(34)에 대응하는 직구멍(38)이 관통설치되고, 코어(37)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유입실(39)이 형성된다. 코어(37)의 상부에 유입선회구(40)가 형성되어 있다. 냉온수가 유입선회구(40)에 들어갈 때 냉온수는 경사부(41)와 유입실(39)을 통하여 코어(37)에 유입한다. 그 온수량의 일부가 직구멍(38)을 통과한다. 또 나머지의 냉온수전량이 외주의 선회홈(42)내에서 기세 좋게 회전력을 부여한다. 그 냉온수의 선회류와, 직구멍(38)으로부터의 직진류가 내벽(35)으로부터 분무구멍(34)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밀상태의 분무입자를 연속적으로 만든다. 이 조밀상태의 분무입자가 선회맥동상태(43)의 선회분무 패턴(205)(빈 원추형분무)의 상태로 되어 분무구멍(34)에 의해 분출된다.
도 8에 있어서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은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 98-286956 호 공보에 기재된 노즐의 원리를 응용한 노즐이다. 노즐선단면(44)의 형상은 나팔상(45)의 끝넓어짐형상을 갖는다. 그 노즐은 분무구멍각을 약 50°로부터 약 90°로 광각한다. 이 때의 분무상태는 충만 원추형의 분무 구멍 패턴(206)을 나타낸다. 이 분무 구멍 패턴(206)은 종래보다도 광각으로 되고, 또한 분무입자직경이 작아진다. 또한 그 분무는 맥동적 분무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압, 전동 또는 수동 등에 의하여 좌우 2개의 노즐 아암(11)이 본체(1)로부터 출입하고, 또한 이동한다. 그 2개의 노즐 아암(11)이 입욕자(6)의 목부후부로부터 좌우로 나뉘어서 입욕자(6)의 양 어깨상부, 또는 양가슴부 또 양무릎부의 전면에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노즐 아암(11)의 선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노즐로부터 분무되는 분무 패턴이 다른 복수의 온수 샤워가 입욕자(6)의 전면으로부터 양 어깨부분, 양겨드랑이·가슴·배부분의 영역 일대에 향하도록 남김 없이 장소에 따라서는 집중적으로 맥동적으로 넓은 범위에 분사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 양쪽의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로부터의 제 1 온수 샤워 커튼(201)과 제 1 온수 샤워 커튼(202)과 맞추어서 입욕자(6)의 몸표면의 전후로부터 쾌적·건강적·효과적인 온수 샤워입욕이 얻어진다.
또한 본 전형적 실시예에 있어서 노즐의 분무각은 소망의 분무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이 특히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전형적 실시예 6)
본 전형적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일부의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과 동일 부분 구성을 갖는다. 그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분무 노즐이 노즐 아암(11)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분무 노즐은 다른 분무 패턴을 갖는다. 그 복수의 분무 노즐은 노즐 헤더(13)를 통하여 배관접속되어 있다. 노즐 헤더(13)는 원통형, 구형, 또는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다른 규정을 갖는 노즐이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6)의 몸표면의 전면에 남김없이 효과적으로 온수 샤워가 분사된다. 노즐의 방향, 분무 영역의 확보, 노즐 아암(11)에 알맞은 디자인적 배려, 설계, 가공, 배관조립, 품질, 비용 등의 사항이 충분히 고려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구성에 있어서 노즐 헤더(13)의 구성이 답습되어 노즐의 배치가 집중화되고 있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우 2개의 노즐 아암(11)의 선단에 구비된 노즐 헤더(13)로부터 다른 분무 패턴과 다른 분무 각도를 갖는 복수의 온수 샤워가 입욕자의 전면으로부터 양 어깨부분, 양겨드랑이·가슴·배부분의 영역의 일대에 향하도록 남김없이 집중적으로 분사된다. 또한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로부터의 제 1 온수 샤워 커튼(201)과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로부터의 제 2 온수 샤워 커튼(202)이 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의 몸표면의 전후로부터 쾌적하고 효과적인 온수 샤워입욕이 얻어진다. 또 노즐 헤더(13)가 작고,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복수개의 노즐이 집중화되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노즐 아암(11)의 작동이 용이해져서 위화감이 없는 디자인을 갖는 샤워 장치가 얻어진다.
(전형적 실시예 7)
본 전형적 실시예 7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일부의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과 동일 부분 구성을 갖는다. 그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분무 노즐이 노즐 헤더(13)에 배치되어 있다. 그 복수개의 분무 노즐은 노즐 헤더(13)의 선단, 즉 냉온수의 흐름의 하류측으로부터 직분형분무 노즐(14), 이어서 선회형 분무 노즐(15), 광각형 분무 노즐(16)의 분무 패턴을 갖는 차례로 형성된다.
분무각이 작을수록 분무입자가 크고 열용량이 크다. 이 때문에 피부에 접촉하기까지의 분무거리가 길 때에 있어서도 열방산에 의하여 온탕의 저하가 작아진다. 또한 분무각이 클 때 분무입자가 작고 열용량도 작다. 그 때문에 분사면적이 크고, 분사거리가 길 때 온탕저하가 크다. 이들의 특성을 감안하여 아암으로부터 피부의 각 부위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분무 노즐(14, 15, 16)에 대하여 적절한 분무 노즐이 배치된다.
각각의 분무 노즐의 기본 구성은 분무방향이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구형축(도시하지 않음)과, 구형상의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는 자재 이음 구조(종래 기술의 구조: 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각종의 분무 노즐이 작은 노즐 헤더(13)내에 설치된다. 입욕자(6)의 하반신전면부에 온수 샤워를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건이 필요하게 된다. 또 노즐너트 등의 착탈에 의해 노즐규정이 바뀌어서 분무 노즐이 클램핑되고 또한 분무 각도 등도 가변할 수 있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즐 헤더(13)의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직분형분무 노즐(14)·선회형 분무 노즐(15) 및 광각형 분무 노즐(16)이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6)의 몸전면부가 온욕된다. 직분무어깨노즐(14)은 노즐 헤더(13)로부터 가장 멀어지는 양무릎과 발밑부분에 수철포형의 온수 샤워를 직분무적으로 분사한다.
선회어깨분무 노즐(15)은 양가슴부로부터 양겨드랑이·배부의 영역에 선회형의 온수 샤워를 분무한다. 선회형의 온수 샤워는 피부에 큰 촉압자극을 주고, 마사지작용을 준다. 이것에 의해 혈행이 촉진된다.
광각형 분무 노즐(16)은 양 어깨부분에 설치되고, 넓은 영역에 걸쳐서 분무한다. 또한 온수 샤워 커튼이 어깨부, 발밑, 손끝, 양겨드랑이부·가슴부분에 분무된다. 일반적으로 어깨부, 발밑, 손끝은 특히 따뜻해지기 어렵고 바로 차가워지기 쉽다. 양겨드랑이부·가슴부분은 혈행 촉진을 촉구한다. 이 온수 샤워 커튼에 의해 냉기가 차단되어 열이 봉입된다.
이와 같이 샤워헤더(13)와 분무 노즐(19)로부터의 온열 작용이 유효하게 활용된다. 따라서 입욕상태에 들어가서 바로 혈행촉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쾌적하고 건강적, 또한 리프레시적인 온수 샤워입욕이 얻어진다.
(전형적 실시예 8)
본 전형적 실시예 8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일부의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과 동일 부분 구성을 갖는다. 그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요부확대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재 이음 수단부(12)가 노즐 아암(11)과 노즐 헤더(13)의 사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는 상기 노즐 헤더(13)가 상기 노즐 아암(11)의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자재접속 수단이 상기 노즐 아암(11)과 노즐 헤더(1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즐 아암(11)과 노즐 헤더(13)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입욕자(6)의 어깨폭의 대소에 맞추어서 노즐의 분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입욕자(6)의 어깨폭의 대소에 관계없이 1대의 샤워 장치에 의해 다양한 어깨폭을 가진 입욕자가 기분 좋게 입욕할 수 있다. 또 입욕자(6)가 온수 샤워를 대고 싶은 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 변환할 수 있다. 그 결과 높은 만족도를 갖는 온수 샤워입욕이 얻어진다. 또한 노즐 헤더(13)에 구비된 복수개의 노즐의 막힘과 고장 등에 대응하는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형적 실시예 9)
본 전형적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일부의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과 동일 부분 구성을 갖는다. 그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샤워 장치는 제 1 만곡형 노즐 아암(10)과, 프론트커버(17)와, 제 3 광각형 분무노즐(19)을 구비한다. 제 1 만곡형 노즐 아암(10)은 노즐 아암(11)을 출입 가능하게 한다. 프론트커버(17)는 만곡하는 제 1 노즐 아암(10)의 오목형 부분에 추가하여 오목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 3 광각형 분무 노즐(19)은 프론트커버(17)의 오목형 부분(18)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1)의 하반신부분이 좁고, 또한 신축하는 제 1 노즐 아암(10)의 오목형만곡 부분을 따르게 하여 본체(1)의 프론트커버(17)의 하반신부분이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콤팩트하게 샤워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외견상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디자인이 얻어진다. 또한 돌출 하부분이 앉거나 할 때 허리 뒤에 대는 털가죽 따위로 된다. 또한 상기 오목형의 본체부분에 설치된 광각 분무형 노즐(19)로부터 분사되는 온수 샤워가 좌우로 넓어져서 입욕자(6)의 등면허리부분의 넓은 범위로 넓어진다. 이것에 의해 샤워 온욕 작용이 더욱 촉진되어 쾌적한 샤워입욕을 할 수 있다.
(전형적 실시예 10)
본 전형적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샤워 장치의 일부의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과 동일 부분 구성을 갖는다. 그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의 상부치수「A」가 성인입욕자(6)의 평균어깨폭「B」보다도 넓고, 또한 본체(1)의 하부폭치수「C」가 성인입욕자(6)의 평균어깨폭「B」보다도 작다. 본체(1)의 상부 대략 중앙부분에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이 설치되고, 또 본체의 상부의 대략 좌우부분에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1)의 상부의 대략 중앙부분에 설치한 제 1 광각형 분무 노즐(8)로부터 수평으로 제 1 온수 샤워 커튼(201)이 분무된다. 한편 본체상부의 대략 좌우부분에 설치한 제 2 광각형 분무 노즐(9)로부터 분무되는 좌우의 얇은 막형의 제 2 온수 샤워 커튼(202)이 양 어깨부·양겨드랑이·배부분을 덮는다. 이들의 샤워 커튼은 입욕자(6)의 몸표면을 따라서 남김 없이 집중적으로 닿는다. 그 때문에 입욕자는 “냉감각”을 느끼지 않고 쾌적한 샤워입욕을 즐길 수 있다. 또 본체(1)의 크기가 입욕자(6)의 어깨폭보다도 좁은 대략 T자형을 갖는다. 그 때문에 샤워 장치는 전체적으로 소형콤팩트로 된다. 그 때문에 샤워 장치가 좁은 욕실의 씻는 장소의 벽면의 일부에 배치되어도 어떠한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샤워 장치가 스마트하게 배치된다.
(전형적 실시예 11)
본 전형적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샤워 장치를 실용화할 때의 구체적인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10과 도 11에 있어서 샤워 장치는 (a) 샤워 노즐 헤드(50a, 50b)를 아암선단에 배치한 신축 아암 수단(51a, 51b)과, (b) 샤워 노즐을 복수 배열한 샤워 수단(52)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샤워 수단(53)과, (c) 상기 신축 아암 수단(51a, 51b)의 아암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54)과, (d) 외부설치의 혼합 마개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상기 복합 샤워 수단(53)으로 냉온수 혼합 유체를 유도하는 접속 수단(55)과, (e) 프론트커버(56), 배면케이스(57)를 구비한다.
욕실의 벽에 걸려져 있는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부호 「a」, 「b」는 같은 부품을 좌우대칭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신축 아암 수단(51a, 51b)은 고정식 실린더(58a, 58b)와, 슬라이딩 아암(59a, 59b)과, 슬라이딩 제지부(60a, 60b)와, 시일형 플랜지부(62a, 62b)를 구비한다.
고정식 실린더(58a, 58b)는 직경이 다른 원호형의 파이프를 관상으로 중합함으로써 형성되고 외측파이프에 해당한다. 슬라이딩 아암(59a, 59b)은 내측 파이프에 위치하고, 고정식 실린더(58a, 58b)내에 유입한 유체를 받아서 이동한다. 슬라이딩 제지부(60a, 60b)는 슬라이딩 아암(59a, 59b)이 필요 이상으로 슬라이딩시키지 않도록 상기 고정식 실린더(58a, 58b)내에 설치되어 있다. 시일형 플랜지부(62a, 62b)는 상기 슬라이딩 아암(59a, 59b)의 단부에 걸어고정하고 실린더 유입구(61a, 61b)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고정식 실린더(58a, 58b)와 슬라이딩 아암(59a, 59b)의 사이로부터 누설하지 않도록 억제하고, 유체압을 받아서 슬라이딩 아암(59a, 59b)을 구동한다.
상기 슬라이딩 제지부(60a, 60b)와 시일형 플랜지부(62a, 62b)의 사이에 스프링(63a, 63b)이 걸어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수단(64)은 유체압을 받는 시일형 플랜지부(62a, 62b)와 상기 슬라이딩 제지부(60a, 60b)와 시일형 플랜지부(62a, 62b)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63a, 63b)을 구비한다. 또 샤워 노즐 헤드(50a, 50b)는 노즐 헤드 커버(65a, 65b)내에 장착된 샤워 노즐(66a, 66b)을 구비한다.
신축 아암 수단(51a, 51b)은 신축궤도가 64a, 6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늘어나는 아암이 돌출구로부터 외측으로 넓어지는 방향에 상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샤워 노즐 헤드(50a, 50b) 또는 샤워 노즐(66a, 66b) 자신이 늘어나는 아암의 궤도에 추가하여 샤워방향이 인체를 싸는 방향으로 되도록 인체에 대하여 3차원방향으로 샤워방향이 이동하도록 신축 아암 수단(51a, 51b)은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샤워 수단(52)은 고정위치에 배치된 샤워 노즐(67, 68, 69a, 69b)을 구비한다.
혼합 마개 등의 유체공급원은 접속 수단 또는 분기 수단(70)과, 호스(71a, 71b, 72a, 72b, 73, 74, 75)를 통하여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신축 아암 수단(51a, 51b)과 샤워 수단(52)에 유체가 공급된다.
다음에 동작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체는 샤워 장치의 앞에 등을 향하여 착석된다. 외부설치의 혼합 마개의 일부로부터, 예를 들면 핸드샤워의 접속구와, 본 샤워 장치의 접속 수단(55)을 호스를 통하여 접속한다. 유체가 접속 수단(55), 분기 수단(70), 튜브(71a, 71b), 실린더 유입구(61a, 61b)를 통하여 상기 고정식 실린더(58a, 58b)에 유입한다. 구동 수단(54)의 시일형 플랜지부(62a, 62b)의 수압면에 걸리는 유체압에 의해 시일형 플랜지부(62a, 62b)와 일체로, 또한 원호형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딩 아암(59a, 59b)이 밀어올려진다. 이것과 동시에 샤워 노즐 헤드(50a, 50b)도 인체의 전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으로부터 고정식 실린더(58a, 58b)에 유입된 유체는 샤워 노즐 헤드(50a, 50b)에 흘러서 샤워 노즐(66a, 66b)로부터 분사된다.
혼합 마개로부터 유체가 정지되고, 접속 수단(55)에 흐르는 유체가 정지되었을 때 고정식 실린더(58a, 58b)에 흐르는 유입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수단(54)의 시일형 플랜지부(62a, 62b)에 유체압이 걸리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상기스프링(63a, 63b)의 복원력에 의하여 신축 아암 수단(51a, 51b)이 등면케이스(57)의 안에 수납되도록 되돌려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접속 수단(55)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외부에 설치된 사용한 물 배수 수단(도시생략)이 신축 아암 수단(51a, 51b)과 혼합 마개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혼합유체의 통류가 정지했을 때 유체압이 내려간 현상에 따라서 사용한 물 배수 수단이 작동하고 신축 아암 수단내의 유체가 외부에 배출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63a, 63b)의 복원력에 의한 슬라이딩 아암(59a, 59b)의 되돌림이 매끄럽게, 또한 신속하게 작동한다.
아암단체가 신축하는 궤도는 원호형으로 2차원적으로 신축한다. 그리고 신축 아암 수단(51a, 51b)은 늘어나는 신축 아암 수단(51a, 51b)의 아암의 궤도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샤워 노즐 헤드(50a, 50b) 또는 샤워 노즐(66a, 66b) 자신이 경사하여 부설해 있다. 그 때문에 샤워의 패턴이 인체를 싸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인체에 대하여 3차원방향으로 샤워방향이 형성되어 샤워가 이동한다.
신축 아암 수단(51a, 51b)의 아암이 상대하여 배치되었을 때 인체의 양 사이드로부터 샤워된다. 그 때문에 인체를 싸는 샤워범위가 넓어진다. 또 고정식으로 샤워 노즐이 배치된 샤워 수단(52)이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인체의 전면과 등면에 걸쳐서 샤워가 받아진다. 또 샤워가 정지했을 때 신축 아암 수단(51a, 51b)의 슬라이딩 아암이 본체내부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욕실내에서도 방해가 되지 않는 샤워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신축 아암 수단의 내부통로가 유체를 흐르도록 성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신축 아암 수단이 단순한 신축하는 기능만을 갖고 유체통로는 별도 병설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전형적 실시예 12)
본 전형적 실시예는 전동식의 신축 아암 수단을 구비한 샤워 장치의 한예를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 샤워 장치는 신축 아암 수단과 구동 수단을 구비한다. 신축 아암 수단은 슬라이딩 아암에 부설한 전송 랙에 톱니바퀴 회전축을 맞물리고 있다. 교류모터, 직류모터, 또는 스태핑 모터 등의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톱니바퀴 회전축을 통하여 전송 랙이 이동된다. 이것과 일체로 연동하여 아암이 출입한다. 이와 같이 구동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전형적 실시예 11의 도 10 및 도 11과 같다.
또한, 도 11 및 도 12와 동일 부호의 구성요소는 동일 구조를 갖고, 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신축 아암 수단(77a, 77b)은 전송 랙(78a, 78b)을 추가 설치한 슬라이딩형 아암(79a, 79b)과, 상기 슬라이딩 아암(79a, 79b)의 일단에 설치된 샤워 노즐 헤드(50a, 50b)와, 타단에 설치된 유입관(80a, 80b)을 구비한다. 구동 수단(81a, 81b)은 상기 전송 랙(78a, 78b)에 맞물리게 한 톱니바퀴 회전축(82a, 82b)과 상기 톱니바퀴 회전축(82a, 82b)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부설한 모터(83a, 83b)를 구비한다. 모터(83a, 83b)로서는 교류모터, 직류모터, 스태핑 모터 등의 저전압형모터가 바람직하다.
유체공급수단(55)의 출류측의 분기관(70)과 상기 신축 아암 수단(77a, 77b)의 유입관(80a, 80b)의 사이에 호스 릴(hose reel) 수단(84)이 배치된다. 호스 릴 수단(84)과 유입관(80a, 80b)의 사이, 또는 상기 호스 릴 수단(84)과 분기관(70)의 사이는 튜브(85a, 85b)와 튜브(8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호스 릴 수단(84)에 권취형 스프링(87)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구동 수단의 동력에 거슬러서 상기 호스(85a, 85b)가 감아서 꺼내지고, 또는 되감아져서 아암이 매끄럽게 신축된다. 이것은 스프링의 복원동력을 이용한 권취 작용을 이용하고 있다.
샤워 장치는 호스 릴 수단(84)을 구비한다. 그 릴은 릴상에서 호스가 무너지지지 않도록 유연하고 적절한 경도를 갖는다. 또 호스 릴 수단(84)의 릴상에 있어서의 호스의 겹쳐서 감음을 방지하고, 호스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해 수나사의 골홈과 같은 스파이럴형의 홈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통류 중에 있어서도 호스의 권취나 되감기가 원활하게 실시된다.
또한 신축 아암 수단(77a, 77b)은 도 1에 나타낸 실시예 1과 같이 좌우대칭으로 한쌍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을 구성하는 각 요소부품도 한쌍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참조부호에 「a」, 「b」를 부기하고 좌우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 12의 샤워 장치는 신축 아암 수단(77a, 77b)과, 복합 샤워 수단과, 구동 수단(81a, 81b)과, 접속 수단(55)과, 프론트커버(56), 등면케이스(57)를 구비한다. 신축 아암 수단(77a, 77b)은 아암선단에 배치된 샤워 노즐 헤드(50a,50b)를 갖는다. 복합 샤워 수단은 복수의 샤워 노즐을 갖는다. 구동 수단(81a, 81b)은 신축 아암 수단(77a, 77b)의 아암을 구동한다.
상기의 구성의 외에 구동 수단(81a 또는 81b)의 어느 쪽인가 한쪽을 작동시킴으로써 한쌍의 신축 아암 수단(77a, 77b)이 일체로 이동하고, 또는 정지하는 구성도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한쌍의 구동 수단(81a, 81b)의 어느 쪽인가 한쪽의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만에 의해 샤워 노즐 헤드(50a, 50b)를 임의의 위치에 이동시키고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샤워를 할 수 있다.
(전형적 실시예 13)
본 전형적 실시예의 샤워 장치는 다른 노즐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도 13에 있어서 노즐 이동 수단(90)은 고정식 실린더(91)와 슬라이딩 아암(92)을 구비한다. 고정식 실린더(91)는 다른 직경을 갖는 직선 파이프를 관형으로 중합함으로써 형성되고 외측파이프에 해당한다. 슬라이딩 아암(92)은 내측파이프에 위치한다. 슬라이딩 아암(92)은 아암도중에 굴곡가동부를 갖고, 굴곡시킨 고정식 실린더(91)를 따라서 굴곡 가능하다. 슬라이딩 아암(92)과 시일형 플랜지부(95)가 설치된다. 슬라이딩 제지부(93)가 고정식 실린더(91)내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아암(92)은 고정식 실린더(91)내에 유입한 유체를 받아서 이동한다. 슬라이딩 제지부(93)에 의해 그 슬라이딩 아암(92)이 필요 이상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방지된다. 시일형 플랜지부(95)는 슬라이딩 아암(92)의 단부에 걸어 고정한다. 또한 시일형 플랜지부(95)는 실린더 유입구(94)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고정식 실린더(91)와 슬라이딩 아암(92)의 사이로부터 누설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시일형 플랜지부(95)는 유체압을 받아서 슬라이딩 아암(92)을 구동한다. 또 슬라이딩 제지부(93)와 시일형 플랜지부(95)의 사이에 스프링이 걸어고정된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욕자가 샤워 장치 본체(96)의 앞에 등을 향하여 착석수단(97)에 착석한다. 유체 전환 수단(98)이 전환된다. 온수가 유체 전환 수단(98)을 거쳐서 실린더 유입구(94)를 통하여 고정식 실린더(91)에 유입된다. 시일형 플랜지부(95)의 수압면에 걸리는 유체압에 의해 시일형 플랜지부(95)와 일체로, 또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딩 아암(92)이 밀어올려진다. 또한 굴곡된 고정식 실린더(91)를 따라서 슬라이딩 아암(92)의 굴곡가동부가 굴곡한다. 이 때 샤워 노즐 헤드(99)도 인체의 전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으로부터 고정식 실린더(91)에 유입된 온수는 샤워 노즐 헤드(99)를 향하고, 가동 샤워 노즐(100)로부터 신체전면을 향하여 분사된다. 동시에 고정 샤워 노즐(101)과 고정 샤워 노즐(102)로부터 신체등면을 향하여 온수가 분사된다. 입욕자의 신체를 싸 넣도록 샤워가 분사한다. 따라서 인체 자신을 돌릴 필요도 없이 릴랙스한 샤워입욕을 할 수 있다.
또 유체 전환 수단(98)을 다시 전환하여 물빠짐구(103)의 쪽으로 온수를 통류시킬 때 고정식 실린더(91)에의 유입이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시일형 플랜지부(95)에 유체압이 걸리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노즐 이동 수단(90)이 샤워 장치 본체(96)의 안에 수납되도록 노즐 이동 수단(90)이 되돌려진다. 한편 물빠짐구(103)에 흐르는 온수는, 예를 들면 욕실 씻는 장소의 바닥에 유출한다. 그 때문에 흐르는 온수에 의해 바닥 난방이 이뤄진다.
(전형적 실시예 14)
본 전형적 실시예의 샤워 장치는 또다른 노즐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도 14에 있어서 노즐 이동 수단(110)은 노즐 아암(113)과 전송 랙(114)과 톱니바퀴(115)와 전동 모터(116)를 구비한다.
노즐 아암(113)은 본체(111)에 회동 조인트(1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전송 랙(114)은 회동 조인트(11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톱니바퀴(115)는 전송 랙을 구동한다. 전동 모터(116)는 톱니바퀴(115)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전동 모터(116)로서는 교류모터, 직류모터, 또는 스태핑 모터 등의 저전압형 모터가 사용된다. 노즐 아암(113)은 중공을 갖는다. 호스(117)가 노즐 아암(113)의 내부를 관통한다. 호스(117)에 의해 샤워 노즐 헤드(99)와 가동 샤워 노즐(100)과 유체 전환 수단(98)이 연통한다.
또한 본 전형적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과 동일 부호의 구성요소는 도 13과 같은 구조를 갖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욕자가 샤워 장치 본체(111)의 앞에 등을 향하여 착석수단(97)에 착석한다. 그리고 전동 모터(116)가 작동한다. 이 회전동력에 의해 톱니바퀴(115)를 통하여 전송 랙(114)이 이동한다. 샤워 장치 본체(111)의 윗쪽에 위치하는 회동 조인트(112)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본체(111)의 상단부 부근까지 회동 조인트(112)가 내려올 때 본체(111)의 상단부의 형상에 의해 노즐 아암(113)이 경사이동하고, 그리고 샤워 노즐 헤드(99)도 인체의 전면방향으로 이동한다. 유체 전환 수단(98)이 전환되어 온수가 유체 전환수단(98)을 거쳐서 호스(117)를 통하여 샤워 노즐 헤드(99)를 향한다. 가동 샤워 노즐(100)로부터 신체전면을 향하여 온수가 분사한다. 동시에 고정 샤워 노즐(101)과 고정 샤워 노즐(102)로부터 신체등면을 향하여 온수가 분사된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 신체를 싸 넣도록 입욕자는 샤워를 받는다. 그 때문에 입욕자는 인체 자신을 돌릴 필요도 없이 릴랙스한 샤워입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즐 이동 수단의 내부통로가 유체를 흐르게 하도록 노즐 이동 수단이 성형되어 있는데,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일없이 노즐 이동 수단이 단순한 신축하는 기능만을 갖고 유체통로가 별도로 병설되는 구성도 실시 가능하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전형적 실시예 15)
본 전형적 실시예의 샤워 장치는 또다른 노즐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도 15에 있어서 노즐 이동 수단(120)은 슬라이딩 제지부(122)와 시일부(123)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제지부(122)는 단순한 직경을 갖는 4개의 직선관형의 파이프(121)를 중합함으로써 형성되고, 각각의 파이프의 단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제지부(122)에 의해 파이프(121)가 필요 이상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게 된다. 시일부(123)는 각 파이프(121)의 단부에 걸어 고정하여 설치된다. 이 시일부(123)에 의해 실린더 유입구(94)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각 파이프 중합틈으로부터 누설하는 일이 방지된다. 또 각 파이프는 스프링(1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늘어나는 아암의 궤도에 추가하여 샤워방향이 인체를 싸는 방향으로 되도록 샤워 노즐 헤드(99) 또는 가동 샤워 노즐(100) 자신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전형적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과 동일 부호의 구성요소는 도 13과 같은 구조를 갖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욕자가 샤워 장치 본체(96)의 앞에 등을 향하여 착석수단(97)에 착석한다. 유체 전환 수단(98)이 전환되고, 온수가 유체 전환 수단(98)을 거쳐서 실린더 유입구(94)를 통하여 파이프(121)의 최외관에 유입된다. 이 때 파이프(121)의 차외관단면이 수압면으로 되고 유체압에 의해 파이프(121)의 차외관이 밀어올려지면서 파이프(121)의 다음다음 외관에 온수가 유입한다. 파이프(121)의 다음다음 외관단면이 수압면으로 되고 유체압에 의해 파이프의 다음다음 외관이 밀어올려지면서 파이프(121)의 다음다음 외관에 온수가 유입한다. 이 동작이 반복되면서 최내관에 고정설치한 샤워 노즐 헤드(99)가 인체의 전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으로부터 각 파이프(121)에 유입된 온수는 샤워 노즐 헤드(99)를 향하고, 가동 샤워 노즐(100)로부터 신체전면을 향하여 분사된다. 동시에 고정 샤워 노즐(101)과 고정 샤워 노즐(102)로부터 신체등면을 향하여 온수가 분사된다. 이것에 의해 입욕자 신체를 싸 넣도록 입욕자는 샤워를 받는다. 따라서 인체 자신을 돌릴 필요도 없이 릴랙스한 샤워입욕을 할 수 있다.
유체 전환 수단(14)을 다시 전환하여 물빠짐구(103)의 쪽으로 온수를 유통시킬 때 각 파이프(121)에의 유입이 정지되어 각 파이프(121)의 단면에 유체압이 걸리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스프링(124)의 복원력에 의하여 노즐 이동 수단(120)이 샤워 장치 본체(96) 안에 수납되도록 노즐 이동 수단(120)이 되돌려진다. 한편 물빠짐구(103)에 흐르는 온수는, 예를 들면 욕실 씻는 장소의 바닥에 유출한다. 그때문에 그 온수는 흐르는 온수에 의해 바닥 난방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이동 수단의 내부통로가 유체를 흐르게 하도록 노즐 이동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성에 한정되는 일없이 노즐 이동 수단이 단순한 신축하는 기능만을 갖고 유체통로가 별도로 병설된 구성도 실시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발명의 구성에 의해 (a) 샤워 커튼에 의한 냉기 차단 작용과, (b) 내부를 상승하는 열기를 밀어넣는 열봉입 작용과, (c) 온수분무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일에 의한 온열 작용과, (d) 피부에 닿은 온수가 피부의 표면에 전달되어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온열 작용이 얻어진다. 이들의 작용에 의해 적은 노즐수에 의해 몸의 하반신과 측면을 포함하는 신체의 대략 전체가 “냉감각”을 받는 일이 방지된다. 그 결과 따뜻한 온수 샤워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쾌적한 샤워욕이 얻어진다.

Claims (39)

  1. 샤워 장치(water shower apparatus)에 있어서,
    샤워 입욕자의 주위에 형성된 냉기 차단막을 구비하고,
    상기 냉기 차단막은 온열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차단막은 상기 샤워 입욕자의 대략 목부주변을 덮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차단막은 상기 샤워 입욕자의 대략 양 어깨부로부터 대략 양 옆구리부에 이르는 영역을 덮어서 형성되고,
    상기 샤워 입욕자의 좌우의 양측에 온열 효과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샤워의 분무 각도를 광각형으로 신체를 향하여 분무하고,
    이에 의해 상기 온열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샤워의 분무각을 광각형으로 편평형으로 분무하는 부채꼴형 분무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과, 제 2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목부주변을 덮는 제 1 냉기 차단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상기 입욕자의 좌우의 양측을 덮는 제 2 냉기 차단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은 상기 제 2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보다도 좁은 분무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과, 상기 제 2 냉기 차단막 형성형 분무 노즐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분무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분무 노즐과, 제 2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무 노즐은 대략 수평의 분무 패턴을 갖고,
    상기 제 2 분무 노즐은 대략 수직의 분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분무 노즐과, 제 2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무 노즐은 제 1 분무방향을 갖고,
    상기 제 2 분무 노즐은 제 2 분무방향을 갖고,
    상기 제 1 분무방향은 상기 제 2 분무방향보다도 아래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분무 노즐과 제 2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무 노즐과, 상기 제 2 분무 노즐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분무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욕자의 등부후방에 위치하는 샤워 장치 본체와, 상기 샤워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노즐 이동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임의의 위치에 이동하는 분무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복수의 분무 노즐을 갖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 중의 각각의 분무 노즐은 다른 분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욕자의 등부후방에 위치하는 샤워 장치 본체와, 상기 샤워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노즐 이동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임의의 위치에 이동하는 복수의 분무 노즐을 갖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의 각각의 분무 노즐은 다른 분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욕자의 등부후방에 위치하는 샤워 장치 본체와, 상기 샤워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노즐 이동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노즐 헤더를 갖고,
    상기 노즐 헤더는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더는 복수의 분무 노즐을 갖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의 각각의 분무 노즐은 다른 분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더는 접속 수단을 갖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노즐 이동 아암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노즐 헤더는 신축 수단을 갖고,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상기 샤워 장치 본체로부터 상기 신축 수단을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관절 수단을 갖고,
    상기 관절 수단은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근원 또는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관절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회전 조인트 수단을 갖고,
    상기 회전 조인트 수단은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근원 또는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조인트 수단의 회전에 의해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회전 조인트 수단과, 관절 수단과, 신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복합 수단을 갖고,
    상기 복합 수단의 이동에 의해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구동 수단을 갖고,
    상기 구동의 구동에 의해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이 소망의 위치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유체의 압력의 작용력에 의해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을 구동하는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전동 모터를 갖고,
    상기 전동 모터는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을 구동하는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욕자의 등부후방에 위치하는 샤워 장치 본체와,
    상기 샤워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노즐 이동 아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이동 아암의 각각의 노즐 이동 아암은 회전 조인트 수단과, 관절 수단과, 신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에 의해 상기 각각의 노즐 이동 아암의 선단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욕자의 등부후방에 위치하는 샤워 장치 본체와, 상기 샤워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노즐 이동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복수의 분무 노즐은 갖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상기 입욕자의 대략 무릎부로부터 발부에 이르는 영역을 분사하는 제 1 분무 노즐과, 대략 배부로부터 가슴부에 이르는 영역을 분사하는 제 2 분무 노즐과, 대략 어깨부를 향하여 분사하는 제 3 분무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무 노즐의 분사 각도가 「C」이고, 상기 제 2 분무 노즐의 분사 각도가 「D」이고, 상기 제 3 분무 노즐의 분사 각도가 「E」일 때, 상기 각각의 분사각도는 C<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직분노즐, 소분무각을 갖는 부채꼴형 분무 노즐, 선회형 분무 노즐 및 광각형 분무 노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이동 아암은 원호형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욕자의 등부후방에 위치하는 샤워 장치 본체와,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샤워 장치 본체는 상기 입욕자의 등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샤워 본체는 오목형의 프론트커버를 갖고,
    상기 오목형의 프론트커버에 상기 분무 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분무 노즐과 제 2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분무 노즐은 상기 입욕자의 주위에 온열 효과를 갖는 상기 냉기 차단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분무 노즐은 상기 입욕자의 몸에 샤워를 대고 그것에 의해 온욕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3. 제 1 항에 있어서,
    샤워 장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상기 냉기 차단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a) 상기 본체의 중앙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욕자의 목부를 샤워하는 제 1 샤워 커튼을 형성하는 제 1 분무 노즐과,
    (b) 상기 제 1 분무 노즐의 양측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입욕자의 양 어깨부를 샤워하는 제 2 샤워 커튼을 형성하는 한쌍의 제 2 분무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냉기 차단막은 상기 제 1 샤워 커튼과 상기 제 2 샤워 커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워 커튼은 대략 수평방향이고, 좌우로 넓어진 제 1 광각 박막형상을 갖고,
    상기 제 2 샤워 커튼은 대략 수직방향이고, 상하로 넓어진 제 2 광각 박막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샤워 커튼과 상기 제 2 샤워 커튼은 상기 입욕자의 신체를 싸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쌍의 노즐 이동 아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상기 한쌍의 노즐 이동 아암의 각각의 노즐 이동 아암에 설치된 제 3 분무 노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분무 노즐은 좌우로 넓어진 제 3 광각 박막형상의 분무 패턴을 갖고,
    상기 제 3 광각 박막형상의 분무 패턴은 상기 입욕자의 전면을 덮어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쌍의 노즐 이동 아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상기 한쌍의 노즐 이동 아암의 각각의 노즐 이동 아암에 설치된, (ⅰ) 좌우로 넓어진 제 3 광각형 박막형상을 갖는 제 3 분무 노즐과, (ⅱ) 넓어지지 않고 바로 분사하는 직분사형상을 갖는 제 4 분무 노즐과, (ⅲ) 빈 원추형의 소용돌이형상을 갖는 제 5 분무 노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무 노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노즐 이동 아암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샤워의 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무 노즐은 상기 본체의 중앙의 하부에 설치된 제 6 분무 노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6 분무 노즐은 상기 입욕자의 등과 허리를 샤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분무 노즐은 원추형상의 분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장치.
KR1020010037345A 2000-06-29 2001-06-28 샤워 장치 KR200200079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6068A JP2002010942A (ja) 2000-06-29 2000-06-29 シャワー装置
JP2000-196068 2000-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992A true KR20020007992A (ko) 2002-01-29

Family

ID=1869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345A KR20020007992A (ko) 2000-06-29 2001-06-28 샤워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20654B2 (ko)
JP (1) JP2002010942A (ko)
KR (1) KR20020007992A (ko)
CN (2) CN133928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63B1 (ko) * 2005-02-07 2007-05-04 주식회사 지케이파워 무선 전자라벨의 제조방법 및 전자라벨
US10448762B2 (en) 2017-09-15 2019-10-22 Kohler Co. Mirror
US10663938B2 (en) 2017-09-15 2020-05-26 Kohler Co. Power operation of intelligent devices
US10887125B2 (en) 2017-09-15 2021-01-05 Kohler Co. Bathroom speaker
US11093554B2 (en) 2017-09-15 2021-08-17 Kohler Co. Feedback for water consuming appliance
US11099540B2 (en) 2017-09-15 2021-08-24 Kohler Co. User identity in household applian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2195B1 (en) * 2002-01-22 2003-10-14 Smith Karl R Versatile adjustable liquid applicator
AU2003902443A0 (en) * 2003-05-21 2003-06-05 Tiara International Pty Ltd Shower apparatus
EP1668195B1 (en) * 2003-09-30 2007-10-10 CRS S.p.A. Shower column
DK200400224A (da) * 2004-02-13 2005-08-14 Damixa Aps Blandingsbatteri
US7697827B2 (en) 2005-10-17 2010-04-13 Konicek Jeffrey C User-friendlier interfaces for a camera
US8091158B2 (en) * 2006-03-31 2012-01-10 Toto, Ltd. Shower bathing apparatus
DE102007025759A1 (de) * 2006-11-24 2008-05-29 Glass Idromassaggio Srl, Oderzo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abine als Dampfkabine und/oder Duschkabine und eine solche Kabine
US8185982B1 (en) * 2007-11-28 2012-05-29 University Of Puerto Rico Integrated showering and body support system
US20100243181A1 (en) * 2009-03-31 2010-09-30 O'connor Patrick J Vented shower curtain
US20130026800A1 (en) * 2011-07-26 2013-01-31 Floyd Jr Franklin B Heating and cooling seating device
JP5971640B2 (ja) * 2011-11-02 2016-08-17 ノズルネットワーク株式会社 液体霧化装置
US9345365B1 (en) 2012-09-28 2016-05-24 Linda B. Welles Apparatus for maintaining a person in a warm state while showering
US9192267B2 (en) 2012-10-11 2015-11-24 Roman Tsibulevskiy Shower curtain technologies
US11083344B2 (en) 2012-10-11 2021-08-10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US9955825B2 (en) 2012-10-11 2018-05-01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US9510711B2 (en) 2012-10-11 2016-12-06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US9949597B2 (en) 2012-10-11 2018-04-24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US10292538B2 (en) 2012-10-11 2019-05-21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US20150189966A1 (en) * 2014-01-09 2015-07-09 Nancy Y. KIM Automatic hair and body cleaning apparatus
US20150208873A1 (en) * 2014-01-28 2015-07-30 Technology Innovators Inc. Showering assistance device
CN106604782B (zh) 2014-08-28 2019-12-31 内比亚公司 沉浸式淋浴头
US9578994B2 (en) 2015-06-23 2017-02-28 Focused Reality Llc Adjustable height shower apparatus with multiple shower sprayers
WO2017148926A1 (en) * 2016-02-29 2017-09-08 Jet Aviation Ag Storage device for an extractable hose, hose storag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torage device
US10352025B2 (en) 2016-04-29 2019-07-16 Moen Incorporated Plumbing fixture fitting with mounting system
CN106015653B (zh) * 2016-06-21 2018-06-15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排冷切换阀和组合花洒
DE102017105062A1 (de) * 2017-03-09 2018-09-13 Aloys F. Dornbracht Gmbh & Co. Kg Duschvorrichtung
GB2563076B (en) * 2017-06-02 2022-05-11 Kohler Mira Ltd Ablutionary fitting
US10801194B2 (en) * 2017-09-01 2020-10-13 Kathleen Mary Meehan Retractable hose with drying sweep and in-wall drip tray
CN108338721A (zh) * 2018-02-28 2018-07-31 李常德 一种便捷式洗浴设备
CN109127171A (zh) * 2018-07-10 2019-01-04 江苏浙泰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洗澡机喷淋装置
CN210249641U (zh) 2018-12-05 2020-04-07 科勒公司 淋浴系统
WO2021006828A1 (en) * 2019-07-09 2021-01-14 Eken Hueseyin Berkay Fast shower apparatus
EP3979886B1 (en) * 2020-08-28 2022-12-07 Guangzhou Seagull Kitchen And Bath Products Co., Ltd. Thermostatically wrapped press-type photosensitive spray shower
WO2022041652A1 (en) * 2020-08-28 2022-03-03 Guangzhou Seagull Kitchen And Bath Products Co., Ltd. Thermostatically wrapped press-type photosensitive spray show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351A (en) * 1900-02-17 1900-11-06 Alfred J Manning Bath-tub.
US3827088A (en) * 1972-10-24 1974-08-06 Cranda Corp Bathtub filler and shower appliance
JP3633025B2 (ja) 1995-04-19 2005-03-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ャワー装置
JP3717966B2 (ja) 1995-04-19 2005-1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ャワー装置
KR100391865B1 (ko) * 1996-02-26 2003-09-1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샤워욕장치및분무노즐
JP3804154B2 (ja) 1997-02-25 2006-08-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ャワー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63B1 (ko) * 2005-02-07 2007-05-04 주식회사 지케이파워 무선 전자라벨의 제조방법 및 전자라벨
US10448762B2 (en) 2017-09-15 2019-10-22 Kohler Co. Mirror
US10663938B2 (en) 2017-09-15 2020-05-26 Kohler Co. Power operation of intelligent devices
US10887125B2 (en) 2017-09-15 2021-01-05 Kohler Co. Bathroom speaker
US11093554B2 (en) 2017-09-15 2021-08-17 Kohler Co. Feedback for water consuming appliance
US11099540B2 (en) 2017-09-15 2021-08-24 Kohler Co. User identity in household appliances
US11314214B2 (en) 2017-09-15 2022-04-26 Kohler Co. Geographic analysis of water conditions
US11314215B2 (en) 2017-09-15 2022-04-26 Kohler Co. Apparatus controlling bathroom appliance lighting based on user identity
US11892811B2 (en) 2017-09-15 2024-02-06 Kohler Co. Geographic analysis of water conditions
US11921794B2 (en) 2017-09-15 2024-03-05 Kohler Co. Feedback for water consuming appliance
US11949533B2 (en) 2017-09-15 2024-04-02 Kohler Co. Sin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9285A (zh) 2002-03-13
JP2002010942A (ja) 2002-01-15
US6920654B2 (en) 2005-07-26
US20020040500A1 (en) 2002-04-11
CN2518452Y (zh)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7992A (ko) 샤워 장치
JP3753157B2 (ja) シャワー浴装置
KR20040064689A (ko) 신체 건조기가 들어있는 샤워장
US8091158B2 (en) Shower bathing apparatus
JP4089238B2 (ja) シャワー装置
JP3633024B2 (ja) シャワー装置
US20040148694A1 (en) Flow control device for tub, spa, or shower
JP2806257B2 (ja) シャワー装置
JP2864805B2 (ja) シャワー装置
JPH11197204A (ja) 温熱治療用シャワー装置
JP2001245809A (ja) シャワー装置
JP3724022B2 (ja) シャワー装置
TW499304B (en) Water shower apparatus
JPH09122035A (ja) 浴室用椅子
JP2004049677A (ja) 浴室装置
AU687279B2 (en) Shower spa
JP4281115B2 (ja) シャワー浴装置
KR102416053B1 (ko)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
JP2001286408A (ja) シャワー装置
JP2003052786A (ja) シャワー装置
KR20220067404A (ko) 분사노즐시스템이 구비된 반신욕조기
JPH08280567A (ja) シャワー装置
JP2003210344A (ja) シャワー装置
JPH06284985A (ja) シャワー装置
GB2284352A (en) Water therapy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