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883Y1 -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883Y1
KR200197883Y1 KR2019950033593U KR19950033593U KR200197883Y1 KR 200197883 Y1 KR200197883 Y1 KR 200197883Y1 KR 2019950033593 U KR2019950033593 U KR 2019950033593U KR 19950033593 U KR19950033593 U KR 19950033593U KR 200197883 Y1 KR200197883 Y1 KR 200197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cross member
rear collision
vehicle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991U (ko
Inventor
이우일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33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883Y1/ko
Publication of KR970022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fluid stor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방추돌시에 크로스멤버의 체결볼트를 통해 연료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자동차의 후방추돌시에 크로스멤버(20′)가 전방으로 밀리게 될 때에 크로스멤버(20′)의 전방으로 돌출된 체결볼트(30′)가 연료탱크(10′)를 파손시키게 되어 연료가 외부누출은 물론 화재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크로스멤버(20)의 전면에 연료탱크(10)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된 체결볼트(30)에 접촉플랜지(41)의 중앙에 볼트 수용홈(42)이 요입 형성된 원판형의 보호와셔(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후방추돌로 인하여 크로스멤버(20)가 전방으로 밀리게 되더라도 비교적 면적이 넓은 보호와셔(40)의 접촉플랜지(41)가 연료탱크(10)에 접촉되므로 하중이 폭넓게 분산되어 연료탱크(1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
제1도는 종래구조가 장착된 자동차의 요부 사시도.
제2도는 종래구조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보호와셔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탱크 20 : 크로스멤버
30 : 체결볼트 40 : 보호와셔
41 : 접촉플랜지 42 : 볼트 수용홈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방추돌시에 크로스멤버의 체결볼트를 통해 연료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체결볼트에 넓은 접촉부를 갖는 보호와셔를 결합하여 접촉면적을 확대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탱크는 차체의 후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인 바, 그의 후방에는 양 후방바퀴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멤버(cross member)가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크로스멤버(20′)의 체결볼트(30′)가 크로스멤버(20′)의 전방으로 돌출된 채로 있게 되는 관계로 자동차의 후방추돌시에 크로스멤버(20′)가 전방으로 밀리게 될 때에 체결볼트(30′)가 연료탱크(10′)를 파손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연료탱크(10′)가 파손되면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어 화재의 위험이 많게 됨으로 화재로 인한 이차적인 피해를 입게 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자동차의 후방추돌시에 크로스멤버의 전면에 돌출되는 체결볼트에 의하여 연료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안전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후방추돌시에 연료탱크 보호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결볼트에 중앙에 볼트 수용홈이 마련되고, 전방에 접촉플랜지가 마련된 원판형의 보호와셔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연료탱크(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크로스멤버(20)의 전면에 연료탱크(10)쪽으로 향하는 체결볼트(30)가 체결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접촉플랜지(41)의 중앙에 볼트 수용홈(42)이 요입 형성된 원판형의 보호와셔(40)를 상기 체결볼트(30)에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제3도와 같이 크로스멤버(20)의 체결볼트(30)가 보호와셔(40)의 볼트 수용홈(42)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후방추돌로 인하여 크로스멤버(20)가 전방으로 밀리게 되더라도 체결볼트(30)가 직접적으로 연료탱크(10)에 접촉되지 않고 비교적 면적이 넓은 보호와셔(40)의 접촉플랜지(41)가 연료탱크(10)에 접촉되므로 하중이 폭넓게 분산되어 연료탱크(1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후방추돌시에 연료탱크(10)의 파손으로 인한 연료누출과 화재의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자동차의 안전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연료탱크(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크로스멤버(20)의 전면에 연료탱크(10)쪽으로 향하는 체결볼트(30)가 체결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접촉플랜지(41)의 중앙에 볼트 수용홈(42)이 요입 형성된 원판형의 보호와셔(40)를 상기 체결볼트(30)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
KR2019950033593U 1995-11-15 1995-11-15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 KR200197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593U KR200197883Y1 (ko) 1995-11-15 1995-11-15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593U KR200197883Y1 (ko) 1995-11-15 1995-11-15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991U KR970022991U (ko) 1997-06-18
KR200197883Y1 true KR200197883Y1 (ko) 2000-10-02

Family

ID=1942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593U KR200197883Y1 (ko) 1995-11-15 1995-11-15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8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991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7883Y1 (ko) 자동차 후방추돌시의 연료탱크 보호구조
JPS6326244Y2 (ko)
JPH11165545A (ja) フィラーチューブの取付構造
KR100461361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설치구조
KR200269875Y1 (ko) 자동차의리어범퍼스테이마운팅구조
JP2574784Y2 (ja) フュエルタンクプロテクタ
JPH0326986Y2 (ko)
KR200195518Y1 (ko) 자동차용 엘피지 연료탱크 안전보호장치
KR200149579Y1 (ko) 자동차의 번호판 고정장치
KR0137873Y1 (ko) 자동차의 충돌시 연료펌프를 차단하는 관성 스위치의 장착구조
KR200141910Y1 (ko) 리어범퍼 보호장치
KR0130149Y1 (ko) 자동차의 시이트벨트취부용 보강재구조
KR100306710B1 (ko) 자동차의저면보호구
KR0118285Y1 (ko) 자동차 후부차체구조
KR200147137Y1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용 액슬빔 보호구
KR19980048516U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 구조
JPH10297356A (ja) ランプベゼル取付部構造
KR0111415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트렁크 트림
KR100231585B1 (ko) 연료탱크 취부용 스트랩의 체결구조
KR19990019319U (ko) 트럭의 연료탱크 보호용 프로텍터
KR19980059637A (ko) 자동차의 후방 하부 차체 구조
KR19980062925A (ko) 자동차의 연료 파이프 보호구조
KR19980038847U (ko) 연료 탱크 보호용 하부 차체구조
KR970074131A (ko) 자동차의 연료주입장치 파손방지장치
KR19980029776A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캐니스터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