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671A - 엘보우 클램프 - Google Patents

엘보우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671A
KR20230038671A KR1020230027639A KR20230027639A KR20230038671A KR 20230038671 A KR20230038671 A KR 20230038671A KR 1020230027639 A KR1020230027639 A KR 1020230027639A KR 20230027639 A KR20230027639 A KR 20230027639A KR 20230038671 A KR20230038671 A KR 20230038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elbow
band
fixing ba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행중
정상훈
이상현
문정환
정승문
최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투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23003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08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for pipes being in an angled relationship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2Bends; Siphons adapted to make use of special sec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는 엘보우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우터클램프 및 이너클램프를 통해 곡면으로 형성된 엘보우 배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아우터클램프 및 이너클램프가 형성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보우 클램프{ELBOW CLAMP}
본 발명은 배관의 곡선 구간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건축물 건설공사, 가설공사, 토목공사, 하수도공사 또는 하천공사 등의 공사현상에서, 파이프 간의 접속 또는 파이프와 다른 부재와의 접속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클램프는 보통 파이프를 받는 지지체, 덮개부 및 조임 금구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지지체의 타단과 덮개부의 타단을 결합하는 조임 공구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며, 볼트는 지지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볼트가 덮개부의 타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에 너트가 나사 결합에 따라 지지체와 덮개부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나사 결합 방식은 파이프의 진동 발생 시 나사 결합이 풀어지기 쉬워 파이프 연결부위가 벌어짐에 파이프 내부의 가스 또는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직선구간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진행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에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진행방향이 90도로 전환되는 엘보우 파이프에서는 내부로 유동되는 유체에 의해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될 뿐만 아니라 부식도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380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136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1495호
본 발명은 배관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부식 및 진동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 엘보우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는 엘보우 클램프를 제공한다.
상기 아우터클램프(10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제 1 아우터밴드(11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아우터밴드(120);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 및 제 2 아우터밴드(120)를 연결하는 아우터연결밴드(130);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에서 상기 곡률반경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1 아우터고정바(140); 상기 제 2 아우터밴드(120)에서 상기 곡률반경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2 아우터고정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클램프(20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제 1 이너밴드(21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이너밴드(210)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이너밴드(220); 상기 제 1 이너밴드(210) 및 제 2 이너밴드(220)를 연결하는 이너연결밴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 및 제 1 이너밴드(210)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아우터밴드(120) 및 제 2 이너밴드(220)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상기 엘보우배관(3)의 축중심(S)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직관(1); 상기 엘보우배관(3)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직관(2);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는 엘보우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클램프(100)에 센서(20)가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직관(1); 상기 엘보우배관(3)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직관(2);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직관(1) 및 제 2 직관(2)이 직교하게 배치되는 엘보우 클램프를 제공한다.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직관(1); 상기 엘보우배관(3)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직관(2);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직관(1) 및 제 2 직관(2)이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가 상기 엘보우 클램프(3)의 일단 및 타단 중간에 배치되는 엘보우 클램프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아우터클램프 및 이너클램프를 통해 곡면으로 형성된 엘보우 배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아우터클램프 및 이너클램프가 형성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1 아우터밴드 및 제 2 아우터밴드가 10도 내지 8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기 때문에, 90도 방향전환되는 엘보우배관의 각도에 대응하여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제 1 이너밴드 및 제 2 이너밴드가 10도 내지 8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기 때문에, 90도 방향전환되는 엘보우배관의 각도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 1 아우터밴드 및 제 1 이너밴드가 일렬로 배치되고, 제 2 아우터밴드 및 제 2 이너밴드가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엘보우배관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제 1 아우터고정바 및 제 2 아우터고정바에 동시에 결합되는 설치어셈블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센서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클램프가 설치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클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아우터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너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배관 및 엘보우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설치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클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클램프가 설치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클램프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아우터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너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배관 및 엘보우 클램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설치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클램프는 유체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엘보우배관에 배치된다. 상기 엘보우 클램프는 부식 또는 진동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가 되고, 상기 엘보우 클램프에 센서(2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은 엘보우배관(3)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직관(1)과 상기 엘보우배관(3)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직관(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직관(1) 및 제 2 직관(2)이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엘보우배관(3)이 상기 제 1 직관(1) 및 제 2 직관(2)을 연결한다.
상기 엘보우 클램프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와,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와,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클램프(10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제 1 아우터밴드(110)와,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아우터밴드(120)와,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 및 제 2 아우터밴드(120)를 연결하는 아우터연결밴드(130)와,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에서 상기 곡률반경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1 아우터고정바(140)와, 상기 제 2 아우터밴드(120)에서 상기 곡률반경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2 아우터고정바(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측면을 감싸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의 내경이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경과 같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 제 2 아우터밴드(120), 아우터연결밴드(130),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아우터밴드(110), 제 2 아우터밴드(120), 아우터연결밴드(130),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의 열팽창지수가 상기 엘보우배관(3)과 같거나 낮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 및 제 2 아우터밴드(120)가 엘보우배관(3)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는 하프 링(half ring)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 1 아우터곡면부(112)와, 상기 제 1 아우터곡면부(112)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된 제 1-1 아우터체결부(114)와, 상기 제 1 아우터곡면부(112)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된 제 1-2 아우터체결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아우터체결부(114) 및 제 1-2 아우터체결부(116)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아우터체결부(114) 및 제 1-2 아우터체결부(11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1 아우터체결부(114) 및 제 1-2 아우터체결부(116)가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측면과 법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아우터체결부(114)를 관통하는 제 1-1 아우터체결홀(114a) 및 상기 제 1-2 아우터체결부(116)를 관통하는 제 1-2 아우터체결홀(116a)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우터밴드(12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측면을 감싸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아우터밴드(120)의 내경이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경과 같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아우터밴드(120)는 하프 링(half ring)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아우터밴드(12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 2 아우터곡면부(122)와, 상기 제 2 아우터곡면부(122)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된 제 2-1 아우터체결부(124)와, 상기 제 2 아우터곡면부(122)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된 제 2-2 아우터체결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아우터체결부(124) 및 제 2-2 아우터체결부(126)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1 아우터체결부(124) 및 제 2-2 아우터체결부(12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1 아우터체결부(124) 및 제 2-2 아우터체결부(126)가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측면과 법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1 아우터체결부(124)를 관통하는 제 2-1 아우터체결홀(124a) 및 상기 제 2-2 아우터체결부(126)를 관통하는 제 2-2 아우터체결홀(126a)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곡면부(112) 및 제 2 아우터곡면부(122)는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A)은 10 보다 크고 80도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연결밴드(130)는 상기 제 1 아우터곡면부(112) 및 제 2 아우터곡면부(122)를 연결한다. 상기 아우터연결밴드(130)가 상기 엘보우배관(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연결밴드(130)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배치된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 및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라 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 및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 및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의 회전방향 일측단(131a)이 상기 제 1 아우터곡면부(112)의 내측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의 회전방향 타측단(131b)이 상기 제 2 아우터곡면부(122)의 내측가장자리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의 회전방향 일측단(132a)이 상기 제 1 아우터곡면부(112)의 내측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의 회전방향 타측단(132b)이 상기 제 2 아우터곡면부(122)의 내측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 및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가 등각으로 배치된다.
상기 엘보우배관(3)의 축중심(S)을 기준으로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 및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가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가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1-1 아우터체결부(11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가 상기 제 1-2 아우터체결부(11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아우터곡면부(112) 및 제 2 아우터곡면부(122)가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하기 때문에, 정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 및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의 곡률반경 외측 변(131c)이 곡률방향 내측 변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아우터연결밴드(132)도 제 1 아우터연결밴드(131)의 형상과 대칭이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에 상기 센서(2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가 상기 제 1 아우터곡면부(112)의 반경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상기 제 2 아우터곡면부(122)의 반경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상기 사이각(A)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평행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사이각(A)을 형성할 경우,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 및 제 2 아우터밴드(120)의 간격이 좁더라도 상기 센서(20)가 설치되는 간격 및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의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클램프(20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제 1 이너밴드(210)와,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이너밴드(210)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이너밴드(220)와, 상기 제 1 이너밴드(210) 및 제 2 이너밴드(220)를 연결하는 이너연결밴드(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이너밴드(21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내측면을 감싸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이너밴드(210)의 내경이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경과 같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이너밴드(210), 제 2 이너밴드(220), 이너연결밴드(230)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 1 이너밴드(210), 제 2 이너밴드(220), 이너연결밴드(230)의 열팽창지수가 엘보우배관(3)과 같거나 낮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이너밴드(210)는 하프 링(half ring)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밴드(21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1 이너곡면부(212)와, 상기 제 1 이너곡면부(212)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된 제 1-1 이너체결부(214)와, 상기 제 1 이너곡면부(212)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된 제 1-2 이너체결부(21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이너체결부(214) 및 제 1-2 이너체결부(216)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이너체결부(214) 및 제 1-2 이너체결부(21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1 이너체결부(214) 및 제 1-2 이너체결부(216)가 상기 엘보우배관(3)의 내측면과 법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이너체결부(214)를 관통하는 제 1-1 이너체결홀(214a)과, 상기 제 1-2 이너체결부(216)를 관통하는 제 1-2 이너체결홀(216a)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이너체결부(214) 및 제 1-1 아우터체결부(114)가 밀착되고, 상기 제 1-2 이너체결부(216) 및 제 1-2 아우터체결부(116)가 밀착되며, 상기 제 1 이너곡면부(212) 및 제 1 아우터곡면부(112)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이너곡면부(212) 및 상기 제 1 아우터곡면부(112)가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엘보우배관(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곡선으로 형성되는 엘보우배관(3)의 외측면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밴드(22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내측면을 감싸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이너밴드(220)의 내경이 상기 엘보우배관(3)의 외경과 같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이너밴드(220)는 하프 링(half ring)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밴드(22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2 이너곡면부(222)와, 상기 제 2 이너곡면부(222)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된 제 2-1 이너체결부(224)와, 상기 제 2 이너곡면부(222)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되게 배치된 제 2-2 이너체결부(22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이너체결부(224) 및 제 2-2 이너체결부(226)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1 이너체결부(224) 및 제 2-2 이너체결부(226)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1 이너체결부(224) 및 제 2-2 이너체결부(226)가 상기 엘보우배관(3)의 내측면과 법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1 이너체결부(224)를 관통하는 제 2-1 이너체결홀(224a) 및 상기 제 2-2 이너체결부(226)를 관통하는 제 2-2 이너체결홀(226a)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곡면부(212) 및 제 2 이너곡면부(222)가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A)은 10 보다 크고 80도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연결밴드(230)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배치된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제 1 이너연결밴드(231) 및 제 2 이너연결밴드(232)라 한다.
상기 제 1 이너연결밴드(231) 및 제 2 이너연결밴드(132)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연결밴드(231) 및 제 2 이너연결밴드(132)가 상기 엘보우배관(3)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체결부재(10)가 상기 제 1-1 이너체결부(214) 및 제 1-1 아우터체결부(114)를 체결결합시키고, 상기 제 1-2 이너체결부(216) 및 제 1-2 아우터체결부(116)를 체결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0)가 상기 제 2-1 이너체결부(224) 및 제 2-1 아우터체결부(124)를 체결결합시키고, 상기 제 2-2 이너체결부(226) 및 제 2-2 아우터체결부(126)를 체결결합시킨다.
상기 제 2-1 이너체결부(224) 및 제 2-1 아우터체결부(124)가 밀착되고, 상기 제 2-2 이너체결부(226) 및 제 2-2 아우터체결부(126)가 밀착되며, 상기 제 2 이너곡면부(222) 및 제 2 아우터곡면부(122)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이너곡면부(222) 및 제 2 아우터곡면부(122)가 일렬로 배치되어 엘보우배관(3)의 외주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곡선으로 형성되는 엘보우배관(3)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렬로 배치된 제 1 이너곡면부(212) 및 제 1 아우터곡면부(112)를 제 1 밴드라 하고, 일렬로 형성된 제 2 이너곡면부(222) 및 제 2 아우터곡면부(122)를 제 2 밴드라 한다.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는 방향전환되는 배관들(1)(2)(3)의 안쪽에 가상의 교차점(R)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가 균일한 사이각(A)을 형성하기 때문에, 엘보우배관(3)이 열팽창되더라도 균일하게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어느 한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가 엘보우배관(3)의 외측 및 내측에서 균일하게 사이각(A)을 형성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엘보우배관(3)의 외측 및 내측에서 밀착력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엘보우 클램프는, 센서(20)를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에 결합시키기 위한 설치어셈블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어셈블리(300)는,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의 일측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와 교차되도록 배치된 제 1 설치고정바(310)와,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의 타측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와 교차되도록 배치된 제 2 설치고정바(320)와,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며, 상기 센서(20)가 설치되는 설치바(330)와,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의 외측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구속부재(350)와, 상기 구속부재(350), 제 1 설치고정바(310), 제 2 설치고정바(32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설치체결부재(360)와,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 1 고정부재(370)와,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 2 고정부재(38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는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 1-1 밀착부(311)와,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 1-2 밀착부(312)와, 상기 제 1-1 밀착부(311) 및 제 1-2 밀착부(312)를 연결하고, 상기 설치바(330)에 밀착되는 제 1-3 밀착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3 밀착부(313)가 상기 제 1-1 밀착부(311) 및 제 1-2 밀착부(312)보다 상기 제 2 설치고정바(320)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3 밀착부(313)가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치고정바(320)는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제 2-1 밀착부(321)와,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 2-2 밀착부(322)와, 상기 제 2-1 밀착부(321) 및 제 2-2 밀착부(322)를 연결하고, 상기 설치바(330)에 밀착되는 제 2-3 밀착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3 밀착부(323)가 상기 제 2-1 밀착부(321) 및 제 2-2 밀착부(322)보다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3 밀착부(323)가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가 상기 제 1-1 밀착부(311) 및 제 2-1 밀착부(321)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고,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상기 제 1-2 밀착부(312) 및 제 2-2 밀착부(322) 사이에 끼워져 배치된다.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가 밀착될 경우, 제 1-1 밀착부(311) 및 제 2-1 밀착부(321) 사이에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3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가 밀착될 경우, 제 1-2 밀착부(312) 및 제 2-2 밀착부(322) 사이에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355)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삽입홈(315) 및 제 2 삽입홈(325)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가 상기 제 1 삽입홈(315)을 관통하여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상기 제 2 삽입홈(325)을 관통하여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삽입홈(315) 상측으로 노출된 제 1 아우터고정바(140)에 상기 제 1 고정부재(37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정부재(370)는 복수개의 너트이고,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의 나사산과 체결결합되며,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의 일측을 엘보우배관(3) 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삽입홈(325) 상측으로 노출된 제 2 아우터고정바(150)에 상기 제 2 고정부재(38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고정부재(380)는 복수개의 너트이고,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의 나사산과 체결결합되며,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의 타측을 엘보우배관(3)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 1 고정부재(370) 및 제 2 고정부재(380)는 상기 제 1 설치고정바(310) 및 제 2 설치고정바(320)가 엘보우배관(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설치바(330)는 상기 제 1-3 밀착부(313) 및 제 2-3 밀착부(323)에 가압되어 고정된다. 상기 설치바(330)의 상단에 상기 센서(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바(330)는 상기 구속부재(350)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구속부재(350)는 상기 제 1-3 밀착부(313)에 밀착되는 제 1 구속부(351)와, 상기 제 2-3 밀착부(323)에 밀착되는 제 2 구속부(352)와, 상기 제 1 구속부(351) 및 제 2 구속부(352)을 연결하는 연결부(35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속부(351)가 상기 설치바(330)와 접촉되지 않은 제 1-3 밀착부(313)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구속부(352)가 상기 설치바(330)와 접촉되지 않은 제 2-3 밀착부(323)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부재(330)는 상기 제 1 구속부(351) 및 연결부(353)를 절개하여 형성된 관통개구부(355)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바(330)가 상기 관통개구부(355)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연결부(353)에 상기 설치바(330)가 삽입되는 설치홈(354)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354)이 상기 관통개구부(355)와 연통된다. 상기 설치바(330)가 상기 설치홈(354)에 삽이되어 끼워지고 상기 연결부(35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설치체결부재(360)는 상기 제 1 구속부(351), 제 1 설치고정바(310), 제 2 설치고정바(320), 제 2 구속부(352)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속부(351), 제 1 설치고정바(310), 제 2 설치고정바(320), 제 2 구속부(352)를 체결고정한다.
상기 설치체결부재(360)가 상기 제 1 구속부(351), 제 1 설치고정바(310), 제 2 설치고정바(320), 제 2 구속부(352)를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설치바(33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설치체결부재(360)가 상기 설치바(330)가 엘보우배관(3)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보우 클램프는 상기 곡면으로 형성된 엘보우배관(3)의 외측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센서(2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클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클램프(10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1 아우터밴드(110)가 일렬이 아닌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 및 제 2 아우터밴드(120)가 일렬이 아닌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평행하게 배치될 경우, 상기 설치어셈블리(300)의 제 1 설치고정바(310)와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설치고정바(320)와도 직교하게 배치된다.
상기 아우터고정바(140)(150)들과 상기 설치고정바(310)(320)들이 직교하게 배치되면, 설치어셈블리(300)의 설치 시 슬립 및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설치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클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클램프(100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각각 복수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는 제 1-1 아우터고정바(141), 제 1-2 아우터고정바(142) 및 제 1-3 아우터고정부(14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아우터고정바(141), 제 1-2 아우터고정바(142) 및 제 1-3 아우터고정부(143)는 엘보우배관(3)의 축중심(S)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아우터고정바(141), 제 1-2 아우터고정바(142) 및 제 1-3 아우터고정부(143)는 엘보우배관(3)의 축중심(S)을 기준으로 45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1 아우터체결부(114) 및 제 1-1 아우터고정바(141)가 상기 축중심(S)을 기준으로 45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 1-1 아우터고정바(141) 및 제 1-2 아우터고정바(142)가 상기 축중심(S)을 기준으로 45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 1-2 아우터고정바(142) 및 제 1-3 아우터고정부(143)가 상기 축중심(S)을 기준으로 45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 1-2 아우터체결부(116) 및 제 1-3 아우터고정바(143)가 상기 축중심(S)을 기준으로 45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아우터고정바(150)는 제 2-1 아우터고정바(151), 제 2-2 아우터고정바(152) 및 제 2-3 아우터고정부(15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1 아우터고정바(151), 제 2-2 아우터고정바(152) 및 제 2-3 아우터고정부(153)는 엘보우배관(3)의 축중심(S)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1 아우터고정바(151), 제 2-2 아우터고정바(152) 및 제 2-3 아우터고정부(153)는 엘보우배관(3)의 축중심(S)을 기준으로 45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각각 복수개 배치되면, 복수개의 센서를 하나의 엘보우 클램프에 동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아우터클램프 110 : 제 1 아우터밴드
120 : 제 2 아우터밴드 130 : 아우터연결밴드
140 : 제 1 아우터고정바 150 : 제 2 아우터고정바
200 : 이너클램프 210 : 제 1 이너밴드
220 : 제 2 이너밴드 230 : 이너연결밴드
300 : 설치어셈블리 310 : 제 1 설치고정바
320 : 제 2 설치고정바 330 : 설치바
350 : 구속부재

Claims (9)

  1.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는 엘보우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클램프(10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제 1 아우터밴드(11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아우터밴드(120);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 및 제 2 아우터밴드(120)를 연결하는 아우터연결밴드(130);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에서 상기 곡률반경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1 아우터고정바(140);
    상기 제 2 아우터밴드(120)에서 상기 곡률반경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 2 아우터고정바(150);를 포함하는 엘보우 클램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너클램프(200)는,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제 1 이너밴드(21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이너밴드(210)와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면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이너밴드(220);
    상기 제 1 이너밴드(210) 및 제 2 이너밴드(220)를 연결하는 이너연결밴드(230);를 포함하는 엘보우 클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우터밴드(110) 및 제 1 이너밴드(210)가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아우터밴드(120) 및 제 2 이너밴드(220)가 일렬로 배치된 엘보우 클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우터고정바(140) 및 제 2 아우터고정바(150)가 상기 엘보우배관(3)의 축중심(S)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엘보우 클램프.
  6.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직관(1); 상기 엘보우배관(3)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직관(2);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는 엘보우 클램프.
  7.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클램프(100)에 센서(20)가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
  8.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직관(1); 상기 엘보우배관(3)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직관(2);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직관(1) 및 제 2 직관(2)이 직교하게 배치되는 엘보우 클램프.
  9. 유체의 방향이 전환되는 엘보우 배관에 설치되는 엘보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배관(3)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직관(1); 상기 엘보우배관(3)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직관(2);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외측면(3a)에 밀착되는 아우터클램프(100);
    상기 엘보우배관(3)의 곡률반경 내측면(3b)에 밀착되는 이너클램프(200);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를 연결하는 체결부재(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직관(1) 및 제 2 직관(2)이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클램프(100) 및 이너클램프(200)가 상기 엘보우 클램프(3)의 일단 및 타단 중간에 배치되는 엘보우 클램프.
KR1020230027639A 2022-06-30 2023-03-02 엘보우 클램프 KR20230038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878 2022-06-30
KR20220080878 2022-06-30
KR1020220081304 2022-07-01
KR20220081304 2022-07-01
KR1020220081407A KR102507951B1 (ko) 2022-06-30 2022-07-01 엘보우 클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407A Division KR102507951B1 (ko) 2022-06-30 2022-07-01 엘보우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671A true KR20230038671A (ko) 2023-03-21

Family

ID=855119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407A KR102507951B1 (ko) 2022-06-30 2022-07-01 엘보우 클램프
KR1020230027638A KR20230038670A (ko) 2022-06-30 2023-03-02 엘보우 클램프
KR1020230027639A KR20230038671A (ko) 2022-06-30 2023-03-02 엘보우 클램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407A KR102507951B1 (ko) 2022-06-30 2022-07-01 엘보우 클램프
KR1020230027638A KR20230038670A (ko) 2022-06-30 2023-03-02 엘보우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079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667Y1 (ko) 2000-09-21 2001-02-15 서일봉 파이프 클램프.
KR20030000808A (ko) 2001-06-27 2003-01-06 (주) 엘지텔레콤 무선단말기로의 검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31495B1 (ko) 2015-11-11 2018-04-04 박동기 배관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2371B2 (ja) * 2008-08-18 2013-03-13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配管曲がり部用クランプ
US9851260B2 (en) * 2013-07-24 2017-12-26 Tlv Co., Ltd. Sensor fixture
KR101505537B1 (ko) * 2013-11-29 2015-03-24 삼성중공업(주) 배관 지지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667Y1 (ko) 2000-09-21 2001-02-15 서일봉 파이프 클램프.
KR20030000808A (ko) 2001-06-27 2003-01-06 (주) 엘지텔레콤 무선단말기로의 검색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31495B1 (ko) 2015-11-11 2018-04-04 박동기 배관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670A (ko) 2023-03-21
KR102507951B1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731B2 (en) Pipe ring apparatus
US9163760B2 (en) Pipe joint restraint apparatus
JP5507722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パイプクランプ
US7225837B1 (en) Casing spacer with joint restraint
CN102084137B (zh) 缸体的配管固定构造
US7320486B2 (en) Pipe clamp
JP2009513914A (ja) 角度をなす空洞を有する継手
US20080315580A1 (en) Coupling with crossable means for couplings to connect endportions of pipes and valves
KR20180016561A (ko) 클립
KR920002317B1 (ko) 배관 고정 장치
US5755464A (en) Segmented flange structure including a shim
KR102507951B1 (ko) 엘보우 클램프
KR20140049653A (ko) 배관 연결장치
JP2002031241A (ja) フランジ用ガスケット
JPH07238635A (ja) 鉄骨梁のウエブ開口部補強法
KR101271366B1 (ko) 산업용 고무 익스펜션 조인트
JP4717301B2 (ja)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JP5057593B2 (ja)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US5765881A (en) Interlocking split flange connector
JP6672504B2 (ja) フランジ補強具
KR20140003489U (ko) 선박의 배관 플랜지 전용 서포트 클램프
JP2019007593A (ja) 固定金具
KR100779183B1 (ko) 하수관 연결소켓
KR100722246B1 (ko) 익스팬션죠인트의 벨로우즈 보강용 콘트롤링
US10072787B2 (en) Clam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