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667Y1 - 파이프 클램프. - Google Patents

파이프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667Y1
KR200213667Y1 KR2020000026926U KR20000026926U KR200213667Y1 KR 200213667 Y1 KR200213667 Y1 KR 200213667Y1 KR 2020000026926 U KR2020000026926 U KR 2020000026926U KR 20000026926 U KR20000026926 U KR 20000026926U KR 200213667 Y1 KR200213667 Y1 KR 200213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hole
straight portion
side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일봉
Original Assignee
서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봉 filed Critical 서일봉
Priority to KR2020000026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66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제조공정과 제조단가를 줄이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파이프 클램프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위로는 곡선부를 두고 아래에는 직선부가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하는 한 쌍으로 프레임(10,10')이 구성되며 상기 곡선부의 각 상부에는 걸고리(30)와 구멍(34)으로 구성되는 연결수단을 가지는 파이프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일측 프레임의 직선부에는 장방형의 구멍(20)이 있으며 상기 구멍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밴딩 된 걸림턱(22)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프레임의 직선부에는 절취부를 따라 절단된 결착편(24)이 내측으로 밴딩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편에는 상기 걸림턱이 끼워질 수 있는 요입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클램프.{PIPE CLAMP}
본 고안은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착력이 강하고 조립이 용이한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파이프 클램프는 건물의 벽면 혹은 바닥면을 따라 도시가스관, LPG관, 난방관 등의 각종 배관용 파이프를 가설하게 될 때 상기 파이프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파이프 클램프는 띠 형태의 금속재가 밴딩되면서 반원 형상으로 된 한 쌍의 프레임이 상부는 힌지식으로 조립되고, 하부에는 볼트와 너트의 조립에 의한 체결수단을 갖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체결수단은 볼트 및 너트의 부재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면서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며, 조립 및 분리시키는 과정이 신속하게 처리되지 못한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에 상기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위가 부식되어 분리가 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클램프를 이탈시킬 때는 클램프를 절단해야 하며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공정과 제조단가를 줄이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파이프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위로는 곡선부(16)를 두고 아래에는 직선부(14)가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하는 한 쌍으로 프레임(10,10')이 구성되며 상기 곡선부(16)의 각 상부에는 걸고리(30)와 구멍(34)으로 구성되는 연결수단을 가지는 파이프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일측 프레임(10)의 직선부(14)에는 장방형의 구멍(20)이 있으며 상기 구멍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밴딩 된 걸림턱(22)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프레임(10')의 직선부(14)에는 절취부(28)를 따라 절단된 결착편(24)이 내측으로 밴딩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편(24)에는 상기 걸림턱(22)이 끼워질 수 있는 요입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의 중앙 단면도로서 파이프를 결착하기 전의 상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의 중앙 단면도로서 파이프에 결착된 상태.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프레임 14:직선부
16:곡선부 20:구멍
22:걸림턱 24:결착편
26:요입홈 17:스톱퍼
28:절취부 30:걸고리
32:절취부 34:구멍
40:파이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는 금속재의 띠가 밴딩되면서 양측으로 대응하는 한쌍의 프레임(10,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10')은 상부에 반원형상으로 밴딩처리 된 곡선부(16)를 두고 있고, 중간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직선부(14)가 있으며 하부에는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굽혀진 브라켓(12)이 있다.
위에서 양측의 프레임(10,10')에 형성된 곡선부(16)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원형을 이루며 파이프를 감싸게 되는 것으로, 일측 곡선부(16)의 상부에는 위로 향하는 걸고리(30)가 형성된다. 상기 걸고리(30)는 곡선부(16)의 상부에서 'ㄷ' 형상으로 절단시킨 뒤 외측 단부를 위로 밴딩시켜 완성된다. 그리고 타측의 프레임(10') 상부에는 상기 걸고리(30)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34)이 있다.
다음, 각 프레임(10,10')의 중간지점에는 양측의 프레임(10,10')을 결착하는 수단이 구비된 것으로, 일측 프레임(10)의 직선부(14)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멍(20)이 있으며 상기 구멍(20)의 양측면에는 'ㄷ' 형태로 절단되어 외측방향으로 밴딩 된 걸림턱(22)이 있다. 그리고 타측 프레임(10')의 직선부(14)에는 내측방향으로 향하는 결착편(24)이 형성된다. 상기 결착편(24)은 직선부(14)에서 상부로부터 절취부(28)를 따라 절단되어 내측 방향으로 밴딩 된 것으로, 그 형상은 전방단부가 뾰족하고 그 후방으로 양측에 요입홈(2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입홈(26)에는 전술한 타측 프레임(10)의 양측 걸림턱(22)이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후방에 상기 걸림턱(2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톱퍼(27)를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상기 양측 프레임(10,10')의 각 직선부 아래에는 외측으로 밴딩되어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브라켓(12)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2)의 중앙에는 못 또는 나사못을 끼워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18)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일측 프레임(10)에 있는 구멍(34)으로 타측 프레임(10)의 걸고리(30)를 아래에서 위로 끼운다. 그리고 상기 양측 프레임(10,10')의 하부를 벌리고 배관되는 파이프(40)를 감싼 다음, 아래의 양측 직선부(14)를 중앙으로 모으고 뺀치 혹은 플라이어 등의 집게 공구를 이용하여 양측 직선부를 조인다. 이때 일측의 결착편(24)이 타측의 구멍(20)으로 끼워지게 되고 상기 구멍(2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22)이 탄성적으로 상기 결착편(24)의 양측 요입홈(26)으로 안착된다. 이로서 결합된 걸림턱(22)과 결착편(24)은 쉽게 빠지지 않으며 파이프(4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의 구멍(34)에서 돌출된 걸고리(30)를 망치로 타격을 가하면 양측의 프레임(10,10')은 인장력이 작용하면서 더욱 견고하게 결착된다.
이후 양측의 브라켓(12)에 형성된 구멍(18)으로 못을 끼우고 벽면에 박아서 위치를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파이프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파이프(40)로부터 상기 클램프를 분리시킬 때는 결착편(24)의 요입홈(26)으로 끼워진 걸림턱(22)을 드라이버 등의 뾰족한 공구를 끼워 넣고 외측으로 제친 다음, 양측의 프레임(10,10')을 벌리면 결착편이 타측의 구멍(20)에서 빠져나오게 되면서 양측의 프레임(10,10')은 쉽게 이탈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서 프레스의 작업에 의해 펀칭 및 밴딩작업으로 완성되는 것으로 재료절감, 제조공정감소 그리고 결착을 위한 별도의 부품을 필요하지 않게 되면서 경제적이다. 그리고 간단한 작업에 의해 파이프를 견고하게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번 결착 된 양측의 프레임은 쉽게 빠지지 않고 보수 및 재 설치 작업이 필요 없다. 그리고 분리시에 파손됨이 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위로는 곡선부(16)를 두고 아래에는 직선부(14)가 형성되면서 서로 대응하는 한 쌍으로 프레임(10,10')이 구성되며 상기 곡선부(16)의 각 상부에는 걸고리(30)와 구멍(34)으로 구성되는 연결수단을 가지는 파이프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일측 프레임(10)의 직선부(14)에는 장방형의 구멍(20)이 있으며 상기 구멍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밴딩 된 걸림턱(22)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프레임(10')의 직선부(14)에는 절취부(28)를 따라 절단된 결착편(24)이 내측으로 밴딩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편(24)에는 상기 걸림턱(22)이 끼워질 수 있는 요입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램프.
KR2020000026926U 2000-09-21 2000-09-21 파이프 클램프. KR200213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926U KR200213667Y1 (ko) 2000-09-21 2000-09-21 파이프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926U KR200213667Y1 (ko) 2000-09-21 2000-09-21 파이프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667Y1 true KR200213667Y1 (ko) 2001-02-15

Family

ID=7305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926U KR200213667Y1 (ko) 2000-09-21 2000-09-21 파이프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6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141B1 (ko) * 2019-04-19 2020-05-04 에스에이 주식회사 이중 체결용 가설방음벽 설치 구조물
KR102507951B1 (ko) 2022-06-30 2023-03-10 주식회사 와이투엔지니어링 엘보우 클램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141B1 (ko) * 2019-04-19 2020-05-04 에스에이 주식회사 이중 체결용 가설방음벽 설치 구조물
KR102507951B1 (ko) 2022-06-30 2023-03-10 주식회사 와이투엔지니어링 엘보우 클램프
KR20230038671A (ko) 2022-06-30 2023-03-21 주식회사 와이투엔지니어링 엘보우 클램프
KR20230038670A (ko) 2022-06-30 2023-03-21 주식회사 와이투엔지니어링 엘보우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34614B2 (en) Attachment device for fixing various elements to a support
US8979038B1 (en) Strut clamp
JP494501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KR200411822Y1 (ko) 배관 클램프
KR20090051729A (ko) 파이프 배관 고정용 배관 클램프
KR200213667Y1 (ko) 파이프 클램프.
JP4807832B2 (ja) 足場板支持用ブラケット
JP3383234B2 (ja) ビニールハウス端部のパイプ固定金具
KR100752522B1 (ko) 배관 클램프
JP2010268733A (ja) ジョイント
JP5248817B2 (ja) 鉄筋とセパレータの接合金具
JP5752219B2 (ja) ボックス支持具、ボックス支持装置及びボックス支持具の取着方法
KR200356201Y1 (ko) 철근 연결구
JP2008038390A (ja) ロープの取付金具
JP5619043B2 (ja) 屋根上取付具
JP6450984B1 (ja) 固定具
JP2008014477A (ja) パイプクランプの固定構造
KR101070460B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5466413B2 (ja) ボックス支持具の取着方法
KR101120626B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200407204Y1 (ko) 배관 클램프
JP4357845B2 (ja) パイプ支持バンドの仮止め具
JP4457039B2 (ja) 開閉片付き座金
KR200294982Y1 (ko) 파이프 결속장치
JP2007330042A (ja) 螺旋状ケーブルハンガーの支持線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