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053B1 -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 - Google Patents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053B1
KR102416053B1 KR1020200123850A KR20200123850A KR102416053B1 KR 102416053 B1 KR102416053 B1 KR 102416053B1 KR 1020200123850 A KR1020200123850 A KR 1020200123850A KR 20200123850 A KR20200123850 A KR 20200123850A KR 102416053 B1 KR102416053 B1 KR 10241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waterproof
hole
water
cylindric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757A (ko
Inventor
김영균
Original Assignee
김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균 filed Critical 김영균
Priority to KR102020012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0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4Closed washing devices, e.g. wash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5Shampooing; Conditioning; Wash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샴푸모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및 노인이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전혀 새지 않고 편안한 자세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방수 샴푸모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A Waterproof Shampoo Hat for Patients}
본 발명은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환자 및 노인들이 물이 전혀 새지 않고 편안한 자세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는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매일 혹은 2~3일에 한번은 머리를 감게 되는데, 수술로 인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수술부위가 젖지 않도록 씻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노인들도 허리를 굽히고 머리를 감는 일이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여 샴푸와 물이 눈, 코, 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는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2008-0009953호 “샴푸캡”에서는 목욕하면서 머리를 감을 때 눈 등에 샴푸 및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코팅원단과 중심에 홀이 있는 원단부와 중심의 홀에 박음질 되어있는 밴드와 원단부 외측 둘레에 결합된 지지띠와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밴드와 지지띠 사이에 투명창을 형성한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목욕할 때만 사용이 가능하고, 몸의 상태와 환자의 수술부위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환자 및 노인이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전혀 새지 않고 편안한 자세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는 실리콘원단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중심홀이 형성되어 머리에 밀착되는 원단부; 상기 원단부의 외측 둘레로 하드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원기둥 구조물; 상기 원기둥 구조물의 외측 둘레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은 중심에 고무밴드가 구비된 삽입홀이 형성되어 샤워헤드가 삽입되는 비닐캡: 주름이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 구조물에 결합하여 물을 배수하는 배수호스 및 상기 원기둥 구조물의 일측에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될 수 있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기둥 구조물은 일측에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될 수 있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부는 머리와 더욱 밀착되도록 중심홀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내측면이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곡선형 밀착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기둥 구조물은 내부에 형성된 머리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밀착부는 상기 원기둥 구조물의 내주면에 형성된 도넛형태의 하드플라스틱면 및 상기 하드플라스틱면의 밀착홀에 형성되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머리에 밀착되는 실리콘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는 배수량을 조절 할 수 있는 배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조절부는 상기 배수구의 출구에 형성되어 배수속도를 빠르게 하는 배수회전날개; 상기 배수구의 내부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포함하는 원판; 상기 배수구의 내부에서 상기 원기둥 구조물 측으로 상기 원판과 밀착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 및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배수원기둥 및 상기 배수구의 원주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수원기둥의 배수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배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는 샴푸시 물 공급을 위한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원기둥 구조물의 내주면에 따라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물공급튜브 및 상기 물공급튜브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는 머리 전체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물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원기둥 구조물의 내주면에 따라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물분사튜브; 상기 물분사튜브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 상기 연결구가 측면에 연통되고,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분사홀과 하면에 하나 이상의 제2분사홀을 포함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과 하면에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을 형성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샤워헤드가 삽입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물분사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에 의하면, 환자 및 노인의 머리에 방수 샴푸모자를 착용만 해도, 샴푸거품과 물이 새거나 튀는 것을 방지되며, 편안한 자세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구의 배수량을 조절하는 구조를 통해 샴푸 시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물분사부를 이용해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피를 건강하게 하고 세척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에서 배수호스가 전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원단부가 곡선형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확대도.
도 4의 (a) 및 (b)는 도 1의 원기둥 구조물에 머리밀착부가 더 포함된 상태에서 실리콘 튜브의 수축된 모습 및 팽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배수구가 배수조절부를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확대 투영도.
도 6은 도 1의 배수구가 배수조절부를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확대도.
도 7의 (a) 내지 (c)는 도 5의 배수조절부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는 도 9의 물분사부의 회전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1의 (a) 및 (b)는 도 9의 물분사부의 사용 예시도.
도 12의 (a) 및 (b)는 도 9의 물분사부의 작동에 따른 물분사방향이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환자 및 노인이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는 방수 샴푸모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몸이나 수술부위에 샴푸나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이 잘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에서 배수호스가 전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원단부가 곡선형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확대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도 1의 원기둥 구조물에 머리밀착부가 더 포함된 상태에서 실리콘 튜브의 수축된 모습 및 팽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배수구가 배수조절부를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확대 투영도이고, 도 6은 도 1의 배수구가 배수조절부를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확대도이고, 도 7의 (a) 내지 (c)는 도 5의 배수조절부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이하 방수 샴푸모자라 칭함)는 크게 원단부(1), 원기둥 구조물(2), 비닐캡(3) 및 배수호스(4)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부(1)는 중심에 중심홀(10)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고, 실리콘원단으로 형성되어 유연성과 방수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원단부(1)는 실리콘원단으로 형성됨으로써 착용 시 머리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원단부(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원단부(1)는 곡선형 밀착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밀착부재(11)는 머리와 보다 더 밀착되도록 중심홀(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중심홀(1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내측면이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머리에 접할 경우 머리에 흡착되어 보다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원기둥 구조물(2)은 원단부(1)의 외측 둘레에 연결되게 형성되되, 상부가 뚫린 원기둥 또는 헬멧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원기둥 구조물(2)은 일반적인 머리 감기에서 대야 또는 세면대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드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소재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원기둥 구조물(2)의 높이는 사용자의 손이 머리에 닿을 수 있고 비누칠을 할 때 물이 튀지 않도록 10~15c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원기둥 구조물(2)은 샴푸 및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20)는 원기둥 구조물(2)의 일측에 돌출형으로 형성되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구(20)는 배수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기둥 구조물(2)은 방수 샴푸모자를 사용자의 머리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는 머리밀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밀착부(21)는 하드플라스틱면(210), 밀착홀(211), 실리콘 튜브(212), 주입라인(213) 및 주입장치(2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플라스틱면(210)은 원기둥 구조물(2)의 내주면에 도넛형태로 형성되어, 중심에 밀착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착홀(211)은 원단부(1)의 중심홀(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실리콘 튜브(212)와 결합되어 머리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실리콘 튜브(212)는 일측에 주입라인(213)이 설치될 수 있고, 주입라인(213)은 주입장치(21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가 주입장치(214)에서 주입라인(213)을 거쳐 실리콘튜브(212)로 이동할 수 있다.
실리콘 튜브(212)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장치(214)에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면서 방수 샴푸모자가 머리에 고정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입장치(214)는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며, 예를 들어 에어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비닐캡(3)은 하단이 원기둥 구조물(2)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상단의 중심에 삽입홀(30)이 형성되어 샤워헤드(S)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30)에는 고무밴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삽입홀(30)의 직경이 비닐캡(3)의 상태에 따라 바람직한 크기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비누칠을 하기 위해 비닐캡(3)을 원기둥 구조물(2) 측으로 내릴 수 있도록 삽입홀(30)의 직경이 원기둥 구조물(2)에 맞춰 변화될 수 있으며, 머리를 헹구기 위해 비닐캡(3)을 위로 올릴 경우 물이 밖으로 튀지 않도록 삽입홀(30)의 직경이 샤워헤드(S)에 맞춰 질 수 있다.
이러한 비닐캡(3)은 유연성 있고 방수가 가능한 방수비닐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소재는 한정되지 않는다.
배수호스(4)는 배수구(20)에 연결되고 길이를 조절하도록 주름이 형성되되, 하단에 호스커버(40)를 포함 할 수 있다.
이 때, 호스커버(40)는 배수구(20)와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방수 샴푸모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수호스(4)를 원기둥 구조물(2) 측으로 압축하고 호스커버(40)를 배수구에 결합하여 배수호수(4)를 내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수 샴푸모자를 사용할 경우, 배수구(20)에서 호스커버(40)를 분리하여 배수호수(4)를 전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수구(20)는 샴푸 및 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수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조절부(200)는 배수회전날개(2000), 원판(2001), 배수원기둥(2002) 및 이동가이드홀(200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회전날개(2000)는 배수구(20)의 출구 측에 다수개로 형성되되, 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며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회전날개(2000)는 배수에 방해되지 않도록 배수구(20) 직경의 20~30% 길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배수구(20)를 관통하는 샴푸 및 물은 배수회전날개(2000)에 의해 나선형으로 휘돌면서 배수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원판(2001)은 배수구(20)의 내부에 형성되고, 고정홀(2001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2001a)은 원판(2001)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샴푸 및 물을 배출할 수 있는데, 두 개 이상이 형성될 경우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수원기둥(2002)은 원통 형상으로 원기둥 구조물(2) 측으로 원판(2001)과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수원기둥(2002)은 손잡이(2002a) 및 배수홀(2002b)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002a)는 배수원기둥(2002)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전측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수원기둥(2002)의 배수홀(2002b)은 원판(2001)과 밀착되는 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두 개 이상이 형성될 경우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2001a)과 배수홀(2002b)은 샴푸 및 물을 배출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어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홀은 두 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동가이드홀(2003)은 배수구(20)의 원주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배수원기둥(2002)의 손잡이(2002a)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배수원기둥(2002)의 배수홀(2002b)은 손잡이(2002a)가 이동가이드홀(2003)에 따라 회전한 만큼 회전하여 배수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즉,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홀(2002b)이 고정홀(2001a)과 완전히 어긋난 상태에는 샴푸 및 물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배수원기둥(2002)의 손잡이(2002a)가 배수구(20)의 이동가이드홀(2003)의 중간까지 이동할 경우 배수홀(2002b)의 일부가 개방되어 샴푸 및 물의 일부가 흘러 나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배수원기둥(2002)의 손잡이(2002a)가 배수구의 이동가이드홀(2003)의 일단까지 이동할 경우 배수홀(2002b)이 고정홀(2001a)과 만나게 되고, 배수홀(2002b)이 완전히 개방되어 샴푸 및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머리를 감을 때 물을 절약하고 세척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배수구(20)의 손잡이(2002a)를 회전시켜 배수를 막고, 원기둥 구조물(2)에 물을 담아 머리에 물을 적시거나 비눗물을 헹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샴푸모자는 샤워헤드(S)가 아닌 일반 물 호스 또는 샤워 호스를 사용하여 물을 공급받아 샴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샴푸모자는 물공급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공급부(22)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샴푸모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샴푸모자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물공급부(22)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물공급부(22)는 방수 샴푸모자의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물공급튜브(220) 및 물공급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튜브(220)는 원기둥 구조물(2)의 내주면에 따라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관(221)은 물공급튜브(220)와 연결되고 원기둥 구조물(2)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 인출된 물공급관(221)은 물 호스 또는 샤워 호스와 연결되어 방수 샴푸모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 위치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9의 물분사부의 회전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의 (a) 및 (b)는 도 9의 물분사부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12의 (a) 및 (b)는 도 9의 물분사부의 작동에 따른 물분사방향이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샴푸모자는 물분사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머리를 마사지하며 샴푸할 수 있도록 물분사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분사부(23)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샴푸모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샴푸모자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물분사부(23)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물분사부(23)는 물분사튜브(230), 연결구(231), 고정체(232) 및 회전체(2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분사튜브(230)는 원기둥 구조물(2)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물분사튜브(230)는 물이 머리 전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원주면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231)는 하단이 물분사튜브(230)와 결합되고, 상단은 중심의 고정체(232)와 결합되어 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연결구(231)는 머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연결구(231)는 하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재질별로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체(232)와 회전체(233)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마사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하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연결구(231)는 고정체(232) 및 샤워헤드(S)를 지지하면서 물을 물분사튜브(2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 연결구(231)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데,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노즐이 물분사 뿐만 아니라 마사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머리 전체로 물을 공급받으면서 마사지를 할 수 있다. 즉, 두피 건강과 높은 세척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구(231)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분사튜브(230)의 회전에 따라 연결구(231)도 함께 움직이며, 실리콘 소재로 제작된 연결구(231)의 노즐을 사용해 머리 전체를 마사지하면서 머리를 감을 수 있다.
고정체(232)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분사홀(2320)과 하면에 하나 이상의 제2분사홀(232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분사홀(2320)은 연결구(231)와 측면에 연통될 수 있다.
회전체(233)는 고정체(2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고정체(232)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233)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2330)과 하면에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233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232)의 제1분사홀(2320)과 회전체(233)의 제1유입홀(2330)은 서로 대응되어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고정체(232)의 제2분사홀(2321)과 회전체(233)의 제2유입홀(2331)은 서로 대응되어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분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체(232)의 제1분사홀(2320)과 회전체(233)의 제1유입홀(2330)이 연통하면서 고정체(232)의 제2분사홀(2321)과 회전체(233)의 제2유입홀(2331)은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233)는 너비가 고정체(232)의 너비보다 작고 높이가 고정체(232)의 높이보다 높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고정체(232)는 내측에 내주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홈(미도시)을 형성하고, 회전체(233)는 외측에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물분사방향을 쉽게 조정하고 체결 후 회전체(233)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체(233)의 제2유입홀(2331)은 고정체(232)의 제2분사홀(2321)과 연통한 상태일 때에는 도 11의 (a) 및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직분사 될 수 있고, 회전체(233)를 회전시키면서 회전체(233)의 제1유입홀(2330)과 고정체(232)의 제1분사홀(2320)이 연통하게 되면 도 11의 (b) 및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연결구(231)와 물분사튜브(230)로 흘러들어가게 됨으로서 물이 측분사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샴푸모자를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S : 샤워헤드
1 : 원단부
10 : 중심홀
11 : 밀착부재
2 : 원기둥 구조물
20 : 배수구
200 : 배수조절부
2000 : 배수회전날개
2001 : 원판
2001a : 고정홀
2002 : 배수원기둥
2002a : 손잡이
2002b : 배수홀
2003 : 이동가이드홀
21 : 머리밀착부
210 : 하드플라스틱면
211 : 밀착홀
212 : 실리콘 튜브
213 : 주입라인
214 : 주입장치
22 : 물공급부
220 : 물공급튜브
221 : 물공급관
23 : 물분사부
230 : 물분사튜브
231 : 연결구
232 : 고정체
2320 : 제1분사홀
2321 : 제2분사홀
233 : 회전체
2330 : 제1유입홀
2331 : 제2유입홀
3 : 비닐캡
30 : 삽입홀
4 : 배수호스
40 : 호스커버

Claims (7)

  1. 수술 후 환자나 노인들이 물이 전혀 새지 않고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착용하는 방수 샴푸모자에 있어서,
    실리콘원단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중심홀이 형성되어 머리에 밀착되는 원단부;
    상기 원단부의 외측 둘레로 하드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원기둥 구조물;
    상기 원기둥 구조물의 외측 둘레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의 중심에 고무밴드가 구비된 삽입홀이 형성되어 샤워헤드가 삽입되는 비닐캡 및
    주름이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 구조물에 결합하여 물을 배수하는 배수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원기둥 구조물은,
    일측에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될 수 있는 배수구를 포함하고,
    배수호스는 배수구에 연결되고 길이를 조절하도록 주름이 형성되되, 하단에 호스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호스커버는 배수구와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방수 샴푸모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엔 배수호스를 원기둥 구조물 측으로 압축하고 호스커버를 배수구에 결합하여 배수호수를 내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방수 샴푸모자를 사용할 경우엔 배수구에서 호스커버를 분리하여 배수호수를 전개할 수 있는 방수 샴푸모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부는,
    머리와 밀착되도록 중심홀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내측면이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곡선형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방수 샴푸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 구조물은,
    내부에 형성된 머리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밀착부는,
    상기 원기둥 구조물의 내주면에 형성된 도넛형태의 하드플라스틱면 및
    상기 하드플라스틱면의 밀착홀에 형성되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머리에 밀착되는 실리콘 튜브를 포함하는 방수 샴푸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배수량을 조절하는 배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조절부는,
    상기 배수구의 출구에 형성되어 배수속도를 빠르게 하는 배수회전날개;
    상기 배수구의 내부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포함하는 원판;
    상기 배수구의 내부에서 상기 원기둥 구조물 측으로 상기 원판과 밀착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 및 하나 이상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배수원기둥 및
    상기 배수구의 원주면을 따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가이드홀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수원기둥의 배수홀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배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샴푸모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샴푸모자는,
    샴푸시 물 공급을 위한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원기둥 구조물의 내주면에 따라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물공급튜브 및
    상기 물공급튜브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관을 포함하는 방수 샴푸모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샴푸모자는,
    머리 전체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물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원기둥 구조물의 내주면에 따라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물분사튜브;
    상기 물분사튜브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
    상기 연결구가 측면에 연통되고,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분사홀과 하면에 하나 이상의 제2분사홀을 포함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과 하면에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을 형성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샤워헤드가 삽입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물분사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샴푸모자.
KR1020200123850A 2020-09-24 2020-09-24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 KR10241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50A KR102416053B1 (ko) 2020-09-24 2020-09-24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50A KR102416053B1 (ko) 2020-09-24 2020-09-24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57A KR20220040757A (ko) 2022-03-31
KR102416053B1 true KR102416053B1 (ko) 2022-07-05

Family

ID=8093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850A KR102416053B1 (ko) 2020-09-24 2020-09-24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0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12B1 (ko) * 2005-09-06 2007-12-21 김종구 수도밸브카트리지
KR101773715B1 (ko) * 2016-06-23 2017-08-3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두피 마사지용 헤어 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0603U (ko) * 1985-05-02 1986-11-11
KR20150116152A (ko) * 2014-04-07 2015-10-15 이용식 두피세정샤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12B1 (ko) * 2005-09-06 2007-12-21 김종구 수도밸브카트리지
KR101773715B1 (ko) * 2016-06-23 2017-08-3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두피 마사지용 헤어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57A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2867B2 (en) Automatic washing and shampooing hair machine
JP3753157B2 (ja) シャワー浴装置
JP4599090B2 (ja) ヘアケア用具
KR20020007992A (ko) 샤워 장치
US7065808B2 (en) Foot bath
US4223668A (en) Face massager
WO2012092860A1 (zh) 一种面具式洗脸器
JP2015116465A (ja) シャワー装置
KR102416053B1 (ko) 환자를 위한 방수 샴푸모자
EP0933076B1 (en) Head rest assembly for spas and whirlpools
JP2007222415A (ja) 洗髪機能を備えた浴槽装置
US5588160A (en) Total body brush shower
EP3015038A1 (en) Attachment cap unit for shower
CN211186984U (zh) 一种坐式淋浴设备的头洗装置
KR101492376B1 (ko) 이동식 절수형 샤워장치
KR102411553B1 (ko) 직립형 샴푸 캡
US20150189966A1 (en) Automatic hair and body cleaning apparatus
KR101773715B1 (ko) 두피 마사지용 헤어 캡
KR101940639B1 (ko) 목욕용 슈트
KR20200015249A (ko) 자동 세발장치
KR20210083109A (ko) 화장 지움 장치
KR100407667B1 (ko) 자동 머리 감는 장치
JP2917850B2 (ja) シャワー装置
CN211355129U (zh) 具有可调节淋浴头的脚盆
KR101630365B1 (ko)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