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275Y1 - 거푸집 경사 받침대 - Google Patents

거푸집 경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275Y1
KR200198275Y1 KR2019980000573U KR19980000573U KR200198275Y1 KR 200198275 Y1 KR200198275 Y1 KR 200198275Y1 KR 2019980000573 U KR2019980000573 U KR 2019980000573U KR 19980000573 U KR19980000573 U KR 19980000573U KR 200198275 Y1 KR200198275 Y1 KR 200198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ircumferential surface
yoke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242U (ko
Inventor
서세영
Original Assignee
서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세영 filed Critical 서세영
Priority to KR2019980000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275Y1/ko
Publication of KR980003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2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2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경사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존의 철재 수직 동바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하여 사용하는 거푸집 경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수직으로 다수개 촘촘히 배설해야만 했던 거푸집 공사용 동바리의 비경제성, 비효율성, 안전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구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는 상부 거푸집널 멍에를 파지하여 이를 지지하는, 대략 단면 디귿자 형상의 파지체(23), 너트부(27), 연결압압체(41)를 구비하여서 된 멍에지지부재(7)와; 기존의 수직 동바리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부재로서, 클램프부(49) 및 연결부(57)를 구비하여서 된 하부 연결부재(9)와; 그리고, 양단이 각각 상기 멍에지지부재와 하부연결부재에 대해 핀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거푸집을 경사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수단(11)을 구비한 경사부재(13)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색인어]
거푸집

Description

거푸집 경사 받침대
본 고안은 거푸집 경사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존의 철재 동바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하여 사용하는 거푸집 경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건축공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골조공사이며, 그 중에서도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공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거푸집 공사에 쓰이는 대표적인 가설재 중의 하나는 보, 바닥슬라브 등의 거푸집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동바리(SUPPORT)이다.
콘크리트 공사에 쓰이는 가설용 동바리(1)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와 바닥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하여 소정의 거푸집 내에 타설된 생콘크리트의 수직하중 및 작업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역학적 버팀부재로서, 일반적으로 직경이 약 48.6mm이고 측벽에 약 13mm의 핀구멍들(80)이 뚫려있는 내관(81)과, 직경이 약 63.5mm이고 상단부 외주면이 볼트가공되어 이 볼트가공된 부분애 나사가 끼워진 외관(82)과, 그리고 상기 내관이 외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핀구멍에 삽입됨으로서 내관과 외관을 축이음하는 직경 약 12mm의 핀(8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바리의 축방향 허용지지력은 가장 구조적으로 취약한 연결부인 상기 핀(83)의 허용전단응력에 의해 결정되며 아울러 축방향 지지길이가 길어지면 허용좌굴응력이 줄어들므로 세장비가 고려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규격을 갖는 동바리의 사용길이에 따른 허용지지력은 사용길이 2.4m일 때 약 2t이고, 3.4m일 때 약 1t 정도이며, 지하주차공간 등과 같이 충고가 높은 경우에 사용되는 동바리는 그 단면성능이 보다 중대된 것이 사용된다.
아파트 공사와 같은 일반적인 층고의 기준층에 대하여 사용되는 실제 공사에 있어서의 바닥이나 보를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은 거푸집널, 장선, 멍에 등을 조합한 것이므로 보통 거푸집 바닥면적 1m2당 대략 1개의 동바리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1m 간격으로 철재 동바리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장의 하부는 사람의 통행이나 건축자재의 반입, 운반 등에 많은 불편을 초래할 정도로 협소하다. 특히, 콘크리트 공사에 있어서 보나 바닥슬라브와 같은, 부재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얇은 선형 혹은 판형 부재는 기둥이나 벽체와 같은, 부재의 중심축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수직부재에 비하여 그 허용휨응력이 훨씬 작기 때문에 보나 바닥슬라브에 대한 거푸집은 기둥이나 벽체에 대한 거푸집 보다 장시간의 존치기간을 둠으로써 안전성의 확보 및 양생의 경시적(經時的) 경화강도의 증진을 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 공사의 특성상 보나 바닥슬라브를 지지하는 동바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둥이나 벽면의 측면 거푸집을 먼저 철거하여야 하는바, 보나 바닥슬라브 지지용 동바리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둥이나 벽면의 측면 거푸집을 먼저 철거한다는 것은 계속 존치되어야 하는 보나 바닥지지 동바리로 인해 방해를 받기 때문에 그 철거작업이 쉽지 않으며, 따라서 때때로 작업자가 보나 바닥에 대한 규정된 소정의 거푸집 존치기간을 무시하고 감독자의 눈을 피해 제거해서는 안될 보 등에 대한 동바리를 함께 제거하는 경우도 흔히 생긴다. 이러한 동바리의 조기 제거는 역학적으로 부실공사의 일 요인으로 되며 사후적으로 다른 요인, 예컨대 저기온이나 배합비, 골재나 철근 등의 불량에 따른 구조부재 자체의 하자, 기초구조 등과 관련한 부동침하, 무리한 편심하중 등의 요인들과 경합하여 심각한 부실을 야기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보나 바닥의 조기 처짐량 혹은 크리프(creep)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으로써 마감재의 시공정밀, 외관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수직으로 다수개 촘촘히 배설해야만 했던 거푸집공사용 동바리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기존 수직 동바리의 사용개수 및 그 단위중량를 줄이면서도 필요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효율 및 경제성을 대폭 높이는 것과, 둘째, 작업자가 보다 충분한 통행공간 및 작업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셋째, 역학적으로 극히 안정된 삼각형 형상의 지지에 의해 기존의 수직 동바리의 세장비를 보충함으로써 허용좌굴응력을 높이고 전도(顚倒)를 방지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입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멍에결합부(제1도의 II부)의 정면 확대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멍에결합부의 측면 확대도(제2도의 III방향 부분 단면 확대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수직지주 결합부의 부분 단면 확대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길이조정부의 부분확대도(제1도의 V부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6도는 종래 동바리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 동바리 3 : 거푸집널
4 : 장선 5 : 멍에
7 : 멍에지지부재 9 : 하부연결부재
13 : 경사부재 23 : 대략 단면 디귿자 형상의 파지체
27 : 너트부 39 : 볼트부
41 : 연결압압체 49 : 클램프부
57 : 연결부 59,61 : 핀
69 : 조작로드 71 : 조정관
77 : 상측경사관 79 : 하측경사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 특히 기존의 철재 동바리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하여 사용하는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으로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입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멍에결합부의 정면 확대도(제1도의 II부 확대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멍에결합부의 부분 측단면 확대도이고(제2도의 화살표 III의 방향에서 본 부분 측단면 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수직지주 결합부의 부분 단면확대도이며(제1도의 IV부분 확대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길이조정부의 부분 확대단면도(제1도의 V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받침대(P)는 기존의 거푸집 지지용 철재 동바리(1)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하여 사용하는 역학적 보강부재로서, 상부 거푸집널(3)을 지지하는 멍에(5)를 파지하여 이를 지지하는 멍에지지부재(7)와; 기존의 수직 동바리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하부 연결부재(9)와; 그리고 양단이 각각 상기 멍에지지부재(7)와 하부 연결부재(9)에 대해 핀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거푸집을 경사방향으로 지지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수단(11)을 구비한 경사부재(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보나 바닥슬라브의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널(3)을 장선(4)이 받치고 있고 이 장선 밑을 대략 90×90의 육송각재로 된 멍에(5)가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과 관련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일 구성요소로 채택된 상기 멍에지지부재(7)는, 제2도 및 제3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상부플랜지부(15)와, 웹부(17)와, 중앙에 원형 개구부(19)를 갖는 하부플랜지부(21)를 구비하여서 된 대략 단면 디귿자 형상의 파지체(23)와; 상기 하부플렌지에 형성된 원형 개구부에 대응하는 내경부를 가지고 이 내경부 내주면에 내나사(25)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플랜지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된 너트부(27)와; 그리고, 핀구멍(29)이 형성된 하향 플랜지부(31) 및 수평 웹부(33)로 이루어진 역 U자형 연결부(35)와, 이 연결부의 웹부(33)로부터 상향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27)의 내사사(25)에 나합하는 외나사(37)가 형성된 볼트부(3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연결압압체(4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멍에지지부재(7)는 상기 디귿자 파지체(23)의 상하부 플랜지(15)(21) 사이에 멍에(5)를 위치시킨 후 연결 압압체(41)를 회전시키면 볼트부(39)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나사(37)가 너트부(27)의 내나사(25)에 나합되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압체(41)의 볼트부 상면이 멍에(5)의 하면에 접촉하여 멍에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파지체(23)의 상하부 플랜지(15)(21) 사이에서 멍에(5)가 견고히 파지되어 지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멍에지지부재(7)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압체의 볼트부(39) 상면이 멍에(5)의 하면을 밀어올릴 때의 접촉면적을 넓히는 한편 압압체의 회전시 그 회전력이 멍에에 대하여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부 헤드의 외주면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접시(43)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디귿자 파지채(23)의 상부 플랜지 내주면에는 각재에 대한 파지력을 증진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끝이 뾰족한 요철부(45)를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채택된 상기 하부 연결부재(9)는, 제4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강관의 외주면을 감싸서 볼트(47)로 조임하는 통상의 강관 연결용 클램프부(49)와; 이 클램프부의 일측에 고착된, 웹부(51)와 이 웹부로부터 뻗은 핀체결구멍(53)이 형성된 프랜지부(5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연결부(57)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경사부재(13)는 양단이 각각 상기 멍에지지부재(7)의 역 U자형 연결부(35)와 하부 연결부재(9)의 연결부(57)에 대하여 핀(59)(61)에 의해 핀지지되어 거푸집을 유동가능하게 경사방향으로 지지하며 도중에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수단(11)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부재(13)의 길이방향 신축수단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 받침대의 역학적 지지력을 유효하게 얻기 위하여 채택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내주면에 양방향 내나사(65)(67)가 형성되고, 이 양방향 내나사부의 경계부에 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관통설치된 조작로드(69)를 구비하여서 된 조정관(71)과; 각 하단 및 상단 외주면에 상기 양방향 내나사(65)(67)에 각각 나합되는 외나사(73)(75)를 갖는 상측 경사관(77) 및 하측 경사관(79)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경사부재(13)의 길이방향 신축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작로드(69)는 이를 손으로 파지하여 조정관(71)을 쉽게 회동하기 위하여 채택된 것이므로 반드시 그 구성이 조정관을 그 축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이와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손잡이가 조정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면 족하다.
상기 조작로드(69)를 어느 한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에 결합된 상기 조정관(71)이 함께 회동하고 따라서 이 조정관에 각각 나합될 상측 경사관(77) 및 하측 경사관(79)이 각각 서로를 향하여 방향으로 축이동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조작로드(69)를 다른 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상하측 경사관(77)(79)은 각각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이동함으로써 그 경사방향으로의 신축, 즉 지지의 긴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는 하나의 기존 수직 동바리(1)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두 개의 경사 거푸집 지지대가 장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일예에 지나지 않으며 하나의 기존 수직 동바리에 대하여 연결되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 거푸집 지지대는 필요에 따라 1-4개 또는 그 이상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경사각도 및 지지방향의 조절도 임의적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지지대의 장착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적은 개수의 종래의 수직 동바리(1)를 사용하여 거푸집 하부를 등간격으로 지지한 후, 각 수직 동바리의 좌우측에서 상기 디귿자 파지채(23)내에 멍에(5)를 위치시키고 그 연결 압압체(41)를 회전시켜 그 볼트부 외주면에 형성된 외나사(37)가 너트부(27)의 내나사에 나합되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멍에(5)가 디귿자 파지채(23)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경사부재(13)를 수직 동바리(1) 쪽으로 경사시켜 그 하부에 구비된 하부 연결부재의 강관연결용클램프부(49)를 수직 동바리의 외주면에 긴결한 후 경사부재(13)의 길이를 그 축방향으로 신축조작하기 위한 상기 조작로드(69)를 회동하여 상하측 경사관(77)(79)을 각각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이동시킴으로써 견고한 상태로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경사받침대(P)는 극히 간단한 장착 및 조작에 의해 종래 수직으로 다수개 촘촘히 배설해야만 했던 거푸집 공사용 동바리를 그 필요개수만름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필요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무엇보다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공사시 동바리작업의 효율성 및 그 경제성을 대폭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둘째, 종래와는 달리 거푸집 받침용 동바리의 일부가 경사상태로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작업자가 보다 충분한 통행공간 및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예컨대 벽이나 기둥의 측면 거푸집을 철거하는 작업시 존치되는 인접 동바리의 존재로 인한 간섭을 종래보다 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양호한 콘크리트공사를 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셋째, 경사부재가 그 상측 경사관 및 하측 경사관으로 임의로 분해결합될 수 있어서 보관 및 운송, 조작에 편리하며, 네째, 역학적으로 극히 안정된 삼각형 형상의 지지에 의해 기존의 수직 동바리의 세장비를 보충함으로써 허용좌굴응력을 높이고 전도(顚倒)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멍에(5)를 파지하여 이를 지지하는 멍에지지부재(7)와; 기존의 수직 동바리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하부 연결부재(9)와: 그리고, 양단이 각각 상기 멍에지지부재(7)와 하부 연결부재(9)에 대해 핀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거푸집을 경사방향으로 지지하며, 도중에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수단(11)을 구비한 경사부재(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멍에지지부재(7)는, 상부플랜지부(15)와, 웹부(17)와, 중앙에 원형 개구부(19)를 갖는 하부플랜지부(21)를 구비하여서 된 대략 단면 디귿자 형상의 파지체(23); 상기 하부플렌지에 형성된 원형 개구부에 대응하는 내경부를 가지고 이 내경부 내주면에 내나사(25)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플랜지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된 너트부(27); 및 핀구멍(29)이 형성된 하향 플랜지부(31) 및 수평 웹부(33)로 이루어진 역 U자형 연결부(35)와 이 연결부의 웹부(33)로부터 상향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외주면에 상기 너트부(27)의 내사사(25)에 나합하는 외나사(37)가 형성될 볼트부(3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연결압압체(4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경사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멍에지지부재(7)는, 상기 볼트부 헤드의 외주면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접시(43)를 더 구비하며; 상기 디귿자 파지체(23)의 상부 플랜지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끝이 뾰족한 요철부(4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경사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13)의 길이방향 신축수단(11)은, 내주면 상부측과 내주면 하부측에 각각 진행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양방향 내나사(65)(67)가 형성되고, 이 양방향 내나사부의 경계부에 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관통설치된 조작로드(69)를 구비하여서 된 조정관(71)과; 그리고, 각 하단 및 상단 외주면에 상기 양방향 내나사(65)(67)에 각각 나합되는 외나사(73)(75)를 갖는 상측 경사관(77) 및 하측 경사관(79)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경사받침대.
KR2019980000573U 1998-01-19 1998-01-19 거푸집 경사 받침대 KR200198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573U KR200198275Y1 (ko) 1998-01-19 1998-01-19 거푸집 경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573U KR200198275Y1 (ko) 1998-01-19 1998-01-19 거푸집 경사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42U KR980003242U (ko) 1998-03-30
KR200198275Y1 true KR200198275Y1 (ko) 2000-10-02

Family

ID=1953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573U KR200198275Y1 (ko) 1998-01-19 1998-01-19 거푸집 경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27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58Y1 (ko) * 2009-04-22 2011-08-19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부재 취부용 유압잭
KR101782292B1 (ko) * 2017-04-04 2017-09-26 정건양 비계용 각도조절형 보강프레임
KR101782291B1 (ko) * 2017-04-04 2017-09-26 서경도 비계용 길이가변형 보강프레임
KR20220090760A (ko) * 2020-12-23 2022-06-30 (주)이에스씨엠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476B1 (ko) * 2019-07-16 2021-05-11 김문재 거푸집 동바리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58Y1 (ko) * 2009-04-22 2011-08-19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부재 취부용 유압잭
KR101782292B1 (ko) * 2017-04-04 2017-09-26 정건양 비계용 각도조절형 보강프레임
KR101782291B1 (ko) * 2017-04-04 2017-09-26 서경도 비계용 길이가변형 보강프레임
KR20220090760A (ko) * 2020-12-23 2022-06-30 (주)이에스씨엠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102457474B1 (ko) 2020-12-23 2022-10-21 (주)이에스씨엠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242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606B1 (ko) 철근 배근 고정용 스페이서
CN111441572A (zh) 一种楼承板的倒挂式支撑系统
CN112696012A (zh) 一种可拼接墙柱模板装置
KR200198275Y1 (ko) 거푸집 경사 받침대
JP2004360378A (ja) 型枠支持機構及び打設方法
US2916245A (en) Adjustable scaffold bracket
JPH08284439A (ja) 重荷重形型枠支保工ならびにその部材
KR100802165B1 (ko) 자키 베이스
CN111502253A (zh) 集束体系钢结构建筑楼板用顶托式免支模系统及施工方法
CN214658863U (zh) 倾角大于45°的长斜面清水混凝土模板支撑体系
CN210767763U (zh) 一种钢马凳及支撑梁拆除装置
JP2001073458A (ja) 柱脚固定アンカーボルト支持用架台
CN113463944A (zh) 一种单杆与双杆垂直交叉的连接扣件以及连接结构
JPH0536042Y2 (ko)
CN219654255U (zh) 一种混凝土浇筑快速安拆模板装置
JPH0438038Y2 (ko)
KR200389444Y1 (ko) 건축물의 슬라브 받침 구조물
KR20020032487A (ko) 지붕슬래브의 거푸집 받침장치
KR102402326B1 (ko)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KR102249476B1 (ko) 거푸집 동바리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CN217480897U (zh) 一种悬空可调房屋支撑桁架
CN218479538U (zh) 一种伸缩式辅助大跨度悬挑结构支撑抗滑移加固构件
CN217680495U (zh) 一种现浇混凝土楼板支撑结构
CN215519936U (zh) 能够调节角度的顶托及能够调节角度的组合型顶托
CN216665025U (zh) 一种剪力墙模板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