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885A - 내층을 구비한 세라믹 벌집 형상체 - Google Patents

내층을 구비한 세라믹 벌집 형상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885A
KR20020003885A KR1020017015316A KR20017015316A KR20020003885A KR 20020003885 A KR20020003885 A KR 20020003885A KR 1020017015316 A KR1020017015316 A KR 1020017015316A KR 20017015316 A KR20017015316 A KR 20017015316A KR 20020003885 A KR20020003885 A KR 20020003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body
fluid
honeycomb
duc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569B1 (ko
Inventor
브뤽크롤프
Original Assignee
베. 마우스; 베. 디트리히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 마우스; 베. 디트리히,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filed Critical 베. 마우스; 베. 디트리히
Publication of KR2002000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6Foraminous structures having flow-through passages or channels, e.g. grids or three-dimensional monoli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3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0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 F01N3/2013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using electric or magnetic heating means
    • F01N3/202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using electric or magnetic heating means directly electrifying the catalyst substrate, i.e. heat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atalyst substrate by joule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03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characterised by structure, by material or by manufacturing of catalyst support
    • F01N3/2825Ceramics
    • F01N3/2828Ceramic multi-channel monoliths, e.g. honeycom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30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 F01N2330/32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number of corrugations of plates, sheets or foils
    • F01N2330/321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number of corrugations of plates, sheets or foils with two or more different kinds of corrugations in the same subst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30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 F01N2330/38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flow channels with means to enhance flow mixing,(e.g. protrusions or proj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10/00Surfac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8Assembling formed circuit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45Catalytic device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집 형상체 (4) 의 제조 방법 및 덕트 (5) 들을 구비한 벌집 형상체 (4) 에 관한 것이고, 상기 벌집 형상체 (4) 의 벽 (8) 들은 세라믹으로 만들어진다. 벌집 형상체 (4) 들은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제 1 재료로 제조되는데, 이 제 1 재료는 규정대로 도포되어 층을 이루고 경화된다. 제 1 재료 및 하나 이상의 제 2 재료는 벌집 형상체 상에 규정된 층을 형성하는데, 제 1 재료가 전기 전도성이 없는 반면, 제 2 재료는 전기 전도성이 있다.

Description

내층을 구비한 세라믹 벌집 형상체 {CERAMIC HONEYCOMBED BODY WITH INLAY}
벌집 형상체들은 압출 성형법에 의해 세라믹으로 제조되고, 이들의 형상은 농산물 생산시 사용하는 마스크 형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태의 세라믹 벌집 형상체들은 그 제조 방법으로 인해 벌집 형상체를 관류하는 덕트 벽들의 윤곽이 규칙적으로 된다.
본 발명은, 유체가 관류할 수 있는 덕트들이 서로 이어지도록 구성된 덕트들을 구비한 벌집 형상체에 관한 것이고, 이 벌집 형상체는 덕트들을 형성하는, 세라믹 벽들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덕트들을 구비한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벌집 형상체는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 는 벌집 형상체 내에 종방향 또는 횡단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
도 3 은 청구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추가 구조를 도시.
도 4 는 물체가 상기 벌집 형상체 내에 결합된 층상 구조를 도시.
본 발명의 목적은 벌집 형상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고, 이 방법에 의하여 세라믹 벽들을 갖는 벌집 형상체의 적용범위 및 이용 가능성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제 1 항 및 제 2 항의 특징을 갖는, 제 1 및 제 2 의 벌집 형상체 제조 방법과 제 4 항, 제 7 항 및 제 10 항의 특징을 갖는 벌집 형상체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발전예 및 특징들은 각각의 종속항에 구체화되어 있다.
덕트들을 구비한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제 1 의 방법은,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제 1 재료를 이용하여 규정된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층상 구조로 된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전기 전도성이 있는 제 2 재료를 도포 (application) 및/또는 전기 전도체를 벌집 형상체에 삽입함으로써, 측정 센서 및/또는 가열 장치를 제공한다.
덕트들을 구비한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제 2 의 방법은, 유체가 관류할 수 있는 덕트들을 형성하는 벽이 있으며,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제 1 재료를 이용하여 규정된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층상 구조로 된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경우,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기 위한 구조가 한 쪽 벽에 구비된다.
제 1 및 제 2 의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발전예는, 제 1 덕트로부터 제 2 덕트로 유체를 통과시키는 오리피스를 벽에 만들기 위하여, 벽을 형성하는 층상 구조가 부분적으로 가로막힌 것이다.
또한, 벌집 형상체는, 유체가 관류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덕트를 가지고, 덕트를 형성하는 세라믹 벽을 갖는다. 벌집 형상체는 세라믹 벽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측정 센서 및/또는 전기 전도체를 구비한다.
상기 측정 센서 및/또는 전기 전도체는 덕트를 형성하는 벽에 결합되는 것이 유용하다. 측정 센서가 온도 센서인 경우, 한편에서는 관류하는 유체의 온도를 기록할 수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벌집 형상체 그 자체가 유체를 가열하는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센서 및/또는 전기 전도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세라믹으로 완전히 둘러 쌀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 아무리 위해한 유체라도 가령, 고온 가스 부식 또는 다른 화학 작용에 의한 손상에 견디기 위한 어떤 의도적인 내층 없이 벌집 형상체를 관류할 수 있다.
유체가 관류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덕트를 가지며, 이러한 덕트를 형성하고 세라믹으로 된 벽을 갖는 다른 벌집형상체는 한 쪽 세라믹 벽에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추가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는 덕트를 관류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종방향, 횡단방향 및/또는 경사방향으로 배열된다. 특히, 이 구조는 파상 (wavy) 또는 지그재그 형상일 수도 있다.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제 1 재료로 제조되고, 이 제 1 재료가 규정대로 도포되고 곧 경화되어 특히 층상 구조로 된 경우에, 유체가 관류할 수 있는 덕트들을 구비한 또 다른 벌집 형상체는 일부분을 따라 제 1 재료 다음에 제 1 재료와는 다른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 2 재료층을 구비한다.
또한, 각 벌집 형상체들의 특징을 서로 조합할 수도 있는데, 이 벌집 형상체 안의 내층들의 기능이 가령, 온도 측정이든지 유체 가열이든지 간에, 이들이 서로의 기능을 원조할 수 있도록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벌집 형상체에 사용되는 각 재료들 또한 선별하여 배열하게 된다.
앞서 상술하였듯이,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제 1 재료로제조되고, 이 제 1 재료가 규정대로 도포되고 곧 경화되어 층상 구조를 이루는 벌집 형상체에 있어서, 이 벌집 형상체가 일정한 패턴으로 규정된 유공 구조 (pore structure) 를 갖는 경우에, 이 벌집 형상체는 그 안에 제 1 재료층과 함께 하나 이상의 규정된 제 2 재료층을 구비한다. 일정한 패턴으로 규정된 유공 구조를 갖는 이러한 형태의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EP 0 627 983 B1 호에 개시되어 있고, 관련된 모든 특징들도 함께 개시되어 있다. 제 1 재료와 제 2 재료를 함께 이용하는 것은 각각의 재료에 다른 특성이 첨가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는, 벌집 형상체가 비록 원피스이나 그 안에 다른 특성을 지닌 부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재료는 전기적으로 부도체이고, 제 2 재료는 전기적으로 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가령, 벌집 형상체의 벽 중 일부분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반면, 다른 부분은 전류를 흐르게 하지 않는 벌집 형상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또한 상기 벌집 형상체를 다양한 활동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게 한다. 가령, 제 1 부는 가열 장치, 후속되는 제 2 부는 흡착부 (adsorber), 제 3 부는 촉매부 (catalyst) 로 기능한다. 이들 부분은 단지 예시된 것일 뿐이므로, 상호 교환 또는 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제 1 재료와 제 2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제 1 재료에 부분적으로나마 제 2 재료를 매립하는 것을 가능케 해 주고, 그 역의 경우도 성립하게 해 준다. 제 2 재료는 전기 전도성이 있으므로, 전기 콘덕터 트랙이 벌집 형상체의 벽 내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게 해 준다. 벌집 형상체를 관류하는 유체와이들 콘덕터 트랙 간의 접촉은 이런 식으로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적당한 제 1 재료 또는 제 2 재료를 사용하고, 벌집 형상체의 특정 지점에 원하는 구멍을 결합시킨 세팅을 만든다면, 상기 유체가 전기 콘덕터 트랙에 직접 충돌하게 할 수도 있다. 가령, 관류하는 유체의 화학적 특성 또는 조성을 이런 식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집 형상체의 제조 방법은, 벌집 형상체의 운반 구조가 제 1 재료층, 제 2 재료층으로 배열될 수 있게 하고, 운반 구조의 가장자리에 가령, 촉매 재료층 또는 흡착 재료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발전예는 어떤 물체를 상기 벌집 형상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층상 구조를 형성하는 동안 이 물체를 규정된 위치에 추가할 수도 있지만, 층을 추가하는 동안 사용할 재료를 이용하여 둘러 싸지 않은 상태로 매립할 수도 있다. 이는 측정 센서를 상기 벌집 형상체에 결합시키는데 특히 적당하다.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동안, 상기 측정 센서를 미리 제조하여 층으로 둘러 싸든지 아니면, 결국 측정 센서가 될 해당 재료를 층구조로 하여 벌집 형상체와 동시에 제조하는 것이다. 측정 센서 뿐만 아니라, 리지스턴스 와이어, 리지스턴스 층 또는 다른 물체 또한 이런 식으로 상기 벌집 형상체에 결합시킬 수 있는데, 특히 내층으로 가능하다.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제 1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덕트들을 구비한 또 다른 벌집 형상체를 제공한다. 제 1 재료는 규정대로 도포되어 층상 구조를 이루고 곧 경화된다. 벌집 형상체에는 최단 경로를 따라 유체가 흐르는 주된 방향이 있다. 이 때, 복수의 층은 벌집 형상체의 정확히 정해진위치에 규정된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 구조는 덕트 내에서 최단 경로를 지나는 유체의 주된 흐름 방향의 경로를 미리 계산하여 연장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방법을 사용하면, 벌집 형상체를 만들기 전에 그 벌집 형상체를 그의 주된 사용 분야에 따라 고도로 정확하게 유체역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고, 관련 파라미터는, 가능한 한 벌집 형상체의 작용 범위를 포함하는 플로우 최적 평가 (flow-optimized rating) 에 종속된다. 따라서, 주된 흐름 방향을 의도적으로 연장할 것인가를 미리 정하여, 나중에 벌집 형상체 그 자체를 덕트 내의 의도한 위치에서 연장할 수 있다. 특히, 이에 의하여 벌집 형상체 내의 정해진 작용점에서, 계산상 미리 정해진 원하는 난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벌집 형상체의 전개도에서, 상기 구조는 덕트 내에서 원하는, 특히 미리 계산된 난류 및/또는 확산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조는, 공동 (cavities) 또는 덕트 절단 (duct cut-throughs) 이 형성되도록 층상에 차단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서로 폐색될 덕트들은 이런 식으로 벌집 형상체 내의 정해진 지점에서 상호 연결되어, 가령 벌집 형상체 내에 유체가 흐르는 경로를 연장하게 된다. 또한, 유체가 흐르는 주된 방향의 최단 경로는 벌집 형상체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최단 경로를 의미하게 된다. 유체는 벌집 형상체를 종축 방향으로 관류하기도 하고, 반경 방향으로 관류하기도 한다. 이 때, 구조물 및 흐름각은 완전히 자유롭게 미리 정해지고, 미리 계산된 방식으로 벌집 형상체 내에 구성된다.
벌집 형상체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1 재료에 구멍을 세팅하여 부분적으로나마 투과성이 있는 상기 구조 및/또는 상기 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구조 또는 상기 덕트 내로 유체가 부분적으로나마 제 1 재료의 특정 깊이까지 침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멍이 너무 밀집되어 관류시 저항으로 인해 유체가 반사되어 나올 경우에는 물줄기를 돌리거나 벌집 형상체 내의 규정된 경로를 따라 더 멀리까지 유도하게 된다.
또 다른 발전예에 따르면, 복수층으로 구성된 결과, 벌집 형상체 내의 덕트상 또는 그 내부의 규정된 위치에 규정된 구조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구조 및 위치는 난류 계산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또한, 이러한 난류 계산은, 후에 상기 벌집 형상체가 촉매부 또는 흡착부로 사용될 경우에 필요한 화학 작용에 대한 계산도 포함한다. 특히,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벌집 형상체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유용한 실시예 및 특징들을 설명할 것이다. 상기 및 하기에 개시된, 벌집 형상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특징들을 서로 적절히 조합하면, 발전예들을 추가적으로 얻게 된다.
도 1 은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개략도로서, 본 방법 및 특징들, 특히 사용된 재료 및 이들의 특성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EP 0 627 983 B1 호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기 전에 필요한 모든 계산은 컴퓨터 장치 (1) 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벌집 형상체의 작용 범위를 고려하여, 열량 계산 및 안정성 계산과 함께 난류 계산 및 화학 반응을 계산함으로써, 최적의 벌집 형상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조물을 이용하여 계산한 디자인은 이후 컴퓨터 장치 (1) 에 의하여 적당한 해당 제조 기계 (2) 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조 기계 (2) 는 도시된 좌표계에 의해 제조 테이블 (3) 에서 움직이게 된다. 동시에, 미리 계산된 층과 구조물이 형성되고 경화된다. 벌집 형상체 (4) 는 성형 중에 상기 제조 테이블 (3) 위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파선으로 표현된 덕트 (5) 들은 벌집 형상체 (4) 의 종방향으로 향한다. 벌집 형상체 (4) 의 제 1 면 (6) 이 벌집 형상체 (4) 를 관류하게 될 유체의 입구가 되는 반면, 아직 완성되지 않은 제 2 면 (7) 은 그에 상응하는 유체의 출구가 된다. 상기 벌집 형상체 (4) 의 벽 (8) 안에는 제 1 물체 (9) 와 제 2 물체 (10) 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들 물체는 후에 벌집 형상체에 대한 마무리 손질을 할 때 벌집 형상체에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물체 (9, 10) 는 제조시 의도한 지점에 삽입된다. 이는 또한 벌집 형상체 (4) 의 내벽 (8) 에도 가능하다. 디스크 단면 구조외에 적당히 경화되었을 경우에는, 벌집 형상체가 만들어지는 몰드를 이용하여 상기 벌집 형상체를 평평하게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형태의 제조 방법은 상기 벌집 형상체 (4) 에 긴 물체를 삽입하고 결합시킬 경우, 특히 적당하다.
도 2 는 구조화된 덕트벽 (11) 을 도시한다. 매끄럽고 곧은 부분 (B) 과 주름 부분 (12) 이 있는데, 이 주름 부분의 진폭 (C) 또는 파장 (D) 은 요구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 E 로 도시된 상기 주름 사이의 거리는, 제작 공구에 관계없이 벌집 형상체의 용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갖는 덕트벽 (11) 은 유체의 주된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종방향 또는 횡단방향 구조 및 순수 종방향과 횡단방향의 혼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덕트벽은 현재의 구조에 추가하여, 난류를 생성하기 위하여 그 흐름 경로에 제 1 엘리베이션 (13) 및 제 2 엘리베이션 (14) 의 형태로 된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구조의 형태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엘리베이션 (13, 14) 은 그 안에 유체가 흐르는 곳으로 돌출한 측정 센서 (15) 를 가질 수 있다. 제 1 엘리베이션 (13) 에서 상기 측정 센서 (15) 가 흐르는 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반면, 제 2 엘리베이션 (14) 에서는 제 2 엘리베이션 (14) 이 상기 측정 센서 (15) 를 완전히 둘러 싸기 때문에 유체로부터 차단된다. 또한, 전기 전도성이 있는 제 2 재료 (17) 를 덕트벽 (11) 을 이루는 제 1 재료 (16) 에 결합하여 상기 측정 센서 (15) 의 신호를 벌집 형상체 (4) 내에서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명백하다.
도 3 은 또 다른 구조화된 제 2 덕트벽 (18) 을 도시한다. 개방 삼각 톱니 형태로 된 제 1 구조 (19) 는 제 2 덕트벽 (19) 을 이루는 층상에 차단 구조를구비한다.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한 상기 방법은 제 1 구조 (19) 에 미소한 제 2 구조 (20) 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 구조 (20) 는 제 1 구조 (19) 에 추가하여 가령, 톱니형 또는 돌출형 및 종방향 (21) 과 횡단방향 (22) 구조, 인접한 덕트로의 통로 역할을 하는 오리피스 (23) 를 구비하는 종방향 구조 (21) 로 구성된다. 특히, 제 2 덕트벽 (18) 의 층상 구조는 개방 삼각형의 제 1 높이 H 와 제 2 구조 (20) 의 제 2 높이 h' 모두를 요구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는 또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층 (24), 제 2 층 (25) 및 제 3 층 (26) 으로 이루어진 덕트벽 (18) 의 각각의 두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 1 층 (24) 및 제 3 층 (26) 이 제 1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반면, 제 2 층 (25) 은 이들 두 층 사이에 위치되고, 전기 전도성이 있는 제 2 재료로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관류하는 유체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덕트벽 (18) 을 완전히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층상 구조 방향으로 오리피스 및 다른 차단 구조를 형성할 때, 기재 없이는 층을 형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당연히 기억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오리피스를 대신하는 보조적 구조를 사용하거나 (가령, 나중에 연소되거나 용융되는 재료로 만들어진) 오리피스의 가장자리를 경사지게 형성해야만 하고, 이에 따라 옆으로 돌출한 층을 갖는 층상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제 1 재료 및 제 2 재료의 경화는 기하적 형상 및 구조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게 해 준다. 특히, 제 1 재료 및 제 2 재료의 원료로는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세라믹 원료 및 금속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세라믹 원료의 예로는 산화세라믹과 금속 세라믹을 들 수 있고, 금속 원료의 예로는 금속 분말, 산화 금속 또는 금속 용액을 들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은 지금까지 벌집 형상체의 소결물로 익히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각각의 경우에 각 층마다 함께 도포하거나 서로 혼합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다. 가령, 전자는 도 4 와 같은 방식으로 모일 수 있다.
도 4 는, 제 3 물체 (28) 가 제 3 덕트벽 (27) 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제 3 덕트벽 (27) 에 제 3 물체 (28) 를 결합시키는 것은 초기에 제 1 재료가 도포되고 경화되어 층을 형성하였을 때, 실행되었다. 층이 특정 높이에 도달한 후에, 제 2 재료를 이용하여 후속층을 구성하였다. 제 2 재료가 특정 용도에 만족스러운 높이에 도달한 후에, 또 다시 제 1 재료를 이용하여 층을 추가하였다. 이런 식으로, 제 1 재료에 의해 제 2 재료가 완전히 둘러 싸이며, 결국 제 2 재료가 제 1 재료 내에 매립되고 결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 2 재료는 십자 형상을 이루는데, 이는 가령, 벌집 형상체 내에서 배전기 역할을 하는데 필요할 수 있다. 제 2 재료 층으로 구성된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동안, 제 2 재료를 적절히 분배하여 매우 다양한 콘덕터 트랙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식으로 층으로 제조된 벌집 형상체에서는, 공동 (cavities) 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 방법의 본질상 15 ~ 50 ㎛ 의 미세한 덕트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방법으로, 약 1.5 ~ 4 ㎛ 인 각 개별층의 높이를 100 ㎛ 이상까지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이는, 상기 벌집 형상체 및 덕트 구조의 표면 품질을 국부적으로 정확히 정해진 방식대로 미리 계산하여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에 의하여 계산된 위치에 정확히 원하는 재료를 규정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벌집 형상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벌집 형상체의 본질은, 특히 세라믹만으로 된 벌집 형상체에 있어서, 내층 및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 구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런 형태의 벌집 형상체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내연기관에서 예를 들면, 흡착부 또는 촉매부로서 예컨대 배기관에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Claims (13)

  1.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제 1 재료를 이용하여 규정된 층 (24) 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층 (24) 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덕트 (5) 들을 층상 구조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이 있는 제 2 재료 (25) 를 도포 및/또는 전기 전도체 (9, 10) 를 벌집 형상체 (4) 에 삽입함으로써, 측정 센서 (15) 및/또는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의 제조 방법.
  2. 유체가 관류할 수 있는 덕트들을 형성하는 벽 (8) 이 있으며,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제 1 재료를 이용하여 규정된 층 (24) 을 형성하는 단계와 그 층 (24) 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반복하여, 덕트 (5) 들을 층상 구조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류하는 유체에 영향을 주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조 (19, 20, 21, 22) 가 한 쪽 벽 (8) 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4) 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덕트로부터 제 2 덕트로 유체를 통과시키는 오리피스 (23) 를 벽 (8) 에 만들기 위하여, 벽 (8) 을 형성하는 층상 구조가 부분적으로 가로막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유체가 관류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덕트 (5) 를 가지며, 이러한 덕트 (5) 를 형성하고 세라믹으로 된 벽 (8) 을 갖는 벌집 형상체 (4) 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측정 센서 (15) 및/또는 전기 전도체가 벌집 형상체 (4) 의 세라믹 벽 (8) 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4).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 (15) 및/또는 전기 전도체가 세라믹으로 완전히 둘러 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센서 (15) 가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7. 유체가 관류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덕트 (5) 를 가지며, 이러한 덕트 (5) 를 형성하고 부분적으로나마 세라믹으로 된 벽 (8) 을 갖는 벌집 형상체 (4) 에 있어서, 벌집 형상체 (4) 의 하나 이상의 세라믹 벽 (8) 이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추가 구조 (19, 20, 21, 2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4).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19, 20, 21, 22) 가 덕트 (5) 를 관류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종방향, 횡단방향 및/또는 경사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4).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19, 20, 21, 22) 가 파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4).
  10. 소성적으로 변형된 후 곧 경화될 수 있는 제 1 재료로 제조되고, 이 제 1 재료가 규정대로 도포되고 곧 경화되어 특히 층상 구조로 된 경우에, 유체가 관류할 수 있는 덕트 (5) 들을 구비한 벌집 형상체 (4) 에 있어서, 벌집 형상체 (4) 의 일 부분을 따라 제 1 재료 다음에 제 1 재료와는 다른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 2 재료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4).
  11.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가 관류할 수 있는 통로인 오리피스 (23) 가 제 1 덕트로부터 제 2 덕트까지 벽 (8) 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4).
  12.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4).
  13.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전히 세라믹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형상체 (4).
KR1020017015316A 1999-05-31 2000-05-22 내층을 구비한 세라믹 벌집 형상체 KR100642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4861.3 1999-05-31
DE19924861A DE19924861C1 (de) 1999-05-31 1999-05-31 Keramischer Wabenkörper mit Einlag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885A true KR20020003885A (ko) 2002-01-15
KR100642569B1 KR100642569B1 (ko) 2006-11-10

Family

ID=790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316A KR100642569B1 (ko) 1999-05-31 2000-05-22 내층을 구비한 세라믹 벌집 형상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20076364A1 (ko)
EP (1) EP1181148B1 (ko)
JP (1) JP2003500256A (ko)
KR (1) KR100642569B1 (ko)
CN (1) CN1164414C (ko)
AU (1) AU5675300A (ko)
DE (2) DE19924861C1 (ko)
MY (1) MY127893A (ko)
RU (1) RU2238186C2 (ko)
WO (1) WO20000730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20743T2 (de) * 2000-11-17 2007-06-14 Ngk Insulators, Ltd., Nagoya Zusammenbauverfahren unter verwendung von einer informationsanzeige und hiermit hergestellter zusammenbau
DE10300408A1 (de) * 2003-01-09 2004-07-22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Fluids und Wabenkörper
JP2008194669A (ja) * 2007-01-15 2008-08-28 Yamatake Corp ガス処理装置
RU2553004C1 (ru) * 2014-03-26 2015-06-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ремонта и эксплуатации машинно-тракторного парк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наук (ГНУ ГОСНИТИ РОССЕЛЬХОЗАКАДЕМИ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тового керамического блока для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нейтрализатора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и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дложки на сотовый керамический блок для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нейтрализатора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FR3029838A1 (fr) * 2014-12-11 2016-06-17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de fabrication additive d'un objet mecatronique 3d
DE102019219150A1 (de) * 2019-12-09 2021-06-10 Vitesco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zur Abgasnachbehand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7798A (en) * 1931-05-19 1935-01-15 Ruppricht Siegfried Thermal insulating material
US2329789A (en) * 1939-11-16 1943-09-21 Mccord Radiator & Mfg Co Apparatus for making heatexchange elements
US3507626A (en) * 1965-10-15 1970-04-21 Mobay Chemical Corp Venturi mixer
US4293513A (en) * 1970-11-02 1981-10-06 Engelhard Minerals & Chemical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honeycomb structures
US3716344A (en) * 1971-02-10 1973-02-13 New Prod Corp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catalytic reactor
US3869778A (en) * 1971-12-27 1975-03-11 Raymond W Yancey Article of manufacture with twisted web
US3981689A (en) * 1974-10-15 1976-09-21 Hitco Insulator
DE2733640C3 (de) * 1977-07-26 1981-04-30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Matrix für einen katalytischen Reaktor zur Abgasreinigung bei Brennkraftmaschinen
US4190559A (en) * 1978-10-13 1980-02-26 Oxy-Catalyst, Inc. Metal catalyst support having rectangular cross-section
JPS57195814A (en) * 1981-05-26 1982-12-01 Nippon Soken Inc Fine grain purifi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535589A (en) * 1981-05-26 1985-08-20 Nippon Soken, Inc. Exhaust gas clean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7209875A (en) * 1981-06-16 1982-12-23 Nippon Denso Co Manufacture of porous ceramic body
DE3341868A1 (de) * 1983-11-19 1985-05-30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Matrix fuer einen katalytischen reaktor
US4597262A (en) * 1984-09-07 1986-07-01 Retallick William B Catalytic converter for a diesel engine
US4576800A (en) * 1984-09-13 1986-03-18 Camet, Inc. Catalytic converter for an automobile
US4597626A (en) * 1984-09-27 1986-07-01 Gabbard Larry J Key block arrangement
DE8438260U1 (de) * 1984-12-29 1985-04-11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Traegermatrix, insbesondere fuer einen katalytischen reaktor zur abgasreinigung
DE3872404D1 (de) * 1987-01-19 1992-08-06 Emitec Emissionstechnologie Metallischer katalysator-traegerkoerper aus zwei unterschiedlich gewellten blechlagen.
DE3737248A1 (de) * 1987-11-03 1989-05-18 Basf Ag Monolithischer katalysatorkoerper
DE8908738U1 (ko) * 1989-07-18 1989-09-07 Emitec Emissionstechnologie
DE8909128U1 (ko) * 1989-07-27 1990-11-29 Emitec Emissionstechnologie
DE59109132D1 (de) * 1990-03-19 1999-07-08 Emitec Emissionstechnolog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verbrennungsmotors unter einbeziehung der aktuellen temperatur eines nachgeschalteten katalysators
DE59100958D1 (de) * 1990-03-19 1994-03-10 Emitec Emissionstechnolog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triebsüberwachung eines katalysators einer verbrennungsmaschine.
JPH04193781A (ja) * 1990-11-26 1992-07-13 Inax Corp 貫通孔付きセラミック体及びその製法
JPH04301402A (ja) * 1991-03-29 1992-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ハニカム構造セラミックス
DE69227866T2 (de) * 1991-08-26 1999-05-27 Toshiba Kawasaki Kk Katalytische Verbrenn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DE4129893A1 (de) * 1991-09-09 1993-03-11 Emitec Emissionstechnologie Anordnung zur temperaturmessung und/oder heizung und deren verwendung in einem wabenkoerper, insbesondere katalysator-traegerkoerper
DE4205969C2 (de) * 1992-02-27 1994-07-07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mit vorbestimmter Porenstruktur
DE4213261A1 (de) * 1992-04-22 1993-10-28 Emitec Emissionstechnologie Elektrisch leitfähiger Wabenkörper, insbesondere für elektrisch beheizbare katalytische Konverter von Kraftfahrzeugen
US5225511A (en) * 1992-05-26 1993-07-06 Dow Corning Corporation Organofunctional polysiloxanes and method for preparation
JPH06114948A (ja) * 1992-10-01 1994-04-26 Shiimetsuto Kk 未硬化液排出口付光硬化造形物とその造形法
US5519191A (en) * 1992-10-30 1996-05-21 Corning Incorporated Fluid heater utilizing laminar heating element having conductive layer bonded to flexible ceramic foil substrate
DE4302039A1 (de) * 1993-01-26 1994-07-28 Emitec Emissionstechnologie Katalytischer Konverter mit elektrischer Beheizung
JPH06254413A (ja) * 1993-03-01 1994-09-13 Ngk Insulators Ltd 乱流穴を有するハニカム体
JP3360896B2 (ja) * 1993-10-06 2003-01-07 シーメット株式会社 ハニカムモデルの面粗度を向上させる光硬化造形法
US5514345A (en) * 1994-03-11 1996-05-07 Ozac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enclosed space
US5588292A (en) * 1994-06-28 1996-12-31 Shimadzu Corporation Exhaust gas purifier
US5482659A (en) * 1994-12-22 1996-01-0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of post processing stereolithographically produced objects
JPH08188478A (ja) * 1995-01-10 1996-07-23 Tokyo Seiko Co Ltd 破壊・劣化検知機構付きセラミ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38186C2 (ru) 2004-10-20
DE50004429D1 (de) 2003-12-18
MY127893A (en) 2006-12-29
EP1181148B1 (de) 2003-11-12
EP1181148A1 (de) 2002-02-27
CN1353641A (zh) 2002-06-12
KR100642569B1 (ko) 2006-11-10
US20020076364A1 (en) 2002-06-20
DE19924861C1 (de) 2000-10-26
WO2000073046A1 (de) 2000-12-07
JP2003500256A (ja) 2003-01-07
AU5675300A (en) 2000-12-18
CN1164414C (zh)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640B2 (en) Static micromixer
US4486934A (en) Monolith extrusion die construction method
KR100642569B1 (ko) 내층을 구비한 세라믹 벌집 형상체
KR101065102B1 (ko) 구조적 시트금속박 및 촉매담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CN101128655B (zh) 具有带裂口的端面侧的蜂窝体
JP6695715B2 (ja) 部品の成形方法
CN101432075A (zh) 具有主通道和辅通道的反应器
JP5508514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のためのハニカム体
JP2010517806A (ja) 押出ダイの製造方法
ES2358978T3 (es) Aparato de purificación de gas de escape.
JP4170764B2 (ja) ハニカム体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ハニカム体
JP2010537817A (ja) 金属箔上に酸化物層を生成する方法、酸化物層を有する箔およびこのようにして製造されるハニカム体
PL197130B1 (pl) Filtr cząstek wykonany z metalu oraz sposób jego wytwarzania
KR20140132402A (ko) 배기 가스 후-처리용 허니콤 몸체
US8529842B2 (en) Ceramic honeycomb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ul et al. Comparison of two passive microvalve designs for microlamination architectures
CN102177379B (zh) 形成位于流体连通系统内的流量限制装置的方法
DE112016004983B4 (de) Messvorrichtung für physikalische Größen
EP3132144A1 (de) Sensorelement, sensormodul, messanordnung und abgasrückführsystem mit einem solchen sensorelemen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RU2001133454A (ru) Керамический сотовый элемент со вставками
JP4155772B2 (ja) スリット付きハニカム構造体、ハニカム構造体、及び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JP3924915B2 (ja) 六角ハニカム構造体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
CN102248724B (zh) 陶瓷复合构件及其制造方法
KR0148052B1 (ko) 하니컴구조체의 압출성형용 금형
JPH11297841A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