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267Y1 - 파이프 클램프. - Google Patents

파이프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267Y1
KR200197267Y1 KR2020000010856U KR20000010856U KR200197267Y1 KR 200197267 Y1 KR200197267 Y1 KR 200197267Y1 KR 2020000010856 U KR2020000010856 U KR 2020000010856U KR 20000010856 U KR20000010856 U KR 20000010856U KR 200197267 Y1 KR200197267 Y1 KR 200197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sides
shoulder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일봉
Original Assignee
서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봉 filed Critical 서일봉
Priority to KR2020000010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조단가를 줄이고 각종 배관작업을 쉽고 신속하게 완료시킬 수 있는 파이프 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 하로 덮게와 본체의 조립에 의해 관체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크램프에 있어서, 상기 덮게(2)에는 누름부(20)의 양측 하부에서 아래로 돌출되게 일체로 성형된 돌기(24)가 있으며, 상기 돌기(24)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4a)이 있고, 상기 관체(3)에는 받침부(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어깨(12)가 형성되며, 상기 어깨의 중앙으로 스톱퍼(14a)를 가진 구멍(14)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파이프 클램프.{PIPE CLAMP}
본 고안은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를 줄이고 배관작업이 더욱 편리하며 신속하게 완료시킬 수 있는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시가스관 및 LPG관 그리고 각종 난방용 관과 상수관 등의 관체를 배관할 때 주택, 아파트 기타 각종건물의 벽면 또는 기둥에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프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는 각종 관체를 고정시킬 때 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지게 하기 위해 보통 ''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위로 유자형 또는 반원형의 고정구가 조립되면서 파이프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는 관을 고정시키는 수단이 볼트와 너트 체결방식으로서 배관작업이 지연되고 부품수의 증가로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파이프 클램프를 등록한 바 있다.(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150685) 그러나, 이 역시 볼트와 너트가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문제점들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으며 사용상 불편한 점이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단가를 줄이고 각종 배관작업을 쉽고 신속하게 완료시킬 수 있는 파이프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 하로 덮게와 본체의 조립에 의해 관체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크램프에 있어서, 상기 덮게(2)에는 누름부(20)의 양측 하부에서 아래로 돌출되게 일체로 성형된 돌기(24)가 있으며, 상기 돌기(24)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4a)이 있고, 상기 관체(3)에는 받침부(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어깨(12)가 형성되며, 상기 어깨의 중앙으로 스톱퍼(14a)를 가진 구멍(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 파이프를 고정시킨 상태의 중앙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덮게
10:받침부 12:어깨
14:구멍 14a:스톱퍼
16a:구멍 20:누름부
22:날개 24:돌기
24a: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파이프 클램프의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에 따르면, 중앙에 관체(3)를 안치시킬 수 있는 받침부(10)가 있는 본체(1)와, 상기 관체(3)를 고정시키는 덮게(2)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고안 파이프 클램프에 의해서 관체(3)가 고정된 상태의 중앙 단면도로서 본체(1)의 양측 어깨(12)로 상부 덮게(2)의 양측 돌기(24)가 끼워져 견고하게 결합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는, 금속재로서 곡면과 직각으로 굽혀지면서 일체로 완성되는 본체(1)는, 중간지점에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된 받침부(10)가 있으며 양측으로 수평상의 어깨(12)가 형성된다. 상기 어깨의 중앙에는 사각의 구멍(14)이 있으며 구멍(14)의 양측면에서 중앙으로 돌출되는 스톱퍼(14a)가 있다. 이후, 양측의 어깨에서 아랫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면서 측면(16)이 형성되고 다시 수평상으로 절곡되어 브라켓(18)을 형성한다. 위에서 상기 측면(16)의 중앙에는 사각의 구멍(16a)두고 있으며 또한 상기 브라켓(18)의 중앙에도 구멍(18a)을 두고 있다.
다음, 상기 본체(1)의 상부로 조립되는 덮게(2)는, 수지로서 일체 사출성형되는 것으로 중앙에 본체(1)의 받침부(10)와 상응하는 반원형의 누름부(20)가 있고 양측으로 날개(22)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날개(22)의 하부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돌기(24)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돌기(24)의 양측으로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성형된 소정의 걸림턱(24a)들이 있다. 이는, 본체(1)의 어깨(12) 구멍(14)으로 삽입되었을때, 스톱퍼(14a)에 의해 결착되어 뒤로 후퇴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파이프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체(1)를 배관하고자 하는 벽면에 대고 양측 브라켓(18)의 구멍(18a)으로 못이나 나사못을 박아 고정시킨 다음, 받침부(10) 위로 관체(3)를 안치시킨다. 이후, 상부로 덮게(2)의 누름부(20)가 상기 관체(3)의 상면으로 씌우되, 양측의 돌기(24)가 본체(1)의 어깨(12) 구멍(14)으로 끼워지게 한다. 이때는 덮게(20)의 양측 날개(22)를 망치로 때려서 박아 넣게 되는데, 관체(3)의 외부를 완전히 감싸게 되었을 때, 돌기(24)의 걸림턱(24a)들이 스톱퍼(14a)에 걸리게 되면서 뒤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착된다.
한편, 위와 같이 설치된 파이프 클램프에서 본체(1)의 측면(16)에 형성된 구멍(16a)은 관체를 해체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구멍으로 드라이버 및 긴 공구를 끼우고 돌기(24)의 하단을 밀어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소정의 밴딩작업과 펀칭작업에 의해 본체가 완성되고 또한, 사출물로서 덮개가 완성되는 것으로 단시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나사 및 볼트의 번거로운 조립과정이 필요 없이 간단하게 결착되는 것으로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 하로 덮게와 본체의 조립에 의해 관체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크램프에 있어서;
    상기 덮게(2)에는 누름부(20)의 양측 하부에서 아래로 돌출되게 일체로 성형된 돌기(24)가 있으며, 상기 돌기(24)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4a)이 있고, 상기 관체(3)에는 받침부(10)의 양측으로 연장된 어깨(12)가 형성되며, 상기 어깨의 중앙으로 스톱퍼(14a)를 가진 구멍(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양측 측면에는 결착된 돌기를 해지시키기 위한 구멍(16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램프.
KR2020000010856U 2000-04-11 2000-04-11 파이프 클램프. KR200197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856U KR200197267Y1 (ko) 2000-04-11 2000-04-11 파이프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856U KR200197267Y1 (ko) 2000-04-11 2000-04-11 파이프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267Y1 true KR200197267Y1 (ko) 2000-09-15

Family

ID=1965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856U KR200197267Y1 (ko) 2000-04-11 2000-04-11 파이프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26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605B1 (ko) 2007-02-14 2007-08-29 씨피시스템(주) 튜브 고정장치
KR200469444Y1 (ko) 2012-07-12 2013-10-14 김수군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
KR20200082544A (ko) * 2018-12-30 2020-07-08 임종완 슬래브위로 수직으로 인출하는 매입배관이나, 벽면에 배열되는 배관을 지지 및 고정하는 pvc배관고정장치
KR102160200B1 (ko) * 2020-03-06 2020-09-25 안점순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KR102167850B1 (ko) * 2020-07-21 2020-10-20 주식회사 한솔세미텍 클린룸 설치용 밴드형 파이프 고정기구
KR102509775B1 (ko) * 2022-05-30 2023-03-14 주식회사 아이텍스 파이프 지지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605B1 (ko) 2007-02-14 2007-08-29 씨피시스템(주) 튜브 고정장치
KR200469444Y1 (ko) 2012-07-12 2013-10-14 김수군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
KR20200082544A (ko) * 2018-12-30 2020-07-08 임종완 슬래브위로 수직으로 인출하는 매입배관이나, 벽면에 배열되는 배관을 지지 및 고정하는 pvc배관고정장치
KR102185845B1 (ko) * 2018-12-30 2020-12-02 임종완 슬래브위로 수직으로 인출하는 매입배관이나, 벽면에 배열되는 배관을 지지 및 고정하는 pvc배관고정장치
KR102160200B1 (ko) * 2020-03-06 2020-09-25 안점순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KR102167850B1 (ko) * 2020-07-21 2020-10-20 주식회사 한솔세미텍 클린룸 설치용 밴드형 파이프 고정기구
KR102509775B1 (ko) * 2022-05-30 2023-03-14 주식회사 아이텍스 파이프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2803B2 (en) Gripp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US20090114776A1 (en) Offset tube clamp
KR200197267Y1 (ko) 파이프 클램프.
US6422520B1 (en) Universal mounting bracket
KR20170106604A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JP6530880B2 (ja) 配設体固定具
KR20090008585U (ko) 배관 고정 장치
KR200227398Y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퍼
JP2011058546A (ja) 管支持樹脂バンド
KR200458928Y1 (ko) 배관의 긴밀한 고정을 위한 씽크관통슬리브 덮개
JPH019224Y2 (ko)
JP4206367B2 (ja) 配管等固定具
JP3160073U (ja) ハンガーレール用固定金具
KR101638934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JPH088183Y2 (ja) 雨水集水ますの取付構造
KR200318960Y1 (ko) 파이프 클램프.
KR200350167Y1 (ko) 옥내 전기배관의 연결관
JP2005068824A (ja) スリーブ支持装置
KR20080001165U (ko) 개량 배관지지장치
KR200213667Y1 (ko) 파이프 클램프.
KR200365903Y1 (ko) 가스배관용 유볼트
KR20120134447A (ko) 기능성 클램프
JP2008082106A (ja) 竪樋支持バン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5084U (ko)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