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520A -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520A
KR20020004520A KR1020000038487A KR20000038487A KR20020004520A KR 20020004520 A KR20020004520 A KR 20020004520A KR 1020000038487 A KR1020000038487 A KR 1020000038487A KR 20000038487 A KR20000038487 A KR 20000038487A KR 20020004520 A KR20020004520 A KR 2002000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er unit
unit case
cas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종훈
Original Assignee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102000003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520A/ko
Publication of KR2002000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5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공기의 흡입을 위한 히터 유니트 케이스의 개방부에 공기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라운드형의 만곡부를 구비하여 공기의 와류 현상을 방지하여 공조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창출된 것으로,
상기 히터 유니트 케이스(30)는,
일측방에 구비된 개방부(31)에서 연장하여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1/4 원형(圓形)의 라운드형상(r) 또는 평면형상이 개략 'S'자를 이루도록 한 완만한 곡선등으로 구성하는 만곡부(3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heater unit cas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 기온의 적정 유지를 위해 개재되는 공조 장치의 히터 유니트 케이스 형상을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동, 하절기 적절한 실내 기온의 유지를 위해 히터 시스템 혹은 에어컨 시스템과 같은 공조 장치를 구비하며, 이러한 공조 장치(10)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체형의 사출 조립체인 통로 케이스(11)가 자동차 실내에 구비되고, 상기 통로 케이스(11)내에는 외부 공기 유입과 실내 공기의 재순환을 제어하는 공기 흡입 도어(12)가 케이스(11)의 선단에 힌지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고정된다.
상기 공기 흡입 도어(12)의 저면에는 공기의 강제 송풍을 위한 블로워 팬(13)과 구동 모터(14)가 장착되어 공기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블로워 팬(13)과 구동 모터(14)를 지난 공기는 통로 케이스(11)내 중앙에 위치한 에어컨용 증발기(15)와 히터 시스템의 히터 코어(16)로 유입되며, 이들 증발기(15)와 히터 코어(16)는 온도 조절 도어(17)에 의해 그 통로(18)를 구획한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15)와 히터 코어(16)를 통과한 공기는 통로 케이스(11)의 선단에 구비된 분배 도어(19)에 의해 자동차 실내에 형성된 디프로스터 혹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된 벤트 홀등으로 유입되어 실내를 순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공조 장치는 하절기일 경우 통로 케이스(11)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의 통로를 구획하는 온도 조절 도어(17)가 히터 코어(16)로 통하는 통로(18)를 폐쇄하여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15)를 통하여 열교환을 이룬 후 분배 도어(19)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고,
동절기일 경우 온도 조절 도어(17)가 히터 코어(16)로 통하여 통로(18)를 개방하여 증발기(15)를 경유한 공기를 히터 코어(16)로 유입시켜 적의의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각 분배 도어(19)에 의해 실내로 토출한다.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10)의 통로 케이스(11)는 폐쇄된 공간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공기 유동이 불안정한 경우 빈번히 발생하며,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블로워 유니트(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15)가 장착된 쿨링 유니트(21)를 지나 히터 유니트(22)를 거쳐 최종적으로 실내로 유입되면서,
히터 유니트(22)의 형상이 직육면체의 박스형으로 블로워 유니트(20)에 의해 강제 송풍된 공기가 내벽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와류 현상에 기인한다.
상기와 같이 유동하는 공기에 와류가 발생할 경우 히터 유니트(22)의 토출구(23)를 통해 발산되는 공기의 유동이 불안정하여 공조 성능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히터 유니트(22)의 일측방에 공기의 원활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바람 막이를 더 구비하였으나,
이는 구성품의 증가로 인한 생산 단가의 상승과 조립 공정 및 부품 생산 공정의 과다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공기의 흡입을 위한 히터 유니트 케이스의 개방부에 공기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라운드형의 만곡부를 구비하여 공기의 와류 현상을 방지하여 공조 성능 향상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공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간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가 적용된 공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가 장착된 전체적인 공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히터 유니트 케이스 31;개방부
32;히터 유니트 33,34;히터 유니트의 인/아웃렛 파이프
35;토출구 36;만곡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가 장착된 전체적인 공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30)는 도 3에서와 같이,
개략 박스형으로 일측에는 쿨링 유니트(40)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개방부(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엔진의 냉각수를 유입 및 배출하여 외기와 열교환하는 히터 유니트(32)가 인/아웃렛 파이프(33,34)를 구비하여 장착되며, 그 직상방으로는 히터 유니트(32)를 통해 열교환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히터 유니트 케이스(30)는 일측방에 구비된 개방부(31)에서 연장하여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쿨링 유니트(40)를 관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원활히 유입시키기 위한 에어 가이드(air guide)역할을 수행하는 만곡부(36)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만곡부(36)는 1/4 원형(圓形)의 라운드형상(r)을 비롯하여 평면형상이 개략 'S'자를 이루도록 한 완만한 곡선등의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종래 구성의 문제점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히터 유니트 케이스(30)는 도 4에서와 같이 블로워 유니트(50)와 쿨링 유니트(40)등과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장착되어 전체적인 공조 장치용 통로 케이스(60)를 형성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조 장치용 통로 케이스(60)는 블로워 유니트(50)의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워팬을 통하여 외부공기 혹은 내부 순환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블로워 유니트(5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를 내방에 안치한 쿨링 유니트(40)를 거쳐 히터 유니트(32)가 수용된 히터 유니트 케이스(30)로 송풍된다.
상기와 같이 블로워 유니트(50)를 통해 쿨링 및 히터 유니트(40,30)로 유입되는 공기는,
하절기일 경우 쿨링 유니트(40)의 증발기와 열교환한 후 히터 유니트 케이스(30)의 온도 조절 도어의 작용으로 히터 유니트(32)와는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히터 유니트 케이스(30) 상방의 토출구(35)로 토출되며,
동절기일 경우는 쿨링 유니트(40)의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 유니트 케이스(30)내의 온도 조절 도어에 의해 히터 유니트(32)와 열교환하여 토출구(35)를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하절기 및 동절기시 쿨링 유니트(40)를 거친 공기는 반드시 히터 유니트 케이스(30)를 통과해야만 하는데,
이 때 이송하는 공기는 히터 유니트 케이스(30)의 개방부(31)에서 중앙부에 걸쳐 형성된 만곡부(36)에 의해 히터 유니트(32) 혹은 토출구(35)로의 유로가 응집됨과 동시에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여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된 공기는 만곡부(36)의 라운드형상(r)을 통해 자연스럽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며,
이는 종래 히터 유니트 케이스의 내벽이 평면을 이룸으로 인한 유동 저항 증가와 충돌에 따른 와류 현상에서 야기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별도로 장착되는 바람 막이와 같은 구성품을 삭제하여 생산 단가 저감과 소음저감등을 이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인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개방부에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히 하여 공조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부품의 간소화를 통한 생산 단가의 저감과 생산성 증대를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개략 박스형으로 일측에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개방부(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엔진의 냉각수를 유입 및 배출하여 외기와 열교환하는 히터 유니트(32)가 인/아웃렛 파이프(33,34)를 구비하여 장착되며, 그 직상방으로는 히터 유니트(32)를 통해 열교환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5)가 형성된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히터 유니트 케이스(30)는,
    일측방에 구비된 개방부(31)에서 연장하여 중앙부에 이르기까지 1/4 원형(圓形)의 라운드형상(r)의 만곡부(3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36)는 평면형상이 개략 'S'자를 이루도록 한 완만한 곡선등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
KR1020000038487A 2000-07-06 2000-07-06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 KR20020004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487A KR20020004520A (ko) 2000-07-06 2000-07-06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487A KR20020004520A (ko) 2000-07-06 2000-07-06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520A true KR20020004520A (ko) 2002-01-16

Family

ID=1967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487A KR20020004520A (ko) 2000-07-06 2000-07-06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5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97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US5673747A (en) Rear air-conditioning unit for use in vehicle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20004520A (ko) 자동차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니트 케이스
KR100745077B1 (ko) 2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21823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759424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조 유니트
KR100801342B1 (ko) 공기조화장치의 공기누설 방지 구조
KR20010108763A (ko) 자동차용 트리플 존 공기조화장치
KR10146597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040108454A (ko) 2층류 공기조화장치의 송풍유니트
KR101147979B1 (ko) 센터 마운팅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30702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0759425B1 (ko) 자동차용 공조 유니트
KR201101362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338915Y1 (ko) 자동차용 공조 케이스의 배플 구조
JP4538815B2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0253400Y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 냉각장치
JPH114875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8010273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76827B1 (ko) 차량용 송풍 유니트
KR100316931B1 (ko) 공기 조화장치
JPH114874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695646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00013512U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