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976A -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976A
KR20020005976A KR1020010040854A KR20010040854A KR20020005976A KR 20020005976 A KR20020005976 A KR 20020005976A KR 1020010040854 A KR1020010040854 A KR 1020010040854A KR 20010040854 A KR20010040854 A KR 20010040854A KR 20020005976 A KR20020005976 A KR 2002000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dielectric
section
shor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725B1 (ko
Inventor
츠카모토히데키
구로다가츠히토
이시하라진세이
가토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2000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내벽에 형성된 내부 도체들을 갖는 복수의 관통홀들(2a, 2b 및 2c)이 유전체 블록(1)의 내에 배치되며, 유전체 블록(1)의 외부 표면을 덮도록 외부 도체(3)가 형성된다. 개방단 측의 개개의 관통홀들(2a, 2b 및 2c)의 개구들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둥근 홀 형상을 갖는다. 단락단 측의 관통홀들의 단면 부분은 모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고주파 회로에 적용되는 유전체 필터와, 유전체 듀플렉서 및 그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전체 필터들에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유전체 몸체 내에 제공되어 있다. 유전체 몸체의 외부 표면과 관통홀들의 내부 표면은 도금되어 일련의 공동 공진기들을 형성한다. 각 공동 공진기는 개방단과 단락단을 갖게 된다. 이 방식의 많은 필터들에서 각 관통홀의 내부 직경들은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공동 공진기들의 선로 임피던스들이 공동 공진기의 개방단과 단락단 사이에서 상이하다.
도 6은 그와 같은 필터(1)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관통홀들(2a, 2b 및 2c)이 내부 및 외부 표면들이 대부분 도전성 물질로 코팅된 직육면체의 유전체 블록(3) 내에 제공되어 복수개의 공동 공진기들을 형성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관통홀들(2a, 2b 및 2c)의 내부 표면은 각각 내부 도체(4)로 코팅되고, 외부 도체(5)는 유전체 블록의 외부 표면 거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외부 도체(5)는 유전체 블록(3)의 끝단(6)에서 내부 도체(4)와 직접 결합되어 공동 공진기들의 단락단들을 형성한다. 유전체 블록의 끝단(7)으로부터 조금 벗어난 지점에서 비도금 영역들 또는 갭(g)들이 관통홀들(2a, 2b 및 2c) 내에 형성되어 공동 공진기들의 개방단들을 형성한다. 입출력 전극들(5a, 5b)이 유전체 블록(3)의 외부 표면 위에 제공되며 유전체 블록의 외부 표면의 비도금된 부분들에 의해 외부 도체(5)로부터 분리된다. 입출력 전극들은 인접한 공진기들(2a, 2b) 안으로 입출력 신호들을 결합하는 데 이용된다.
인접한 공진기들 사이의 결합과 개개의 공진기들의 공진 주파수들을 조정하기 위하여, 공동 공진기들 내에 단차(step)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각 공동 공진기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개방단 부분과 단락단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필터들에 사용되는 유전체 블록들이 성형될 때, 필터들마다 관통홀들의 직경이 차이나는 점 때문에 여러 가지 필터들을 위한 여러 가지 성형금형들이 요구된다.
그 위에, 먼저 도전성 물질로 관통홀들의 내벽을 완전히 도금한 후에 절삭도구를 이용하여 도전성 도금의 링-형상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갭(g)들이 형성된다. 관통홀들의 개방단 부분들의 내부 직경들의 크기 면에서 차이의 결과로서, 절삭도구의 작업을 조절하는 조절 프로그램들이 요구된다. 따라서, 공동 공진기들마다갭들의 위치와 폭이 다양할 때, 조정할 수 있는 툴과 다른 조절 프로그램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필터들의 생산비용이 증가된다.
제조 비용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은 비도금 영역들을 절삭할 때 절삭도구의 선단이 일 회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관통홀들의 개방단들은 다른 내부 직경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단위 호 길이당 절삭율은 내부 직경들의 기능과 같이 다르다. 그 결과, 이 공정 중에 내부 도체들 및 유전체 블록의 절삭양에서 차이는 커지게 된다. 이들 차이들은 필터의 특성 전반에 걸쳐 불필요한 영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전술한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그리고 소정의 특성이 얻어질 수 있는 유전체 필터와 유전체 듀플렉서 및 그들을 갖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I선을 따라 절삭된 도 1a의 유전체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유전체 필터의 선택적인 구성의 단면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투시도이다.
도 4는 유전체 듀플렉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전체 필터를 이용한 통신 장치의 배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유전체 필터의 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전체 필터 10' : 유전체 듀플렉서
12, 12' : 유전체 블록 14a, 14b, 14c : 관통홀
14'a, 14'b, 14'c, 14'd, 14'e, 14'f : 관통홀
16a, 16b, 16c : 내부 도체 18a, 18b, 18c : 공동 공진기
18'a, 18'b, 18'c, 18'd, 18'e, 18'f : 공동 공진기
20, 20' : 외부 도체
22a, 22c, 22ant, 22tx, 22rx : 입출력 전극
24, 24' : 단락단 면 26, 26' : 개방단 면
28 : 단차 32tx, 32ant : 방진선로
g : 갭 ANT : 안테나
DPX : 듀플렉서 AMPa, AMPb : 증폭 회로
BPFa, BPFb : 대역통과 필터 MIXa, MIXb : 믹서
SYN : 주파수 동조기 OSC : 진동자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관통홀들은 각각 개방단부와 단락단부를 가지며, 개방단부들은 각각 동일한 원형 단면을 갖고, 단락단부들의 적어도 하나는 모난 단면을 갖는 유전체 블록과; 개개의 관통홀들의 내벽 위에 형성되고,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들을 구성하는 갭들이 형성된 내부 도체들; 및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각 내부 도체의 끝단에서 상기 내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필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들이 원통형 형상이고, 동일한 직경이다. 따라서, 관통홀들의 단락단부들의 형상과 크기에 관계없이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들을 형성하기 위한 동일한 성형금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절삭도구와 동일한 조절 프로그램이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들의 내벽 위에 도금된 영역에서 갭들을 절삭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필터의 전기적 특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갭들의 크기와 깊이에 관한 조정인 경우에도 이것은 들어맞는다. 상술한 필터는 전송 필터, 수신 필터 및/또는 전송-수신 필터로서 유전체 듀플렉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전송 필터부, 수신 필터부 및/또는 전송-수신 필터부를 포함하고, 필터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관통홀들은 각각 개방단부와 단락단부가 형성되고, 개방단부들은 각각 동일한 원형 단면을 갖고, 단락단부들의 적어도 하나는 모난 단면을 갖는 유전체 블록과; 개개의 관통홀들의 내벽 위에 형성되고,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들을 구성하는 갭이 형성된 내부 도체들; 및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각 내부 도체의 끝단에서 내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외부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필터 또는 듀플렉서 - 예를 들어, 고주파 회로의 전송-수신 신호용 필터 회로 유닛이 형성된 - 가 구비된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뒤따르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게 나타나 있다.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10)의 구성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유전체 블록(12)은 거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복수개의 관통홀들(14a, 14b 및 14c)이 유전체 블록(12) 내에 형성되고, 내부 도체들 (16a, 16b 및 16c)이 그 내벽 위에 형성되어 공동 공진기들(18a, 18b 및 18c)을 구성한다. 유전체 블록(12)의 외면들(6면) 거의 대부분은 외부 도체(20)로 코팅되어 있으며, 외부 도체(20)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입출력 전극들(22a, 22c)이 유전체 블록(12)의 외면 위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도체(20)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도체들 (16a, 16b 및 16c)까지 뻗어 접촉되며 도금된 관통홀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 공진기들의 단락단 면(24)을 형성한다.
비도금 영역들 또는 갭(g)들은 유전체 블록(12)의 개방단 면(26) 부근에서 관통홀들(14a, 14b 및 14c)의 내벽에 형성되며, 공동 공진기들(18a, 18b 및 18c)의 개방단들을 구성한다. 도 1b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갭들(g)은 절삭 공정의 결과에 따라 보통 유전체 블록의 안까지 뻗는다.
관통홀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적으로 중간 지점에 근접한 위치에서 관통홀들(14a, 14b 및 14c) 내에 단차(28)가 형성되어 관통홀들의 개방단부 및 단락단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들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크며, 관통홀들의 단락단부들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들은 원통형의 형상이고 각각 동일한 직경이다. 한편으로, 관통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단부의 형상은 적어도 다른 하나의 관통홀의 단락단부의 형상과 상이하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4b)의 단락단부가 잔여 관통홀들의 단락단부의 형상이 원통형인 것과는 달리 직육면체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관통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단부는 모난(예컨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유전체 블록(12)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성형금형(도시되지 않음)은, 유전체 블록의 외부 형상에 따라 거의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주 공동과, 공동 내로 뻗어 있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한다. 첫 번째 세트의 핀들은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두 번째 세트의 핀들은 관통홀들의 단락단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개개의 쌍의 핀들의 말단은 서로 접촉되어 단일 관통홀을 형성한다. 관통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단부의 형상 및/또는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거의 동일한 직경의 원통형 홀로서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를 동시에 형성함에도 필터의 특성을 다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로서, 다양한 필터들에 대한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핀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단지 관통홀들의 단락단부용 핀들만이 변화되어야 한다. 더욱이, 갭들(g)을 형성하기 위한 절삭도구와 주위의 패턴 내에서 도구의 선단을 일회전 회전시키기 위해 절삭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프로그램이 상이한 필터 특성들을 갖는 다양한 방식의 필터들에 대하여 동일하게 된다. 더욱이, 갭들(g)의 위치와 폭을 조절함으로써필터들의 특성이 조정될 때,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많은 수의 다양한 필터들에 대하여 관통홀들의 개방단 부분의 내경에 일치하는 조정 도구의 한 세트와 도구들을 조정하기 위한 조절 프로그램들의 한 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관통홀들의 개방단부의 크기와 형상을 다양하게 할 필요 없이, 관통홀들의 단락단부의 단면의 크기와 형상, 관통홀들 사이의 간격 등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개개의 유전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들과 인접한 유전체 공진기들 사이의 결합이 다양하게 될 수 있다. 고안된 값들에 따른 성형금형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중앙의 관통홀의 단락단부가 (원형 또는 타원형보다는) 모난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중앙의 공동 공진기와 첫 번째 사이에 정전용량 성분이 생성되며, 단락단부들 위에 3단계 (외부의 두 개) 공동 공진기들이 고도의 유연성으로 고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블록(12)의 두께 방향(도 1a에서 수직으로 보이는)에서 단락단부의 단면의 폭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접한 공동 공진기들 사이의 마주보는 영역이 증가되고, 인접한 공동 공진기들 사이의 정적 정전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외측의 공동 공진기들과 마주보는 중앙의 공동 공진기의 표면이 평평하기 때문에, 인접한 공동 공진기들의 내부 도체들 사이의 정적 정전용량은 넓은 범위에 걸쳐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이 실행될 수 있는 방법의 실시예들이 2단계 필터의 공동 공진기들의 단락단부를 관통하는 장치의 단면도인 도 2a 내지 도 2d에 나타나 있다. 도 2a에서,관통홀들(그리고 더욱 중요하게는 공동 공진기를 구성하는 내부 도체(16)의 내면)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다. 도 2b, 2c 및 도 2d에서, 각각 모난(비원형 또는 타원의) 단면 형상을 갖는 실시예들이 보여진다. 공동 공진기의 크기와 형상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인접한 공동 공진기들과 외부 (접지)전극 사이의 정전용량 결합이 다양해질 수 있고 필터의 전기적 특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서, 자기-정전용량(self-capacitance) Ci는 각 내부 도체(16)와 외부 도체(14) 사이에서 생성되고,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Cij는 인접한 내부 도체들(16) 사이에서 생성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단부 부근의 관통홀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면, 내부 도체들과 외부 도체 사이에서 그리고 내부 도체들 사이에서 마주보는 영역은 넓은 범위에서 거의 독립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즉,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와 근접하게 하기 위하여 홀을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단락단부 부근의 자기-정전용량 Ci는 증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확장될 수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내부 도체들(16)에 근접하게 하기 위하여 모난 단면을 갖는 홀들을 형상화함으로써, 단락단부 부근의 상호 정전용량 Cij는 증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도 결합이 확장될 수 있다. 즉, 공동 공진기들 사이의 유도 결합이 확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정전용량 결합이 줄어들 수 있다.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들의 단락단부가 모난 단면을 갖기 때문에, 상호 정전용량 Cij와 자기-정전용량 Ci 및 Cj에 대한 설계 유연성이 확장된다. 따라서, 요구되는 필터의 특성이 쉽게 성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추가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유전체 듀플렉서의 구성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유전체 듀플렉서(10')의 외관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 공진기용 관통홀들(14'a 내지 14'f)과 방진선로용 관통홀들이 직육면체의 유전체 블록(12') 내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 도체들이 관통홀들(14'a 내지 14'f)의 내벽 위에 형성된다. 외부 도체(20')와, 외부 도체(20')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입출력 전극들(22tx, 22ant 및 22rx)이 유전체 블록(12')의 6개 외면 위에 형성된다. 공동 공진기들(18'a 내지 18'f)의 개방단들을 구성하는 관통홀들 (14'a 내지 14'f)의 표면(26') 부근에 비도금된 갭들(g)이 형성된다. 종래의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관통홀들의 개방단부들은 원형의 단면이며,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된다. 관통홀들의 단락단부들은 바람직하게는 개방단부보다는 작은 단면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몇몇의 단락단부들은 적어도 나머지 단락단부들과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다. 관통홀들의 단락단부의 단면의 형상들과 크기들은 필터의 방식들마다 서로 다르며, 다양한 필터 특성을 만들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관통홀들(14'b, 14'c 및 14'e)의 개방단부의 단면 형상들이 원형이다. 관통홀(14'a)의 단락단부의 단면은 도 3에 보여진 것처럼 수평 방향으로 늘어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관통홀(14'd)의 단락단부는 외부 도체(20')에 근접한 유전체 블록(12')의 상하면 부근에서 외부 도체(20')와 대면하는 오각형 형상을 갖는다. 관통홀(14'f)의 단락단부는 인접한 관통홀(14'e)의 단락단부에서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되고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는다.
각 방진선로용 관통홀들의 내면은 도금되어 개개의 방진선로들(32tx 및 32ant)을 형성한다.
입출력 전극들(22tx 및 22ant)은 유전체 블록(12')의 하부면 바로 위에서 유전체 블록(12')의 단락단 면(24') 부근으로 형성되며, 방진선로용 관통홀들의 내벽 위에 형성된 내부 도체들의 일 끝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입출력 전극(22rx)은 관통홀(14'f) 내에 형성된 내부 도체의 일단 근처에 형성되며, 그에 정전용량 결합된다.
도 4는 전술한 유전체 듀플렉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에서, 공진기(Z1)는 공동 공진기(18'a)를 포함하고, 선로(Z2)는 방진선로(32tx)를 포함하고, 공진기 (Z3)는 공동 공진기(18'b)를 포함하고, 공진기(Z4)는 공동 공진기(18'c)를 포함하고, 공진기(Z5)는 방진선로(32ant)를 포함하고, 그리고 공진기들(Z6, Z7 및 Z8)은 공동 공진기들(18'd, 18'e 및 18'f)을 각각 포함한다. 더욱이, 방진선로 (32tx)에 의해 야기되는 선로들과 공동 공진기(18'a) 사이에 인터디지털 결합하는 π/2 위상 회로(Z12)가 형성된다. 참조부호 Z23은 방진선로(32tx)와 공동 공진기 (18'b)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에 의한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Z34는 공동 공진기들 (18'b 및 18'c)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에 의한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Z45는 공동 공진기(18'c)와 방진선로(32ant)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에 의한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참조부호들 Z56, Z67 및 Z78은 각각 방진선로 (32ant)와 공동 공진기(18'd) 사이의, 공동 공진기들(18'd 및 18'e) 사이의, 그리고 공동 공진기들(18'e 및 18'f)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에 의한 임피던스들을 나타낸다. 더욱이, 참조부호 Z8R은 공동 공진기(18'f) 및 입출력 전극(22rx) 사이의 결합-정전용량에 의한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임피던스(Z12)는 π/2 위상 회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공진기(Z1)와 선로(Z2)는 트랩 공진기들로서 작동한다. 공진기들(Z3 및 Z4)은 서로 빗살-결합된 2단 공진기들로서 기능한다. 공진기들(Z6, Z7 및 Z8)은 순차적으로 빗살-결합된 3단 공진기들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고, 이 유전체 듀플렉서는 송신 대역에서 감쇠 폴을 갖는 1단 트랩 공진기 및 2단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송신 필터와, 서로 일체화된 3단 공진기를 포함하는 수신 필터를 갖는 유전체 듀플렉서로서 기능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필터들을 이용한 통신 장치의 구성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송-수신 안테나(ANT), 듀플렉서(DPX), 대역통과 필터들(BPFa, BPFb), 증폭 회로들(AMPa, AMPb), 믹서들(MIXa, MIXb), 진동자(OSC) 및 주파수 동조기(SYN)가 나타나 있다.
믹서(MIXa)는 변조 신호(IF) 및 주파수 동조기(SYN)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한다. 대역통과 필터(BPFa)는 믹서(MIXa)에서 혼합된 출력신호들에서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증폭회로(AMPa)는 그 신호들을 전력-증폭시키고 전송-수신 안테나(ANT)에서 듀플렉서(DPX)를 통하여 송신한다. 증폭회로(AMPb)는 전송-수신 안테나(ANT)에 의해 수신되고 듀플렉서(DPX)로부터 출력된 수신신호를 증폭한다. 대역통과 필터(BPFb)는 증폭회로(AMPb)에서 출력된 수신신호들에서 수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믹서(MIXb)는 주파수 동조기(SYN)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신호와 수신신호를 서로 혼합하고 중간주파수 신호(IF)를 출력한다.
도 5에 도시된 듀플렉서(DPX)에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듀플렉서가 사용된다. 대역통과 필터들(BPFa 및 BPFb)로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유전체 필터들이 사용된다.
본 발명이 그의 특정 실시형태와 관련되어 설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해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많은 수의 다른 변형과 수정 및 다른 목적들이 명백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개개의 내면에 내부 도체를 형성한 복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외면에 외부 도체를 덮은 유전체 블록에 근거한 유전체 필터를 구성하고, 각 관통홀들의 개방단측 개구 형상을 원형으로 하고, 복수의 관통홀들 중 일부 관통홀들의 단락단측의 단면 형상이 모난 형상이며, 관통홀들의 단락단측 형상에 따라 변화되고 개방단측 형성 금형이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유전체 필터 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각 관통홀들의 내면을 절삭하여 개방단을 형성하는 절삭공구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이 공용이고, 관통홀의 내부 도체 비도금부를 절삭하여 특성조정을 행하는 조정공구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공용인 것에 따라,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Claims (14)

  1.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은 각각 개방단부와 단락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단부들은 각각 동일한 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단락단부들의 적어도 하나는 모난 단면을 갖는 유전체 블록;
    상기 개개의 관통홀들의 내벽 위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의 상기 개방단들을 구성하는 갭들이 형성된 내부 도체들;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각 내부 도체의 끝단에서 상기 내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하는 유전체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락단부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다른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난 단면은 직사각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단면들 각각은 동일한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단부들 각각은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단부들 각각은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7. 적어도 하나의 전송 필터부와, 수신 필터부 및/또는 전송-수신 필터부를 포함하는 유전체 듀플렉서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은 각각 개방단부와 단락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단부들은 각각 동일한 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단락단부들의 적어도 하나는 모난 단면을 갖는 유전체 블록;
    상기 개개의 관통홀들의 내벽 위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의 상기 개방단부들을 구성하는 갭이 형성된 내부 도체들;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각 내부 도체의 끝단에서 상기 내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락단부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다른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난 단면은 직사각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단면들 각각은 동일한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단부들 각각은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단부들 각각은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듀플렉서.
  13.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은 각각 개방단부와 단락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단부들은 각각 동일한 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단락단부들의 적어도 하나는 모난 단면을 갖는 유전체 블록;
    상기 개개의 관통홀들의 내벽 위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의 상기 개방단부들을 구성하는 갭이 형성된 내부 도체들;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각 내부 도체의 끝단에서 상기 내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하는 유전체 필터를 갖는 통신 장치.
  14. 적어도 하나의 전송 필터부와, 수신 필터부 및/또는 전송-수신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은 각각 개방단부와 단락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단부들은 각각 동일한 원형 단면을 갖고, 상기 단락단부들의 적어도 하나는 모난 단면을 갖는 유전체 블록;
    상기 개개의 관통홀들의 내벽 위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들의 상기 개방단부들을 구성하는 갭이 형성된 내부 도체들; 및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으며, 각 내부 도체의 끝단에서 상기 내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외부 도체;
    를 포함하는 유전체 듀플렉서를 갖는 통신 장치.
KR10-2001-0040854A 2000-07-10 2001-07-09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397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08917 2000-07-10
JP2000208917A JP2002026608A (ja) 2000-07-10 2000-07-10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976A true KR20020005976A (ko) 2002-01-18
KR100397725B1 KR100397725B1 (ko) 2003-09-13

Family

ID=1870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854A KR100397725B1 (ko) 2000-07-10 2001-07-09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45566B2 (ko)
JP (1) JP2002026608A (ko)
KR (1) KR100397725B1 (ko)
CN (1) CN1333582A (ko)
GB (1) GB23699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0544B2 (en) * 2001-03-28 2007-09-18 Curozone Ireland Limited Endodontic ozone therapy
JP2003087011A (ja) * 2001-06-27 2003-03-20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6877985B2 (en) * 2001-08-02 2005-04-12 Curozone Ireland Limited Use of ozone to whiten teet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575B2 (ja) * 1995-03-08 2000-07-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JPH11127002A (ja) * 1997-10-23 1999-05-11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JP3470613B2 (ja) * 1998-09-28 2003-11-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装置、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JP2000165104A (ja) * 1998-11-25 2000-06-16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725B1 (ko) 2003-09-13
US20020003457A1 (en) 2002-01-10
GB0116452D0 (en) 2001-08-29
GB2369934A (en) 2002-06-12
CN1333582A (zh) 2002-01-30
JP2002026608A (ja) 2002-01-25
US6545566B2 (en) 2003-04-08
GB2369934B (en)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198B1 (en)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3788384B2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US20020030559A1 (en)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EP1006603B1 (en) Band pass filter, antenna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97725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EP0986125B1 (en) Dielectric filter, composite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1093179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394804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와 유전체필터의 제조방법
KR20000058013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KR10033858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US6788167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524545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US6169465B1 (en) Duplexer dielectric filter
US20020050874A1 (en) Composite dielectric filter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45603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517070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20020079568A (ko)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2004015113A (ja)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20020073430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JP2000022405A (ja) 複合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及び通信機装置
JP2003224406A (ja) 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H09162605A (ja) 誘電体共振器及びこの共振器を用いた誘電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