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881Y1 -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881Y1
KR200197881Y1 KR2019950015215U KR19950015215U KR200197881Y1 KR 200197881 Y1 KR200197881 Y1 KR 200197881Y1 KR 2019950015215 U KR2019950015215 U KR 2019950015215U KR 19950015215 U KR19950015215 U KR 19950015215U KR 200197881 Y1 KR200197881 Y1 KR 200197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einforcement
reinforcing
flange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5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495U (ko
Inventor
오제혁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15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881Y1/ko
Publication of KR970001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4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8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루프보강판의 취약했던 문제점 등을 해결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측루프레일과 내측루프레일에 연접되는 플랜지에 보강비이드를 절곡형성시키고, 상기 플랜지의 보강비이드 외측면에는 루프보강판의 보강비이드를 결합고정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강성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측루프레일가 내측루프레일에 연접되는 플렌지에 보강비이드를 절곡형성시키고, 상기 플랜지의 보강비이드 외측면에는 루프보강판의 보강비이드를 결합고정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강성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구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보강판(17)에 보강비이드(18)가 끝단부가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중간부에서 끝나게 되는 단속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보강비이드(18)의 끝단부에는 내,외측 루프레일의 플랜지에 용접시키기 위한 플랜지(19)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을 목적으로 형성되는 보강비이드(18)가 루프보강판(17)의 중간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인 끝단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의 약화로 인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그 충격력에 대한 강성이 충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보완하기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측루프레일과 내측루프레일을 연결하는 루프보강판의 강성을 향상시켜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차량 루프부위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 루프보강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루프레일 2 : 보강비이드
3 : 플랜지 4 : 내측루프레일
5 : 보강비이드 6 : 플랜지
7 : 루프보강판 8 : 보강비이드
9 : 루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측루프레일과 내측루프레일의 플랜지에 보강비이드를 형성시켜서 결합하고, 상기 내측루프레일의 플랜지에 형성된 보강비이드 외측면에는 루프보강판에 형성된 보강비이드의 끝단부를 결합시켜서 이들을 동싱에 용접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이 적용된 루프부위의 부분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외측, 내측루프레일(1)(4)의 플랜지(3)(6)에 보강비이드(2)(5)를 형성시키고, 상기 내측루프레일(4)의 플렌지(6)에 형성된 보강비이드(5)의 외측면에는 루프보강판(7)에 형성된 보강비이드(8)의 끝단부를 결합하여 용접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루프보강판(7)에는 끝까지 보강비이드(8)를 연속형성시켜서, 상기 보강비이드(8)의 끝단부를 내측루프레일(4)의 플랜지(6)에 형성된 보강비이드(5) 외면으로 용접고정되기 때문에 확실한 강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내측루프레일(1)의 플랜지에 외측루프레일(1)의 플랜지가 동일한 구성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는 외부충격에 대하여 향상된 대응력을 갖춘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안전을 보다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Claims (1)

  1. 외측루프레일(1)과 내측루프레일(4)의 플랜지(3)(6)에 보강비이드(2)(5)를 형성시켜서 결합하고, 상기 내측루프레일(4)의 플랜지(6)에 형성된 보강비이드(5) 외측면에는 루프보강판(7)에 형성된 보강비이드(8)의 끝단부를 결합시키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
KR2019950015215U 1995-06-29 1995-06-29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 KR200197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215U KR200197881Y1 (ko) 1995-06-29 1995-06-29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215U KR200197881Y1 (ko) 1995-06-29 1995-06-29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495U KR970001495U (ko) 1997-01-21
KR200197881Y1 true KR200197881Y1 (ko) 2000-10-02

Family

ID=1941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5215U KR200197881Y1 (ko) 1995-06-29 1995-06-29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8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495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3889B1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보강을 위한 보강구조
KR200197881Y1 (ko) 자동차용 루프보강판의 취부구조
JPH01182175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200188442Y1 (ko) 자동차용 리어부 보강구조
KR200252714Y1 (ko) 자동차 덱크로스멤버 결합구조
JPS602996Y2 (ja) 車両センタピラ−のシ−トベルト取付構造
JP4535538B2 (ja) 車両用アシストグリップ取付構造
KR0111939Y1 (ko) 자동차용 플로어판넬 접합부의 보강구조
KR0171798B1 (ko) 자동차용 센터필러의 보강구조
KR100333882B1 (ko) 자동차용 프레임용 프레임의 보강을 위한 보강구조
KR19980032416U (ko)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200224111Y1 (ko) 자동차 프레임의 취부구조
KR0115613Y1 (ko) 자동차용 루프판넬의 보강구조
KR0137506Y1 (ko) 차량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0160042B1 (ko) 자동차용 센터필러의 결합구조
KR200236878Y1 (ko) 자동차용 토션바의 보강구조
KR0135440B1 (ko) 자동차용 센터 필러 어셈블리
KR0124787Y1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부위의 강성 보강구조
KR100198117B1 (ko) 화물자동차의 캐빈프론트패널
KR19990016849U (ko) 차량용 필러패널의 연결구조
KR19980038944A (ko)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KR19980038968A (ko) 자동차의 사이드 차체 구조
KR19980077216A (ko) 자동차 프레임의 크로스 부재와 사이드 부재의 접합 구조
JPH09207822A (ja) フロントフェンダの前端部構造
KR19980040106U (ko) 자동차 프레임의 사이드 부재와 크로스 부재의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