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248Y1 -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248Y1
KR200198248Y1 KR2019960056749U KR19960056749U KR200198248Y1 KR 200198248 Y1 KR200198248 Y1 KR 200198248Y1 KR 2019960056749 U KR2019960056749 U KR 2019960056749U KR 19960056749 U KR19960056749 U KR 19960056749U KR 200198248 Y1 KR200198248 Y1 KR 200198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switch
central
overhead crane
hoisting devi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630U (ko
Inventor
배원규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56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248Y1/ko
Publication of KR19980043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6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 설비의 권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상장치의 과권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2차적인 비상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로서 완벽한 안전장치의 기능을 갖도록 개선된 천정기중기 설비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권상장치의 비상용 2차 중추 리미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리미트 스위치 레버(7)와 연결되는 연결체인(17) 및 중추걸림쇠(16)가 구비되고 하부에 중추프렌지(15)가 구비된 파이프형 중추(14)와, 상기 파이프형 중추(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고정프렌지(12)가 구비된 흔들림방지대(13)와, 상기 흔들림방지대(13)의 고정프렌지(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l0) 및 고정넛트(11)를 구비하는 베이스(9)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 운행에 따라 안전장치로서의 완벽을 기하고, 각종 오동작을 방지하여 돌발적인 설비 사고를 최소화함으로써 설비가동율을 향상시키고 설비정상화로 조업지원에 적극 참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 설비의 권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상장치의 과권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2차적인 비상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로서 완벽한 안전장치의 기능을 갖도록 개선된 천정기중기 설비의 권상장치용 증추 리미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기중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2차 중추 리미트 스위치는 비상용으로 사용하며 상용(1차)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이 나서 훅(Hook) 또는 훅 빔(Hook Beam)이 계속 상승할 때 일정한 지점에 위치한 중추를 브라케트(Bracket)가 쳐올려서 권상회로를 차단시켜 안전도를 높이는 장치이다.
도 1는 상기와 같은 비상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와이어 드럼(1)에 와이어 로프(2)가 감겨져 있고, 외이어 로프(2)의 끝단에는 훅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권상장치의 일측에는 상용 리미트 스위치 케이스(6)가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2)의 일정한 지점에 비상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가 위치된 것으로, 비상용 리미트 스위치는 비상용 리미트 스위치 케이스(3)와, 이 비상용 리미트 스위치 케이스(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비상용 리미트 스위치 레버(7)와, 비상용 리미트 스위치 레버(7)를 중추(5)에 연결하는 중추지지 로프(4)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중추 리미트 스위치는 비상용으로 사용되는 관계로 사용 중 여러개소에 마찰부를 형성하고, 리미트 스위치 레버(7)는 인위적으로 강제 작동시키는 방법에 국한된 점검으로 장치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즉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추 브라케트(8)에 의해 중추(5)가 상승하여도 중추지지 로프(4)의 과다한 길이로 중추지지 로프(4)의 자중 때문에 리미트 스위치 레버(7)가 작동치 못하여 오동작을 유발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기중기 운행에 따른 흔들림으로 중추(5)가 와이어 로프(2)에 꼬이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중추지지 로프(4)가 절단되고, 이로인한 중추 리미트 스위치의 오동작으로 훅 또는 훅 빔이 계속 상승하여 보텀블록(Bottom Block)과 접촉, 추돌되어 와이어 로프(2)의 절단, 설비의 변형 또는 파손 등의 문제점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추 리미트 스위치 중의 중추와 관련한 제반 문제점, 특히 그라브(Grab)와 중추의 거리가 과다하여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추 리미트 스위치의 보다 완벽한 작동과 관리로 중추 리미트 스위치의 오동작을 최소화하고 대형 설비사고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권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의 중추 리미트 스위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제4도 (a) 내지 제4도 (c)는 본 고안에 따른 중추 리미트 스위치의 주요 구성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중추 리미트 스위치의 조립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중추 리미트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어 드럼 2 : 와이어 로프
3 : 리미트 스위치 케이스 4 : 중추지지 로프
5 : 중추 7 : 리미트 스위치 레버
8 : 브라케트 9 : 베이스
10 : 고정볼트 11 : 고정너트
12 : 고정프렌지 13 : 흔들림방지대
14 : 파이프형 중추 15 : 중추프렌지
16 : 중추걸럼쇠 17 : 연결체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권상장치의 비상용 2차 중추 리미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리미트 스위치 레버에 연결되는 연결체인 및 중추걸림쇠가 구비되고 하부에 중추프렌지가 구비된 파이프형 중추와, 상기 파이프형 중추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고정프렌지가 구비된 흔들림방지대와, 상기 흔들림방지대의 고정프렌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 및 고정넛트를 구비하는 베이스로 구성된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내지 (c)는 본 고안의 중추 리미트 스위치의 주요 구성부품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크게 베이스(9)와, 흔들림방지대(13) 및 파이프형 중추(14)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9)는 그라브상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흔들림 방지대(13)를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홀을 가공하고 고정볼트(10) 및 고정넛트(11)를 갖춘 조립형 베이스부이다.
상기 흔들림방지대(13)는 파이프형 중추(14)의 흔들림을 방지토록 파이프형 중추(14)의 외경보다 1∼1.5mm 정도 큰 내경을 지니고, 상부에 구비된 고정프렌지(12)를 이용하여 베이스(9)에 삽입하여 흔들림방지대(13)를 고정볼트(10) 및 고정넛트(11)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파이프형 중추(14)는 흔들림방지대(13)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브라케트에 의해 상승이 용이토록 중추프렌지(15)로 결속 되어 있고, 상부에는 고정프렌지(12)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는 중추걸림쇠(16)가 구비되어 있으며, 중추걸림쇠(16)에는 연결체인(17)이 결속 되어 있다.
도 5는 상기와 같은 베이스(9), 흔들림방지대(13) 및 파이프형 중추(14)가 조립된 2차 리미트 스위치 장치중의 중추 조립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즉 베이스(9)상에 흔들림방지대(13)의 고정프렌지(12)가 고정볼트(10) 및 고정너트(11)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흔들림방지대(13)에 파이프형 중추(14)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파이프형 중추(14)의 연결 체인(17)이 중추 리미트 스위치 레버(7)에 연결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케트(8)가 상승하면서 파이프형 중추(14)의 중추프렌지(15)를 밀어올리게 되면, 연결체인(17)로 연결된 중추 리미트 스위치 레버(7)가 하강되어 리미트 스위치 접점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권하를 실시하게 되면, 브라케트(8)가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파이프형 중추(14)의 중추프렌지(15)가 내려와 중추걸림쇠(16)가 고정프렌지(12)에 지지 고정되므로 중추 리미트 스위치 레버(7)가 원상태로 환원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형 중추(14)의 상, 하동작시 흔들림방지대(13)에 의해 파이프형 중추(14)가 지지되므로 꼬임등이 방지되는 것이고, 하중에 의한 리미트 스위치 레버(7)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정비, 보수등이 필요할 때는 베이스(9)의 고정넛트(11)를 풀고, 흔들림방지대(13)와 파이프형 중추(14)를 베이스(9)에서 분리하여 정비,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기중기의 귄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면, 천정 기중기 운행에 따라 안전장치로서의 완벽을 기하고, 각종 오동작을 방지하여 돌발적인 설비 사고를 최소화함으로써 설비가동율을 향상시키고 설비정상화로 조업지원에 적극 참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천정기중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권상장치의 비상용 2차 중추 리미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리미트 스위치 레버(7)와 연결되는 연결체인(17) 및 중추걸림쇠(16)가 구비되고 하부에 중추프렌지(15)가 구비된 파이프형 중추(14)와,
    상기 파이프형 중추(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고정프렌지(12)가 구비된 흔들림방지대(13)와,
    상기 흔들림방지대(13)의 고정프렌지(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0) 및 고정넛트(11)를 구비하는 베이스(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
KR2019960056749U 1996-12-26 1996-12-26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 KR200198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749U KR200198248Y1 (ko) 1996-12-26 1996-12-26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749U KR200198248Y1 (ko) 1996-12-26 1996-12-26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630U KR19980043630U (ko) 1998-09-25
KR200198248Y1 true KR200198248Y1 (ko) 2000-11-01

Family

ID=1948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749U KR200198248Y1 (ko) 1996-12-26 1996-12-26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2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59B1 (ko) * 2001-07-31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의 중추와이어의 감김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630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8248Y1 (ko) 천정기중기의 권상장치용 중추 리미트 스위치
EP0661232B1 (en) A lifting device
US5820108A (en) Monopod anchoring device
KR102060727B1 (ko) 와이어 끼임 방지 치구 및 샤클
US4011955A (en) Sea crane tiedown
KR200448193Y1 (ko)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용 러그구조체
EP0172597B1 (de) Fallsicherungsvorrichtung für senkrecht schliessende Türen
KR200220765Y1 (ko) 잠금장치가 부착된 크레인후크
KR200223776Y1 (ko) 와이어로프 보호용 중추리미트 장치
JP4426932B2 (ja) 乗客コンベアの揚重装置
KR940000356Y1 (ko) 고가사다리용 승강기 와이어(Wire)이탈방지장치
CN218841534U (zh) 牵引绳防出槽保护装置
KR100546854B1 (ko) 승강이 가능한 바퀴를 구비한 슬라이딩도어
KR102409585B1 (ko) 리깅 플랫폼
CN211141210U (zh) 家用别墅无机房电梯简易止动装置
KR200172503Y1 (ko) 래들경동아암 자동잠금장치
KR200180821Y1 (ko) 천정기중기의 보권와이어 탈선 경보장치
KR200199442Y1 (ko) 천정기중기용 통키의 작동상태 확인장치
JP3027114U (ja) ゲート降下装置
JPH0336337A (ja) ショベルローダのリフトアーム下降防止装置
JP4144081B2 (ja) ラフィングジブのシーブケース取付装置
KR950004740Y1 (ko) 크레인 호이스트(Crane Hoist)의 리미트스위치용 추(Weight)
KR970003450Y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기의 안전장치
JPH07172774A (ja) クレ−ンのブ−ムバックストップの破損防止装置
JP3745028B2 (ja) 加圧水型原子炉用燃料集合体の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