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200B1 -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200B1
KR102160200B1 KR1020200028250A KR20200028250A KR102160200B1 KR 102160200 B1 KR102160200 B1 KR 102160200B1 KR 1020200028250 A KR1020200028250 A KR 1020200028250A KR 20200028250 A KR20200028250 A KR 20200028250A KR 102160200 B1 KR102160200 B1 KR 10216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upply pipe
pipe
spra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점순
Original Assignee
안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점순 filed Critical 안점순
Priority to KR102020002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8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flow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분무액을 반사시켜 제공하는 노즐장치에서 분무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공급관을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공급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고정부재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무액이 공급되는 공급관의 상측에 형성된 관공에 삽입되며 공급관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로를 구비한 연결관; 분무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연결관의 종단에 결합 고정되며 연결관의 관로에 연통되는 노즐팁; 좌우 방향의 공급관이 수용되도록 좌우면과 하부면이 개방되어 공급관 수용부를 형성하고 공급관 수용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브릿지가 구비되며 상부측은 연결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공급관과 연결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노즐팁의 분사공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분무액을 반사하도록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반사부재; 상부면에 공급관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공급관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고정부재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공급관 수용부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체; 고정부재의 하측에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받침부재; 지지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받침부재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받침부재에 안착된 너트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볼트; 및 받침부재를 관통하여 고정부재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AGRICULTURAL SPRAY NOZZLE ASSEMBLY}
본 발명은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분무액을 분사시켜 제공하는 노즐장치에서 분무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공급관을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공급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고정부재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할 때는 농작물에 물이나 영양제를 공급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돕거나, 살충제 등의 농약을 살포하여 병원균 및 해충을 제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농작물에 물, 영양제 등을 공급하거나 농약을 살포할 때는 분무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분무장치로는 수동식 분무장치와 동력 분무장치가 있으며, 수동식 분무장치는 분무액이 담긴 탱크와, 분사용 노즐 및 분무액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수동식 펌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분무액을 분무하고자 하는 위치로 도보 이동하면서 수동식 펌프를 작동시켜 분사용 노즐을 통해 분무액이 분무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동력 분무장치는 분무액이 담긴 탱크를 대형화하고 수동식 펌프 대신 동력 펌프를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면 수동식 분무장치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상기한 수동식 분무장치 및 동력 분무장치는 사용자가 분사용 노즐을 휴대하여 이동하면서 농작물에 분무액을 분사함에 따라,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고 농약 중독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물이나 농약 등과 같은 분무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다수의 분사노즐을 연결하여,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분무액이 분사노즐을 통해 연속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자동분무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자동분무장치는 주로 비닐하우스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자동분무장치는 노즐 구조가 단순하여 정해진 방향으로만 분무액을 분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농작물의 생태에 따라 분무액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분무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분무장치가 개발되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8897호로 출원되어 특허 제1626150호로 등록된 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발명은 분무액이 공급되는 공급관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 개가 결합하여 상기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분무액을 외부로 분무하여 방출하도록 된 농업용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관에 형성된 관공에 삽입되며 상기 공급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로를 가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종단에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분무액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고정된 분사노즐과, 상기 연결관을 상기 공급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노즐의 개구와 근접되게 배치되어 분무액을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를 상기 연결관에 고정하는 고정봉을 포함하는 반사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반사수단에서 상기 반사체는, 분무액을 하측 방향으로 방사상의 형태로 반사하여 유도하는 하향반사체와; 수평 방향으로 방사상의 형태로 반사하여 유도하는 수평반사체와; 상측 방향으로 방사상의 형태로 반사하여 유도하는 상향반사체들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분무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발명은 고정수단이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받침부재가 고정수단의 측면에서 삽입 결합되도록 하고 있어 고정수단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잎의 뒷면까지 분무액이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을 살펴보았을 때, 등록실용신안 제20-0138079호에 몇십미터 내지는 몇맥미터의 길이를 가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된 파이프 상에 구멍 하나마다 본체를 조립, 노즐을 통해 분사된 농약이나 물은 물막이봉의 평면부에 강하게 부딪혀 미립화된 채 수평방향으로 비산되고 물막이봉을 상하로 위치이동시켜 수평비산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물막이봉을 노즐 위에서 돌려 제끼면 노즐로부터 분사된 농약이나 물이 수직방향으로 상승비산될 수 있도록 하여, 매우 경제적인 범위내에서 추구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는 농약 또는 물분무장치를 제안 및 개시하고 있고, 등록특허 제10-0866703호에 공급관에 접속되고,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구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설치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 양측에 상호 대칭되는 각도로 설치된 한 쌍의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노즐캡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부가 개구된 끼움공과 개구되지 않은 삽입공이 상부와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고정구의 체결고리를 상측 체결부 혹은 하측 체결부에만 체결하더라도 자연스럽게 수평상태로 비닐하우스 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61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670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8079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분무액을 반사시켜 제공하는 노즐장치에서 분무액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공급관을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공급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고정부재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와 받침부재가 이중으로 결합되어 결합력이 강화되고 고정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분무액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의 구조를 변경하여 반사부재의 파손을 방지하고 반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분무액을 분사하는 노즐팁의 내부에서 분무액이 와류를 일으키면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잎의 뒷면까지 분무액이 도달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는, 분무액이 공급되는 공급관의 상측에 형성된 관공에 삽입되며 공급관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로를 구비한 연결관; 분무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연결관의 종단에 결합 고정되며 연결관의 관로에 연통되는 노즐팁; 좌우 방향의 공급관이 수용되도록 좌우면과 하부면이 개방되어 공급관 수용부를 형성하고 공급관 수용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브릿지가 구비되며 상부측은 연결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공급관과 연결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노즐팁의 분사공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분무액을 반사하도록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반사부재; 상부면에 공급관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공급관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고정부재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공급관 수용부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체; 고정부재의 하측에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받침부재; 지지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받침부재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받침부재에 안착된 너트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볼트; 및 받침부재를 관통하여 고정부재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고정부재는 전면측과 후면측에 구비된 브릿지의 중앙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면치되어 형성되고 수평면에 상하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받침부재는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고정부재의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단 부분에 턱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받침부재의 결합돌기가 고정부재의 결합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결합돌기의 턱부가 고정부재의 결합부에 형성된 수평면에 걸쳐짐에 따라 받침부재와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재는 전면 하단과 후면 하단에서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에 상하 방향의 관통부가 구비되고, 받침부재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고정부재의 관통부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받침부재의 결합돌기와 끼움돌기가 고정부재의 브릿지 내측과 외측에서 각각 브릿지를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관은 고정부재의 공급관 수용부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급관의 관공에 삽입되고, 돌출된 연결관의 하측에 오링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반사부재는 노즐팁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반사체와, 한 쪽에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짧은 쪽에 반사체가 결합되고 긴 쪽은 고정부재에 구비된 보스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ㄷ' 형상의 고정봉을 포함하고, 고정봉의 회전에 따라 노즐팁과 반사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고정봉의 하단부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고정부재의 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반사체는 0.5~1.0㎜ 범위 내에서 노즐팁과의 간격이 조절되고, 그 저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재의 공급관 수용부가 형성되는 상부 저면과 브릿지의 내측면의 연결부는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받침부재의 좌우 방향 중간 부분에 고정부재의 브릿지 사이로 끼움결합되는 끼움부가 돌출형성되고, 끼움부의 상면에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끼움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지지체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되고, 한 쌍의 위치결정돌기는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노즐팁의 저면에 노즐팁 내부의 분무액에 와류를 형성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가이드홈은 내부 관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원주형 가이드홈과, 일측 단부가 원주형 가이드홈에 접하는 형태로 노즐팁의 가장자리와 원주형 가이드홈을 직선 연결하되 서로 엇갈린 형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직선형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는 고정부재의 공급관 수용부에 공급관이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체로 공급관의 하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지체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받침부재가 고정부재에 결합됨과 아울러 복수의 체결볼트가 받침부재를 관통하여 고정부재에 체결되므로 고정부재와 받침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공급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재에 구비된 한 쌍의 결합돌기가 고정부재의 결합부에 구비된 관통공에 삽입 결합된 후 결합부의 수평면에 걸침되고 받침부재의 끼움돌기가 고정부재의 관통부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고정부재와 받침부재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상대 이동이 방지되고 고정부재의 브릿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의 하부에 오링이 결합됨에 따라 공급관과 연결관의 연결부에서 분무액이 누설되지 않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부재의 고정봉이 U자형 구조가 아닌 'ㄷ'형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쉽게 부러지지 않게 되고, 반사체의 저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분무액의 반사효과가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의 공급관 수용부가 형성되는 상부 저면과 브릿지의 내측면의 연결부가 직각 구조가 아닌 곡면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고정부재의 브릿지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재에 끼움부가 구비되어 고정부재의 브릿지 사이에 결합됨에 따라 받침부재와 고정부재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상대 이동이 방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팁의 저면에 원주형 가이드홈과 직선형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홈이 형성됨에 따라 분무액의 일부가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면서 와류를 형성하여 잎의 뒷면까지 분무액이 도달함은 물론 노즐팁 내부의 분무액에 혼합되므로 분무액이 고르게 혼합된 상태로 분사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가 도시된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에서 공급관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의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의 반사부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의 노즐팁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설명하기 위한 노즐팁의 저면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에서 노즐팁을 통한 분무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에서 노즐팁을 통한 분무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100)에 연통되는 연결관(10), 분사공(25)을 통해 분무액을 분사하는 노즐팁(20), 공급관(10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 분무액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40), 공급관(100)을 지지하는 지지체(50), 고정부재(30)에 결합되는 받침부재(60) 및 지지체(50)를 지지하는 고정볼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관(10)은 공급관(100)의 분무액을 노즐팁(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분무액이 공급되는 공급관(100)의 상측에 형성된 관공(15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공급관(100)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로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결관(10)은 고정부재(30)의 공급관 수용부(33)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급관(100)의 관공(15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된 연결관(10)의 하측에 오링(15)이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급관(100)과 연결관(10)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분무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노즐팁(20)은 분무액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에 분무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공(25)이 형성됨과 아울러, 연결관(10)의 종단에 결합 고정되고 연결관(10)의 관로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노즐팁(20)의 저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팁(20) 내부의 분무액에 와류를 형성하는 가이드홈(2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홈(23)은 내부 관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원주형 가이드홈(23a)과, 일측 단부가 원주형 가이드홈(23a)에 접하는 형태로 노즐팁(20)의 가장자리와 원주형 가이드홈(23a)을 직선 연결하되 서로 엇갈린 형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직선형 가이드홈(2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관(10)으로부터 노즐팁(20)의 내부로 분무액이 공급될 때 분무액의 일부가 가이드홈(23)을 따라 유동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팁(20)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팁(20)의 내부에서 분무액이 고르게 혼합되면서 분사되어 잎이 뒷면까지 분무액이 도달하게 되므로 분무액에 의한 방제 효과가 향상된다.
고정부재(30)는 연결관(10)과 일체로 형성되어 공급관(100)을 고정하는 것으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공급관(100)이 수용되도록 좌우면과 하부면이 개방되어 공급관 수용부(33)를 형성하고, 공급관 수용부(3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브릿지(31)가 구비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재(3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구비된 브릿지(31)의 중앙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면치됨으로써 힌 쌍의 결합부(35)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의 수평면(35')에는 상하 방향의 관통공(3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결합돌기(61)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30)의 전면 하단과 후면 하단에서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연장부(37)를 형성하고, 연장부(37)에는 각각 상하 방향의 관통부(38)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끼움돌기(63)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 수용부(33)가 형성되는 상부 저면과 브릿지(31)의 내측면의 연결부가 곡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부가 직각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브릿지(31)에 외력이 작용할 때 브릿지(31)가 연결되는 부분이 쉽게 찢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사부재(40)는 노즐팁(20)의 분사공(25)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노즐팁(20)의 분사공(25)을 통해 상측으로 분사되는 분무액을 주변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노즐팁(20)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반사체(41)와, 한 쪽에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짧은 쪽에 반사체(41)가 결합되고 긴 쪽은 고정부재(30)에 구비된 보스(39)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ㄷ' 형상의 고정봉(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봉(42)의 회전에 따라 노즐팁(20)과 반사체(4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고정봉(42)의 하단부에 나사부(43)가 구비되어 고정부재(30)의 보스(39)에 체결된다. 그리고 반사체(41)는 0.5~1.0㎜ 범위 내에서 노즐팁(20)과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간격 조절을 통해 반사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체(41)가 노즐팁(25)의 상면으로부터 대략 0.75㎜ 정도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반사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사체(41)는 저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곡률반경은 0.8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즐팁(20)에서 분사되는 분무액이 볼록한 곡면에 의해 전방향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지지체(50)는 상부면에 공급관(100)에 대응하는 안착부(55)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급관(10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부재(30)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공급관 수용부(33)의 측면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지지체(50)가 공급관 수용부(33)에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양쪽 측면에 측면 돌출부(5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60)는 고정부재(30)의 하측에서 고정부재(30)에 결합됨과 아울러 지지체(50)를 지지하는 것으로,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고정부재(30)의 관통공(36)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단 부분에 턱부(62)가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61)와, 고정부재(30)의 관통부(38)에 삽입되도록 받침부재(6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63)를 포함하고, 결합돌기(61)와 끼움돌기(63) 사이에는 상하 방향의 관통부(6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61)가 고정부재(30)의 결합부(35)에 형성된 관통공(36)으로 삽입된 후, 결합돌기(61)의 턱부(62)가 고정부재(30)의 결합부(35)에 형성된 수평면(35')에 걸쳐짐에 따라 받침부재(60)와 고정부재(30)가 탄성 결합된다. 그리고, 끼움돌기(63)가 고정부재(30)의 관통부(38)에 삽입됨으로써, 받침부재(60)의 고정부재(30)에 대한 상대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61)와 끼움돌기(63)가 고정부재(30)에 구비된 브릿지(31)의 내측과 외측에서 각각 브릿지(31)를 보강하게 되므로, 브릿지(31)가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받침부재(60)의 좌우 방향 중간 부분에 고정부재(30)의 브릿지(31) 사이로 끼움결합되는 끼움부(65)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30)와 받침부재(60)가 쉽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끼움부(65)의 상면 중앙에는 너트(75)가 삽입되는 너트삽입홈(66)이 형성되어 너트(75)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끼움부(65)의 모서리 부분에는 지지체(5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위치결정돌기(67)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 쌍의 위치결정돌기(67)는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30)의 공급관 수용부(33)에 공급관(100)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체(50)가 결합된 받침부재(60)를 고정부재(30)의 하측에서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지지체(50)가 공급관(10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볼트(70)는 받침부재(60)의 하측에서 삽입되어 너트(75)에 체결됨과 아울러 선단부가 지지체(50)의 하부에 접촉되어 지지체(5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나사(80)는 받침부재(60)를 관통하여 고정부재(30)에 체결되는 것으로, 고정부재(3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2개씩 체결된다. 따라서, 받침부재(60)와 고정부재(30)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연결관 15 : 오링
20 : 노즈팁 23 : 가이드홈
23a : 원주형 가이드홈 23b : 직선형 가이드홈
25 : 분사공 30 : 고정부재
31 : 브릿지 33 : 공급관 수용부
35 : 결합부 35' : 수평면
36 : 관통공 37 : 연장부
38 : 관통부 39 : 보스
40 : 반사부재 41 : 반사체
42 : 고정봉 43 : 나사부
50 : 지지체 53 : 측면돌기
55 : 안착부 60 : 받침부재
61 : 결합돌기 62 : 턱부
63 : 끼움돌기 64 : 관통부
65 : 끼움부 66 : 너트삽입홈
67 : 위치결정돌기 70 : 고정볼트
75 : 너트 100 : 공급관
150 : 관공

Claims (10)

  1. 분무액이 공급되는 공급관의 상측에 형성된 관공에 삽입되며 공급관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로를 구비한 연결관;
    분무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연결관의 종단에 결합 고정되며 연결관의 관로에 연통되는 노즐팁;
    좌우 방향의 공급관이 수용되도록 좌우면과 하부면이 개방되어 공급관 수용부를 형성하고, 공급관 수용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브릿지가 구비되며, 상부측은 연결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공급관과 연결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노즐팁의 분사공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분무액을 반사하도록 고정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반사부재;
    상부면에 공급관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공급관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고정부재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공급관 수용부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체;
    고정부재의 하측에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받침부재;
    지지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받침부재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받침부재에 안착된 너트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볼트; 및
    받침부재를 관통하여 고정부재에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나사;를 포함하되,
    고정부재는 전면측과 후면측에 구비된 브릿지의 중앙 부분이 수직 방향으로 면치되어 형성되고 수평면에 상하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받침부재는 전면측과 후면측에서 고정부재의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단 부분에 턱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받침부재의 결합돌기가 고정부재의 결합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결합돌기의 턱부가 고정부재의 결합부에 형성된 수평면에 걸쳐짐에 따라 받침부재와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고정부재는 전면 하단과 후면 하단에서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에 상하 방향의 관통부가 구비되고,
    받침부재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고정부재의 관통부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받침부재의 결합돌기와 끼움돌기가 고정부재의 브릿지 내측과 외측에서 각각 브릿지를 보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연결관은 고정부재의 공급관 수용부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공급관의 관공에 삽입되고,
    돌출된 연결관의 하측에 오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반사부재는 노즐팁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반사체와, 한 쪽에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짧은 쪽에 반사체가 결합되고 긴 쪽은 고정부재에 구비된 보스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ㄷ' 형상의 고정봉을 포함하고,
    고정봉의 회전에 따라 노즐팁과 반사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고정봉의 하단부에 나사부가 구비되어 고정부재의 보스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반사체는 0.5~1.0㎜ 범위 내에서 노즐팁과의 간격이 조절되고, 그 저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공급관 수용부가 형성되는 상부 저면과 브릿지의 내측면의 연결부는 곡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부재의 좌우 방향 중간 부분에 고정부재의 브릿지 사이로 끼움결합되는 끼움부가 돌출형성되고,
    끼움부의 상면에 너트가 삽입되는 너트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끼움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지지체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위치결정돌기가 구비되고,
    한 쌍의 위치결정돌기는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노즐팁의 저면에 노즐팁 내부의 분무액에 와류를 형성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가이드홈은 내부 관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원주형 가이드홈과, 일측 단부가 원주형 가이드홈에 접하는 형태로 노즐팁의 가장자리와 원주형 가이드홈을 직선 연결하되 서로 엇갈린 형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직선형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KR1020200028250A 2020-03-06 2020-03-06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KR10216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250A KR102160200B1 (ko) 2020-03-06 2020-03-06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250A KR102160200B1 (ko) 2020-03-06 2020-03-06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200B1 true KR102160200B1 (ko) 2020-09-25

Family

ID=7270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250A KR102160200B1 (ko) 2020-03-06 2020-03-06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869B1 (ko) * 2022-09-23 2023-05-10 하진흥 농작물 재배용 살수기유닛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079Y1 (ko) 1996-10-25 1999-02-01 이언우 농약 또는 물분무장치
JP2000189856A (ja) * 1998-12-25 2000-07-11 Toyo Aerosol Ind Co Ltd エアゾ―ル内容物の噴霧パタ―ンの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97267Y1 (ko) * 2000-04-11 2000-09-15 서일봉 파이프 클램프.
KR100866703B1 (ko) 2008-06-05 2008-11-03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1626150B1 (ko) 2015-12-25 2016-05-31 이언우 농업용 분무장치
KR101692337B1 (ko) * 2016-05-25 2017-01-04 (주)파워레인 방제용 스프링클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079Y1 (ko) 1996-10-25 1999-02-01 이언우 농약 또는 물분무장치
JP2000189856A (ja) * 1998-12-25 2000-07-11 Toyo Aerosol Ind Co Ltd エアゾ―ル内容物の噴霧パタ―ンの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97267Y1 (ko) * 2000-04-11 2000-09-15 서일봉 파이프 클램프.
KR100866703B1 (ko) 2008-06-05 2008-11-03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1626150B1 (ko) 2015-12-25 2016-05-31 이언우 농업용 분무장치
KR101692337B1 (ko) * 2016-05-25 2017-01-04 (주)파워레인 방제용 스프링클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869B1 (ko) * 2022-09-23 2023-05-10 하진흥 농작물 재배용 살수기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1090A2 (en) Variable range sprinkler apparatus and variable range sprinkler pattern method
KR102160200B1 (ko) 농업용 분무 노즐 장치
KR20050036956A (ko) 풀아웃형 수도꼭지
KR101978990B1 (ko) 건축물의 소방용 분사장치
KR20100055514A (ko) 스프링클러 및 이의 제어방법
FR2860683A3 (fr) Tuyere d'arrosage de pelouse munie de moyens pour regler son angle d'arrosage.
KR102195067B1 (ko) 회전분사기의 누수방지장치
US6336599B1 (en) Sprinkler spray shield
US7066403B2 (en) Sprinkling system and method
KR101902280B1 (ko)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분사장치
KR101626150B1 (ko) 농업용 분무장치
KR101749940B1 (ko) 농업용 회전 분무기
KR101890641B1 (ko) 복수의 회전분사장치를 구비한 분무장치
KR101863862B1 (ko) 실용정원 관리용 물 공급 장치
KR20190063161A (ko)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JPH09192554A (ja) 散布ノズル付き継手
KR0140013B1 (ko) 농업용 분무기의 분사구
KR20210121507A (ko) 무인방제시스템
CN214416781U (zh) 一种园林旋转洒水喷头
KR102225738B1 (ko) 결속구 일체형 커넥터를 갖는 각도 제어형 스프링클러 지지대
JP3961998B2 (ja) 散水ノズル
US20240009687A1 (en) Nozzle structure and spray pipe assembly
KR102469864B1 (ko) 약액의 분사효율이 극대화되는 자주형 농업용 분무기
KR200199925Y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콘넥터
KR20230015620A (ko) 스프링클러 본체와 어뎁터의 원터치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