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178Y1 -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 Google Patents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178Y1
KR200198178Y1 KR2019980014505U KR19980014505U KR200198178Y1 KR 200198178 Y1 KR200198178 Y1 KR 200198178Y1 KR 2019980014505 U KR2019980014505 U KR 2019980014505U KR 19980014505 U KR19980014505 U KR 19980014505U KR 200198178 Y1 KR200198178 Y1 KR 200198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rack gear
condenser
piece
slid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212U (ko
Inventor
오진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삼화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삼화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2019980014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17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178Y1/ko

Links

Landscapes

  • Manipulator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작업공정에 따라 콘덴서(1)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를 파지하는 두개의 파지편(11)으로 이루어진 파지부(10)와; 상기 파지부(10) 각각의 파지편(11) 일측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일측면는 이를 이동시켜 파지부(10)가 벌어지도록 하는 제어홀(21)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드편(20)과; 상기 슬라이드편(20)이 왕복운동을 할때 그 가이드 역할을 하며, 벌어져 있던 파지편(11)이 서로 밀착되도록 리턴스프링(31)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봉(30)과; 각각의 슬라이드편(20) 저면에 대칭되도록 결합되며, 그 양측에 형성된 걸림편(41)에 의하여 고정되는 래크기어(40)와; 양측에 설치된 래크기어(40)의 중앙에 설치되어 각가의 래크기어(40)가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그 중앙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0)와; 상기 슬라이드편(20)을 안내하는 가이드봉(30)을 지지하는 측면틀체(61)와, 래크기어(40)와 피니언기어(50)를 수용하며, 그 내측 하부에는 래크기어(40)의 이동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홈(63)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하부틀체(6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외곽틀체(6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래크기어(40)와 피니언기어(50)에 의하여 대칭으로 작동되는 파지편(11)이 항상 중앙부서 콘덴서를 밀착함으로 다양한 콘덴서를 이송 시키면서 불량 및 용량을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본 고안은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콘덴서의 불량이나 용량등을 테스트하기 위해 각 공정으로 이동시킬때, 직경이 다양한 콘덴서에 관계없이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덴서의 불량이나 용량등을 테스트하기 위해 콘덴서를 각 공정으로 이동 시키는데, 이 콘덴서를 이송하기 위하여 척이 사용된다.
종래의 척이 그 크기가 다양한 콘덴서를 파지하기 위하여 그 크기에 따라 척을 제작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 척이 선반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선반의 회전에 의하여 그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콘덴서를 파지하는 척의 형상은 집개와 같이 두개의 지지대가 중심부분에서 크로스되며, 그 지지대의 일측 내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타측이 서로 맞닿도록 하여, 콘덴서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 척은 집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양측의 지지대가 중앙부분을 축으로 일측이 모이면 타측이 벌어지고 타측이 모이면 일측은 벌어지기 때문에 콘덴서를 파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부는 그 크기가 비교적 작은 콘덴서를 파지 하는데만 사용됨으로 그 한계가 있으며, 비교적 큰 콘덴서를 파지하기 위하여서는 별도의 척을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그 크기가 다른 콘덴서를 테스트할 때에는 그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져 설비비가 많이 들며, 이 작업을 위해서는 콘덴서의 크기를 미리 선별 해야하는등 그 작업성을 저해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덴서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를 파지할 수 있는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선반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파지부가 벌어지는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덴서 10 - 파지부
11 - 파지편 12 - 파지롤러
13 - 걸림턱 20 - 슬라이드편
21 - 제어홀 22 - 관통홀
30 - 가이드봉 31 - 리턴스프링
40 - 래크기어 41 - 걸림편
50 - 피니언기 60 - 외곽틀체
61 - 측면틀체 62 - 하부틀체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공정에 따라 콘덴서(1)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를 파지하는 두개의 파지편(11)으로 이루어진 파지부(10)와;
상기 파지부(10)의 파지편(11) 일측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일측면에는 링크(3)가 삽입되어 이동시켜 파지부(10)가 벌어지도록 하는 제어홀(21)이 구비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편(20)과;
상기 슬라이드편(20)이 왕복운동을 할때 그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관통홀(22)에 설치되며, 벌어져 있던 파지편(11)이 중앙으로 밀착되도록 리턴스프링(31)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봉(30)과;
각각의 슬라이드편(20) 저면에 대칭되도록 결합되며, 그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의하여 고정되는 래크기어(40)와;
양측에 설치된 래크기어(40)의 중앙에 설치되어 각가의 래크기어(40)가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그 중앙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0)와;
상기 슬라이드편(20)을 안내하는 가이드봉(30)을 지지하는 측면틀체(61)와, 래크기어(40)와 피니언기어(50)를 수용하며, 그 내측 하부에는 래크기어(40)의 이동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홈(63)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하부틀체(6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외곽틀체(60)로 이루어진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슬라이드편(20) 저면에 설치된 래크기어(40)와 그 중앙에 설치된 피니언기어(50)에 의하여 일측 슬라이드편(20)의 제어만으로도 타측의 슬라이드편(20)이 제어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관의 사시도로서, 그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서, 그 결합상태와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에 의하여 일측과 타측에 각각설치된 슬라이드편이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슬라이드편이 기이드봉에 의하여 일정구간을 왕복운동하며, 리턴스프링에 의하여 파지부가 콘덴서를 파지하게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평면개략도 로서, 선반위에 규칙적으로 설치된 척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인 척의 슬라이드편 일측에 설치된 제어홀에 링크가 삽입되어 그 작동을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콘덴서를 파지하여 각공정으로 이동하는 척에 관한 것이다.
이 척은 콘덴서(1)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를 파지할 수 있도록 양측의 파지편(11)이 래크기어(40)와 피니언기어(50)의 작동에 의하여 어느 한쪽의 작동으로 양측의 파지편(11)이 대칭으로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척의 파지부(10)를 구성하고 있는 파지편(11)이 벌어질때는 구동모터(2)에 설치된 링크(3)의 일부가 슬라이드편(20) 일측에 형성된 제어홀(21)에 삽입되어 파지편(11)이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슬라이드편(20)을 안내하는 가이드봉(30)에 설치된 리턴스프링(31)에 의하여 콘덴서(1)를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편(11)이 서로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파지부(10)는 양측에 설치된 파지편(11)으로 구성되는데, 이 파지편에는 콘덴서(1)를 보단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수개의 파지롤러(1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파지롤러(12)의 선단에는 파지된 콘덴서(1)의 위치를 결정하고, 파지부(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파지부(10)의 하부에는 슬라이드편(20)이 설치되며, 그 일측에 파지편(11)이 결합되어 고정됨으로, 슬라이드편(20)의 작동에 따라 파지편(11)이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편(20)은 그 내부에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30)이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리턴스프링(31)이 설치되어 항상 일측으로 밀착되어 지도록 한다.
그리고, 슬라이드편(20) 일측에는 제어홀(21)이 형성되어 있어, 콘덴서(1)를 파지하기 위하여 파지편(11)이 벌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모터(2)에 설치된 링크(3)가 이에 삽입되어 이동시킨 후 분리되면 리턴스프링(31)에 의하여 콘덴서를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가이드봉(30)은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틀체(61)에 지지 되는데, 슬라이드편(20)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위치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30)이 슬라이드편(20) 상,하부에 각각 관통되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각각의 슬라이드편(20)의 하부에는 양측에 걸림편(41)이 형성된 래크기어(40)가 대칭되도록 설치되는데, 그 사이에는 피니언기어(50)가 설치되어 일측의 래크기어(40)의 작동으로 타측의 래크기어(40)가 함께 대칭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래크기어(40)와 피니언기어(50)는 그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부틀체(62) 가이드홈(63)을 설치하여 그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10)는 콘덴서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콘덴서를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척은 파지편(11)과 그 하부에 결합 고정되어 가이드봉(30)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편(20)과, 이 슬라이드편(20) 하부에 결합되는 래크기어(40)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0)에 의하여 양측의 파지편(11)이 대칭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에 의하면, 파지부(10)의 파지폭에 따라 콘덴서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를 파지할 수 있으며, 래크기어(40)와 피니언기어(50)에 의하여 대칭으로 작동되는 파지편(11)이 항상 중앙부서 콘덴서를 밀착함으로 다양한 콘덴서를 이송 시키면서 불량 및 용량을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작업공정에 따라 콘덴서(1)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이를 파지하는 두개의 파지편(11)으로 이루어진 파지부(10)와;
    상기 파지부(10)의 파지편(11) 일측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일측면에는 링크(3)가 삽입되어 이동시켜 파지부(10)가 벌어지도록 하는 제어홀(21)이 구비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편(20)과;
    상기 슬라이드편(20)이 왕복운동을 할때 그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관통홀(22)에 설치되며, 벌어져 있던 파지편(11)이 중앙으로 밀착되도록 리턴스프링(31)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봉(30)과;
    각각의 슬라이드편(20) 저면에 대칭되도록 결합되며, 그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의하여 고정되는 래크기어(40)와;
    양측에 설치된 래크기어(40)의 중앙에 설치되어 각가의 래크기어(40)가 반대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그 중앙에 설치되는 피니언기어(50)와;
    상기 슬라이드편(20)을 안내하는 가이드봉(30)을 지지하는 측면틀체(61)와, 래크기어(40)와 피니언기어(50)를 수용하며, 그 내측 하부에는 래크기어(40)의 이동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홈(63)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하부틀체(6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외곽틀체(60)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2. 청구항 1항 있어서, 상기 파지편(11)의 내측에는 콘덴서(1)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파지롤러(1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롤러(12)의 일측부에는 파지된 콘덴서(1)의 위치를 경정하고, 파지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13)이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KR2019980014505U 1998-08-01 1998-08-01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KR200198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505U KR200198178Y1 (ko) 1998-08-01 1998-08-01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505U KR200198178Y1 (ko) 1998-08-01 1998-08-01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12U KR20000004212U (ko) 2000-03-06
KR200198178Y1 true KR200198178Y1 (ko) 2000-10-02

Family

ID=1953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505U KR200198178Y1 (ko) 1998-08-01 1998-08-01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1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33B1 (ko) * 2015-07-23 2017-01-31 이점수 핀 결합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사출 성형품 형체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33B1 (ko) * 2015-07-23 2017-01-31 이점수 핀 결합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사출 성형품 형체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12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261B1 (ko) 전동액추에이터
US5234244A (en) Bi-directional feeding gripper device
CN207325791U (zh) 工件保持工具的装卸支承装置
KR910006955B1 (ko) 전자부품장착기의 장착헤드교환장치
KR200198178Y1 (ko)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JP4264918B2 (ja) 開閉チャック
KR200224072Y1 (ko) 콘덴서 테스트기용 척
JP2000343474A (ja) 開閉チャック
SU1179913A3 (ru) Кисть механической руки
JP3899930B2 (ja) コンプライアンスユニット
JPS60201834A (ja) 多機能チヤツク
US4163590A (en) Universal floating guide means
KR920019996A (ko) 원단봉침기
KR200253998Y1 (ko) 콘덴서 에이징용 지그
CN110155713A (zh) 一种同步转移导引机构
JPH0325874Y2 (ko)
JP2019202332A (ja) トランスファ装置のチャックユニット及びトランスファ装置
SU10047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центрировани деталей
JPH07237047A (ja) ワーク保持装置
JPH06632U (ja) ツール情報読取装置
JPH0715740Y2 (ja) プッシュロッド付き把持チャック
SU1684028A1 (ru) Схват манипул тора
US6186570B1 (en) Gripping device
SU1301694A1 (ru) Клещевой захват
KR970003855Y1 (ko) 진공흡착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