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975A - 무선 fm 수신기 - Google Patents

무선 fm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975A
KR20020004975A KR1020017011932A KR20017011932A KR20020004975A KR 20020004975 A KR20020004975 A KR 20020004975A KR 1020017011932 A KR1020017011932 A KR 1020017011932A KR 20017011932 A KR20017011932 A KR 20017011932A KR 20020004975 A KR20020004975 A KR 20020004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plitter
oscillator
output signals
v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954B1 (ko
Inventor
카스퍼코비츠울프드에트리치지.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2000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07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converting the oscillations into two quadrature relate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무선 FM 수신기는 수신된 무선 신호들의 주파수를 낮게 변환(transforming down)하고, 직교 출력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해 주파수 2-분할기를 통하여 직교 조합 회로에 접속될 수 있는 전압-제어 발진기, 및 상기 조합 회로에 접속된 검출 및 음성 재생 수단이 제공된다. 수신기는 또한 이 조합 회로에 접속된 검출 및 음성 재생 수단이 더 제공된다. 주파수 3-분할기가 추가로 제공되고, 이를 통해 발진기가 조합 회로에 접속될 수 있으며, 2-분할기 또는 3-분할기 중 어느것에 의해서든 믹서 소자를 발진기에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 FM 수신기{Radio FM receiver}
이러한 무선 FM 수신기는, 예를 들면, US-A-5,761,615로부터 공지되었다.
타입 지정 TEA 6840을 갖는 자동차 라디오 IC가 근래에 개발되었다. 이러한 IC 의 추가적인 개발의 목적은, IC의 기본 구성에 최소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블록들을 대체하거나 기능들을 부가하는 가능성을 제공함에 의해 그것의 기능들을 강화하는 것이다.
소위-일본 대역(Japanese band)의 수신은 유럽/미국 대역에 동조되는 TEA 6840 IC가 개선의 필요성이 있는 관점중의 하나이다. 튜닝 부의 변경은 기능들의 향상을 위해 요구된다. 상기 명시된 것처럼, 이러한 변경은 IC의 기본 구성의 변경의 결과로 나타내서는 안되며; VCO 주파수의 튜닝 영역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어야한다.
유럽 및 미국에서 통상 이용되는 FM 모드의 희망하는 수신 채널들은 87.3MHz 와 108.3MHz 사이에 놓여있다. 그러나, 일본에서 희망하는 수신 채널은 76MHz 와 90MHz 사이에 놓여있다. 하기의 표 1은 유럽/미국(EU/US) 상태, 2-분할기(2-JP)를 이용하는 일본의 상태, 및 일본의 관례적인 상태(1-JP)에서의 수신 채널들의 주파수 대역들, 발진기 주파수 영역들, 조합 주파수, 얻어진 중심 주파수 및 발진기의 튜닝 전압 영역을 열거했다.
주파수 2-분할기는, 발진기 주파수(fVCO)가 196 MHz 에서 238 MHz 까지의 범위에 놓여있는 경우, 98MHz 에서 119MHz까지의 범위에서의 조합 주파수(fEU)와 함께 신호를 공급한다. 유럽/미국 대역에 대하여 튜닝하는 동안 믹서 소자 안에서 얻어진 중심 주파수는 10.7MHz에 놓인다. 발진기의 튜닝 전압은 이 경우 약, 2 에서 5.5 V 까지 변경 될 것이다. 일본 대역(76 에서 90MHz 까지: 표 1 안의 2-JP 참조)에 대하여, 동일한 주파수 2-분할기는 173.4 에서 201.4 MHz까지의 범위의 발진기 주파수를 갖는 10.7MHz의 중심 주파수를 얻기 위해서 이용된다. 발진기의 튜닝 전압은, 그 후에 약 1 에서 2.5V 까지로 변경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실질적으로 발생하는 튜닝 문제들 때문에 희망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상황들에서, 유닛이튜닝되는 주파수는 아래의 조합 주파수에 놓여져 있다. 일본의 관례적인 상황(표 1 내의 1-JP)에서, 그러나 조합 주파수는 유닛이 튜닝되는 주파수 아래에 놓여있다. 영상 주파수 억제 문제들은 유럽/미국 대역 및 일본 대역 모두에 적합한 유니버셜 수신기(universal receiver)의 제조시에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유럽 및 미국 뿐 아니라 일본의 무선 수신에 적합하고 상기 문제점들이 방지되는 무선 FM 수신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수신된 무선 신호들의 주파수를 낮게 변환(transforming down)하고, 직교 출력 신호들(quadrature output signals)을 공급하기 위해, 주파수 2-분할기를 통하여 직교 조합 회로에 접속될 수 있는 전압-제어 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와 상기 조합 회로에 접속된 검출 및 음성 재생 수단(detection and sound reproduction means)이 제공된 무선 FM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합성기(synthesizer)는 희망하는 수신 채널로 전압-제어 발진기(VCO)를 튜닝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튜닝된 라디오들에서 이용된다. 실제로, VCO 신호는 직접적으로 버퍼로 공급되고, 그 후에 조합 회로에 공급된다. 그러나, 영상 주파수들의 억제를 위해 집적된 수단을 갖는 수신기 구조에서, VCO는 희망하는 채널로 튜닝하기 위해 필요한 주파수 보다 더 높은 주파수로 종종 튜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진기는 영상 주파수들의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직교 조합 회로를 제공하기 위해, 주파수 분할기, 특히, 주파수 2-분할기가 뒤 따른다. 그후 그것들의 출력 신호들은 두 개의 버퍼들에 공급되고, 그 후에 직교적으로(quadrature basis) 그것에 접속되어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 조합 회로들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FM 수신기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무선 FM 수신기가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3-분할기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d는 도 2의 3-분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수의 블록다이어그램들.
도 4는 주파수 3-분할기내의 분할 회로 및 두 개의 합산 네트워크들의 더 자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제공되는 다수의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주파수 3-분할기내의 분할 회로 및 두 개의 합산 네트워크들의 더 자세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완벽한 주파수 3-분할기의 더 자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라서, 시작 단락에 설명된 것과 같은 무선 FM 수신기는 이러한 목적에서, 주파수 3-분할기가 추가로 제공되고, 이를 통해 발진기가 조합 회로에 접속될 수 있으며, 또한 2-분할기 또는 3-분할기 중 어느 것에 의해서든 믹서 소자를 발진기에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196 MHz 에서 238MHz까지의 범위에서, 주어진 발진기 주파수(fVCO)가 놓여있고, 2-분할기는 98 MHz 에서 119 MHz까지의 범위에서의 조합 주파수(fEU)로 신호가 공급될 것이고, 3-분할기는 65.3 MHz 에서 79.3 MHz까지의 범위에서의 조합 주파수(fJP)로 신호가 공급될 것이다. 튜닝 동안, 믹서 소자 내에서 얻어진 중심 주파수는 유럽/미국 대역 및 일본 대역 모두에 대하여 10.7 MHz에 놓여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단들은 유럽/미국 및 일본의 주파수 대역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들 및 첨부된 영상 주파수 억제 문제들 및 VCO 튜닝 전압들 내의 차를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표 2 참조).
만일 주파수 2-분할기만이 이용된다면, 즉, 만일 유럽/미국 및 일본 주파수 대역들이 조합되는 것이 필요치 않다면, 직교 신호들은 VCO 신호의 플랭크(flanks)들을 스위칭을하여 50%의 듀티 주기(duty cycle)와 함께 쉽게 얻어질 수 있다. 50%의 듀티 주기를 갖는 주파수 3-분할기는,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 질 수 없다. 만일 직교 신호들 중 하나의 플랭크들이 VCO 신호의 플랭크들과 함께 동시에 일어난다면, 다른 직교 신호들의 플랭크들은 VCO 신호내의 펄스의 중심과 함께 동시에 일어나고; 후의 직교 신호는 VCO 신호의 플랭크들 상의 스위칭을 통하여 얻어질 수 없다. 제 1 직교 신호가 90°의 위상 이동에 종속적인, 제 2 직교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분명히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받아들일 수 없을 만큼 높게, 여기서 논의된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3°의 간격으로 에러들을 이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FM 수신기는, 매 3개의 VCO 신호 주기들마다 n 개의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 Vn(t) 을 공급하는 분할기 회로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n=1,...,6 및 △t=VCO 주기의 절반의 지속 시간에 대하여, Vn(t)=V1(t-(n-t)△t)이고,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 각각이 직교 성분을 얻기 위해 설계된 미리 결정된 가중 인자들과 함께 조합되는 두개의 합산 네트워크들이 제공되고, 그후 이와 같이 얻어진 조합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를 통하는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직교 신호들을 발생하는데 아주 정밀한 주파수 3-분할기는 이러한 방법으로 가능해지고, 후자를 유럽/미국 대역 및 일본 대역 모두에 대한 수신이 적합하게 하도록 무선 FM 수신기 내의 2-분할기와 함께 포함되는 것이 또한 적당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1 직교 성분을 얻기 위한 가중 인자들은 (-2, +2, +4, +2, +2, -2, -4)의 상호비를 갖고, 다른 직교 성분을 얻기위한 가중 인자들은 (-3, -3, 0, +3, +3, 0)의 상호비를 갖는 것이 포함된다. 주기적인 내부변경은 여기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무선 FM 수신기 뿐 아니라, 또한 상기 어떠한 청구항들 중 하나에서 청구된 것과 같은 무선 FM 수신기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주파수 분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주파수 분할기는,
매 1/2n 개의 발진기 신호 주기들에 대하여 n 개의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 Vn(T)을 공급하는 분할기 회로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정수인 n 및 △t=발진기 주기의 절반의 지속 시간에 대하여 Vn(t)=V1(t-(n-1)△t)이고, 및,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이 미리 결정된 가중 인자들과 함께 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산 네트워크와 함께 제공되고, 그후 이와 같이 얻어진 조합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를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된 것처럼 무선 FM 수신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비교적 간단한 3-분할기는 n=6일 때 두 개의 합산 네트워크들과 함께 제공된다. n의 대안적인 값도 또한 가능하다. n은 2-분할기의 경우에 4와 동일할 것이다. 가중 인자들의 조정을 통하여 몇개의 발진기의 주기들로부터 특정 주파수를 갖는 신호들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고; 발진기 주기들의 수와 형성될 주파수들 사의의 직접적인 관계는 이 경우에 필수적이지 않다.
도 1에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서 도시된 무선 FM 수신기는 안테나(1), 무선 주파수 수신기 부분(2), 및 중심 주파수 직교 신호들(I 및 Q)을 얻기위한 두 개의 믹서 유닛들(4 및 5)로 구성된 조합 회로(3), 및 상기 조합 회로(3)에 접속된 검출 및 음성 재생 수단(6)을 포함한다. 발진기 제어 범위가, 두 개의 주파수에 의한 분할이 유럽 및 미국내의 일반적인 수신 채널들을 통해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조합 주파수의 제어 범위를 포함하도록 하고, 3개의 주파수에 의한 분할은 일본에서 일반적인 채널들을 통해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조합 주파수의 제어 범위를 포함하도록 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7)가 제공된다. 상기 명시된 것처럼, 예를 들면, 196Hz 에서 238Hz까지의 범위에 놓여진 발진기 주파수(fvco)는, 2-분할기로 하여금 98MHz 에서 119MHz까지의 범위의 조합 주파수(fEU)를 갖는 신호를 공급하도록 하고, 3-분할기로 하여금 65.3MHz 에서 79.3MHz까지의 범위의 조합 주파수(fJP)를 갖는 신호를 공급하도록 한다. 튜닝 동안 믹서 유닛들 내에서 얻어진 중심 주파수는 유럽/미국 대역(98-119 MHz) 및 일본 대역(65.3-79.3MHz) 모두에 대하여 10.7MHz에 놓여질 것이다.
2-분할기(8) 및 3-분할기(9)는 각각이 2 개 및 3 개의 주파수 분할을 위해 VCO(7)에 접속된다. 2-분할기(8)의 출력 신호들 또는 3-분할기(9)의 출력 신호들 중 어느 것이라도 믹서 유닛들(4 및 5) 즉, 스위칭 수단(10)으로 공급된다. 믹서 유닛들(4 및 5)내의 조합 후에 얻어진 중심 주파수 직교 신호들(I 및 Q)은 그 다음에 검출 및 음성 재생 수단으로 공급된다. 후 유닛은 또한 VCO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스위칭 수단(10)을 또한 포함한다.
50%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갖는 2-분할기의 다양한 공지된 타입들은 VCO와 접속된 2-분할기(8)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50%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정밀한 3-분할기는, 그러나, 지금까지 공지되지 않았다. 이러한 3-분할기의 실시예가 도 2의 블록 다이어그램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3-분할기는, 모든 매 3개의 VCO 주기들마다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 Vn(t) 을 제공하는 분할기 회로(11)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n=1...6 및 △t는 VCO 주기의 절반의 지속 시간(duration)에 대하여 Vn(t)=V1(t-(n-1)△t)이고,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 각각이 직교 성분을 얻기 위해 설계된 미리 결정된 가중 인자들과 함께 조합되는 두개의 합산 네트워크들(12 및 13)을 포함하고, 그후 이와 같이 얻어진 조합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14, 15)를 통과한다.
VCO 신호는 도 3a에 도시된다. 그것으로부터 유도된 신호들 Vn(t)은 도 3b에 나타내진다. 합산 네트워크(12) 내의 각각의 가중 인자들(-2, +2, +4, +2, -2, -4)과 이러한 신호들 Vn(t)의 곱셈 및 그 후의 가산은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실행되고,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14)내의 필터링 후에 신호[sin(1/3.wt)]를 결과로 갖는다. 신호 Vn(t) 와 합산 네트워크(13)내의 각각의 가중 인자들(-3, -3, 0, +3, +3)의 곱셈 및 그 후의 가산은 도 3d에 도시된 것처럼 실행되고, 저역-통과 필터(15)내의 필터링 후의 신호가 신호 cos(1/3.wt) 를 결과로 갖는다. 얻어진 신호들은VCO 주파수의 1/3의 주파수를 갖지만, 그들은 90°의 위상차를 갖고, 직교 신호들(I 및 Q)은 이러한 신호들에 의해 믹서 유닛들(4 및 5)내에서 얻어질 수 있다.
분할 회로 및 두 개의 합산 네트워크들의 더 자세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회로는 저항 네트워크, VCO 주기의 절반동안 도전적인 상태로 결과적으로 가져가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 Q2...Q6), 및 180°의 위상차를 갖는 VCO 신호에 의해 트리거 되는 두 개의 제어 트랜지스터들(Qc11 및 Qc12)로 구성된다. 컬렉터 저항들 Rc1, Rc2,....,Rc6 을 지나는 전압들은 V_c1, V_c2...Vc6이다. Q1 및 Qc11이 전류를 통한다고 가정하면, V_c1이 가장 높고, V_c2,....V_c6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계단식의 감소와 증가 값들을 가질 것이다. 다른 탭 전압 값들이 다른 트랜지스터들(Q3-Q6)의 베이스들을 "로우(low)"로 유지하는 동안, 탭 전압 값들(V_T4 및 V_T5)은 Q1 및 Q2 베이스들을 "하이(high)"로 만들 것이다.Q2 및 Qc12는 그후에 다음 절반 VCO 주기에서 전류를 또한 통과시킬 것이다. 이제,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V_c2는 가장 높아지고, V_c3,....,V_c6 은 계단식으로 감소 및 증가 할 것이다. 가장 높은 전압(V_T5 및 V_T6)은 Q2 및 Q3의 베이스들을 "하이"로 만듦으로서, Q3 및 Qc11은 다음 절반 VCO 주기동안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다. 주기적인 전압 기울기는 그후에 V_c1,..., V_c6에 대하여 얻어진다. 저항 네트워크는 동시에 가중 및 합산을 실행한다. 다시 말하면, 분할기 회로(11) 및 두 개의 합산 네트워크들(12 및 13)은 집적된다. 두 개의 직교 신호들은 컬렉터 및 탭 전압들로부터 분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직교 신호는 컬렉터들(Q4 및Q5)의 사이의 전압 차로부터 유도되고, 다른 직교 신호는 탭 전압들(V_T4 및 V_T3)사이의 차로부터 유도된다.
도 6은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베이스들이 에미터 폴로워(emitter follower)로부터 제어되는 향상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0이 아닌 도전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류에 기인한 문제들이 방지된다. 부가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압은 트랜지스터가 포화된 상태로 진입하는 위험 없이 발생될 수도 있다. 더욱이, 다른 직교 신호가 탭 전압들(V_T5 및 V_T2)사이의 전압차로부터 유도되는 동안, 하나의 직교 신호는 Q3 및 Q6의 컬렉터들 간의 전압차로부터 유도된다. 더욱 대칭적인 직교 전압들이 이로부터 얻어진다.
도 7은 완벽한 3-분할기의 실시예를 더 자세히 도시한다. 이 회로는 트랜지스터 회로들(QC1a,b, QC2,a,b, ....,QC6a,b)에 의해 형성된, 가중 인자들 및, 저항들(RcosA, RcosB, RsinA 및 RsinB)에 의해 형성되고 여기에 접속된 저역-통과 필터들 및 각각의 합산 네트워크들 내의 트랜지스터들의 종속 커패시던스들을 포함하는 두 개의 분리된 전류 합산 네트워크들을 가지고 보강된 도 6의 회로를 도시한다. 가중 인자들(-2, +2, +4, +2, -2, -4)과 함께 얻어진 하나의 필터링된 직교 신호는 포인트(A 및 B) 사이의 전압차로부터 유도되고, 포인트(A)에서의 전압은 Q2, Q3 및 Q4를 통하는 전류에 의해 구성되고, 포인트(B)에서의 전압은 Q1, Q5 및 Q6을 통하는 전류에 의해 구성된다. 다른 필터링된 직교 신호는 포인트들(C 및 D)사이의 전압차로부터 유도되고, 포인트(C)에서의 전압은 Q1 및 Q2를 통하는 전류에 의해 구성되고, 포인트(D)에서의 전압은 Q4 및 Q5를 통하는 전류에 의해 구성된다. 후자의경우, 인자 0에 의한 가중은 Q3 및 Q6을 통한 전류가 포인트(C 및 D)에서의 전압들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지 않는 것에서 실현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따라서, 3-분할기의 출력 신호들은 양의 가중 인자들을 갖는 컬렉터 전류들이 함께 가산되는 지점과, 음의 가중 인자들을 갖는 컬렉터 전류들이 함께 가산되는 지점들의 사이의 전압차로부터 유도된다.

Claims (7)

  1. 수신된 무선 신호들의 주파수를 낮게 변환(transforming down)하고, 직교 출력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해 주파수 2-분할기를 통하여 직교 조합 회로에 접속될 수 있는 전압-제어 발진기, 및 상기 조합 회로에 접속된 검출 및 음성 재생 수단이 제공된 무선 FM 수신기에 있어서,
    주파수 3-분할기가 추가로 제공되고, 이를 통해 발진기가 상기 조합 회로에 접속될 수 있으며, 또한, 2-분할기 또는 3-분할기 중 어느것에 의해서든 믹서 소자를 발진기에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FM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3-분할기는,
    매 3개의 VCO 신호 주기들마다 n 개의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 Vn(t) 을 공급하는 분할기 회로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n=1,...,6 및 △t=VCO 주기의 절반의 지속 시간에 대하여, Vn(t)=V1(t-(n-t)△t)이고,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 각각이 직교 성분을 얻기 위해 설계된 미리 결정된 가중 인자들과 함께 조합되는 두개의 합산 네트워크들이 제공되고, 그후 이와 같이 얻어진 조합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를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FM 수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직교 성분을 얻기위한 상기 가중 인자들은 (-2, +2, +4, +2, +2, -2, -4)의 상호비(mutual ratio)를 갖고, 다른 직교 성분을 얻기위한 가중 인자들은 (-3, -3, 0, +3, +3, 0)의 상호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FM 수신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기 회로, 상기 합산 네트워크들, 및 가능하다면 저역-통과 필터들이 함께 집적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FM 수신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3-분할기는, VCO 신호에 의해 트리거링되고 각각이 3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을 제어할 수 있는, 2개의 제어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들의 컬렉터 저항들을 포함하는 저항 네트워크가 제공되고, 상기 저항 네트워크에 의해, 매 절반의 VCO 주기로 수반하는 컬렉터 저항을 가진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중 하나를 통해 전류가 흐르고, 그 동안 다른 컬렉터 저항들을 통하여 계단식으로 감소 및 증가하는 전류들이 흐르며, 각각의 다음의 절반의 VCO 주기에서, 다음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주기적으로 연속하여 매번 전류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FM 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3-분할기의 출력 신호들은 양의 가중 인자들을 갖는 컬렉터 전류들이 더해지는 지점들 및 음의 가중 인자들을 갖는 컬렉터 전류들이 함께 더해지는 지점들 사이의 전압차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FM 수신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분할기는,
    매 1/2n 개의 발진기 신호 주기들에 대하여 n 개의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 Vn(t)을 공급하는 분할기 회로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정수인 n 및 △t=발진기 주기의 절반의 지속 시간에 대하여 Vn(t)=V1(t-(n-1)△t)이고,
    주기적인 출력 신호들이 미리 결정된 가중 인자들과 함께 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산 네트워크와 함께 제공되고, 그후 이와 같이 얻어진 조합 신호는 저역-통과 필터를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FM 수신기.
KR1020017011932A 2000-01-19 2000-12-22 무선 fm 수신기 KR100690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0207.9 2000-01-19
EP00200207 2000-01-19
PCT/EP2000/013199 WO2001054267A1 (en) 2000-01-19 2000-12-22 Radio fm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975A true KR20020004975A (ko) 2002-01-16
KR100690954B1 KR100690954B1 (ko) 2007-03-09

Family

ID=817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932A KR100690954B1 (ko) 2000-01-19 2000-12-22 무선 fm 수신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88922B2 (ko)
EP (1) EP1163719B1 (ko)
JP (1) JP4724794B2 (ko)
KR (1) KR100690954B1 (ko)
CN (1) CN1230980C (ko)
DE (1) DE60026179T2 (ko)
WO (1) WO2001054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156B1 (ko) * 2002-12-03 2005-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주파수 분배방식을 이용한 광대역 주파수 발생 장치
US7319884B2 (en) * 2003-12-02 2008-0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M radio device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DE60308539T2 (de) * 2003-12-29 2007-01-0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ustin Niedrigzwischenfrequenzempfänger
FR2871629A1 (fr) * 2004-06-09 2005-12-16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de conversion de frequences, procede d'etalonnage dudit dispositif et systeme d'emission/reception de signaux electromagnetiques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GB2427085A (en) * 2005-06-08 2006-12-13 Zarlink Semiconductor Ltd Variable signal delaying circuit, quadrature frequency converter and radio frequency tuner
JP2008067090A (ja) * 2006-09-07 2008-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周波数変換器
WO2018213381A1 (en) * 2017-05-16 2018-11-22 Google Llc Handling calls on a shared speech-enable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9909A (en) * 1975-10-29 1977-09-2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Digital modulator
DE2636344A1 (de) * 1976-08-12 1978-02-16 Bosch Gmbh Robert Frequenzteilerstufe
US4320522A (en) * 1980-05-09 1982-03-16 Harris Corporation Programmable frequency and signalling format tone frequency encoder/decoder circuit
JPS60124192A (ja) * 1983-12-08 1985-07-03 Sony Corp 3分周回路
NL8802531A (nl) * 1988-10-14 1990-05-01 Philips Nv Fasedetector en frequentiedemodulator voorzien van zulk een fasedetector.
US5239699A (en) * 1991-02-06 1993-08-24 Motorola, Inc. Am-fm combined stereo receiver
US5332975A (en) * 1992-12-01 1994-07-26 Netmedia Inc. Sine wave generator utilizing variable encoding for different frequency signals
GB9501243D0 (en) * 1995-01-23 1995-03-15 Rca Thomson Licensing Corp Local oscillator using digital handswitching
US5761615A (en) * 1995-05-31 1998-06-02 Motorola, Inc. Wide band zero if quadrature demodulator using a intermediate frequency and a single local oscillator
US5627500A (en) * 1995-12-26 1997-05-06 Tektronix, Inc. Phase modulator having individually placed edges
JPH09261106A (ja) * 1996-03-22 1997-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数帯域移動無線機
FI100286B (fi) * 1996-04-01 1997-10-31 Nokia Mobile Phones Ltd Lähetin/vastaanotin RF-signaalin lähettämiseksi ja vastaanottamiseksi kahdella taajuusalueella
US6016422A (en) * 1997-10-31 2000-01-18 Motorola,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dio frequency quadrature LO signals for direct conversion transceivers
SE521035C2 (sv) * 1997-12-29 2003-09-23 Ericsson Telefon Ab L M En mottagare och en metod för mobilradio, där mottagaren anpassas för olika radiokommunikationsnät, t ex GSM, AM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8922B2 (en) 2004-09-07
CN1230980C (zh) 2005-12-07
JP4724794B2 (ja) 2011-07-13
WO2001054267A1 (en) 2001-07-26
CN1344435A (zh) 2002-04-10
US20020065057A1 (en) 2002-05-30
JP2003520546A (ja) 2003-07-02
EP1163719A1 (en) 2001-12-19
EP1163719B1 (en) 2006-02-22
DE60026179D1 (de) 2006-04-27
KR100690954B1 (ko) 2007-03-09
DE60026179T2 (de)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8247B2 (en) Radio-frequency receiver
JP2546331B2 (ja) Fm・am受信機
WO1998052292A1 (en) Dual-band radio receiver
JPH11284489A (ja) 積分フィルタ回路
KR100293770B1 (ko) 직접 변환 방법을 이용하는 선택적 호출 무선 수신기
KR100690954B1 (ko) 무선 fm 수신기
JP3725402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US20040207476A1 (en) PLL circuit and television receiver having same and beat reducing method for television receiver
JP3600075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US7280163B2 (en) Direct conversion tuner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television signals in UHF band and VHF band
JPS61212122A (ja) 受信機のチユーナ
JP2006148533A (ja) 音声中間周波数変換回路
JP3558102B2 (ja) ラジオ受信機
KR20010019963A (ko)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용 튜너
JP3592469B2 (ja) ラジオ受信機
JP2003198402A (ja) 受信機
JP2006094274A (ja) チューナ回路
KR900002659Y1 (ko) 텔레비젼 튜너
JPH0336139Y2 (ko)
JPH0418876A (ja) Rfモジュレータ及びそれを内蔵する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
KR970010384B1 (ko) 다 방송방식 수신시스템
JP2003249866A (ja) 受信装置
JPH1056598A (ja) チューナのトラップ回路
JPS62107529A (ja) バンド切換機能を有する固定分周器を内蔵した電子チユ−ナ
JPH09266453A (ja) チューナ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