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237A - 철도 차량 및 휠 차량의 커플링 장치를 위한 견인/압착-버퍼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 및 휠 차량의 커플링 장치를 위한 견인/압착-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237A
KR20020003237A KR1020017013274A KR20017013274A KR20020003237A KR 20020003237 A KR20020003237 A KR 20020003237A KR 1020017013274 A KR1020017013274 A KR 1020017013274A KR 20017013274 A KR20017013274 A KR 20017013274A KR 20020003237 A KR20020003237 A KR 2002000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member
housing
piston
chamb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7046B1 (ko
Inventor
슈타르커베른하르트
Original Assignee
레벤 클라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벤 클라우스 filed Critical 레벤 클라우스
Publication of KR2002000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04Draw-gear combined with buffing appliances
    • B61G9/08Draw-gear combined with buffing appliances with fluid springs or fluid shock-absorbers; Combina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6Units characterised by the partition, baffle or like element
    • F16F9/067Partitions of the piston type, e.g. sliding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9Stops limiting fluid passage, e.g. hydraulic stops or elastomeric elements inside the cylinder which contribute to changes in fluid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24Detecting or preventing malfunction, e.g. fail sa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과, 이 하우징으로부터 일측이 돌출되며, 또한 0점 위치로부터 스프링 장치 및 댐핑 장치의 저항에 대항하여 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부재(3)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 및 휠 차량의 커플링 장치를 위한 견인/압착-버퍼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빼내진 위치로부터 0점 위치의 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을 댐핑하기 위해서 유압식 댐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유압식 댐핑 장치는 링형태의 유압식 작동 챔버(32)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챔버는 피스톤 부재(3)를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31)에 의해 과류 챔버(29)와 연결된다.

Description

철도 차량 및 휠 차량의 커플링 장치를 위한 견인/압착-버퍼 {TRACTION/COMPRESSION BUFFER FOR COUPLING DEVICES ON RAIL AND WHEEL-MOUNTED VEHICLES}
전술한 방식의 2중으로 작용하는 견인/압착-버퍼는 압착 방향으로 작용하는 임팩트 충돌뿐만 아니라 견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타팅 충돌도 댐핑시킨다; 상기 버퍼는 특히 다양한 차량에, 말하자면 레일 차량에 사용된다. 상기 방식의 버퍼의 경우에는 임팩트 충돌시에는 강하게 댐핑되는 삽입 동작 및 약하게 댐핑되는 인출 동작을 얻으려는 노력이 강구되고, 스타팅 충돌시에는 약하게 댐핑되는 인출 동작 및 강하게 댐핑되는 복원 동작을 얻으려는 노력이 강구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공지된 견인/압착-버퍼의 경우에는 하우징이 공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부 내부로 버퍼 패트론이 삽입되며, 상기 버퍼 패트론 내부에는 - 피스톤 부재를 상기 소자의 압착 위치로부터 복원시키는 데 이용되는 - 스프링 장치 및 - 피스톤 부재가 하우징 내부로 압착되는 것을 댐핑하는 - 댐핑 장치가 통합되고, 임팩트 충돌시에 피스톤 부재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공된다. 피스톤 부재를 하우징으로부터 빼내는 스타팅 충돌을 지지하기 위해서, 피스톤 부재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링형 공동부내에는 축방향으로 서로 위·아래로 슬라이딩되는 금속 스프링 링이 제공되며, 이 경우 특히 0점 위치로 이동되는 피스톤 부재의 복원 동작의 댐핑 특성은 개별 스프링 링 사이의 마찰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공지된 방식의 견인/압착-버퍼의 단점은 특히 중량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공지된 견인/압착-버퍼는 상당히 비싸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이 하우징으로부터 일측이 돌출되고, 또한 0점 위치로부터 스프링 장치 및 댐핑 장치의 저항에 대항하여 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 및 휠 차량의 커플링 장치를 위한 견인/압착-버퍼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피스톤 부재가 0점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견인/압착-버퍼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2 는 피스톤 부재가 압착된 상태에서 도 1에 따른 버퍼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 은 피스톤 부재가 빼내진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따른 버퍼를 도시한개략도이며,
도 4 는 피스톤 부재가 0점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견인/압착-버퍼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단점으로부터 도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에 비해 더 적은 중량 및 더 적은 제조 비용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빼내진 위치로부터 0점 위치의 방향으로 피스톤 부재의 복원 동작을 댐핑하기 위해서 유압식 댐핑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유압식 댐핑 장치는 피스톤 부재를 둘러싸는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에 의해 과류 챔버와 연결된다. 달리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견인/압착-버퍼는, 스타팅 충돌시에 피스톤 부재의 복원 동작을 댐핑하기 위해서 유압식으로 작용하는 댐핑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식 댐핑 장치는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를 두드러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작동 챔버는 내부에서는 피스톤 부재에 의해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외부에서는 하우징에 의해서 제한된다. 피스톤 부재가 0점 위치를 넘어서 하우징으로부터 빼내지면, 상기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의 부피가 줄어든다. 이 경우에는 댐핑 매체가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을 통해 과류 챔버 내부로 밀려들어간다. 스타팅 충돌에 상응하게 제공된 스프링 장치에 의해 야기되는, 빼내진 위치로부터 0점 위치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의 복원시에는 댐핑 매체가 과류 챔버로부터 - 바람직하게 좁혀진 - 과류 채널을 통해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 내부로 되돌아감으로써, 복원 동작이 댐핑된다.
견인/압착-버퍼를 본 발명에 따라 형성함으로써, 스타팅 충돌시에 피스톤 부재의 복원 동작을 댐핑하는 댐핑 장치가 하우징 내부에 통합되거나 또는 그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은 임팩트 충돌시에 피스톤 부재의 삽입 운동을 댐핑하는 댐핑 장치도 수용한다. 그 결과, 특히 콤팩트하고도 적은 치수의 효과적인 견인/압착-버퍼가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직접적으로 중량의 감소 및 제조 비용의 감축도 야기한다. 또한 소정의 적용예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압착-버퍼를 콤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버퍼를 위해 필요한 장착 챔버의 파손 가능성이 특히 적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압착-버퍼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는, 피스톤 부재가 원통형 공동부를 둘러싸는 중공 피스톤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원통형 공동부 내부에 있는 과류 챔버는 상기 공동부내에서 밀봉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분리용 피스톤에 의해서 분할된다. 과류 챔버를 피스톤 부재 내부에 배치하는 것은 재차 견인/압착-버퍼의 콤팩트한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특별한 장점이 된다. 이 경우 분리용 피스톤은 중공 피스톤에 의해 둘러싸인 원통형의 공동부 내부에서 댐핑 매체의 과류 부피에 상응하게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로부터 과류 챔버 내부로 벗어난다. 이와 같은 특징은, 중공 피스톤에 의해 둘러싸인 원통형 공동부가 한편으로는 과류 챔버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프링 챔버로 분할됨으로써, 바람직한 실시예의 틀 안에서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상기 개선예에서는, 스타팅 충돌을 댐핑하는 스프링 장치가 중공 피스톤에 의해 둘러싸인 원통형 공동부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장치는 과류 챔버 쪽으로 향하고 있는 정면과 마주보고 있는 분리용 피스톤의 정면에 작용한다. 이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스프링 장치의 기술적인 구성을 위해서 상이한 형성예가 고려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탄성 중합체 블록 또는 가스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나사 또는 판 스프링과 같은 기계적인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재차 본 발명에 따른 견인/압착-버퍼의 중량 및 콤팩트한 구성면에서 스프링 장치를 가스 스프링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특이한 장점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압착-버퍼의 다른 바람직한 개선예는,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가 축방향으로 링형 피스톤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링형 피스톤이 하우징의 내부면에서 및 피스톤 부재의 외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밀봉 방식으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를 축방향으로 폐쇄시키는 차단부를 상기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다만 피스톤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빼내질 때에만 상기 작동 챔버의 부피가 0점 위치를 넘어 변동되고, 피스톤 부재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0점 위치를 넘어 변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스타팅 충돌시에 피스톤 부재의 복원 동작을 댐핑하기 위해 이용되는 댐핑 장치가 임팩트 충돌을 댐핑하는 댐핑 장치의 댐핑 특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임팩트 충돌시에 피스톤 부재가 0점 위치로부터 빼내져서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면, 링형 피스톤이 피스톤 부재의 움직임을 따라가게 되고, 그 결과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의 부피는 변동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특히 바람직한 것은, 피스톤 부재의 외부면에 제공된 종동부가 링형 피스톤을 따라가고, 상기 종동부의 정면이 피스톤 부재의 0점 위치에서 링형 피스톤에 접하는 것이다.
대안적인 형성예에 따라 링형 피스톤은, 피스톤 부재의 헤드부가 그 내부에서 밀봉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실린더 부시 내부로 이어진다. 이 경우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는 외부에서 하우징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링형 피스톤과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 부시에 의해 제한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임팩트 충돌시에 하우징 내부로 피스톤 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댐핑하기 위해서도 상기 유압식 댐핑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식 댐핑 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라 피스톤 부재, 하우징 및 중간벽을 제한하는 유압식 고압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고압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을 통해 저압 챔버와 연결된다. 이 경우 하우징은 특히 원통형의 공동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공동부는 이 공동부내에서 밀봉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분리용 피스톤에 의해서 스프링 챔버 및 유압식 저압 챔버로 분할되며, 상기 스프링 챔버 내부에는 가압 피스톤 부재의 0점 위치로의 복원을 야기하는 스프링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고압 챔버를 저압 챔버와 연결시키는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은 하우징의 중간벽 내부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압착-버퍼의 이와 같은 개선예도 또한, 상기 버퍼를 특히 콤팩트하고 가볍게 구성하여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지한다.
특히 바람직한 일 개선예는, 유동 횡단면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부재가 과류 채널에 할당되고, 상기 조절 부재가 피스톤 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에 대한 조절 부재의 위치는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인 피스톤 부재의 위치에 따라 변동된다. 그럼으로써 임팩트 충돌을 댐핑하는 댐핑 장치의 댐핑 특성은, 전체적인 삽입 경로를 통해 가급적 일정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 부재의 삽입 정도에 따라 원하는 대로 조절된다. 이 경우 조절 부재는 특히, 다소 깊이 과류 채널 내부로 돌출하고 횡단면이 축방향으로 변동되는 조절핀으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형성예에 대한 대안으로서는 예를 들어 보어를 갖는 조절 부시의 형태로 조절 부재를 실현하는 것이 고려되며, 상기 보어는 조절 부시가 과류 채널 내부로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점차적으로 폐쇄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하우징이 유압식 고압 챔버를 제한하는 중간벽을 가지면, 재차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상기 고압 챔버를 저압 챔버와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과부하 채널이 상기 중간벽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과부하 채널에 과압 밸브가 할당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과부하 채널 및 과압 밸브를 포함하는 과부하 시스템은, 견인/압착-버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극도의 조건에서도 고압 챔버내의 압력을 원하는 대로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이 경우 과부하의 보호는 재차 본 발명에 따른 견인/압착-버퍼를 콤팩트하고 가볍게 구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개선예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빼내진 위치로부터 0점 위치로 이동되는 피스톤 부재의 복원 동작을 댐핑시키는 유압식 댐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에는 한 측면에서 작용하는 스로틀 밸브가 할당된다. 상기 스로틀 밸브는, 피스톤이 빼내진 위치로부터 0점 위치로 복원되는 경우에 댐핑 매체가 과류 챔버로부터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 내부로 역류될 때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의 유동 횡단면을 감소시킨다. 상응하게 한 측면에서 작용하는 스로틀 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로틀 밸브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인 피스톤 소자가 하우징으로부터 빼내지는 동작이 실제로 댐핑되지 않은 채로 다만 상응하는 스프링 장치의 파워에 대항할 수 있을 정도로만,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의 유동 횡단면의 크기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2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견인/압착-버퍼의 주요 소자들은 하우징(1), 및 축(2)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피스톤 부재(3)이다. 하우징(1)은 실제로 내부 섹션(4), 외부 섹션(5) 및 차단부(6)로 이루어진다. 내부 섹션(4)은 재차 실린더 섹션(7) 및 연결 섹션(8)을 포함한다. 하우징(1)의 외부 섹션(5)은 실린더 섹션(9) 및 중간벽(10)을 포함한다. 차단부(6)의 단부측은 하우징(1)의 외부 섹션(5)의 실린더 섹션(9) 내부로 삽입된다.
피스톤 부재(3)는 헤드부(11) 및 샤프트(12)를 포함한다. 샤프트(12)내에는 원통형 공동부(13)가 제공된다. 이 공동부는 버퍼링 플레이트(14)에 의해 단부측이 폐쇄되어 있다.
피스톤 부재(3)는 하우징(1)내에서 축(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된다. 이 목적을 위해 피스톤 부재의 헤드부(11)는 하우징(1)의 외부 섹션(5)의 실린더 섹션(9)의 내부벽(15)에서 밀봉 방식으로 가이드 된다. 또한 피스톤 부재(3)의 샤프트(12)는 차단부(6)의 상응하는 보어 내부에 있는 외부면(16)의 영역에서 가이드 된다.
중간벽(10), 하우징(1)의 외부 섹션(5)의 실린더 섹션(9) 및 피스톤 부재(3)의 헤드부(11)는 고압 챔버(17)를 규정한다. 상기 고압 챔버는 과류 채널(18)을통해 저압 챔버(19)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저압 챔버(19)는 중간벽(10), 하우징(1)의 내부 섹션(4)의 실린더 섹션(7)의 내부면(20) 및 분리용 피스톤(21)에 의해서 정해지며, 상기 분리용 피스톤은 하우징(1)의 내부 섹션(4)의 실린더 섹션(7)내에서 축(2)을 따라 밀봉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된다. 이 경우 고압 챔버(17), 과류 채널(18) 및 저압 챔버(19)는, 피스톤 부재(3)가 하우징(1) 내부로 삽입 이동하는 것을 댐핑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댐핑 장치의 주요 소자들이다. 댐핑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피스톤 부재(3)의 헤드부(1)에는 조절핀(22)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조절핀은 도 1 에 도시된 피스톤 부재(3)의 0점 위치에서 과류 채널(18) 내부로 약간 돌출한다. 조절핀의 직경이 확대되기 때문에, 조절핀은 피스톤 부재(3)가 하우징 내부에 결합될 때 과류 채널의 자유로운 유동 횡단면을 점차적으로 좁히게 되고, 그럼으로써 댐핑력이 증가된다.
저압 챔버와 고압 챔버 사이에 배치되고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체크 밸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상기 밸브는 피스톤 부재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로부터 0점 상태로 역결합될 때 피스톤 부재를 개방시켜 피스톤 부재의 전반적으로 댐핑되지 않은 반동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과류 채널(18)을 보완하기 위해서 고압 챔버(17)는 과부하 채널(23)을 통해 저압 챔버(19)와 연결된다. 상기 과부하 채널에는 저압 챔버(19)내에 배치된 과압 밸브(24)가 할당된다. 과압 밸브(24)는 링형 플레이트(25)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판 스프링(26)을 통해 초기 응력을 받으며 중간벽(10)에 접한다. 한편으로는 고압 챔버(17)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저압 챔버(19)내에서 주도하는 압력차가 예정된 값을 초과하면, 링형 플레이트(25)가 중간벽(10)으로부터 아래로 내려가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과부하 채널(23)을 개방시킨다.
하우징(1)의 내부 섹션(4)의 실린더 섹션(7) 및 분리용 피스톤(21)은 또한 스프링 챔버(27)를 규정한다. 상기 스프링 챔버(27)가 압력(예컨대 피스톤 부재의 0점 위치에서 5-20bar)하에 있는 가스로 채워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저압 챔버(19) 및 고압 챔버(17)가 재차 서로 유압식으로 커플링되어 삽입된 피스톤 부재(3)에 반동력(도 2)을 가하는 가스 스프링에 작용하게 된다.
피스톤 부재(3)의 샤프트(12)내에 제공된 원통형 공동부(13) 내부에서는, 분리용 피스톤(28)이 축(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밀봉 방식으로 가이드 된다. 상기 분리용 피스톤(28)은 원통형 공동부(13)를 과류 챔버(29) 및 스프링 챔버(30)로 세분된다. 이 경우 과류 챔버는 과류 채널(31)을 통해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와 결합되며, 상기 작동 챔버는 샤프트(12)의 영역에서 피스톤 부재(3)를 외부에서 감싼다.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는 또한 피스톤 부재(3)의 헤드부(11), 하우징(1)의 외부 섹션(5)의 실린더 섹션(9)의 내부면(13) 및 링형 피스톤(33)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링형 피스톤은 한편으로는 하우징(1)의 외부 섹션(5)의 실린더 섹션(9)의 내부면(15)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피스톤 부재(3)의 샤프트(12)의 외부면(34)에서 밀봉 방식으로 가이드 된다. 피스톤 부재(3)가 하우징(1)으로부터 빼내질 때에는(도 3 참조) 링형의 유압 작동 챔버(32)의 부피가 줄어든다. 상기 작동 챔버내에 있는 댐핑용 매체가 과류 채널(31)을 통해 과류 챔버(29) 내부로 밀려들어감으로써, 분리용 피스톤(28)은 원통형 공동부(13) 내부에서 이동된다. 이때 과류 챔버(29)는, 고압(예컨대 피스톤 부재가 0점 위치에 있을 때 100-150bar, 즉 스프링 챔버(27)내에서의 압력보다 현저하게 높은 경우)하에 있는 가스로 채워진 스프링 챔버(30)에 부하를 가하기 위해서 확대된다. 스프링 챔버(30)내에 포함된 가스의 상승 압력은 분리용 피스톤(28)에 반동력을 가하게 되고, 이 반동력은 댐핑용 매체가 과류 챔버(29)로부터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 내부로 점차 밀려들어감으로써 인출된 피스톤 부재(3)(도 3)가 상기 소자의 0점 위치(도 1)로 이동되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댐핑 특성은 플레이트 밸브(35)로 구현된 스로틀 밸브를 통해 조절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밸브 플레이트(36)는 과류 채널(31)의 축방향 섹션에 동축으로 정렬된 보어(37)를 구비하고 있지만, 직경은 상기 보어보다 더 작다. 이 경우 밸브 플레이트는, 댐핑용 매체가 다만 과류 챔버(29)로부터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 내부로 역류될 때에만 보어(37)를 통과하고, 과류 채널(31)이 반대로 관류될 때에는 보어를 통과할 필요가 없도록 2개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도시되어 있다.
피스톤 부재(3)가 0점 위치에 있을 때에는(도 1),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고 있는 링형 피스톤(33)의 정면은 차단부(6)의 정면에 뿐만 아니라 종동부(38)에도 접하며, 상기 종동부는 칼라의 형태로 피스톤 부재(3)의 샤프트(12)의 외부면에 제공된다. 임팩트 충돌시에 피스톤 부재(3)가 하우징(1) 내부로 밀려들어가면(도 2), 링형 피스톤(33)은 이 피스톤이 종동부(38)에 접함으로써 피스톤 부재(3)와 공통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의 부피는, 피스톤 부재의 삽입 동안 및 그 다음에 0점 위치로 재차 인출되는 동안에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임팩트 충돌의 댐핑은 오직 고압 챔버(17), 과류 채널(18) 및 저압 챔버(19)를 포함하는 댐핑 장치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그에 비해 피스톤 부재(3)가 스타팅 충돌시에 하우징(1)으로부터 빼내지면(도 3) 링형 피스톤(33)은 차단부(6)에서 지지되고, 그럼으로써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의 부피는 댐핑용 매체가 과류 챔버(29)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감소된다. 도 1 및 도 3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특히, 댐핑 매체의 주입 동작도 또한 저압 챔버(19)로부터 과류 채널(18)을 거쳐 고압 챔버(17) 내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절핀(22)이 빼내진 상태에서는 과류 채널(18)의 유동 횡단면이 크기 때문에 댐핑을 위한 유입량이 비교적 적다.
도 4에 도시된 견인/압착-버퍼는 기본적인 구조면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전술된 버퍼와 일치한다. 상기 기술은 상응하는 실시예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참조된다. 하기에서는 차이점만이 설명된다.
피스톤 부재(3)가 0점 위치로 복원되는 데 필요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한편으로는 2개의 스프링 챔버(27 및 30)내에 나사 스프링(39 또는 40)이 제공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조절핀(22) 대신에, 피스톤 부재(3)의 동작에 상응하게 과류 채널(18) 내부에 다소 깊게 잠겨 있는 조절용 부시(41)가 제공된다. 상기 조절용 부시는, 조절 부시(41)의 내부면을 고압 챔버(17)와 연결시키는 다수의 보어(42)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 부시(41)가 중간벽(10) 내부에 얼마만큼 깊이 잠겨 있는지에 따라 다소 많은 개수의 보어(42)가 폐쇄됨으로써, 댐핑 매체의 관통을 위해 이용되는 유동 횡단면이 그에 상응하게 변동된다.
마지막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플레이트 밸브(35) 대신에 볼 형태의 밸브(43)가 제공된다. 과류 채널(31)은 메인 보어(44) 및 추가 보어(45)를 포함한다. 스타팅 충돌시에는 댐핑 매체가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로부터 상기 메인 보어(44)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추가 보어(45)를 통해서도 과류 챔버(29) 내부에 도달된다. 그와 달리 유동 방향이 반대인 경우에는 볼 형태의 밸브(43)의 볼(46)이 메인 보어(44)를 차단시킴으로써, 추가 보어(45)에 대한 유동 횡단면이 한정된다.
다만 명확히 할 목적으로 보충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피스톤 부재(3)의 헤드부(11) 및 분리용 피스톤(21)이 하우징(1)내에서 가이드 될 때 따르게 되는 지시 규정들은 본 실시예에서 개별 부분들이 반드시 서로 강제적으로 접촉되도록 설계될 필요는 없지만, 하우징 내부에 고정 삽입된 실린더 부시 등이 제공되어서는 안 된다.
상응하는 내용이 하우징(1) 내부에서의 링형 피스톤(33)의 가이드 방식 및 피스톤 부재(3) 내부에서의 분리용 피스톤(28)의 가이드 방식에 적용된다.

Claims (10)

  1. 하우징(1)과, 이 하우징으로부터 입력측이 돌출되고, 또한 0점 위치로부터 빠져 나와서 스프링 장치 및 댐핑 장치의 저항에 대항하여 각각 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피스톤 부재(3)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 및 휠 차량의 커플링 장치를 위한 견인/압착-버퍼에 있어서,
    하우징(1)으로부터 빼내진 위치로부터 0점 위치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 부재(3)의 복원 동작을 댐핑하기 위해서 유압식 댐핑 장치가 제공되며, 이 유압식 댐핑 장치는 피스톤 부재(3)를 둘러싸는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를 포함하고, 이 작동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31)에 의해 과류 챔버(29)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3)는 원통형 공동부(13)를 둘러싸는 중공 피스톤으로 형성되며, 원통형 공동부(13) 내부에 있는 상기 과류 챔버(29)는 상기 공동부 내에서 밀봉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분리용 피스톤(28)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피스톤(28)은 중공 피스톤에 의해 둘러싸인 원통형 공동부(13)를 과류 챔버(29) 및 스프링 챔버(30)로 세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의 유압식 작동 챔버(32)는 축방향으로 링형 피스톤(33)에 의해서 폐쇄되며, 상기 링형 피스톤은 하우징(1)의 내부면(15)에서 및 피스톤 부재(3)의 외부면(34)에서 밀봉 방식으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3)의 외부면(34)은 종동부(38)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부는 피스톤 부재(3)가 0점 위치로부터 삽입될 때 링형 피스톤(33)을 따라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3)가 하우징(1)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댐핑하기 위해서 유압식 댐핑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댐핑 장치는 피스톤 부재(3), 하우징(1) 및 중간벽(10)에 의해 제한되는 유압식 고압 챔버(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유압식 공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동부는 하우징내에서 밀봉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분리용 피스톤(21)에 의해 스프링 챔버(27) 및 유압식 저압 챔버(19)로 세분되며, 상기 저압 챔버(19)는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18)에 의해 고압 챔버(17)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류 채널(18)에는 유동 횡단면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소자(22; 41)가 할당되며, 상기 조절 소자는 피스톤 부재(3)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벽(10)은 고압 챔버(17)를 저압 챔버(19)와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과부하 채널(23)을 포함하며, 상기 과부하 채널에는 과압 밸브(24)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스톤 부재(3)가 하우징(1)으로부터 빼내지는 것을 댐핑하는 유압식 댐핑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과류 채널(31)에는, 일측에서 작용하는 스로틀 밸브(35; 43)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압착-버퍼.
KR1020017013274A 1999-04-22 2000-04-14 철도 차량 및 휠 차량의 커플링 장치를 위한 견인/압착-버퍼 KR100647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8195A DE19918195C1 (de) 1999-04-22 1999-04-22 Zug-/Druck-Puffer für Anhängevorrichtungen an Schienen- und Radfahrzeugen
DE19918195.0 1999-04-22
PCT/EP2000/003382 WO2000065248A2 (de) 1999-04-22 2000-04-14 Zug-/druck-puffer für anhängevorrichtungen an schienen- und radfahrzeu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237A true KR20020003237A (ko) 2002-01-10
KR100647046B1 KR100647046B1 (ko) 2006-11-17

Family

ID=790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274A KR100647046B1 (ko) 1999-04-22 2000-04-14 철도 차량 및 휠 차량의 커플링 장치를 위한 견인/압착-버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14348B1 (ko)
EP (1) EP1169207B1 (ko)
KR (1) KR100647046B1 (ko)
CN (1) CN1274546C (ko)
AT (1) ATE248086T1 (ko)
AU (1) AU757745B2 (ko)
CA (1) CA2367693C (ko)
DE (2) DE19918195C1 (ko)
ES (1) ES2206229T3 (ko)
PL (1) PL197934B1 (ko)
WO (1) WO20000652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2308B (en) * 2001-02-14 2004-03-24 Oleo Internat Ltd A retractable and extendable buffer assembly
DE20205198U1 (de) 2002-04-04 2002-08-14 Leben Klaus Zug-/Druckpuffer für Anhängevorrichtungen an Schienen- und Radfahrzeugen
DE10215664A1 (de) * 2002-04-09 2003-11-06 Klaus Leben Mittelpufferkupplungsanordnung
US7150368B2 (en) * 2003-09-16 2006-12-19 Sharma & Associates, Inc. Cushioning device having an electrically actuated lockout
US6918473B2 (en) * 2003-09-17 2005-07-19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troke dependent bypass
DE602006005365D1 (de) * 2006-09-13 2009-04-09 Horstman Defence Systems Ltd Aufhängungsvorrichtung
DE202007003562U1 (de) * 2007-03-09 2007-05-10 Leben, Klaus Feder-Dämpfer-Einheit eines Druckpuffers, insbesondere für Schienenfahrzeuge
JP5022106B2 (ja) * 2007-03-30 2012-09-12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DE102007057574B3 (de) 2007-11-29 2009-10-15 Klaus Leben Feder-Dämpfer-Einheit eines Druckstöße dämpfenden Stoßreduzierelements, insbesondere für Schienenfahrzeuge
US20100224454A1 (en) * 2009-03-03 2010-09-09 Chen-Hsieh Chen Stepless pressure-varying shock absorber
SI2305531T1 (sl) * 2009-10-01 2012-09-28 Voith Patent Gmbh Naprava za blaĺ˝enje sil natezanja in stiskanja
CN102635598A (zh) * 2012-03-23 2012-08-15 施亨庆 一种用于液压稳速器的调速机构和液压稳速器
CN102927191A (zh) * 2012-10-25 2013-02-13 中国民航大学 带油针的线圈内置式磁流变减震器
DE102012111516A1 (de) * 2012-11-28 2014-05-28 Voith Patent Gmbh Vorrichtung zum Abdämpfen von Druckkräften
JP5876855B2 (ja) * 2013-07-05 2016-03-02 Kyb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
DE102015109394A1 (de) * 2015-06-12 2016-12-15 Voith Patent Gmbh ZUG-/STOß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MITTELPUFFERKUPPLUNGEN VON SPURGEFÜHRTEN FAHRZEUGEN
CN105270432A (zh) * 2015-11-24 2016-01-27 天津机辆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大功率机车缓冲器
ES2739675T3 (es) * 2015-12-29 2020-02-03 Dellner Dampers Ab Amortiguador hidráulico de supresión de retroceso para un acoplador de tren
DE102017007444A1 (de) * 2017-08-05 2019-02-07 Hydac Technology Gmbh Hydropneumatische Kolbenzylinderanordnung
CN107915120B (zh) * 2017-10-24 2019-05-14 安徽德马泰格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伴随式双梁调运起重机用连动机构
IT201800010763A1 (it) * 2018-12-03 2020-06-03 Sistemi Sospensioni Spa Ammortizzatore idraulico, particolarmente per sospensione di veicolo, con tampone idraulico operante durante la corsa di compressione dell'ammortizzatore e con dispositivo di regolazione per regolare il comportamento del tampone idraulico in funzione del carico del veicolo.
RU189739U1 (ru) * 2019-03-12 2019-05-31 Олег Николаевич ГОЛОВАЧ Поглощающий аппарат
CN109969216A (zh) * 2019-04-08 2019-07-05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用于轨道车辆的气液结合的缓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4931A (en) * 1943-08-03 1946-07-30 Kurtiss P Schenke Recoil mechanism
US2994442A (en) * 1960-06-20 1961-08-01 Bendix Corp Kinetic energy absorbing device
US3378149A (en) * 1966-02-14 1968-04-16 Acf Ind Inc Railway car cushioning device
US3447693A (en) * 1967-11-02 1969-06-03 Cardwell Westinghouse Co Combined hydraulic cushion-friction clutch draft gear
DE1809135B2 (de) * 1968-11-15 1979-03-29 Rheinmetall Gmbh, 4000 Duesseldorf Zug- und Stoßvorrichtung für eine Mittelpufferkupplung an Schienenfahrzeugen
US3647239A (en) * 1969-07-17 1972-03-07 Tokico Ltd Vehicle suspension mechanism
GB1266596A (ko) * 1969-09-25 1972-03-15
DE2015016C3 (de) * 1970-03-28 1982-02-18 Moskovskij institut inženerov Železnodorožnogo transporta, Moskva Hydropneumatische Dämpfungsvorrichtung für Mittelpufferkupplungen von Schienenfahrzeugen
US3729101A (en) * 1970-05-04 1973-04-24 Riv Officine Di Villar Perosa Damper device for railway vehicle automatic couplings
FR2473144A1 (fr) * 1980-01-04 1981-07-10 Fournales France Sarl Dispositif combine amortisseur et suspension pour vehicule
DE3311549A1 (de) * 1983-03-30 1984-10-04 Hanke, Heinrich, 4970 Bad Oeynhausen Stosskraft-verzehr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den eisenbahnbetrieb
SE460412B (sv) * 1987-09-16 1989-10-09 Sten Henrik Danieli Hastighetsstyrd jaernvaegsbuffert
GB2312659A (en) 1996-04-29 1997-11-05 Oleo International Limited Buffers
US5927523A (en) * 1997-05-30 1999-07-27 Keystone Industries, Inc. Rail car buffer
IT1309773B1 (it) * 1999-09-30 2002-01-30 Mauro Corradini Ammortizzatore idraulico ad effetto frenante progressiv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57745B2 (en) 2003-03-06
ES2206229T3 (es) 2004-05-16
EP1169207A2 (de) 2002-01-09
CA2367693A1 (en) 2000-11-02
CN1274546C (zh) 2006-09-13
ATE248086T1 (de) 2003-09-15
KR100647046B1 (ko) 2006-11-17
WO2000065248A3 (de) 2001-02-22
AU4549700A (en) 2000-11-10
US6814348B1 (en) 2004-11-09
PL351258A1 (en) 2003-04-07
CN1351554A (zh) 2002-05-29
DE19918195C1 (de) 2000-09-28
PL197934B1 (pl) 2008-05-30
EP1169207B1 (de) 2003-08-27
DE50003447D1 (de) 2003-10-02
CA2367693C (en) 2007-03-13
WO2000065248A2 (de) 200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046B1 (ko) 철도 차량 및 휠 차량의 커플링 장치를 위한 견인/압착-버퍼
KR100529579B1 (ko) 이동식 가구부속품용의 충격흡수장치
KR940009223B1 (ko) 유압식 완충장치
US4993522A (en) Hydraulically blockable gas spring
KR20080094538A (ko) 유체압 완충기
EP3241966A1 (en) Actuator rate control with energy absorbing pressure relief system
EP2302252A1 (en) Shock absorber with a hydraulic rebound stop
US20030051957A1 (en) Shock absorber with a floating piston
KR20090037318A (ko) 운송수단의 댐퍼
EP0705193B1 (en) Energy absorbers
EP2126403B1 (en) Method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in a shock absorber
US2905458A (en) Hydraulically damped spring-biased pistons and cylinders
KR20050067002A (ko) 댐퍼
US20030116897A1 (en) Adjustable-length gas spring
CN108953462B (zh) 一种直列式液压阻尼器
WO1996039588A1 (en) Arrangement for a gas spring
CN211117315U (zh) 压力缓冲设备
US3731914A (en) Double ended spring shock absorber
CN110901682B (zh) 气液缓冲器
DE3936034A1 (de) Hydropneumatisches federungssystem
EP1469226B1 (de) Längenverstellbare Gasfeder
US20030030198A1 (en) Gas-hydraulic shock absorber assembly
CN211107439U (zh) 气液缓冲器
CN116997732A (zh) 流体压力缓冲器
CN110869574B (zh) 家具缓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