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589A - 직기의 저소음 헤들 프레임용 다중 구성요소 가로편 - Google Patents

직기의 저소음 헤들 프레임용 다중 구성요소 가로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589A
KR20020006589A KR1020010039924A KR20010039924A KR20020006589A KR 20020006589 A KR20020006589 A KR 20020006589A KR 1020010039924 A KR1020010039924 A KR 1020010039924A KR 20010039924 A KR20010039924 A KR 20010039924A KR 20020006589 A KR20020006589 A KR 2002000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piece
frame
section
inn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그리에지오
사르질라에우게니오
Original Assignee
추후보충
누오바 오.엠.브이.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충, 누오바 오.엠.브이.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추후보충
Publication of KR2002000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08Construction of frame parts
    • D03C9/0616Horizontal upper or lower rods
    • D03C9/0633Heald bars or their connection to other frame par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91Arrangements of means for damping or nois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Woven Fabr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직기의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은 상자형 구조를 구비한 알루미늄 외측 부분(1)과, 헤들 지지 레일(8)이 고정되는 얇고 단단한 강 내측 부분(2)을 포함한다. 외측 부분(1)은 그로부터 분리되는 별개의 내측 부분(2)의 연결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두 부분들(1, 2)은 각각 탄성 및 강성인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두 개의 프로파일된 스트립(3, 4)에 의해 위치되어 함께 고정되며 내측 부분(2)의 상기 연결 단부의 어느 한 측면에 배열된다. 강성 프로파일된 스트립(4)은 외측 부분(1)의 공동(5) 내에 제공되는 보스(7)와 스냅-결합하는 데 적합하여, 상기 부분들(1, 2) 사이에 안정하고 단단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직기의 저소음 헤들 프레임용 다중 구성요소 가로편 {MULTICOMPONENT CROSS-PIECE FOR LOW-NOISE HEDDLE FRAMES IN WEAVING LOOMS}
본 발명은 직기용 헤들 프레임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중 구성요소 가로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저소음 및 낮은 비용의 고속 직기용 헤들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바와 같이, 헤들 프레임은 직조 평면에 수직으로 수직면 또는 수평면에서 직조 기계에 의해 작동되는 교번(alternating) 운동에 의해서, 소정의 직조 패턴에 따른 날실 방사의 그룹의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직기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헤들 프레임의 운동은 모든 프레임에서 일정한 개구(shed)의 모가 있는 오프닝(opening)을 달성하도록, 씨실의 삽입과 동시에 발생하며 리드(reed)의 바디침(beating-up) 지점 및 당해 헤들 프레임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는 진폭을 가진다.
헤들 프레임은 프레임의 교번 운동에 대한 안내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측편과, 강 또는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얇은 로드(예를 들어 헤들)가 장착되는 두 개의 가로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헤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날실을 지지한다. 프레임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측편 및 가로편은 작동 중에 프레임의 임의의 가능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매우 단단하게 프레임의 네 개의 모퉁이에 직각으로 함께 고정되며, 동시에 각 작동을 위한 필요한 수의 헤들의 삽입과 인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용이하게 조립해제될 수 있다.
현대의 직기의 개선된 성능, 특히 작동 속도의 증가로 인해, 헤들 프레임이 작동 중에 특징적인 교번 및 맥동 운동으로 인한 피로를 견딜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교번 운동을 달성하는 질량의 하중 및 또한 헤들 프레임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종래의 철에 기초한 금속 재료에 부가하거나 또는 이를 대신하여 알루미늄, 경합금, 팽창된 플라스틱, 복합 재료 등과 같은 경재료의 사용으로 가벼움의 특성과 기계적 응력에 대한 저항 사이의 절충안을 달성하기 위한 시도로 다양한 해결책이 제안되었으며, 본 발명과 관련있는 가로편의 구조에 특정 참조하여 이하에서 주로 도시될 것이다.
공지된 모든 유형의 가로편은 유사한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에 필요한 강도 및 적절한 굽힘 강성과 비틀림 강성을 제공하려고 하며 또한 측편의 고정을 위한 영역을 형성하려고 의도된 비교적 두껍고 상자형인 외측 부분을 포함하며, 외측 부분의 측면들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며 그것의 자유단에 종종 금속 섹션 형태인 헤들 지지 레일이 제공되는 보통 러그 형태인 헤들 지지 요소를 형성하려고 의도된 얇고 단단한 내측 부분을 포함한다.
작은 하중을 가지는 종래의 가로편의 제1 유형은 알루미늄 또는 다른 경합금의 단일 압출 성형된 편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부분인 가로편이다. 상기 유형의 가로편은 저속 또는 중속 직기에 제공될 헤들프레임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는 반면, 예를 들어 에어 직기와 같은 고속 직기에서는 작업 수명이 너무 짧다. 상기 유형의 직기에서 가로편이 받게되는 높은 피로 응력은, 특히 가로편의 외측 상자형 부분과 얇고 단단한 내측 부분 사이의 결합 영역 에서 사실상 가로편의 변형 또는 파괴를 가져온다.
따라서, 당해 기술에서 특정 공정으로 조립되는 다른 재료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다른 많은 유형의 가로편이 제안되었으며, 그 목적은 동등한 하중 또는 보다 낮은 하중으로 가로편의 보다 큰 구조상의 저항을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한 것이 있다. 이러한 새로운 구조상의 설계가 제공되는 가로편은: 팽창된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거나 허니콤 구조가 제공되는 코어에 접착됨에 의해 조립되는 탄소 섬유 시트에 의해 가로편이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카테고리와(예를 들어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770,772호를 참조); 팽창된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거나 허니콤 구조가 제공되는 코어 주위에 형성되고 조립되는 얇고 레이저 용접되는 금속 박판으로 제조되는 셀 구조에 의해 가로편이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카테고리와(이탈리아 특허 공개 공보 제MI98A002853호를 참조);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로편이 층상 탄소 섬유 매트릭스 상의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합성 재료의 압출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 폴트루드 (poltrudes)"로 공지된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3카테고리를 특히 포함하는 다른 동일 카테고리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간단히 전술된 다른 카테고리로부터 가로편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가장 최근 세대의 모든 프레임들은 교번 응력에 대한 프레임의 저항의 현저한 증가를 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프레임들이 파손 또는 다른 유형의 결점을 초래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직기의 최고 속도에 있어서 가능한 평행한 증가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엄밀하게 사용되는 특정 재료 및 복잡한 생산 공정으로 인해, 이러한 프레임들은 매우 고가의 제조 비용이 들어서 시장에서의 보급에 큰 영향을 미치며, 또한 결점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 사실, 그것들을 특징짓는 구조상의 강성은 진동의 내재적인 구조 감쇠를 낮은 정도로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러한 유형의 헤들 프레임이 종래의 알루미늄 압출 성형된 프레임의 소음보다 확실히 더 높은 소음 레벨을 가지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헤들 프레임의 소음은 제품의 작동 또는 보수 작업을 위해 전체 헤들 조립체 또는 그것의 부분을 자주 이동시켜야 하는 직기 작동자를 보조하기 위해 헤들이 꽤 큰 양의 움직임으로 가로편의 레일 내로 삽입되는 사실에 본질적으로 기인한 것이며, 이것은 체결되는 두 개의 대향 레일들 중의 어느 하나에 대해 헤들의 연속적인 시리즈의 노킹을 발생시키며, 프레임의 교번 운동 중에 발생하는 상기 노킹은 상기 프레임의 소음을 정확히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도시된 프레임의 가장 최근 세대의 특징인 고비용과 소음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서, 고속 직기에서 상기 프레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헤들 프레임의 구성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가로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목적은 상자형 구조를 구비하는 두꺼운 외측 부분 및 헤들 지지 레일이 고정되는 얇고 단단한 내측 부분을 포함하는 유형의 직기의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에 의해서 달성되며, 상기 외측 부분 및 상기 내측 부분은 연성이거나 높은 기계적 이력(hysteresis) 현상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며 섹션 사이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위치되어 함께 고정되는, 분리된 별개의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특성에 따르면, 상기 분리된 별개의 섹션은 금속 재료 또는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드러진 변형 없이 헤들을 거쳐 날실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에 적절한 강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전술된 다양한 유형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특성에 따르면, 상기 외측 부분은 상기 내측 부분의 연결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특성에 따르면, 연성이거나 높은 기계적 이력 현상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는 상기 요소는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료의 프로파일된 두 개의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가로편의 외측 부분에 대해 상기 내측 부분의 연결 단부의 어느 한 측면에 배열되어 상기 부분들 사이에 임의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특성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료의 상기 프로파일된 스트립들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내측 부분의 연결 단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프로파일된 스트립과, 강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내측 부분과 상기 외측 부분 사이에가압-끼움되어 탄성 재료로 제조되고 외측 부분의 리브와 스냅-결합하는 상기 프로파일된 스트립을 압축하는 프로파일된 스트립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특성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도시되는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편부의 확대 상세도인 단면 사시도.
도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편부의 확대 상세도인 단면 사시도.
도2는 헤들 체결 레일이 없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편의 보다 큰 스케일의 단면도.
도3은 제1 조립 단계 동안에 두 개의 가로편부들 사이의 가압-끼움 연결에 관한 상세도의 더욱 확대된 단면도.
도4는 제2 조립 단계의 도3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5는 가로편의 조립이 완성된, 도5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섹션
3, 4 : 프로파일된 스트립
5 : 공동
6 : 치형부
7 : 보스
8 : 판
9 : 리벳
10 : 레이저 용접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보여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편(T)은, 양호하게는 복합 재료로 이루어진 폐쇄된 사각 단면 또는 섹션을 가진 알루미늄 또는 경합금 압출 성형부이며 가로편의 외측부를 형성하는 상자형 구조의 섹션(1)과, 양호하게는 강으로 제조되며 도면에 도시되는 격자형태(fretted form)를 가지며 가로편의 내부를 형성하는 얇고 단단한 섹션(2)으로 구성된다. 또한 명백하게 섹션(2)은 복합 재료 및 특히 탄소 섬유에 기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량 외에 섹션(1, 2)에 대한 유일한 필수조건은 두드러진 변형 없이 헤들을 거쳐 날실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에 적당한 강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하에서, 가로편의 "외측"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을 언급하는 경우, 이것은 예를 들어 두 개의 가로편 및 두 개의 측편으로 완성되는 헤들 프레임에 대해 점유되는 위치를 언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섹션(1, 2)은 연성이며 높은 기계적 이력현상이 있는 재료로 제조되는 두 개의 프로파일된 스트립의 삽입과 함께 가압 결합에 의해 함께 조립되며, 헤들에 의해 섹션(2)에 가해지는 진동에 대해 감쇠 효과를 보여준다. 상기 프로파일된 스트립은 자체가 공지된 압출 또는 주입 공정을 이용하여 단일 또는 이중 구성요소 유형의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프로파일된 스트립(3)은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프로파일된 스트립(4)은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프로파일된 스트립(3, 4)에 적절한 특정 재료는 예를 들어 각각 고무 및 폴리에틸렌이다.
섹션(1, 2)들 사이의 매우 안정한 연결 및 동시에 그것의 매우 빠른 조립을 달성하기 위해, 섹션(1)은 섹션(2)과 연결되는 측면 상에 섹션(2)의 연결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5)을 구비한다. 공동(5)은 또한 상기 섹션(1)의 상자형 구역을 한정하는 단부 벽에 부가하여 섹션(1)의 두 개의 대향하는 면의 연장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안정한 가압-끼움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는 공동(5)의 내부를 향해 지향되는 측면에 각각 결합 치형부(tooth)(6) 및 물림 보스(gripping boss)(7)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섹션(2)은 양호하게는 편평한 금속 박판으로부터 프로파일링함으로써 형성되며, 섹션(1)에 연결하기 위한 외측 단부는, 그 형상이 공동(5)의 치형부(6)와 정확하게 정합하는 것과 같은 형상이며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상기 전술된 프로파일된 스트립(3)의 삽입을 가능하도록 충분히 큰 갭을 명백히 남겨놓는 종방향 오목부(2a)를 포함한다. 치형부(6)와 결합하는 것에 대향하는 단부에서, 프로파일된 스트립(3)은 도면에 도시되는 특정 포켓형 구조로 그 자체에 접어지며, 그리고나서 치형부(6)를 향해 지향되는 섹션(2)의 측면 및 대향 측면의 제1 부분 모두를 덮도록 섹션(2)의 연결 단부 상에 장착된다.
섹션(2)과 섹션(1) 사이의 연결은 테이퍼링된 구역 내에 보스(7)를 향해 지향되는 홈(4s)으로 종결하는 일반적으로 웨지형 단면을 갖고 있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프로파일된 스트립(4)에 의해 마지막으로 완성된다. 프로파일된 스트립(4)은 섹션(2)의 연결 단부 및 공동(5)의 대향 벽에 대해 그것 주위에 배열되는 프로파일된 스트립(3)을 제위치에 고정하여 압축하면서 보스(7) 상에 스냅-결합될 때까지, 프로파일된 스트립(3)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에서 섹션(1)과 섹션(2) 사이에 사실상 삽입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섹션(2)의 오목부(2a)와 섹션(1)의 치형부(6) 사이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연결은 프로파일된 스트립(3)의 적당한 압착과 함께 보장되어 상기 연결의 완벽한 안정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편의 조립은 용이하고 신속하며, 임의의 특별한 공구를 요구하지 않는다. 다양한 조립 단계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다. 제1 단계(도3) 중에, 프로파일된 스트립(3)은 사실 섹션(2)의 연결 단부 상에 장착되며, 그후 후자는 공동(5) 내로 삽입되며, 그 작동은 후자의 취급 동안에 섹션(2)에 대해 프로파일된 스트립(3)의 임의의 가능한 추출 또는 오배열을 방지하는 프로파일된 스트립(3)의 포켓형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되어서 오목부(2a)를 치형부(6)와 결합하게 한다. 그후, 프로파일된 스트립(4)은 공동(5)의 남아있는 자유 영역에 완전히 삽입되고(도4) 상기 공동의 내부에 압착되어, 따라서 프로파일된 스트립(3)의 적당한 압착을 발생시켜 최종적으로 섹션(1)의 보스(7) 상의 홈(4s)에 스냅 결합시키며(도5), 따라서 섹션(1) 및 섹션(2)의 안정한 고정과 그것의 완전한 배열을 생성한다. 프로파일된 스트립(3, 4)의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치형부(6) 및 보스(7) 모두의 영역에 섹션(2)을 움직임 없이 체결하는 것이 사실상가능하여, 따라서 섹션(1)과의 바람직한 배열을 보장한다.
최종적으로, 섹션(1,2)의 조립 작동 전에, 얇은 판(8)은 섹션(1)에 연결하기 위한 것에 대향하는 섹션(2)의 단부 상에 그리고 섹션 상에 위치되는 리브의 영역에서 고정되며, 따라서 판은 헤들 지지 레일을 형성한다. 판(8)은 헤들에 의해 가해지는 노크을 충분히 견디기 위해 예를 들어 강과 같은 금속 재료 또는 탄소 섬유에 기초한 재료와 같은 복합재료인 높은 표면 경도를 가진 재료로 제조되어야 한다. 판(8)의 고정은 리벳(9)에 의해 또는 레이저 용접(10)에 의해 또는 이러한 유형의 고정부로 이미 공지된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 전술된 가로편에 대해, 본 발명의 미리 정해진 모든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 기술의 가로편에 비해 두드러진 장점을 가진다. 특히 섹션들(1, 2) 및 프로파일된 스트립들(3, 4) 모두에 관해서, 가로편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널리 이용되고 상업적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저렴한 비용의 재료로 제조됨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제조 공정 및 가로편의 조립 공정 모두는 매우 간단하여서, 가로편의 모든 비용은 매우 낮은 가격 내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이 달성된다.
따라서, 가로편은 또한 전체적으로 알루미늄 압출부로 구성되는 종래의 초경량 프레임의 가로편에 비해 실질적으로 동등한 질량을 가지며, 복합 재료로 제조되는 최근에 설계된 가로편의 질량보다 단지 약간 크다.
비용 및 감소된 질량의 측면에서 상기 우수한 결과는 가로편의 기계적인 특성 및 내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얻게 된다. 사실, 본 발명에 따른가로편은 비틀림력에 대해 우수한 저항력을 가지는 섹션(1)과, 헤들의 견인력 및 두 개의 단부 측벽의 반작용에 의해 가로편의 평면에 유도되는 굽힘력에 대해 우수한 저항력을 가지는 섹션(2) 사이의 상호 협력으로 인해 상당한 구조상의 강성을 가진다. 프로파일된 스트립(3, 4)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존재는 상기 프로파일된 스트립을 특징짓는 작은 두께로 인해 가로편의 전체 강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위험한 국부화된 응력의 가능한 형성을 방지하는 작은 국부적인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가로편의 긴 작업 수명을 보장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로편은 또한 매우 낮은 소음 레벨로 특징지어져서,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다. 헤들에 의해 판(8)에 가해지고 따라서 강 섹션(2)에 가해지는 진동 및 노크은, 상기 섹션들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프로파일된 스트립(3)에 의해 현저히 감쇠되므로 사실상 알루미늄 섹션(1)에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섹션(1)의 상자형 중공 영역 내부의 이러한 노크 및 진동의 임의의 공명 현상은 완전히 제거되며, 상기 공명은 공지된 유형의 가로편의 소음의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양호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되었지만, 보호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님이 분명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기술 내에 존속하는 경우,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의 능력 내에서 모든 가능한 변경으로 확장된다.
본 발명은 고비용과 소음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고서, 고속 직기에서 프레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헤들 프레임의 구성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가로편을 제공한다.

Claims (13)

  1. 상자형 구조를 구비한 두꺼운 외측 부분과, 헤들 지지 레일(8)이 고정되는 얇고 단단한 내측 부분을 포함하는 유형의 직기의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분(1) 및 상기 내측 부분(2)은, 연성이고 높은 기계적 이력 현상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며 섹션 사이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3, 4)에 의해 위치되어 함께 고정되는, 분리된 별개의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별개의 섹션(1, 2)은 금속 재료 또는 복합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들(1, 2)은 두드러진 변형 없이 헤들을 거쳐 날실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위한 적절한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편의 상기 외측 부분(1)은 가로편의 상기 내측 부분(2)의 연결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동(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5. 제4항에 있어서, 연성이거나 높은 기계적 이력 현상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는 상기 요소는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료의 프로파일된 두 개의 스트립(3, 4)으로 구성되며, 가로편의 외측 부분(1)에 대해 상기 내측 부분(2)의 연결 단부의 어느 한 측면에 배열되어 가로편의 상기 부분들(1, 2) 사이에 임의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된 스트립(3, 4)은 가로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상기 프로파일된 스트립들은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내측 부분(2)의 연결 단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프로파일된 스트립(3)과,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내측 부분(2)과 상기 외측 부분(1) 사이에 가압-끼움되어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상기 프로파일된 스트립(3)을 압축하는 프로파일된 스트립(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8. 제7항에 있어서, 외측 부분(1)의 상기 수용 공동(5)의 대향하는 내측 부분 상에 각각 형성되며 적어도 그 부분 상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치형부(6) 및 물림 보스(7)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내측 부분(2)의 연결 단부(2a)는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프로파일된 스트립(3) 및 상기 물림 보스(7)와 스냅-결합하기쉬운 홈을 포함하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프로파일된 스트립(4)의 개재된 배열과 함께 상기 치형부(6)와 움직임이 자유로운 결합을 하기 쉬운 종방향 오목부(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9.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부분(1)은 알루미늄 또는 경합금으로 제조되는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10.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분(2)은 강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11.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분(2)은 탄소 섬유에 기초한 재료로 제조되는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12.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상기 프로파일된 스트립(3)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13.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상기 프로파일된 스트립(4)은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들 프레임용 가로편.
KR1020010039924A 2000-07-06 2001-07-05 직기의 저소음 헤들 프레임용 다중 구성요소 가로편 KR200200065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00MI001527A IT1318130B1 (it) 2000-07-06 2000-07-06 Traversa a piu' componenti per quadri portalicci a rumorosita' ridotta di telai di tessitura.
ITMI2000A001527 2000-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589A true KR20020006589A (ko) 2002-01-23

Family

ID=1144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924A KR20020006589A (ko) 2000-07-06 2001-07-05 직기의 저소음 헤들 프레임용 다중 구성요소 가로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46676B1 (ko)
EP (1) EP1170409B1 (ko)
JP (1) JP2002061044A (ko)
KR (1) KR20020006589A (ko)
AT (1) ATE284460T1 (ko)
DE (1) DE60107622T2 (ko)
HK (1) HK1043394A1 (ko)
IT (1) IT1318130B1 (ko)
TW (1) TW4877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935B1 (ko) * 2003-09-10 2006-09-04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저진동 쉐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0722A1 (en) * 2001-04-02 2002-10-03 Pelco Video system character list generator and method
DE10116813B4 (de) * 2001-04-04 2010-04-01 Grob Textile Ag Webschafteckverbindung
DE10206130B4 (de) * 2002-02-14 2016-09-01 Groz-Beckert Kg Webschaft mit mindestens einer Weblitze
DE10325908B4 (de) * 2003-06-05 2005-07-21 Groz-Beckert Kg Schaftstab, Webschaf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aftstabs
JP4961101B2 (ja) 2003-07-18 2012-06-27 シュトイブリー・ファベルゲ ヘルド枠と少なくとも1個のこのヘルド枠を備えた織機
FR2857674B1 (fr) * 2003-07-18 2006-03-17 Staubli Sa Ets Cadre de lisse et metier a tisser pourvu d'au moins un tel cadre
DE10349382B3 (de) * 2003-10-21 2005-06-09 Groz-Beckert Kg Webschaft in Verbundbauweise
DE102004035996A1 (de) * 2004-07-16 2006-02-02 Picanol N.V. Webschaft mit Litzentragstange
DE102004037717B3 (de) 2004-08-04 2005-12-15 Groz-Beckert Kg Schaftstab für einen Webschaft
DE102004047929B3 (de) * 2004-10-01 2005-12-01 Groz-Beckert Kg Verbesserter Webschaft
DE602005018660D1 (de) 2005-11-23 2010-02-11 First Spa Schaftstab für einen Webschaftrahmen einer Webmaschine, mit verbesserter Befestigung der Litzentragschiene
DE102006057833B3 (de) * 2006-12-08 2008-09-04 Groz-Beckert Kg Schaftstab für einen Webschaft
DE502007002277D1 (de) 2007-09-11 2010-01-21 Groz Beckert Kg Geklebte Litzentragschiene
FR3027314B1 (fr) * 2014-10-16 2019-04-26 Staubli Lyon Lisse pour metier a tisser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lisse
EP3792382B1 (de) 2019-09-10 2024-02-07 Groz-Beckert KG Webblatt mit einer vielzahl von lamell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4726A (en) * 1954-11-19 1959-02-24 Steel Heddle Mfg Co Heddle frames
CH441154A (de) * 1966-05-11 1967-07-31 Grob & Co Ag Verfahren zum Überführen von Weblitzen von einer Hilfsschiene auf die Litzentragschiene eines Webschaft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4508145A (en) * 1982-07-06 1985-04-02 Steel Heddle Mfg. Co. Heddle frame and composite frame slat construction
DE3702524A1 (de) * 1987-01-28 1988-08-11 Grob & Co Ag Tragstab fuer einen webschaft
DE4038384A1 (de) * 1990-12-01 1992-06-04 Grob & Co Ag Webschaft mit loesbaren eckverbindungen
DE4101512C1 (ko) * 1991-01-19 1992-02-06 Grob & Co Ag, Horgen, Zuerich, Ch
IT237225Y1 (it) * 1995-10-16 2000-09-05 Nuova O M V S R L S R L Traversa a struttura composita per quadri porta-licci di telai ditessitura
US5819810A (en) * 1997-04-17 1998-10-13 Steel Heddle Manufacturing Company Heddle frame assembly with corner sleeve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935B1 (ko) * 2003-09-10 2006-09-04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저진동 쉐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7752B (en) 2002-05-21
HK1043394A1 (zh) 2002-09-13
US20020124902A1 (en) 2002-09-12
US6446676B1 (en) 2002-09-10
JP2002061044A (ja) 2002-02-28
ITMI20001527A1 (it) 2002-01-06
EP1170409A1 (en) 2002-01-09
ATE284460T1 (de) 2004-12-15
ITMI20001527A0 (it) 2000-07-06
EP1170409B1 (en) 2004-12-08
IT1318130B1 (it) 2003-07-23
DE60107622T2 (de) 2005-12-22
DE60107622D1 (de)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6589A (ko) 직기의 저소음 헤들 프레임용 다중 구성요소 가로편
JP2593707B2 (ja) ヘルド用支持ロッド
ITMI970728A1 (it) Collegamento di spigolo per una lama
CA1235154A (en) Plastic leaf spring with at least one spring-eye body or spring-eye section
JP4252520B2 (ja) 複合構成形式の綜絖
JP5769958B2 (ja) サイドステー取付部構造
US4492256A (en) Extruded heddle rod and cap
US20050011577A1 (en) Heddle frame and weaving loom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ch frame
GB2053290A (en) Heald frame
JP6555331B2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US4476900A (en) Composite heddle rod
RU2467104C2 (ru) Бердо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ткацкий станок,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берд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берда
US4390045A (en) Heddle frame stave
US7568506B2 (en) Heald frame
US4687030A (en) Heddle frame for a high speed weaving machine
US7610940B2 (en) Crossbar for heald-carrying frames of weaving looms with improved attachment of the heald-carrying plate
JP2002517633A (ja) 織りおさとおさ羽
US5249799A (en) Racket including a metal reinforced throat section
JP3227603U (ja) 剛性を向上させた製織機用の綜絖枠のクロスバー
US7665487B2 (en) Device for driving a rapier motion in a weaving machine
WO2011023383A1 (en) Heald frame for a weaving machine
JP3710228B2 (ja) ヘルドフレーム
JP2022547974A (ja) 複数のスラットを備えた筬
KR940003424Y1 (ko) 샷틀직기용 금속제 슬레이바
ITMI982853A1 (it) Traversa metallica a guscio per quadri portalicci di telai ditessitu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