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931Y1 - 콘트롤 레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콘트롤 레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931Y1
KR200198931Y1 KR2019960053509U KR19960053509U KR200198931Y1 KR 200198931 Y1 KR200198931 Y1 KR 200198931Y1 KR 2019960053509 U KR2019960053509 U KR 2019960053509U KR 19960053509 U KR19960053509 U KR 19960053509U KR 200198931 Y1 KR200198931 Y1 KR 200198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ever
cable
base
operating rang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0428U (ko
Inventor
백승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3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931Y1/ko
Publication of KR19980040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트롤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콘트롤 레버 조립체는 전 작동범위에 걸친 조작력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베이스(1)와, 일단부에 형성된 회전중심장공(2′)에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1)상에 설치된 지지축(3)을 중심으로 작동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콘트롤 레버(2)와, 상기 콘트롤 레버(2)의 중간부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콘트롤 레버(2)의 작동에 따라 그 말단부 궤적이 직선을 그리는 케이블(1)과, 상기 베이스(1) 상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슬롯(1′)을 통해 상기 콘트롤 레버(2)의 타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장공(4)에 위치되어 콘트롤 레버(2)와 연동되는 연동돌기(6)가 구비 되어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 레버(2)를 회전시켜 작동범위를 선택하도록 하는 노브(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에 의하면 전 작동범위에 걸쳐 그 조작력이 일정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트롤 레버 조립체
본 고안은 콘트롤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윽 상세하게는 콘트롤 레버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케이블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튜브 사이의 마찰을 줄여 콘트롤 레버의 작동이 보다 부드럽게 되도록 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트롤 레버 조립체는 기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로 이동되면서 그 위치에 따라 기계장치가 동작되는 정도(예를 들면 에어콘 루버의 열림량 조절이나, 히터장치 작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를 조절하게 된다.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컨트롤 레버가 히터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베이스(1) 상에 설치되어 있는 컨트롤 레버(2)에는 그 일단부에 노브(5)가 구비되어 베이스(1)의 지지축(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레버(2)의 중간부에는 기계장치가 동작되는 정도를 제어하는 케이블(7)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레버(2)의 말단부에는 가이드장공(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장공(4)에는 상기 노브(5)의 연동돌기(6)가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노브(5)를 사용자가 가이드슬롯(1′)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면 상기 콘트롤 레버(2)가 상기 지지축(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케이블(7)을 당기거나 늦추어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은 케이블(7)을 보호하는 튜브, 9는 고정클립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콘트롤 레버 조립체를 작동함에 있어서, 노브(5)를 도면 상의 최좌측에서 최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콘트롤 레버(2)가 상기 지지축(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콘트롤 레버(2)의 중간부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케이블(7)은 상기 콘트롤 레버(2)에 의해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콘트롤 레버(2)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7)의 말단부의 이동궤적은 곡선을 그리게 된다. 즉, 상기 튜브(8)에 대해 케이블(7)이 휘어지게 되어 상기 케이블(7)이 상기 튜브(8)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케이블(7)이 당겨질 때, 상기 케이블(7)과 상기 튜브(8) 사이의 마찰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콘트롤 레버(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력이 균일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노브(5)가 최좌측에서 최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조작력이 더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트롤 레버와 연동되는 케이블의 말단부 이동궤적을 직선으로 하여 콘트롤 레버의 전 작동범위에 걸쳐 그 조작력이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개략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개략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의 작동을 보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1′ : 가이드슬롯
2 : 콘트롤 레버 2′ : 회전중심장공
3 : 지지축 4 : 가이드장공
5 : 노브 6 : 연동돌기
7 : 케이블 8 : 류브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베이스와, 일단부에 형성된 회전중심장공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작동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콘트롤 레버와, 상기 콘트롤 레버의 중간부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콘트롤 레버의 작동에 따라 그 말단부 궤적이 직선을 그리는 케이블과,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슬롯을 통해 상기 콘트롤 레버의 타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장공에 위치되어 콘트롤 레버와 연동되는 연동돌기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 레버를 회전시켜 작동범위를 선택하도록 하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레버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을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는 크게 베이스(1), 콘트롤 레버(2), 노브(5) 및 케이블(7)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에는 가이드슬릇(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트롤 레버(2)의 회전중심이 되는 지지축(3)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 레버(2)에는 상기 지지축(3)이 위치되는 회전중심장공(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장공(2′)은 상기 지지축(3)을 중심으로 상기 콘트롤 레버(2)가 회전될 때, 상기 콘트롤 레버(2)의 특정 위치의 이동궤적이 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장공(2′)이 형성되어 있는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노브(5)의 연동돌기(6)가 위치되는 가이드장공(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장공(4)은 상기 노브(5)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콘트롤 레버(2)가 상기 지지축(3)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7)은 그 말단부가 상기 케이블(7)의 중간부에 연결설치되는 것이고, 타단부는 조절을 원하는 기계장치(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7)은 튜브(8)에 둘러싸여 있다. 상기 케이블(7)은 튜브(8)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노브(5)는 사용자가 작동범위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말단부는 콘트롤 레버 조립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노브(5)에는 상기 베이스(1)의 가이드슬롯(1′)을 통해 상기 콘트롤 레버(2)의 가이드장공(4) 내에 위치되어 상기 노브(5)의 직선운동을 콘트롤 레버(2)의 회전운동으로 만들어 주기 위한 연동 돌기(6)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는 사용자가 상기 노브(5)를 작동 범위 내에서 조작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 레버(2)가 상기 지지축(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블(7)을 당겨주어 원하는 조절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노브(5)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좌측에 있는 경우애는 상기 연동돌기(6)는 상기 가이드장공(4)의 최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지축(3)은 상기 회전중심장공(2′)의 최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노브(5)를 작동범위에 걸쳐 이동시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 상기 연동돌기(6)는 상기 가이드장공(4)의 최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지축(3)은 상기 회전중심장공(2′)의 최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노브(5)가 작동범위의 최좌측에서 최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연동돌기(6)는 가이드장공(4)의 최상부에서 최하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은 상기 회전중심장공(2′)의 최상부에 위치하다가 최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되면 상기 콘트롤 레버(2)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상기 케이블(7)의 말단부의 궤적은 직선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7)은 그 이동이 적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7)을 둘러싸고 있는 튜브(8)와의 마찰이 최소로 줄어들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 레버 조립체는 콘트롤 레버에 회전중심장공이 구비되어 있어 콘트롤 레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중심이 되는 지지축의 상기 회전중심장공 내에서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상기 콘트롤 레버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 말단부의 이동궤적이 직선으로 되어 상기 케이블과 튜브의 마찰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콘트롤 레버의 조작력이 균일하게 되어 콘트롤 레버의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베이스와, 일단부에 형성된 회전중심장공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된 지지축을 중심으로 작동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콘트롤 레버와, 상기 콘트롤 레버의 중간부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콘트롤 레버의 작동에 따라 그 말단부 궤적이 직선을 그리는 케이블과,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슬롯을 통해 상기 콘트롤 레버의 타단부에 형성된 가이드장공에 위치되어 콘트롤 레버와 연동되는 연동돌기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 레버를 회전시켜 작동범위를 선택하도록 하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레버 조립체.
KR2019960053509U 1996-12-21 1996-12-21 콘트롤 레버 조립체 KR200198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509U KR200198931Y1 (ko) 1996-12-21 1996-12-21 콘트롤 레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509U KR200198931Y1 (ko) 1996-12-21 1996-12-21 콘트롤 레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428U KR19980040428U (ko) 1998-09-15
KR200198931Y1 true KR200198931Y1 (ko) 2000-10-02

Family

ID=1948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509U KR200198931Y1 (ko) 1996-12-21 1996-12-21 콘트롤 레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9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5197B (zh) * 2018-07-16 2020-12-22 武汉理工大学 一种换挡执行机构和油门执行机构安装定位夹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428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93691A (ja) 回転温度制御装置
EP0830961B1 (en) Damper door controller for automative air conditioner
KR200198931Y1 (ko) 콘트롤 레버 조립체
KR200255077Y1 (ko) 전동식유량조절밸브의개폐장치
JP4150462B2 (ja)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KR20060115088A (ko)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KR1005643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드도어 링크장치
JP4061128B2 (ja) ワイパースイッチ
CN114593457A (zh) 空调室内机
US4790199A (en) Mechanical control device
KR950007548Y1 (ko) 선풍기의 수평 회전각도 조절장치
JPH0327236Y2 (ko)
JP400066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426491B2 (ja) ピニオンギアの取付構造
JPS6145535Y2 (ko)
JPS5928887Y2 (ja) 車両用機器の操作装置
KR200280256Y1 (ko) 차량용 송풍 조절장치
KR0116504Y1 (ko) 차량용 통합 히터콘트롤 장치
KR101241153B1 (ko) 공조모드 변경 장치
JPS6217289Y2 (ko)
KR200223313Y1 (ko) 액츄에이터의 가변저항기
JP4062406B2 (ja) 車輌用ヒーター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204656B1 (ko) 차량용 그로우브박스 회전이송장치
KR19990011389U (ko) 에어벤트 노즐기구
EP0895493B1 (en) Lever mechanism for controlling a roof h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