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121A -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121A
KR20020006121A KR1020000039603A KR20000039603A KR20020006121A KR 20020006121 A KR20020006121 A KR 20020006121A KR 1020000039603 A KR1020000039603 A KR 1020000039603A KR 20000039603 A KR20000039603 A KR 20000039603A KR 20020006121 A KR20020006121 A KR 20020006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output
file
outputting
out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호
Original Assignee
우진호
주식회사 아이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호, 주식회사 아이젠텍 filed Critical 우진호
Priority to KR102000003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121A/ko
Publication of KR20020006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1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computing resources, e.g. memory,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3Printer information exchange with computer
    • G06F3/1295Buff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a) 사용자가 출력을 원하는 출력이미지에 대하여 원하는 크기로 선택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고, (b) 상기 할당된 메모리에 그 메모리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 이미지를 복사하며, (c) 복사된 이미지 파일을 프린터 버퍼에 전송하고, 출력이미지를 출력 완료했는지 판단하여 만약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b)를 진행하고, 만약 완료된 경우에는 할당 메모리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출력 대상 이미지가 분할 출력됨으로써 출력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OUTPUT METHOD BY OPTIMIZING A MEMORY}
본 발명은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력할 출력대상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사용자가 미리 할당해 놓은 메모리에 그 메모리의 크기만큼 복사(copy)해 놓고 그 복사된 파일을 프린터 버퍼에 전송시킴으로써 출력대상 이미지 파일이 다수개의 파일로 분할되면서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이미지 파일의 출력속도가 향상된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먼저 출력대상 이미지는 메모리내에서 소정크기의 영역을 차지하는데, 그 메모리내의 이미지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시스템 메모리내에는 확장자 PRN인 파일이 생성된다. 그 생성된 PRN파일은 크기가 3MB에서 크게는 96MB(21CM*29.7CM*600DPI)이므로 그만한 크기의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다. 어떤 대상 이미지 파일을 출력하는 동안에는 시스템 메모리에는 PRN파일이 상주하며, 이때 시스템의 메모리보다 출력 대상 이미지 파일의 크기가 크면 출력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는 종래의 프린터 출력방식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이미지 출력 명령이 주어지면 메모리내에 있던 PRN 파일은 프린터 버퍼, 즉 스풀(spool)에 전송되고, 이후 그 스풀내에 메모리내에 있던 크기의 이미지를 저장할 공간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만약 저장할 공간이 있으면 스풀(spool) 저장한 후 출력하며, 만약 저장할 공간이 없으면 계속 루프(loop)를 진행한다. 따라서, 프린터 버퍼의 용량을 초과하는 이미지의 출력속도는 현저히 떨어진다.
위와 같은 기존의 프린터 출력방식은 이미지 대상을 출력하기 위해 시스템 메모리내에 하나의 파일(확장자 PRN)이 생성되어 그 파일이 프린터 버퍼에 전송되어 출력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메모리내의 출력대상 파일을 사용자가 미리 할당해 놓은 소정크기의 메모리에 복사해 놓고 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프린터 버퍼에 전송하여 출력함으로써 출력속도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출력을 원하는 출력이미지에 대하여 원하는 크기로 선택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고,
(b) 상기 할당된 메모리에 그 메모리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 이미지를 복사하고,
(c) 복사된 이미지 파일을 프린터 버퍼에 전송하고,
(d) 출력이미지를 출력 완료했는지 판단하여 만약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b)를 진행하고, 만약 완료된 경우에는 할당 메모리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 할당된 메모리에 복사된 파일은 각각 파일명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 생성된 각각의 파일은 그 내부의 식별코드가 서로 다르게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출력대상 이미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기존의 프린터 출력방식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출력이미지가 분할된 상태를 가상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에서의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출력대상 이미지
2-1,2-2,...,2-N : 분할된 출력대상 이미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출력이미지가 분할된 상태를 가상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예를 들면 항목별로 500KB, 1MB, 2MB, 4MB,16MB,32MB, 사용자 정의로 구분되어 있는 풀-다운 메뉴(pull down menu)화면(도시안됨)을 통하여 이미지를 원하는 크기로 분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출력이미지는 그 크기만큼의 다수개의 파일로 분할된다.
참조부호 2-1 내지 2-N은 분할된 각각의 이미지를 가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분할된 파일의 모양이 밴드모양이므로 출력밴드라고 한다. 그런데 도 3 처럼 실제로 원래의 이미지 파일이 분할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가 미리 분할을 원하는 크기만큼 할당해 놓은 메모리로 원래 이미지 파일을 그 크기만큼만 불러다가 복사해 놓는다. 상기 분할된 각각의 파일은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만약 해당 번호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그 파일만을 불러서 출력하도록 파일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에서의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출력을 원하는 출력 이미지에 대하여 원하는 크기로 선택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해 놓는다(S2). 이후 할당된 메모리 크기만큼 상기 출력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에서 복사해 온다(S4). 이후 프린터 또는 플로터의 버퍼에 저장 공간이 있는가를 판단하여(S5), 저장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이후 복사된 이미지 파일을 프린터 버퍼에 전송한다(S6). 이로써 프린터 또는 플로터에서 출력이 계속 진행된다. 상기 단계 S6이후 출력이미지 복사를 완료했는지 판단하여(S8), 만약 완료가 안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 S4에서 처럼 할당된 메모리 크기만큼 출력 이미지를 복사하고, 만약 완료된 경우에는 할당 메모리의 내용을 삭제한다(S10).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출력 파일 이름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기존에는 TEST.BMP파일을 출력할 때 TEST.PRN파일을 생성하고 출력을 진행하며 출력이 완료되면 TEST.PRN 파일을 삭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밴드처리된 PRN파일을 가진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TEST.BMP파일을 출력할 때, 사용자가 처리하기를 원하는 밴드크기를 설정하면 그에 따라 밴드수가 분할되고(예를 들면 4개), 분할된 각각의 PRN파일에는 일련번호가 매겨지고 출력도 각각의 파일별로 따로따로 진행된다. 즉 분할된 TEST-1.PRN 파일이 출력이 완료되면 그 파일은 삭제되며, 분할된 TEST-2.PRN파일이 출력이 완료되면 그 파일은 삭제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할된 각각의 파일의 출력이 완료되고 파일이 삭제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PRN을 여러개의 PRN으로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보낸다. 이때 각각의 PRN을 파악하는 방법을 두가지가 존재하는데, 첫째, 파일명에 번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TEST.PRN 이라는 것이 만들어진다고 할 때 본 발명에서는 TEST-1.PRN, TEST-2. PRN, TEST-3.PRN,..., TEST-n.PRN(n은 나눈 밴드수)로 조각 파일의 이름을 정해서 식별할 수 있다. 둘째, 만약 파일명이 같을 수도 있기 때문에 파일 내부에 식별 코드를 넣는다. 예를 들면 파일의 헤더부분에 분할된 파일의 총수와 현재 분할된 파일의 일련번호를 넣을 수 있다. 이때 들어가는 일련번호는 위에서 처럼 각 밴드값을 넣어주면 된다(최대 2의 32승=약 4억의 숫자까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분할된 각 조각파일의 총 크기가 원본파일의 크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출력속도에 영향은 없으며 오히려 중간중간에 출력장치(예를 들면 프린터나 플로터)가 스풀(SPOOL:출력기가 출력할 내용을 미리 담아두는 일종의 메모리 버퍼공간)을 하는 횟수를 줄여주기 때문에 보다 더 빠르게 출력을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의하면, 미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해 놓고 그 메모리의 크기만큼 출력 대상 이미지 파일을 불러와서 복사해놓고 그 복사한 파일을 프린터 버퍼에 전송하여 출력하는 방식이므로 출력 대상 이미지는 계속적으로 사용자가 할당해 놓은 크기만큼 씩 불러다가 프린터 버퍼에 전송되므로 하나의 출력 대상 이미지가 분할 출력되어 결과적으로 출력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고, 출력이 완료된 파일은 메모리에서 삭제되므로 프린터 버퍼의 관리도 쉬워져 결국 출력 대상 이미지 파일의 전체적인 출력속도가 향상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메모리 사용량이 줄어들게 되어 시스템 전체적으로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a) 사용자가 출력을 원하는 출력이미지에 대하여 분할을 원하는 소정 크기에 해당하는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할당하고,
    (b) 상기 할당된 메모리에 그 메모리의 크기만큼 상기 출력 이미지를 복사하고,
    (c) 복사된 각각의 이미지 파일을 프린터 버퍼에 전송하고,
    (d) 프린터 버퍼에 전송된 출력이미지 파일의 복사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만약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b)(c)를 진행하고, 만약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할당메모리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전에 프린터 또는 플로터의 버퍼에 저장 공간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저장공간이 있는 경우 상기 단계 (c)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에서 할당 메모리에 복사된 파일은 각각 파일명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각각의 파일은 그 내부의 식별코드가 서로 다르게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KR1020000039603A 2000-07-11 2000-07-11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KR20020006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603A KR20020006121A (ko) 2000-07-11 2000-07-11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603A KR20020006121A (ko) 2000-07-11 2000-07-11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121A true KR20020006121A (ko) 2002-01-19

Family

ID=1967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603A KR20020006121A (ko) 2000-07-11 2000-07-11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12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1975A (en) * 1989-09-07 1991-06-04 Tokyo Electric Co., Ltd. Printer with improved image printing function
JPH08307695A (ja) * 1995-03-08 1996-11-22 Ricoh Co Ltd ページプリンタ及びそのデータ処理方法
US5608848A (en) * 1995-06-06 1997-03-04 Apple Computer, Inc. Processing blank data-lines of print data
KR970022835A (ko) * 1995-10-13 1997-05-30 김광호 프린터의 데이타 출력방법
KR970029169A (ko) * 1995-11-29 1997-06-26 김광호 프린터의 공데이터(blank data) 처리방법
KR970061530A (ko) * 1996-02-29 1997-09-12 김광호 페이지 프린터의 이미지 압축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1975A (en) * 1989-09-07 1991-06-04 Tokyo Electric Co., Ltd. Printer with improved image printing function
JPH08307695A (ja) * 1995-03-08 1996-11-22 Ricoh Co Ltd ページプリンタ及びそのデータ処理方法
US5608848A (en) * 1995-06-06 1997-03-04 Apple Computer, Inc. Processing blank data-lines of print data
KR970022835A (ko) * 1995-10-13 1997-05-30 김광호 프린터의 데이타 출력방법
KR970029169A (ko) * 1995-11-29 1997-06-26 김광호 프린터의 공데이터(blank data) 처리방법
KR970061530A (ko) * 1996-02-29 1997-09-12 김광호 페이지 프린터의 이미지 압축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2974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that stores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S6095679A (ja) 書類処理システム用制御構造
US57108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izing a rate of image data transfer in a printing system
JP674844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940000992A (ko) 디지탈데이타프로세서작동방법
KR20020006121A (ko) 메모리를 최적화하여 출력하는 방법
US7170628B2 (en) Efficient processing of images in printers
JP2005107816A (ja) 最適化コンパイラ、コンパイラ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1907979B (zh) 图像形成装置
JP3110041B2 (ja) 画像情報処理装置
US10217036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medium
JP6636083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43920A (ja) 情報処理装置
US6160632A (en) Simplified method to print inherited pages in a page printer
JPH05204591A (ja) 画像描画装置
JP4617210B2 (ja) 描画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露光装置
JPH03114856A (ja) プリンタデータ管理方式
JP2020035264A (ja) メモリアクセス制御装置
JPH10825A (ja) 画像処理装置
US69856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method
JPH0484346A (ja) 記憶領域管理装置
JP6078954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512863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プリンタシステム
KR19980019748A (ko) 프린터 메모리의 효율적 운용 방법
JP2004312420A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の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