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647A - 보관 또는 조리용 오븐 - Google Patents

보관 또는 조리용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647A
KR20020005647A KR1020017012503A KR20017012503A KR20020005647A KR 20020005647 A KR20020005647 A KR 20020005647A KR 1020017012503 A KR1020017012503 A KR 1020017012503A KR 20017012503 A KR20017012503 A KR 20017012503A KR 20020005647 A KR20020005647 A KR 20020005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tray
cover
wa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9521B1 (ko
Inventor
클레멘트제이 루엡키
스티븐엠 쉐이
Original Assignee
듀크 매뉴팩쳐링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0809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056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듀크 매뉴팩쳐링 컴퍼니 filed Critical 듀크 매뉴팩쳐링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2000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06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for either storing and preparing or for preparing food on serving trays, e.g. heating, thawing, preserv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06Ovens heated by radiators
    • A21B1/08Ovens heated by radiators by steam-heated radiato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06Ovens heated by radiators
    • A21B1/22Ovens heated by radiators by electric radia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된 음식물을 서빙 또는 조리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오븐(A)은 캐비넷(26)의 프론트(28) 또는 백(30)으로부터 음식물 트레이(B)를 수용하도록 캐비넷(26) 외부로 개구된 복수의 채널 형태의 히트 싱크(46)를 구비한다. 히트 싱크들(46)은 그 측면과 바닥을 따라 뻗어있는 가열체를 가지며, 각각의 히트 싱크는 히트 싱크(46)내에 있을 때 트레이(B)의 상단을 밀폐하거나 통기시키는 커버(80)를 갖는다.

Description

보관 또는 조리용 오븐{HOLDING OR COOKING OVEN}
대부분의 음식점들은 주문에 따라 조리된 음식물을 신속히 서빙하는 것을 전문으로 함으로, 대량의 음식물을 주문과 동시에 준비할 능력을 보유하지 못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식사시간, 특히 점심시간에는 이들 음식점에 많은 주문이 집중된다. 따라서, 패스트 푸드 레스토랑(fast food restaurant)과 같은 음식점은 식사시간 이전에 일부 조리된 음식물을 준비하고, 조리된 음식물을 보관용 오븐에 따뜻한 상태로 보관하고 있다가, 주문이 밀려드는 식사시간이 되면 미리 조리한 음식물을 사용하게 된다.
햄버거 패티(patty)와 같은 일부 조리음식물은 습기함량이 고갈되면 맛과 씹히는 느낌에 떨어짐으로 습한 환경에서 고온으로 보관하여야 한다. 빵가루를 입힌 치킨 또는 생선 필레(fillet)와 같은 조리음식물은 습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건조한 상태로 보관하여야 한다. 서로 다른 음식물들을 한장소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기는 하지만, 한 음식물의 독특한 맛이 다른 음식물에 배지 않토록 해야한다. 특히, 음식물의 보관온도는 음식물의 종류와 상관없이 박테리아 오염 또는 번식을 방지하도록 고온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약 150°F 이상의 온도로 보관하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 패스트 푸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는 보관용 오븐들은 이들 조건을 완전히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제작되고 있는 보관용 오븐들은 조리된 음식물을 담는 트레이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오븐은 앞쪽과 뒤쪽 모두에서 개방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갖는 캐비넷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리된 음식물을 담는 트레이는 캐비넷의 앞쪽 및 뒤쪽 중 한쪽에서는 저장공간속으로 넣고 다른 한쪽에서는 빼낼 수 있다. 각 저장공간은 상단 및/또는 바닥을 따라 트레이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플래튼(platen)을 갖는다. 또한, 캐비넷은 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트레이의 상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한 형태의 종래의 보관용 오븐에서, 트레이의 상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장치는 트레이가 놓여 있는 가열 플래튼과 트레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트레이 위에 놓이는 가열 플래튼은 트레이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위치함으로, 트레이의 상부 가장자리가 위에 위치한 가열 플레튼에 대향하게 놓이도록 하여 트레이를 밀봉한다. 이 오븐은 미합중국 특허 제 5,724,886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형태의 보관용 오븐은 트레이를 위에 위치한 가열 플래튼쪽으로 가압하는 탄성 격자를 사용하여 트레이를 밀봉한다. 이 오븐은 미합중국 특허 제 5,783,80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븐들은 청소하기가 힘들고 열을 효율적으로 트레이에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음식물은 종종 적정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보관 된다. 또한, 때때로, 이들 오븐내의 공간은 트레이의 상단부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함으로, 여러 트레이들 사이에 서로 다른 맛이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 외에도, 현재 제작되고 있는 오븐들은 음식물을 매우 제한된 시간 동안만 보관하는 능력을 갖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채널형태의 히트 싱크를 갖는 오븐을 제공한다. 히트 싱크는 트레이 또는 음식물 용기의 형태에 상응하게 형성된 저장 캐비티를 구비하며, 그곳에 트레이 또는 음식물 용기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히트 싱크는 트레이 내의 음식물을 서빙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효율적으로 유지하도록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을 트레이에 집중시킨다. 히트 싱크는 트레이의 상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를 그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오븐이 복수의 히트 싱크를 내장하는 경우, 이들 히트 싱크는 한 음식물의 맛이 다른 음식물에 배지 않토록 서로 격리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서빙(serving)하거나 조리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오븐에 관한 것이다.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에서 동일 참조번호 및 부호는 동일 구성부분을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치하는 보관용 오븐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븐의 배후 사시도.
도 3은 커버를 밀폐 위치와 통기 위치에 각각 배치한 두개의 히트 싱크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선 4-4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히트 싱크, 히트 싱크를 위한 커버 및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변형예의 커버의 사시도.
도 7은 히트 싱크, 히트싱크를 위한 변형예의 커버 및 변형예의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변형예의 커버 아래에 배치된 도 7의 변형예의 트레이의 부분 종단면도.
동일 구성부분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동일 참조번호 또는 부호로 표시될 것이다.
도면, 특히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오븐(A)은 미리 조리된 음식물을 일정시간, 예를 들면 일부 음식물의 경우 수시간 동안 보관 유지하는 다수의 트레이(B)를 갖는다. 이러한 오븐(A)과 트레이들(B)은 패스트 푸드 레스토랑에서 서빙되는 여러가지 음식물, 예를들면 조리된 햄버거 패티, 햄, 베이컨, 소시지, 양파링, 프렌치 토스트, 생선필레, 치킨필레 및 비스켓을 공급해 주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트레이(B)는 음식물 용기를 구성한다. 오븐(A)은 트레이(B)를 그 바닥 및 측면에서 가열한다. 트레이(B)를 오븐(A)내에 집어 넣을 때, 사용자는 트레이(B) 내에 습기가 계속 유지 되도록 트레이(B)의 상단부를 밀페하거나, 트레이(B)로 부터 습기가 빠져 나가도록 트레이(B)의 상단부를 개방한 상태로 놓아둘 수 있다.
트레이(B)는 프레스로 찍어낸 금속 트레이(B)가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오븐(A)내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폴리머(polymer)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오븐(B)은 어떠한 재료로 제작되더라도, 도 3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편한 바닥벽(2), 라운드된 코너(8)에서 바닥벽(2)과 연결되는 측벽(4) 및 단부벽(6)을 구비한다. 미소하게 외부로 벌어져 있는 측벽(4)과 단부벽(6)은 각각 상단 부근에서 옵셋부(10)를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4)과 단부벽(6)의 옵셋부(10)는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향 외부로 돌출되어 함몰 에지(16)에서 미소하게 아래쪽으로 굽어있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변립(peripheral lip)(14)을 구비한다. 립(14)은 립(14)의 전체를 따라 공통평면 내에 놓인 평편한 상부면(18)을 갖는다. 단부벽(6)에서, 립(14)은 상부면(18)의 평면 아래에 위치한 핸들(20)과 연결된다. 이와 유사한 트레이들이 패스트 푸드 레스토랑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븐(A)은 프론트 패널(28), 리어 패널(30), 단부 패널(32) 및 상단 패널(34)을 구비한 캐니넷(26)을 포함한다. 프론트 패널(28)과 리어 패널(30)은 트레이(B)의 단면형상 보다 조금 넓고 크게 형성된 개구들(36)을 갖는다. 개구(36)는 수개의 층 또는 단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프론트 패널(28)의 개구(36)는 리어 패널(30)의 상응하는 개구(36)와 정렬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26)은 개구들(36) 위쪽에서 개구들(36)의 각 층을 통하여 뻗어있는 상부 팬(pan)(38)과, 개구들(36) 애래쪽에서 개구들(36)의 각 층을 통하여 뻗어있는 하부 팬(40)을 갖는다. 상부 팬(38)은 상부로 돌출되어 팬(38)을 보강하는 주변 립(41)을 갖는다. 팬(38)은 개구들(36) 사이의 영역에서 프론트 패널(28) 및 리어 패널(30) 사이로 뻗어 있는 채널(42)을 포함한다.채널(42)은 맨 끝의 두 개구(36) 외에는 모두 개구들(36) 사이에 배치된다. 아래로 개방된 채널(42)은 팬(38)에 부착 고정된다. 각 층의 하부 팬(40)은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로 꺽어진 립(43)과, 립(43)의 내부로 꺽어진 부분 아래에 배치된 보강부재(44)를 갖는다. 개구들(36)의 각 층을 위한 상부 팬(38)과 하부 팬(40)사이의 공간에는 다수의 히트 싱크(heat sink)(46)가 배치된다. 히트 싱크(46)는 각 층내에서 정렬된 개구들(36)의 각각의 쌍에 대하여 하나씩 형성된다.
각각의 히트 싱크(46)는 열을 잘 전달하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으로 형성 할 경우, 히트 싱크(46)는 압출성형 또는 주조로 제작하거나, 기계가공으로 제작할 수 있다. 각각의 히트 싱크(46)는 어떤 방식으로 제작되는지에 상관없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 및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두 측면 및 바닥이 밀폐된 채널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히트 싱크(46)의 형상은 히트 싱크(46)의 전 길이를 따라 캐비티(48)를 형성하게 한다. 캐비티(48)의 개방 단부들은 캐비넷(26)의 프론트 패널(28)과 리어 패널(30)의 개구들(36)과 정렬되어 있음으로, 히트 싱크(46)의 캐비티(48)는 오븐(A) 외부로 부터 쉽게 접근될 수 있다. 캐비티(48)는 일반적으로 트레이(B)의 외부 단면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특히,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히트 싱크(46)는 바닥벽(50)과, 바닥벽(50)과 일체로 형성되어 그것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52)을 포함한다. 바닥벽(50)은 약 3/16 in.의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편한 바닥면(54)과 평편한 상단면(56)을 갖는다. 이에 비하여, 두 측벽(52)은 서로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소 가변적인 두께를 갖는다. 각각의 측벽(52)은 통상 트레이(B)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는 하부영역(58)을 갖는다. 하부영역(58)은 평편한 외부면(60)과, 만곡 코너(64)에서 바닥벽(50)의 평편한 상단면(56)과 연결되는 곡선 형태의 내부면(62)를 구비한다. 내부면(62)은 코너(64) 바로 위쪽에서 외부로 미소하게 벌어진 모양을 보이다가 급격히 외부쪽으로 꺽어 진후 외부로 벌어진 모양보다 더 작은 거리 만큼 수직으로 뻗은 형상을 갖는다. 히트 싱크(46)의 측벽(52)의 내부면(62)들 사이의 공간은 트레이(B)의 측벽(4)의 외부면 사이를 가로로 측정한 트레이(B)의 폭 보다 조금 더 크다. 특히, 히트 싱크(46)의 측벽(52)의 내부면(62)은 통상 트레이(B)의 측벽(4)의 외부면 형상에 맞게 형성된다. 트레이(B)가 그 바닥벽(2)이 히트 싱크(46)의 바닥벽(50)의 평편한 상단면(56)에 놓이도록 히트 싱크(46)속에 삽입될 때, 트레이(B)의 측벽(4)은 곡선 형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히트 싱크(46)의 측벽(52)의 내부면(62)에 가깝게 밀착된다. 일반적으로, 히트 싱크(46)의 측벽(52)의 내부면들(56) 사이의 간격은 어떤 높이에서도 트레이(B)의 측벽(4)의 외부면들 사이의 간격 보다 약 1.0 in. 이하의 크기 만큼 크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트레이(B)가 히트 싱크(46)의 캐비티(48)의 중심에 위치할 때, 히트 싱크(46)의 측벽(52)의 내부면(62)과 트레이(B)의 측벽(4)의 외부면 사이의 틈새 간격은 0.5 in.이하로 유지된다. 이 틈새 간격은 트레이(B)가 중심에 위치할 때, 약 0.015 in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히트 싱크(46)의 곡선 형태의 내부면(62)과 평편한 바닥면(54)이 연결되는 만곡 코너(64)는 트레이(B)의 코너(8)와 대향하면서 밀착된다.
히트 싱크(46)의 각 측벽(52)의 하부영역(58)은 옵셋부(68)에서 상부영역(66)과 합쳐진다. 상부영역(66)은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상부영역들(66) 사이의 간격은 옵셋부(68)로 인하여 하부영역(58) 사이의 간격보다 커진다. 실제로, 상부영역들(66) 사이의 간격은 트레이(B)의 주변립(14)의 폭 보다 크다. 측벽(52)의 하부영역(58)의 곡선 형태의 내부면(62)은 옵셋부(68) 위쪽에서 상부영역(66) 까지 외부로 뻗어있는 평편한 수평 쇼울더(70) 까지 연장된다. 쇼울더(70)는 바닥벽(52)의 상단면(56)과 평행한 평면에 위치하며, 쇼울터(70)와 상단면(56) 사이의 거리는 트레이(B)의 바닥벽(2)의 하부면과 함몰에지(16)에 위치한 측벽(4)의 립(14)의 밑면 사이의 거리 보다 미소하게 작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트레이(B)가 히트 싱크(44)의 바닥벽(2)에 놓여 질때, 각각의 측벽(4) 위쪽에 있는 립(14)의 함몰 에지(16)는 쇼울더(70) 보다 미소하게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립(14)는 히트 싱크(46)의 측벽들(52)의 상부에지로부터 상당히 아래에 위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들(52)의 상부에지는 상부 영역(66)을 따라 위치하며, 상부에지가 위치한 상부영역(6)은 미소하게 확장되어, 히트 싱크(46)가 놓여있는 층을 위한 상부팬(38)에 부착 고정된 채널(42)에 수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트 싱크(46)의 바닥벽(50)의 단부는 하부 팬(40)의 립(43)의 내부로 굽은 부분에 놓여져 그곳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히트 싱크(46)는 어느 층에서나 그 층의 상부팬(38)과 하부팬(40) 사이에 고정된다. 채널(42)은 그 층의 히트 싱크(46)를 측방향으로 한정하는 반면, 프론트 패널(28)과 리어 패널(30)은 길이방향으로 그것들을 한정한다. 이와 같이, 히트 싱크(46)는 캐비넷(26) 내에서 제위치에 고정된다.
각각의 히트 싱크(46)는 전기저항형 유연성 가열체(76)의 형태를 취하는 히터와 결합된다. 히터는 바닥벽(50)의 평편한 바닥면(54), 바닥벽(50)과 측벽(52) 사이의 코너, 및 측벽(52)의 하부영역(58)의 평편한 외부면(60)을 감싸면서 히트 싱크(44)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히터는 측벽(52)의 옵셋부(68)의 바닥면을 따라 외부로 만곡되어 있다. 가열체(76)는 가열체(76)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여 히터가 형성되는 접착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가열체(76)는 열을 발생하여, 히트 싱크(46)에 넣어진 트레이(B)내의 음식물을 필요한 온도로 유지하기에 적당한 온도까지 바닥벽(50)의 상단면(56) 및 측벽(52)의 곡선형태의 내부면(62)을 따라 히트 싱크(46)의 온도를 높이기에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여야 한다. 이 온도는 오븐(A)이 보관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박테리아 번식을 방지하고 서빙하기에 적당하게 음식물을 보온하는 온도가 되며, 오븐(A)이 조리용으로 사용될 경우는 음식물을 실제로 조리할수 있을 만큼 뜨거운 온도가 된다.
선택적으로, 히터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는 측벽(52)의 하부영역(58)과 바닥벽(50)에 묻힌 저항형 가열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46)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측벽(52)의 하부영역(58)과 바닥벽(50)내에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을 통하여 스팀 또는 고온수가 순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채널과 채널을 순환하는 유체는 히터를 구성한다. 히트 싱크(46)가 철을 함유한 재료로 구성될 경우에는 온도를 높이기 위해 유도가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히트 싱크(46)의 측벽(52)의 뒤쪽 및 바닥벽(50) 아래에서, 캐비넷 (26)은 단열재(78)로 충진된다. 캐비넷(26)의 하부팬(40)은 단열재(78)를 지지하여, 한층의 히트 싱크들(46)을 위한 단열재(78)가 그 아래층의 히트 싱크(46)속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히트 싱크(46)는 가열체(78)외에도 옵셋부(68)의 쇼울더(70)에 얹혀져 측벽(52)의 상부영역들(66)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커버(80)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80)는 한쌍의 수직 다리(82)와, 수직 다리(82) 사이을 연결하면서 그곳에 부착된 가로벽(84)를 포함한다. 실제로, 가로벽(84)은 다리(82)의 하부 길이방향 에지들과 가깝게 단을 형성하면서 결합된다. 하지만, 가로벽(84)의 양단부는 하부 길이방향 에지들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있다. 가로벽(84)의 폭은 트레이(B)의 립(14)의 폭 보다 조금 크다. 수직 다리(82)의 높이는 히트 싱크(46)의 두 측벽(52)의 상부영역(66)의 높이 보다 미소하게 작다. 이러한 치수는 사용자가 커버(80)를 히트 싱크(44)의 상부영역 안 또는 밖으로 쉽게 미끄러지게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커버(80)의 형상은 히트 싱크(44)의 측벽(52)의 상부영역(66) 사이의 공간내에서 두 위치, 즉 밀페 위치(도3의 좌측)와 통기 위치(도3의 우측)를 취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밀폐 위치에 있을때, 커버(80)의 가로벽(84)은 트레이(B)의 립(14)의 상부면(18)에 얹혀 있거나, 립(14)의 상부면(18)에서 미소하게 위쪽에 놓여진다. 두경우 중 어떤 경우이든 가로벽(84)은 트레이(B)를 위한 밀폐뚜껑으로 작용한다. 가로벽(84)이 실질적으로 립(14)에 얹혀 있을 경우, 다리(82)는 거의 히트 싱크(46)의 평편한 수평 쇼울더(70) 까지 아래쪽으로 돌출되지만, 쇼울더(70)와 접촉하지는 않는다. 다리(82)의 하부 가장자리는 트레이(B)의 립(14)과 히트 싱크(46)의 측벽(52)의 상부영역(66) 사이에 위치한다. 트레이(B)가 히트 싱크(46)로부터 제거될 때, 커버(80)의 다리(82)는 아래로 떨어져 히트 싱크(46)의 쇼울더(70)에 얹힌다. 그러나, 가로벽(84)의 단부들이 위로 들어올려져 있어 쇼울더(70)와 위로들어 올려진 단부 사이 만큼 공간을 확보해 줌으로, 트레이(B)의 핸들(20)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로벽(84)이 립(14)의 상부면(18)에서 미소하게 위쪽에 놓일 경우, 다리(82)는 아래로 돌출하여 히트 싱크(46)의 평편한 수평 쇼울더(70)에 실질적으로 얹혀 진다. 이때 트레이(B)의 립(14)은 접촉 영역들 사이에 위치한다. 가로벽(84)의 바닥과 립(14)의 상부면(18) 사이에는 0.375 in.의 범위를 갖는 간격이 존재한다. 다리(82)는 위쪽에 놓여있는 캐비넷(26)의 상부팬(38)과 거의 접촉할 정도까지 위로 뻗어 있다. 통기 위치에 있을 때, 커버(80)는 반대로 뒤집어 진다. 다리(82)는 트레이(B)의 주변립(14)으로부터 외부로 떨어져 있는 히트 싱크(46)의 쇼울더(70)에 얹혀지지만, 가로벽(84)은 주변립(14)과 핸들(20)에서 상당히 위쪽에 위치한다. 이것은 트레이(B)의 각각의 단부벽(6)에서 트레이(B)의 립(14)의 상부면(18)과 커버(80)의 가로벽(84) 사이에 트레이(B)로부터 습기가 빠져 나갈 수 있는 최소한 0,375 in.의 개방공간을 확보 해 준다.
프론트 패널(28)과 리어 패널(30)의 개구들(36)의 측부에서, 캐비넷(26)은 삼각형 형상의 피봇 정지부(88)을 구비하고 있다. 피봇 정지부(88)는 두개의개구(36)에 하나씩 제공된다. 피봇 정지부(88)는, 세 꼭지점중 한 꼭지점에서 미소하게 위쪽에 위치 하지만 피봇 정지부(88)가 제공된 두 개구(36) 사이에 있는 피봇축에서 피봇된다. 피봇 정지부(88)의 다른 두 자유 꼭지점은 두 개구(35)에서 히트 싱크(46)의 인접측벽(52)의 상부영역(66) 너머로 돌출된다. 즉, 두 자유 꼭지점은 개구(36)의 단부를 통해 돌출되기는 하지만, 개구(36)를 가로질러 관통되지는 않는다.
정지부(88)의 자유 꼭지점들은 커버(80)의 수직 다리(82)의 단부가 위치한 범위 밖에 위치하며, 커버(80)를 히트 싱크(46)의 상부영역에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커버(80)를 뒤집어서 그 위치를 변경할 경우, 커버(80)가 사용된 히트 싱크(46)에 위치한 정지부(88)는 더 이상 히트 싱크(46)의 개구(36)를 차단하지 않도록 피봇 회전되어 개구(36)에서부터 이격된다. 정지부(88)가 개구(36)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동안, 커버(80)는 꺼내어져 뒤집어진다. 그 다음, 커버(80)는 다시 뒤집어 진 상태로 개구(36)속으로 삽입된다. 커버(80)가 히트 싱크(44)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정지부(88)는 해제되어, 개구(36)의 단부를 차단하여 커버(80)를 히트 싱크(46) 내에 유지하는 정상위치로 피봇 회전되어 복귀된다.
마지막으로, 캐비넷(26)은 히트 싱크(46)의 가열체(78)가 동작하는 온도를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들(92)을 포함한다. 제어부(92)는 각각의 히트 싱크(46)들의 층에 하나씩 배치된다. 하지만, 제어부들(92)은 각각의 히트 싱크(44)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븐(A)은 통상 음식점에서 일부 커버(80)는 밀폐 위치로 유지하고 다른 나머지는 통기 위치에 유지한 상태로 사용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식사시간이 가까워 지면, 음식점 종업원들은 식사시간 동안 음식점에서 주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여러가지 음식물들을 조리한다. 이들 음식물들은 조리되는 즉시 각각의 음식물들을 구분하여 트레이(B)에 담겨진다. 이들 음식물들중 햄버거 패티와 같은 음식물은 습기가 빠져 나가면 그 맛과 씹히는 느낌이 떨어진다. 또한, 치킨 필레, 비스켓 및 계란 같은 음식물은 습기가 많은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아삭아삭한 맛이 없어진다. 따라서, 습기를 함유해야 하는 음식물을 담은 트레이(B)는 커버(80)를 밀폐 위치(도 3의 좌측)로 유지하는 히트 싱크(44)에 넣어진다. 습기가 없는 상태로 보관해야 하는 음식물을 담은 트레이(B)는 커버(80)를 통기 위치(도 3의 우측)로 유지하는 히트 싱크(44)에 넣어진다. 각각의 히트 싱크(46)는 그 내부에 넣어진 트레이(B)의 바닥벽(2)과 측벽(4)을 통하여 열을 전달하며, 열은 트레이(B)내의 음식물을 따뜻하게 유지한다. 즉, 열은, 음식물에 대한 박테리아 번식을 방지하고 주문이 발생했을 때 음식점 고객들에게 고유의 맛과 풍미를 간직한 음식물을 서빙할 수 있을 정도로 따뜻하게 음식물을 유지해 준다.
커버(80)를 밀폐 위치로 유지하는 히트 싱크(44)에 트레이(B)를 넣는 경우, 음식점 종업원은 캐비넷(26)의 리어 패널(30)로 트레이(B)를 가져와서 커버(80)가 밀폐 위치에 있는 히트 싱크(46)의 개구(36)의 하나에 넣을 준비를 한다. 그 다음, 종업원은 히트 싱크(46)내에서 트레이(B)의 핸들(20)을 커버(80)의 가로벽(84)의 위로 들어 올려진 단부 아래로 삽입한다. 이와동시에, 종업원은 트레이(B)를 히트 싱크(46) 속으로 전진 시키면, 트레이(B)의 립(14)은 커버(80)의 가로벽(84) 아래를 지나가게 된다. 트레이(B)가 완전히 히트 싱크(46)내에 삽입될 때, 커버(80)의 가로벽(84)은 트레이(B)의 주변을 따라 전체 립(14) 위쪽에 놓여져 개방된 트레이(B)의 상단부를 완전히 밀폐하게 된다. 따라서, 히트 싱크(46)에 의해 공급되는 열이 음식물로부터 습기를 뽑아 내려 하더라도, 습기는 트레이(B)내에 갇힌 채로 유지된다. 그 결과, 트레이(B) 내의 음식물은 고유한 맛과 느낌을 유지한다.
한편, 트레이(B)가 습기가 없는 상태로 유지 해야하는 음식물을 담고 있는 경우, 종업원은 커버(80)를 통기 위치로 유지하는 히트 싱크(46)를 선택한다. 트레이(B)는 선택된 히트 싱크(46)의 개구(36)를 통해 별다른 조종 없이 쉽게 캐비티(48) 속으로 삽입된다. 이때, 립(14)은 히트 싱크(46)의 쇼울더(70) 위를 지나가며, 바닥벽(2)은 히트 싱크(46)의 바닥벽(50)의 상단면(56)을 통과한다. 커버(80)의 가로벽(84)은 트레이(B)의 립(14)에서부터 상당히 위쪽에 위치함으로, 트레이(B)에 담겨진 음식물내의 습기는 트레이(B)의 단부벽(6) 위쪽 및 커버(80)의 가로벽(84) 아래에 위치한 커버(80)의 개방단부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음식점에서 특정 음식물에 대한 주문이 발생할 때, 종업원은 오븐(A)으로부터 음식물을 담고 있는 트레이(B)를 꺼낸다. 이것은 트레이(B)의 핸들(20)중 하나를 잡고 그것을 히트 싱크(46)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하여 간단히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핸들(20)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캐비넷(26)의 프론트 패널(28)과 리어 패널(30)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80)는 히트 싱크(46)의 한 단부에 있는 정지부(88)가 그 히트 싱크(46) 단부의 개구(36)로부터 이격되도록 피봇 회전함으로서 히트 싱크(46)로부터 쉽게취출된다. 이것은 정지부가 히트 싱크(46)의 캐비티(48)를 가로 막지 않게 하며, 캐비티의 표면을 쉽게 청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그것은 커버(80)를 쉽게 청소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커버(80)의 위치도 뒤집을 수 있게 한다.
히트 싱크(46)는 열을 히트 싱크(46)로부터 트레이(B)로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 최소한의 전력소비로 트레이(B)의 내용물을 필요 온도로 유지한다. 취출된 트레이(B)의 음식물은 오븐(A)에 넣어진 지 수시간이 경과 하더라도 조리직 후 가진 맛과 풍미를 간직한다. 트레이들(B)은 캐비넷(26)내에서 서로로부터 완전히 격리도어 있으므로, 트레이(B) 위에 위치한 커버(8)가 통기 위치에 있더라도 다른 트레이(B)의 음식물로 맛이 배지 않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의 커버(100)는 커버(80)와 거의 동일한 한쌍의 측면 다리 (82)와 가로벽(84)를 갖는다. 하지만, 가로벽(84)은 다리(82) 사이에서 길이로 배열된 개구들(102)을 포함한다. 또한, 가로벽(84)은 개구들(106)을 갖는 슬라이드(104)을 구비한다. 슬라이드(104)는 가로벽(104)으로부터 들어 올려지지 않게 가로벽(84)에 속박되어, 가로벽(84)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실제로, 슬라이드(104)는 가로벽(84)의 단부들 너머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오븐(A) 외부에서 가로벽(84)에 관해 여러 가지 위치를 취하도록 조종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104)가 가로벽(84)의 개구(102)를 완전히 차단하는 한 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B)는 완전히 밀폐된다. 슬라이드(104)가 그 자체의 개구(106)를 통하여 가로벽(84)의 개구(102)를 노출하는 다른 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B)의 노출량은 슬라이드(104)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트레이(B)는 통기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의 트레이(C)는 히트 싱크(46)내에서 음식물을 데우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것을 히트 싱크(46)에 삽입하고 취출하는 구성외에는 모든점에서 트레이(B)와 유사하다. 트레이(B)는 그 전체 폭을 따라 평편하게 뻗어 있는 핸들(20)을 갖지만, 트레이(C)는 가정용 후라이 팬의 핸들과 유사한 좁은 핸들(108)을 갖는다. 핸들(108)은 주변립(14) 부근에서 트레이(C)의 단부벽(6)에서부터 돌출되어 있지만 측벽들(4) 사이의 중심에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변형예의 커버(110)는 트레이(C)와 잘 사용될 수 있지만, 트레이(B)와도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커버(110)는 한쌍의 다리(112)와, 다리(112) 사이에 수평으로 뻗어 있는 가로벽(114)를 갖는다. 다리(112)는 커버(80)의 다리(82)와 동일하며, 트레이(C)가 히트 싱크(46)의 캐비티(48)내에 있을 때에도 히트 싱크(46)의 수평 쇼울더(70)상에 놓여있다. 또한, 다리(112)는 캐비넷(36)의 히트 싱크(46)위에 위치한 팬(38) 까지 거의 접촉하는 상태로 뻗어있다. 가로벽(114)은 다리(112)와 연결된 상승영역(116)과, 상승영역내에 배치되고 상승영역과 연결된 함몰영역(118)을 갖는다. 함몰영역(118)은 수직으로 위치한 주변벽(120)과, 상승영역(116)과 평행하게 그 아래에 놓여 있는 바닥벽(122)을 구비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C)가 히트 싱크(46)의 캐비티(48) 내에 있을 때, 가로벽(114)의 상승영역(116)의 바닥면은 트레이(B)의 상부면(18) 바로 위에서 두면사이의 간격이 약 0.375in.정도로 유지되도록 위치한다. 한편,주변벽(120)은 트레이(C)의 상부면(18)과 측벽(4) 및 단부벽(6)의 상단부에서부터 안쪽으로 0.375in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바닥벽(122)의 하부면은 트레이(C)의 상부면(18)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서부터 약 0.01 in. 정도 위쪽에 위치한 수평면에 놓여있다. 이 간격은 트레이(C)가 커버(110)와의 간섭없이 히트 싱크(46)의 캐비티(48)에 삽입되고 취출될 수 있게 한다.
커버(110)의 단부에서, 가로벽(114)의 상승영역(116)은 하부 에지가 바닥벽(122)의 하부면의 평면에 위치한 주변립(124)의 형태로 아래로 꺽어져 있다. 트레이(C)가 히트 싱크(40)내에 있을 때, 립(124)은 트레이(C)의 단부에서 미소하게 함몰에지(16) 위쪽 및 상부면(18)의 범위 밖에 위치한다. 립(124)과 함몰영역(118)의 주변벽(120)은 트레이(C)로부터 습기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방해하는 미로를 형성한다.
커버(110)의 함몰영역(118)과 립(124)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 립(124)은 트레이(C)의 두 단부벽(6)의 범위 밖에 측방향으로 위치한 립(14)의 단부에지를 지지하는 탄성중합체의 밀봉체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트레이(C)의 단부에서 립(14)과 접촉되게 하여 커버(80)의 밀봉능력을 증진시키도록 커버(80)의 가로벽(114)의 단부에도 탄성중합체의 밀봉체가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캐비넷(26)의 리어 패널(30)은 개구(36)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배열에서, 리어 패널(30)은 각각의 히트 싱크(46)의 캐비티(48)의 일 단부를 차단하며, 차단된 단부는 밀폐되어 그쪽에 위치한 트레이(B)의 단부벽(6)에열을 전달 할 수 있게 된다. 히트 싱크(46)의 타단부은 개방되어, 프론트 패널(28)의 정렬 개구(36)를 통하여 개비넷(36)의 밖으로 통한다. 물론, 히트 싱크(46)의 밀폐 단부와 면하는 트레이(B)의 단부에 형성되는 핸들(20)은 제거됨으로, 리어 패널(30)과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습기를 유지해야 하는 트레이(B 또는 C)는 커버(80 또는 110)를 사용하지 않도록 별도의 커버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트레이(B, C)와 유사한 일반적인 트레이용 커버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서술의 목적으로 선택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 할 것이다.

Claims (34)

  1. 음식물 가열용 오븐에 있어서,
    음식물이 위치하며 복수의 단부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개구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바닥벽과 측벽들을 갖는 히트 싱크;
    상기 히트 싱크를 가열하여, 상기 히트 싱크에 인가된 열이 상기 히트 싱크의 상기 캐비티내의 음식물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캐비티 위에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식물 가열용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양단부에서 상기 히트싱크의 밖으로 통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은 각각 위쪽으로 향한 수평 쇼울더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쇼울더 위에 배치되어 상기 쇼울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히트 싱크내에서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캐비티를 덮지만,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캐비티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히트싱크의 쇼울더 위에 배치되는 수직다리와, 상기 수직 다리 사이에 뻗어 있는 수평 가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과 바닥벽을 따라 위치한 전기저항 가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8. 양호한 열전도체로 형성되고, 바닥벽 및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벽과 함께 복수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로 개구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측벽들을 갖는 히트 싱크;
    상기 히트 싱크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 싱크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가열체;
    상기 히트 싱크의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의 바닥벽을 따라 배치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으로 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들을 따라 배치되는 측벽들, 및 상기 히트 싱크의 바닥벽을 따라 배치된 상기 바닥벽으로 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들을 따라 배치된 상기측벽들을 연결하는 단부벽들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히트 싱크로부터 열을 전달 받는 음식물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의 내부면과 상기 음식물 용기의 측벽의 내부면 사이의 간격은 어떤 높이에서든 상기 음식물 용기가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들 사이의 중심에 위치할 때를 기준으로 약 0.5in.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용기는 개방 상단부를 갖는 트레이이며;
    상기 오븐은 상기 히트 싱크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상단부 위쪽에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그 측벽과 단부벽 상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 상단부 둘레에 뻗어 있는 림(rim)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림 위쪽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바닥벽은 상기 히트 싱크의 바닥벽 상에 놓여지며, 상기 트레이의 측벽들은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들과 밀접하게 배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들의 내부면들 사이의 간격은 어떤 높이에서든 상기 트레이의 측벽들의 내부면들의 간격보다 1.0 in.이상 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림은 주변립(lip)의 형태로 상기 트레이의 측벽과 단부벽들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립 너머로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의 각각의 측벽은 상향 쇼울더 및 상기 상향 쇼울더 위에 배치되는 주변 립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트레이의 립 바로 위에서 상기 립과 미소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밀폐 위치와, 상기 트레이의 립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들의 쇼울더에 놓여 있는 통기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가 통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트레이의 립에 대한 상기 커버의 이격 간격은 밀폐 위치에 있을 때의 간격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밀폐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의 내부는 상기 슬라이드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통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의 단부벽 및 상기 히트 싱크의 단부들 너머로 돌출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개비티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가로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벽은 상기 트레이의 림 위쪽에 위치된 상승영역과, 상기 상승영역에 둘러싸여 그 아래에 위치한 함몰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가로벽의 상승영역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함몰영역의 단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0. 바닥벽과, 최소한 측벽들에 의해 둘러싸여 상기 측벽들상에 위치한 림으로 둘러져 있는 상향개방 내부를 구비한 트레이를 갖는 결합체에 있어서,
    캐비넷;
    상기 캐비넷 내에 배치된 히트 싱크; 및
    상기 히트싱크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 싱크의 온도를 높여 상기 히트 싱크내에 있는 트레이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히트싱크는 양호한 열전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를 수용하는 캐비티를 제공하는 채널형태의 형상을 가지며,상기 트레이와 상기 히트 싱크의 측벽 사이의 간격은 상기 트레이가 상기 캐비티의 중심에 위치할 때 0.5in.를 넘지 않으며, 상기 채널 형태의 히트 싱크의 캐비티는 캐비넷의 밖으로 통하는 최소한 하나의 개방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 내에 습기를 유지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상향개방 내부의 상단부를 밀폐할 수 있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트레이의 림상에 얹혀 있는 밀폐 위치 또는 상기 트레이의 림으로부터 이격된 통기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트레이의 림에 거의 밀착된 밀폐 위치 및 상기 트레이의 림으로부터 떨어져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통기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 싱크로부터 상기 커버의 취출은 차단하지만 상기 트레이의 취출은 차단하지 않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형태의 히트 싱크는 상기 캐비넷의 밖으로 통하는 두개의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캐비티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쇼울더들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쇼울더 위에 배치되는 다리와, 상기 캐비티 위에서 상기 다리 사이에 뻗어있는 가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다리가 상기 쇼울더 위에 있고 상기 커버가 상기 림에 밀접하게 배치된 밀폐 위치, 또는 상기 다리가 상기 쇼울더에 얹혀 있고 상기 가로벽이 상기 트레이의 림에서부터 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통기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뒤집어 질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벽은 상기 트레이의 림 바로 위쪽에 위치된 상승영역과, 상기 트레이의 림 위에 위치하지만 상기 상승영역에 둘러싸여 있는 함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가로벽의 상승영역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함몰영역의 단부들과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0. 각각 제 1 및 제 2 수평에지를 구비한 한쌍의 수직 다리; 및
    상기 다리의 제 2 에지 보다 제 1 에지에 가깝게 그 측면이 상기 다리에 결합된 가로벽을 포함하며,
    트레이 위에 위치하고 지지용 쇼울더를 구비한 히트 싱크내에 설치되며 상기 쇼울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저장 트레이용 커버.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벽은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벽에 고정되고 개구를 갖는 슬라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가로벽 상에서 상기 슬라이드 내의 상기 개구가 상기 가로벽 내의 상기 개구를 노출하는 위치와 상기 슬라이드가 상기 가로벽내의 상기 개구를 밀폐하는 위치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저장 트레이용 커버.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벽은 상기 다리에 연결된 상승영역과, 상기 가로벽의 측면과 단부로부터 안쪽에 위치한 함몰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저장 트레이용 커버.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벽은 그 단부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함몰영역에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저장 트레이용 커버.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벽은 그 단부에서 상기 다리의 제 2 에지쪽으로 들어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저장 트레이용 커버.
KR10-2001-7012503A 1999-03-31 2000-03-30 보관 또는 조리용 오븐 KR100509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231399A 1999-03-31 1999-03-31
US09/282,313 1999-03-31
US09/538,761 2000-03-30
US09/538,761 US6175099B1 (en) 1999-03-31 2000-03-30 Holding or cooking ov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647A true KR20020005647A (ko) 2002-01-17
KR100509521B1 KR100509521B1 (ko) 2005-08-23

Family

ID=2308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503A KR100509521B1 (ko) 1999-03-31 2000-03-30 보관 또는 조리용 오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75099B1 (ko)
KR (1) KR100509521B1 (ko)
AU (1) AU41877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9587A (en) * 1995-05-11 2000-09-19 Restaurant Technology, Inc. Cooked food staging device and method
CA2283321A1 (en) 1997-03-03 1998-09-11 O.R.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e infusion and temperature control of infused liquids
US6660974B2 (en) 1997-04-07 2003-12-09 Medical Solutions, Inc. Warming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various items utilized in surgical procedures
US6768085B2 (en) 2001-07-02 2004-07-27 Medical Solutions, Inc. Medical solution warming system and method of heating and maintaining medical solutions at desired temperatures
US7276675B2 (en) * 1997-04-07 2007-10-02 Patented Medical Solutions, Llc Medical item thermal treatment systems and method of monitoring medical items for compliance with prescribed requirements
US7041941B2 (en) * 1997-04-07 2006-05-09 Patented Medical Solutions, Llc Medical item thermal treatment systems and method of monitoring medical items for compliance with prescribed requirements
WO1998045658A1 (en) 1997-04-07 1998-10-15 Medical Solutions, Inc. Warming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various items utilized in surgical procedures
US6467953B1 (en) 1999-03-30 2002-10-22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emperature of intravenously delivered fluids and other medical items
JP2002539873A (ja) 1999-03-31 2002-11-26 デューク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保持又は調理用オーブン
AU7998300A (en) * 1999-10-08 2001-04-23 Medical Solutions, Inc. Temperature controlled cabinet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items to desired temperatures
US6412403B1 (en) * 2000-02-29 2002-07-02 Prince Cast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oked food in a ready-to-serve condition using a freestanding cover for food trays
US6637322B2 (en) * 2000-02-29 2003-10-28 Prince Castle Inc. Apparatus for maintaining cooked food in a ready-to-serve condition using a freestanding cover for food trays
ATE345073T1 (de) * 2001-02-27 2006-12-15 Nestle Sa Apparat und methode zum schnellen erwärmen von verpackten mahlzeiten
US7031602B2 (en) * 2001-03-12 2006-04-18 Patented Medical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infused liquids
US7238171B2 (en) * 2001-03-12 2007-07-03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surized infusion and temperature of infused liquids
US8226605B2 (en) 2001-12-17 2012-07-24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solutions within intravenous lines to desired temperatures during infusion
DE10203606A1 (de) * 2002-01-30 2003-07-3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Lichtwellenofen mit Schublade
US6658994B1 (en) * 2002-04-10 2003-12-09 Chromalox, Inc. Modular assembly for a holding cabinet controller
US7105779B2 (en) * 2002-07-10 2006-09-12 Duke Manufacturing Company Food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US7328654B2 (en) * 2002-07-10 2008-02-12 Duke Manufacturing Company Food warming apparatus
WO2004005819A2 (en) 2002-07-10 2004-01-15 Duke Manufacturing Company Food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US6735971B2 (en) 2002-10-08 2004-05-18 Duke Manufacturing Company Food serving bar
US20050205081A1 (en) * 2004-03-18 2005-09-22 American Permanent Ware Corporation Drawer for a heated food cabinet
JP4944893B2 (ja) * 2005-10-17 2012-06-06 マーコ/セイヴリ エルエルシー 取外し可能なトレーカバーを備えた食品保存キャビネット
JP2009519108A (ja) * 2005-12-13 2009-05-14 ソノコ デベロップメント,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加熱用フードトレー
US8487738B2 (en) * 2006-03-20 2013-07-16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storing medical items within a thermal treatment system
US20070227367A1 (en) * 2006-03-29 2007-10-04 Antal Keith E Sr Food rack
US8695489B2 (en) * 2006-04-28 2014-04-15 Restaurant Technology, Inc. Food staging device
US7905173B2 (en) * 2006-04-28 2011-03-15 Restaurant Technology, Inc. Food staging device, method of storing foods, and method of making a sandwich
US8601941B2 (en) * 2006-06-23 2013-12-10 Restaurant Technology, Inc. Food tray, insert and method
US8838457B2 (en) * 2007-03-07 2014-09-16 Vlingo Corporation Using results of unstructured language model based speech recognition to control a system-level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s facility
US7858906B2 (en) * 2007-06-08 2010-12-28 Prince Cast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oked food in a ready-to-use condition
US8573118B2 (en) * 2007-10-03 2013-11-05 Restaurant Technology, Inc. Food tray and method
US8071918B2 (en) * 2007-10-30 2011-12-06 Prince Castle LLC. Controller for a food holding oven
US20090145305A1 (en) * 2007-12-10 2009-06-11 Johanson James E Two piece food tray
US8096231B2 (en) * 2008-02-12 2012-01-17 Prince Cast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oked food in a ready-to-use condition
US8091472B2 (en) * 2008-04-25 2012-01-10 Prince Castle, Inc. Post-supported covers for food trays
EP2786685A1 (en) * 2008-12-08 2014-10-08 Duke Manufacturing Co. Rethermalizing apparatus
US20110114618A1 (en) * 2009-11-16 2011-05-19 Prince Castle, Inc Universal food holding cabinet with snap-in escutcheons
US20110114624A1 (en) * 2009-11-16 2011-05-19 Prince Castle, Inc Food holding cabinet power supplies with downloadable software
US20110114625A1 (en) * 2009-11-16 2011-05-19 Prince Castle, Inc Food holding cabinet with self-aligning and addressable power supplies
US9003820B2 (en) 2010-04-20 2015-04-14 Prince Castle LLC Point-of-use holding cabinet
US8362404B2 (en) 2010-05-17 2013-01-29 Carter Hoffmann, Inc. Open warming cabinet
US9068768B2 (en) 2010-05-19 2015-06-30 Prince Castle LLC Refrigerated point-of-use holding cabinet with downloadable software
US8607587B2 (en) * 2010-05-19 2013-12-17 Prince Castle LLC Refrigerated point-of-use holding cabinet
US8522675B2 (en) 2010-05-21 2013-09-03 Prince Castle, LLC Holding cabinet for separately heating food trays
AU2012290285A1 (en) * 2011-07-29 2014-02-13 Duke Manufacturing Co. Oven and apparatus for holding a food item in an oven cavity
US9211381B2 (en) 2012-01-20 2015-12-15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medical liquids
KR20150036197A (ko) 2012-06-26 2015-04-07 더 델필드 컴퍼니, 엘엘씨 가열된 공기 흐름을 갖는 수분 및 바삭바삭한 제품 보관 캐비넷
RU2640427C2 (ru) * 2012-10-31 2018-01-09 Плуристем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оражива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EP2915409A1 (en) 2012-11-05 2015-09-09 Duke Manufacturing Co. Oven with various features, including boost heating and preheat status
WO2014126964A1 (en) 2013-02-15 2014-08-21 Medical Solutions, Inc. Plural medical item warming system and method for warming a plurality of medical items to desired temperatures
EP3039621A4 (en) 2013-08-27 2017-01-18 Duke Manufacturing Co. Food management system
USD749894S1 (en) 2014-03-14 2016-02-23 Duke Manufacturing Co. Container lid
CN105361715B (zh) * 2014-09-01 2018-02-09 宁波市晶睿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加热装置
US9693655B2 (en) * 2014-09-17 2017-07-04 Duke Manufacturing Co. Pan storage apparatus
US9677774B2 (en) 2015-06-08 2017-06-13 Alto-Shaam, Inc. Multi-zone oven with variable cavity sizes
US9879865B2 (en) 2015-06-08 2018-01-30 Alto-Shaam, Inc. Cooking oven
US10337745B2 (en) 2015-06-08 2019-07-02 Alto-Shaam, Inc. Convection oven
US10890336B2 (en) 2015-06-08 2021-01-12 Alto-Shaam, Inc.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multizone oven
US10088172B2 (en) 2016-07-29 2018-10-02 Alto-Shaam, Inc. Oven using structured air
US10258197B1 (en) 2015-07-17 2019-04-16 Carter-Hoffmann LLC Modular holding cabinet
US10271689B2 (en) * 2015-09-10 2019-04-30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10455983B2 (en) * 2015-09-10 2019-10-29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9901213B2 (en) 2015-09-10 2018-02-27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10154757B2 (en) * 2015-09-10 2018-12-18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9962038B2 (en) 2015-09-10 2018-05-08 Prince Castle LL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D807698S1 (en) * 2016-02-23 2018-01-16 Hestan Commercial Corporation Radiant grill tray
US9980322B1 (en) 2016-04-19 2018-05-22 Prince Castle LLC Multi-zone food holding bin
USD809326S1 (en) 2016-04-19 2018-02-06 Prince Castle LLC Food holding bin
US9976750B1 (en) 2016-04-20 2018-05-22 Prince Castle LLC Multi-zone food holding bin
US11185191B2 (en) 2016-05-20 2021-11-30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Modular food holding system
US11877586B2 (en) 2018-01-07 2024-01-23 Richard WELDON-MING Food dehydrator
US11980321B2 (en) 2019-10-31 2024-05-14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Cooking appliance with cooked food holding apparatus
DE102019132871A1 (de) * 2019-12-03 2021-06-1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und Erwärmen von Speis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CN112137439B (zh) * 2020-10-23 2024-03-15 纯米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蒸汽发生装置和蒸汽烤箱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6091A (en) 1935-03-08 1937-04-06 Angus Roy Shannon Oven
GB829729A (en) 1957-04-22 1960-03-09 Gen Motors Corp Improved electric oven
US2964609A (en) 1957-07-01 1960-12-13 Seymour M Anoff Food preserving cabinet construction
US3751629A (en) 1957-07-24 1973-08-07 P Eisler Surface heating device
US3051582A (en) 1959-08-24 1962-08-28 Southern Equipment Company Method of storing prepared foods
US3313917A (en) 1963-11-21 1967-04-11 Litton Prec Products Inc Doorless infrared oven
US3353885A (en) 1966-02-01 1967-11-21 Howard C Hanson Expansible multi-purpose cabinet
US3681568A (en) 1971-12-15 1972-08-01 John Oster Mfg Electrically heated cooking appliance
US3908749A (en) 1974-03-07 1975-09-30 Standex Int Corp Food service system
US4110587A (en) 1975-03-20 1978-08-29 Patents Licensing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food
US4024377A (en) 1975-09-10 1977-05-17 Lincoln Manufacturing Company, Inc. Hot well and method of heating
NL7714175A (nl) 1976-12-31 1978-07-04 Modeste De Filippis Bladenkast.
US4198559A (en) 1977-12-20 1980-04-15 Clairol Incorporated Heat retaining appliance
US4784054A (en) * 1986-08-28 1988-11-15 Restaurant Technology, Inc. Equipment for holding or staging packaged sandwiches
US5188020A (en) 1991-10-11 1993-02-23 Buchnag Kamal M Food shelving and cycling system
US5365038A (en) 1992-02-14 1994-11-15 Kabushiki Kaisha Nissei Giken Covered defroster with a defrosting plate over a latent heat source
US5235903A (en) 1992-03-17 1993-08-17 Tippmann Eugene R Subatmospheric pressure cook-and-hold steaming oven
IT230270Y1 (it) 1993-06-10 1999-06-02 Lombardi Luigi Forno elettrico perfezionato, ad uso domestico, particolarmente studiato per la cottura di pizze, focacce e simili
US5653905A (en) 1995-02-16 1997-08-05 Mckinney; Eugene F. Royalton natural air movement system
US6119587A (en) * 1995-05-11 2000-09-19 Restaurant Technology, Inc. Cooked food staging device and method
US5783803A (en) 1995-12-20 1998-07-21 Robards, Jr.; Chester F. Food warming apparatus
US5852967A (en) 1997-02-03 1998-12-29 Restaurant Technology, Inc. Food treatment system
US6031208A (en) 1998-11-12 2000-02-29 Hatco Corporation Topless holding bin with side heat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5099B1 (en) 2001-01-16
AU4187700A (en) 2000-10-16
KR100509521B1 (ko) 200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9521B1 (ko) 보관 또는 조리용 오븐
US6541739B2 (en) Holding or cooking oven
US6884451B2 (en) Method for maintaining cooked food in a ready-to-serve condition using a freestanding cover for food trays
US6878391B2 (en) Method for maintaining cooked food in a ready-to-serve condition using a freestanding cover for food trays
US5767487A (en) Subatmospheric pressure cooking device
US4320699A (en) Flexible separable, non-stick liners for heated cooking surfaces
US3130288A (en) Food-service device
JP2004504902A (ja) 調節可能な換気システムを備えた調理容器
US20030197001A1 (en) Electric grill with food divider
US9084429B2 (en) Food tray and tray insert
US4662273A (en) Greaseless cooker for food items
WO1995004445A1 (en) Subatmospheric pressure cooking device
WO2005065457A1 (en) Cooking tray for rapid cook oven
US6067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food utilizing a combination serving cradle and trivet
US5706718A (en) Rethermalizer with expansible rack
CA2566819C (en) Heating device comprising a tray with a cover
JPH072137B2 (ja) 加熱調理装置
JPH0556965B2 (ko)
JP3045121U (ja) 焼物プレート
KR20040107639A (ko) 전기쿠커의 조리용기
JPH0739489U (ja) 容器入り冷凍食品
JPH06343560A (ja) 加熱調理器
KR20090026164A (ko) 선택형 압력밥솥
JPH1094471A (ja) 回転式蒸物飲食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128

Effective date: 201304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523

Effective date: 20131031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120

Effective date: 201402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307

Effective date: 201403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