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598A - 내연기관용 밸브의 제어 방법 및 밸브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밸브의 제어 방법 및 밸브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598A
KR20020005598A KR1020017010842A KR20017010842A KR20020005598A KR 20020005598 A KR20020005598 A KR 20020005598A KR 1020017010842 A KR1020017010842 A KR 1020017010842A KR 20017010842 A KR20017010842 A KR 20017010842A KR 20020005598 A KR20020005598 A KR 20020005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version
conversion valve
opening
tim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5391B1 (ko
Inventor
게슬러헤르만
디흘우도
미쉬커카르스텐
발터라인너
프란즐스테판
쉬만위르겐
그로쎄크리스티안
보이헤폴커
라이머스테판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20005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1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동작을 통하여 내연기관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된 기체 변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의 개폐 동작은 이 기체 변환 밸브의 개폐시 지연 시간에 따라서 발생한다. 또한, 기체 변환 밸브는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예비 조절 시간을 변경하고 이 기체 변환 밸브의 개폐 동작을 검출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용 밸브의 제어 방법 및 밸브 제어 장치{Valve control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 변환 밸브를 우수 및 용이하게 조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폐 동작을 통하여 내연기관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된 기체 변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의 개폐 동작은 이 기체 변환 밸브가 개폐할 때의 지연 시간에 따라서 발생한다.
도 1은 기체 변환 밸브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체 변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배출 밸브의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유입 밸브의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시간 변화에 따른 기체 변환 밸브의 위치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시간 변화에 따른 공기 질량 유량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시간 변화에 따른 전체 공기 질량 유량을 도시한 그래프.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제어 방법과 청구항 제 12 항에 따른 밸브 제어 장치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내연기관의 출력 조절은 기체 변환 밸브의 개폐 동작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기체 변환 밸브의 개폐 동작은 이 기체 변환 밸브가 개폐될 때의 지연 시간에 따라서 발생하며, 또한 기체 변환 밸브는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예비 조절 시간을 오랫동안 변경시키고 기체 변환 밸브의 개폐 동작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체 변환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신호는 기체 변환 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신호가 시작할 때와 기체 변환 밸브가 개방할 때의 시간 사이의 개방 지연 시간에 따라서 형성되며, 기체 변환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는 예비 조절 시간에 걸쳐 오랫동안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를 폐쇄하기 위한 신호는 기체 변환 밸브를 폐쇄시키기 위한 신호가 시작할 때와 기체 변환 밸브가 폐쇄할 때의 시간 사이의 폐쇄 지연 시간에 따라서 형성되며, 기체 변환 밸브를 폐쇄하기 위한 시간은 예비 조절 시간에 걸쳐 오랫동안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 시간은 기체 변환 밸브의 개방 및/또는 폐쇄 동작이 검출되지 않을 때 변경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은 기체 변환 밸브의 개방 및/또는 폐쇄 동작이 검출될 때 조절 시간에 따라서 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은 기체 변환 밸브의 개방 및/또는 폐쇄 동작이 검출될 때 조절 시간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체 변환 밸브를 위한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은 내연기관의 다른 기체 변화 밸브의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과 상관없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의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은 내연기관의 구동 상태들 사이에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는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내연기관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기체 변환 밸브의 조절 동작과 상관없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의 개방 및/또는 폐쇄 동작은 고체내 음파 전달 측정법, 공기내 음파 전달 측정법, 공기 질량 측정법, 각 실린더의 공기 질량 측정법, 흡기관 압력 측정법 및/또는 연소실 압력 측정법에 의해서 검출된다.
다른 장점과 세부사항들은 실시예들의 다음 설명을 통하여 기술한다.
도 1에서는 내연기관의 기체 변환 밸브(1)를 조절하도록 제공된 유입 밸브(3)와 배출 밸브(4)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제어 장치(10)를 도시한다.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는 실린더 헤드(5)에 배치된다. 기체 변환 밸브(1)의 중간에서구멍(8)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구멍(8)을 통하여 내연기관의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공기 질량 유량()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밸브 제어 장치에는 유압 유체를 펌핑하기 위하여 하나의 펌프(6)가 제공된다. 유입 밸브(3)와 배출 밸브(4)의 중간에서 유동하는 유압 유체의 유입 및 배출 유동은 유압 조절 장치(2) 내에서 제어되며, 이로써 기체 변환 밸브(1)가 운동한다. 유입 밸브(3)가 개방되고 배출 밸브(4)가 폐쇄되면, 유압 유체가 유압 조절 장치(2) 내로 유입되면서 상기 밸브를 z 방향으로 운동시킨다. 이와 반대로, 유입 밸브(3)가 폐쇄되고 배출 밸브(4)가 개방되면, 유압 유체가 유압 조절 장치(2)로부터 배출되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를 -z 방향으로 운동시킨다. 상기 배출 밸브(4)를 통하여 배출된 유압 액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유압 액체용 탱크(7)가 제공된다. 상기 유입 밸브(3)와 배출 밸브(4)는 밸브 제어 장치(10)의 신호(s3, s4)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밸브 제어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은 고체내 음파 전달 센서, 공기내 음파 전달 센서, 공기 질량 센서, 흡기관 압력 센서, 각 실린더의 공기 질량 센서, 흡기관 압력 센서 및/또는 연소 압력 센서와 결합된다.
도 2는 기체 변환 밸브(1)의 개방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밸브 제어 장치(10)에서 실시되는 순서도이다. 여기에 표기한 도면부호 20은 순서도의 시작 부분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32는 순서도의 끝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순서도의 진행이 시작(20)된 후에, 단계(21)에서 소위 밀침 운동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밀침 운동이 발생한 상태에서, 내연기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운동 에너지는 내연기관 내에서 연료가 연소되지 않고도 내연기관을 운동시킨다. 한편, 밀침 운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다음의 초기화 단계(22)로 진행한다. 이 초기화 단계(22)에서는 내연기관의 i번째 기체 변화 밸브에 해당하는 개방 지연 시간이 결정된다.
상기 초기화 단계(22)에 이어서 또 다른 판별 단계(23)가 실시된다. 이 판별 단계(23)에 의해서 밀침 운동이 발생하는지, 그리고 밀침 구동이 허용(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폐쇄 기체 변환 밸브를 이용함)되는지는 판별된다. 밀침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밀침 구동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이와 반대로, 밀침 운동이 발생하고 밀침 구동 운동이 허용되면, 판별 단계(24)에서는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동()이 0보다 큰지를 판별한다.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동()이 0보다 크다면 다음 판단 단계(23)가 진행된다. 이와 반대로,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동()이 0보다 크지 않다면, 단계(25)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25)에서, i번째 기체 변환 밸브에 대해서 지연 시간(TAN(i))은 값 x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즉, TAN(i) = x. 또한, 기체 변환 밸브는 조절 시간(TAN(i))에 걸쳐 오랫동안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배출 밸브(4)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s4)의 출력을 통하여 폐쇄된다. 이후, 유입 밸브(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s3)를 통하여 조절 시간(TAN(i))에 걸쳐 오랫동안 개방된다. 도 3과 도 4에서는 신호(s4, s3)를 시간(t)에 대해 표시한다.유입 밸브(3)를 폐쇄한 후에, 배출 밸브(4)는 다시 개방된다.
단계(25) 이후에 판별 단계(24)와 동일한 판별 단계(26)가 실시된다. 즉, 이 판별 단계에서는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량()이 0보다 큰지를 판별한다. 상기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량()이 0보다 크다면, 단계(27)에서 값(x)을 n·Δ로 축소한다. 여기서, n은, 예를 들어 3과 같은 수치이며 Δ는 지속 시간이다. 상기 단계(27)에 이어서 판별 단계(23)가 실시된다.
이와 반대로, 판별 단계(26)에서 기체 변환 밸브(1) 혹은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량()이 0보다 크지 않다고 인식되며, 단계(28)에서 조절 시간(TAN(i))이 값(Δ)만큼 증가한다. 이를 위하여, 기체 변환 밸브는 조절 시간(TAN(i))에 걸쳐 단계(25)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조절된다.
단계(28)에 이어서 단계(24, 26)와 동일한 단계(29)가 실시된다. 즉, 이 단계에서는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량()이 0보다 큰지를 판별한다. 상기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량()이 0보다 크지 않다면, 판별 단계(30)에서 밀침 운동이 존재하는지와 밀침 구동이 허용될 수 있는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 단계(30)는 판별 단계(23)와 동일하다. 밀침 구동 운동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거나 밀침 구동 운동이 (더 이상) 허용되지 않는다면,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이와 반대로, 밀침 운동이 존재하면, 밀침 구동 운동이 허용되고, 따라서 다시 단계(28)가 실시된다.
이와 반대로, 판별 단계(29)에서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량()이 0보다 크다면 단계(31)가 실시된다. 이 단계(31)에서 개방 지연 시간은 실제 조절 시간(TAN(i))과 동일하게 설정되며, 이어서 상기 조절 시간(TAN(i))은 (초기화 단계(22)에서처럼) 초기화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단계(31)에서는 값(i)이 1만큼 증가한다. 이 새로운 값(i)이 기체 변환 밸브의 개수보다 크다면, 상술한 방법이 실시되어야 한다. 단계(31)에 이어서 판별 단계(23)가 실시된다. 도 2에 따른 순서도는 기체 변환 밸브(1)의 폐쇄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체 변환 밸브는 조절 시간(TAN(i))에 걸쳐 오랫동안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정의하고자 하는 시간은 유입 밸브(3)의 개방 상태와 배출 밸브(4)의 폐쇄 시간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유입 밸브(3)는 폐쇄되고 배출 밸브(4)는 조절 시간(TAN(i))에 걸쳐 오랫동안 개방된다. 상기 판별 단계(26, 29)에서는가 0과 동일한지를 판별함으로써 셋팅된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에 따른 실시예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용도로 도시한다. 여기서, 도 5는 시간(t)에 걸친 기체 변환 밸브(1)의 위치(z)를 도시하며, 이 도면에 대하여 도 3과 도 4에서 신호(s4, s3)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량()을 도시한다. 상기 공기 질량 유량()을 측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2에 따른 순서도에서 판단 단계(24, 26, 29)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구멍(8)을 통과하는 각 기체 변환 밸브(1)의 공기 질량유량()은 측정하기가 곤란하다. 전체 공기 질량 유동()을 복수의 기체 변환 밸브용 공기 공급을 통하여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질량 유동()을,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며, 여기서 공기 질량 유동()은 시간(t)에 걸쳐서 적용된다. 기체 변환 밸브(1)와 전체 공기 질량 유동()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사이에서 일정 간극을 조건으로 할 때, 기체 변환 밸브(1)의 구멍 효과는 전체 공기 질량 유동()에서 상사 시점(τ)만큼 지연된다. 전체 공기 질량 유동을 평가함으로써, 기체 변환 밸브(1)의 개방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평가는, 예를 들어 전체 공기 유동()이 기체 변환 밸브(1)의 개방에 기초하여 전체 공기 질량 유동()에서의 반응을 예상하는 시간창(time window)에서 모니터링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체 질량 유동() 혹은 이 유동의 평균값을 적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체 변환 밸브(1)가 개방될 때의 상기 적분값 혹은 평균값을 등분하며, 이로써 구멍(8)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유동()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의 개방 및/또는 폐쇄를 고체내 음파 전달 측정법, 공기내 음파 전달 측정법, 흡기관 압력 측정법 및/또는 연소 압력 측정법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2에 따른 순서도에서 상기 판단 단계(24, 26, 29)들은 기체 변환 밸브가 개방되는지, 혹은 고체내 음파 전달 측정법의 경우에 기체 변환 밸브가 밸브 시트와 충돌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설정된다.

Claims (12)

  1. 개폐 동작을 통하여 내연기관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된 기체 변환 밸브(1)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의 개폐 동작은 이 기체 변환 밸브(1)의 개폐시 지연 시간에 따라서 발생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는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예비 조절 시간(TAN)을 변경하고 이 기체 변환 밸브(1)의 개폐 동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를 개방시키기 위한 신호는 기체 변환 밸브(1)를 개방시키기 위한 신호가 시작할 때와 기체 변환 밸브(1)가 개방할 때의 시간 사이의 개방 지연 시간에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는 예비 조절 시간(TAN)에 걸쳐 오랫동안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를 폐쇄하기 위한 신호는 기체 변환 밸브(1)를 폐쇄시키기 위한 신호가 시작할 때와 기체 변환 밸브(1)가 폐쇄할 때의 시간 사이의 폐쇄 지연 시간에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를 폐쇄하기 위한 신호는 예비 조절 시간(TAN)에 걸쳐오랫동안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시간(TAN)은 기체 변환 밸브(1)의 개방 동작 및/또는 폐쇄 동작이 검출되지 않을 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시간(TAN)은 기체 변환 밸브(1)의 개방 동작 및/또는 폐쇄 동작을 검출할 때까지 오랫동안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은 기체 변환 밸브(1)의 개방 동작 및/또는 폐쇄 동작이 검출될 때 조절 시간에 따라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은 기체 변환 밸브(1)의 개방 동작 및/또는 폐쇄 동작이 검출될 때 조절 시간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의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은 내연기관의 다른 기체 변환 밸브의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과 상관없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를 위한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은 내연기관의 구동 상태들 사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는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내연기관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기체 변환 밸브의 조절 동작과 상관없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의 개방 및/또는 폐쇄 동작은 고체내 음파 전달 측정법, 공기내 음파 전달 측정법, 공기 질량 측정법, 각 실린더의 공기 질량 측정법, 흡기관 압력 측정법 및/또는 연소실 압력 측정법에 의해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개폐 동작을 통하여 내연기관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된 기체 변환 밸브(1)를 제어하며, 특히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의 개폐 동작은 이 기체 변환 밸브(1)의 개폐시 지연 시간에 따라서 발생하는 밸브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기체 변환 밸브(1)는 개방 지연 시간 및/또는 폐쇄 지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예비 조절 시간(TAN)을 조절하고 이 기체 변환 밸브(1)의 개폐 동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제어 장치.
KR1020017010842A 1999-12-30 2000-11-10 내연기관용 밸브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745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3753.9 1999-12-30
DE19963753A DE19963753A1 (de) 1999-12-30 1999-12-30 Ventilsteuer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598A true KR20020005598A (ko) 2002-01-17
KR100745391B1 KR100745391B1 (ko) 2007-08-03

Family

ID=793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842A KR100745391B1 (ko) 1999-12-30 2000-11-10 내연기관용 밸브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81557B1 (ko)
EP (1) EP1159513B1 (ko)
JP (1) JP2003519315A (ko)
KR (1) KR100745391B1 (ko)
DE (2) DE19963753A1 (ko)
WO (1) WO2001049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5967A1 (de) * 2002-02-14 2003-08-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Öffnung eines Einlassventils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310300A1 (de) * 2003-03-10 2004-09-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draulischen Aktors, insbesondere eines Gaswechselventils einer Brennkraftmaschine
ITBO20030388A1 (it) * 2003-06-23 2004-12-24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Metodo e dispositivo di controllo di un gruppo elettroidraulico
DE102004010903B3 (de) * 2004-03-05 2005-09-08 Siemens Ag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Gasmasse in einem Zylinder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4016804A1 (de) * 2004-04-06 2005-10-27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r Körperschallmessung
US7261070B2 (en) * 2005-03-01 2007-08-28 Jones James W Linear fluid engine
DE102005026054B4 (de) * 2005-06-07 2007-04-12 Dr.Ing.H.C. F. Porsch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stüchtigkeit einer Ventilhub-Verstellein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in einer Kaltstartphase
JP4220516B2 (ja) 2005-12-29 2009-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機構の故障検知装置
DE102007021109A1 (de) * 2007-05-03 2008-11-13 Jan Mendzigall Verbrennungsmotor mit Querventilen
US20090319160A1 (en) * 2008-06-24 2009-12-24 Callahan Joseph E Active exhaust valve control strategy for improved fuel consumption
DE102009000265A1 (de) * 2009-01-16 2010-07-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Anzahl Einspritzungen
DE102010027215B4 (de) 2010-07-15 2013-09-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0027213A1 (de) * 2010-07-15 2012-01-1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0027214B4 (de) * 2010-07-15 2013-09-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CN109578152B (zh) * 2018-12-11 2020-07-24 大连理工大学 具有停缸功能的液压连续可变气门驱动机构及控制方法
CN111502793B (zh) * 2020-05-11 2021-04-23 江苏科技大学 一种船用低速柴油机电磁直驱泵控排气阀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03892A (de) * 1969-08-30 1971-02-28 Bosch Gmbh Robert Steuerung von Ein- und Auslassventilen von Brennkraftmaschinen durch Flüssigkeit
DE2006304A1 (de) 1970-02-12 1971-08-1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teuerung von Ein und Auslaßventilen bei Brennkraftmaschinen
US4009695A (en) * 1972-11-14 1977-03-01 Ule Louis A Programmed valv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33304A (en) * 1974-06-14 1977-07-05 David Luria Piston-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9128971A (ja) 1983-01-10 1984-07-25 Yanmar Diesel Engine Co Ltd 内燃機関の燃焼用開閉弁の制御装置
JPH0612058B2 (ja) * 1984-12-27 1994-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リフト装置
JP2934682B2 (ja) 1991-03-28 1999-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機関弁の油圧駆動装置
JP3831778B2 (ja) * 1996-06-13 2006-10-11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多自由度動弁系制御システム
DE19623698A1 (de) * 1996-06-14 1997-12-18 Fev Motorentech Gmbh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Antriebe von Hubventilen an einer Kolbenbrennkraftmaschine
DE19641244B4 (de) 1996-10-07 2005-04-14 Fev Motorentechnik Gmbh Verfahren zur Justier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Aktu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19315A (ja) 2003-06-17
WO2001049981A1 (de) 2001-07-12
KR100745391B1 (ko) 2007-08-03
EP1159513B1 (de) 2006-03-22
DE50012453D1 (de) 2006-05-11
EP1159513A1 (de) 2001-12-05
US6581557B1 (en) 2003-06-24
DE19963753A1 (de)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5598A (ko) 내연기관용 밸브의 제어 방법 및 밸브 제어 장치
US72755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alv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ump-nozzle apparatus with the valve
CN101072940A (zh) 电动机式提升阀及使用该提升阀的内燃机egr装置
US4539967A (en) Duty ratio control method for solenoid control valve means
EP0397360B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of an engine
KR20040044892A (ko) 축압식 연료 분사 장치
WO2001023726A1 (fr) Dispositif de command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7004143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44227B1 (en) Valve assembly using pressurized medium for contro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a two-stroke engine
JPS6114350B2 (ko)
RU2668050C2 (ru) Способ и управляющий блок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газообмена в цилиндре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а также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таким управляющим блоком
CN110892357A (zh) 流体控制系统以及流量测定方法
JP4478487B2 (ja) 内燃機関の作動方法
JP2006188952A (ja) エンジン
US690733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120393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JP3025395B2 (ja) 流量制御弁装置
JP2006090306A (ja) 少なくとも1つのシリンダを有する内燃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JP3733620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KR102555190B1 (ko) 유량 제어 장치
KR102166887B1 (ko) 이중 유로를 이용한 추진 기관의 유동 모의용 공기 조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57634B1 (ko)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연소 엔진의 환원제 계량공급 밸브를 제어하는 방법
JP3191332B2 (ja)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20020075910A (ko) 제어 밸브를 통과하는 질량 흐름과 모델링된 흡기관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371445B1 (ko) 디젤엔진용 전자제어 연료 분사장치에 있어 분사시기를타이밍 제어하기 위한 연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분사시기의 타이밍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