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447A - 기능성 클램프 - Google Patents

기능성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447A
KR20120134447A KR1020110053348A KR20110053348A KR20120134447A KR 20120134447 A KR20120134447 A KR 20120134447A KR 1020110053348 A KR1020110053348 A KR 1020110053348A KR 20110053348 A KR20110053348 A KR 20110053348A KR 20120134447 A KR20120134447 A KR 2012013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ixed
insertion hole
pipe
clam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455B1 (ko
Inventor
임정섭
Original Assignee
임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섭 filed Critical 임정섭
Priority to KR102011005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45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 몸체의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몸체의 외주면에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의 상측에 결합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클램프{Functional clamp}
본 발명은 기능성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 몸체의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몸체의 외주면에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의 상측에 결합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선 또는 배선용 파이프 등을 건물의 천장이나 측벽에 고정 설치할 때에는 빔(Beam)을 천장이나 측벽에 고정하고, 빔에는 한 쌍의 클램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며, 각 클램프의 하단에는 지지볼트봉을 이용하여 찬넬의 양단을 고정시켜 찬넬을 설치하며, 찬넬의 상측에는 파이프클립을 이용하여 배선 또는 배관용 파이프를 설치한다. 빔의 하측에 찬넬을 설치할 때에 배관 될 파이프의 수량 및 간격에 따라 찬넬을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찬넬의 양단에 드릴작업으로 체결공을 뚫어주고, 지지볼트봉의 볼트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그 하단을 체결공에 삽입하며, 찬넬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볼트부에 너트를 다시 나사 결합시켜 설치한다.
천정 또는 벽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지지볼트봉을 나사 결합시키는 종래의 설치방법은 찬넬의 양단을 지지볼트봉으로 설치하기 위해 찬넬의 양단에 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공을 뚫어주어야 하므로 작업이 번잡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드릴에 의해 뚫어진 체결공에 지지볼트봉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찬넬을 형성하는 편면부의 상면과 전면에서 지지볼트봉의 볼트부에 너트를 각각 체결시켜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시공시간이 많이 소용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천정 또는 벽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지지볼트봉을 나사 결합시키는 랙 행거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랙 행거는 금속 철판을 일정한 폭과 길이로 재단하여 상면과 저면 및 양 측면이 형성되도록 절곡시켜 사각형상의 커버를 형성하고, 각 면에는 장착공을 뚫어 주고 상면에 뚫어진 장착공에는 회동너트를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시킨 것이다. 종래의 랙 행거는 커버를 찬넬의 양단에 끼워 결합시키고, 각 커버의 상면에 장착된 회동너트에는 지지볼트봉의 볼트부를 나사 결합시키고, 회동너트를 회전시켜 볼트부의 결합 정도를 조정하도록 된 것이다.
종래의 랙 행거는 재단된 철판을 커버를 형성하기 위해서 철판을 재단하고 재단된 철판을 절곡공정을 실시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까다로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커버가 찬넬의 양단 외면에 삽입하여 밀접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찬넬의 크기에 따라 찬넬의 크기도 다양한 크기로 성형하여야 한다. 종래의 랙 행거는 커버에 일면을 폐쇄하는 날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를 찬넬의 양단에 결합시킬 때에 찬넬이 커버를 관통하지 못하게 되고, 찬넬의 길이를 한정하여야 하므로 파이프의 설치면적으로 크게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랙 행거는 커버의 상면과 찬넬의 저면과의 공간이 짧아 회동너트에 나사 결합 되는 지지볼트봉의 결합상태의 조절범위가 작아 찬넬의 양단에 결합되는 커버를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찬넬을 수평으로 유지시키지 못하게 되면 그 상측에 설치되는 파이프들도 수평도를 유지시키면서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랙 행거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결속밴드가 2개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시 2개의 결속밴드를 결합해야 하고 2개의 결속밴드를 결합한 상태로 사용 경우 배관 또는 파이프의 크기에 따라서 여러종류의 제품을 제조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램프 몸체의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몸체의 외주면에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의 상측에 결합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정의 앙카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이 결합된 상태로 배관을 고정하는 클램프로서 클램프 몸체의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몸체의 외주면에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의 상측에 결합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기능성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의 앙카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이 결합된 상태로 배관을 고정하며, 클램프 몸체의 외면에 전선걸이구가 형성되어 있어 전선을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있고, 클램프 몸체의 내면에 S자 형태의 탄성지지구가 형성되어 있어 클램프의 내부에서 배관을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된 상태로 배관(120)을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배관(120)의 외주면에 끼워져 배관(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클램프 몸체(10)의 내부에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몸체(10)의 외주면에 리브(18)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2)의 안쪽에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클램프의 상측에 결합너트(20)가 클램프 몸체(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램프는 결합돌기 삽입공(14)에 결합돌기(12)가 채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돌기(12)와 걸림턱(16) 사이에서 안전핀 삽입공(32)에 결합돌기(12)가 끼워진 상태로 안전핀(30)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클램프 클램프 몸체(10)의 외면에 전선걸이구(40, 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클램프는 클램프 몸체(10)의 내면에 S자 형태의 탄성지지구(50, 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된 상태로 배관(120)을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배관(120)의 외주면에 끼워져 배관(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클램프 몸체(10)의 내부에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몸체(10)의 외주면에 리브(18)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2)의 안쪽에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클램프의 상측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결합너트(20)가 클램프 몸체(10)에 내장된 상태로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는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된 상태로 배관(120)을 고정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는 클램프 몸체(10)의 내부에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어 배관(120)의 외주면에 끼워져 배관(120)이 고정되고, 클램프 몸체(10)의 외주면에 리브(18)가 형성되어 있어 클램프의 결합력이 강하다.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는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돌기 삽입공(14)에 결합돌기(12)가 채워져 고정되고, 결합돌기 삽입공(14)에 결합돌기(12)가 채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돌기(12)와 걸림턱(16) 사이에서 안전핀 삽입공(32)에 결합돌기(12)가 끼워진 상태로 안전핀(30)으로 고정된다.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는 안전핀(30)과 클램프 몸체(10)가 연결부(34)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는 결합돌기(12)의 안쪽에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클램프의 상측에 결합너트(20)가 클램프 몸체(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는 클램프 몸체(10)의 외면에 전선걸이구(40, 40')가 형성되어 있어 전선(130)을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클램프는 클램프 몸체(10)의 내면에 S자 형태의 탄성지지구(50, 50')가 형성되어 있어 클램프의 내부에서 배관을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는 클램프의 상측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결합너트(20)가 클램프 몸체(10)에 내장된 상태로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은 삽입공(14)에 결합돌기(12)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클램프는 결합돌기 삽입공(14)에 결합돌기(12)가 채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돌기(12)와 걸림턱(16) 사이에서 안전핀 삽입공(32)에 결합돌기(12)가 끼워진 상태로 안전핀(30)으로 고정되며, 안전핀 면과 클램프 면이 밀착되는 부분에 결합돌기(36,26)가 형성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안전핀이 이탈시에도 클램프와 연결선(34)이 형성되어 분실의 위험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식되거나 수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한 뛰어난 특징이 있다. 또한 클램프의 모양은 각형, 원형, 육각형 등다양한 게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 클램프 몸체 11: 삽입공
12: 결합돌기 14: 결합돌기 삽입공
16: 걸림턱 18: 리브
20: 결합너트 30: 안전핀
40, 40': 전선걸이구 50, 50': 탄성지지구

Claims (5)

  1.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된 상태로 배관(120)을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배관(120)의 외주면에 끼워져 배관(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클램프 몸체(10)의 내부에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몸체(10)의 외주면에 리브(18)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2)의 안쪽에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클램프의 상측에 결합너트(20)가 클램프 몸체(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결합돌기 삽입공(14)에 결합돌기(12)가 채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결합돌기(12)와 걸림턱(16) 사이에서 안전핀 삽입공(32)에 결합돌기(12)가 끼워진 상태로 안전핀(30)으로 고정되며, 안전핀면과 클램프면이 밀착되는 부분에 결합돌기(36,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 몸체(10)의 외면에 전선걸이구(40, 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클램프 몸체(10)의 내면에 S자 또는 C자형태의 탄성지지구(50, 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클램프.
  5.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된 상태로 배관(120)을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배관(120)의 외주면에 끼워져 배관(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클램프 몸체(10)의 내부에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몸체(10)의 외주면에 리브(18)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상측 조임부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돌기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2)의 안쪽에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천정(200)의 앙카(210)에 고정되어 있는 나선봉(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클램프의 상측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결합너트(20)가 클램프 몸체(10)에 내장된 상태로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클램프.
KR1020110053348A 2011-06-02 2011-06-02 기능성 클램프 KR10137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348A KR101370455B1 (ko) 2011-06-02 2011-06-02 기능성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348A KR101370455B1 (ko) 2011-06-02 2011-06-02 기능성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447A true KR20120134447A (ko) 2012-12-12
KR101370455B1 KR101370455B1 (ko) 2014-03-25

Family

ID=4790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348A KR101370455B1 (ko) 2011-06-02 2011-06-02 기능성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4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79B1 (ko) * 2014-04-24 2015-06-04 주식회사 트리렉스 조립식 혐기성 저장용기
KR102437713B1 (ko) * 2022-04-18 2022-08-29 에이치이티엔 주식회사 전선관 일체형 케이블을 이용한 배관 배선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58Y1 (ko) * 2005-01-19 2005-04-15 최규섭 원터치 행거
JP2010078098A (ja) 2008-09-26 2010-04-08 Mikami Seisakusho:Kk 配管用吊り金具
JP4849152B2 (ja) * 2009-05-15 2012-01-11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結露防止プレート用保持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79B1 (ko) * 2014-04-24 2015-06-04 주식회사 트리렉스 조립식 혐기성 저장용기
KR102437713B1 (ko) * 2022-04-18 2022-08-29 에이치이티엔 주식회사 전선관 일체형 케이블을 이용한 배관 배선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455B1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844B1 (ko) 본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랙 행거
KR20090116861A (ko) 건물의 파이프용 행거
KR101370455B1 (ko) 기능성 클램프
KR101623841B1 (ko) 에어컨 배관용 행거
KR200455260Y1 (ko) 파이프 행거
KR200417712Y1 (ko) 파이프용 크램프가 결합된 케이블 행거
KR100609817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 단자함
EP2156083B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20100005397U (ko) 케이블 행거의 부착장치
KR200442096Y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고정구
KR20100010367U (ko) 천정 배관용 행거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200423900Y1 (ko) 아파트의 천장판 시공 장치
CN201034214Y (zh) 管道安装架
KR20180053050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0417714Y1 (ko) H빔용 크램프가 결합된 케이블 행거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KR20200095776A (ko)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KR200402039Y1 (ko) 랙 행거
KR100886970B1 (ko) 고정클램프
KR20080001165U (ko) 개량 배관지지장치
JP6852900B2 (ja) 配管取付け金具
KR102460786B1 (ko) 전산볼트 연결을 위한 행거용 브라켓
KR20130015246A (ko) 배선관 고정용 수지연결구
KR200424650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