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646Y1 -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 - Google Patents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646Y1
KR200196646Y1 KR2020000005191U KR20000005191U KR200196646Y1 KR 200196646 Y1 KR200196646 Y1 KR 200196646Y1 KR 2020000005191 U KR2020000005191 U KR 2020000005191U KR 20000005191 U KR20000005191 U KR 20000005191U KR 200196646 Y1 KR200196646 Y1 KR 200196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ooth
movable frame
frame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
Original Assignee
이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 filed Critical 이헌
Priority to KR2020000005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6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고안은 피아노 등의 악기연주 연습 시 발생되는 피해소음을 차단하는 한편, 연주자의 프라이버시와 집중력 향상을 위해 외부로부터의 간섭음을 차단하기 위해 독립된 연습공간을 제공하는 공간절약형 방음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규격의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방음판넬, 방음문, 방음창 등이 조립 조합되는 구성을 하며 부스의 하부에는 악기의 진동을 차단키 위한 방진재가 장착된 방음부스로서 이 전체는 2개의 공간으로 나뉘어 피아노 등 악기가 위치하는 고정공간과 연주자 공간으로 구분되어 피아노 등의 악기 사용 전과 사용 후 필요에 따라 연주가 공간을 폐쇄하거나 확보할 수 있도록 공간 가변성을 부여한 공간절약형 피아노 방음부스의 조합과 구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
본 고안은 인출된 가동틀에 대한 시각적 거부감이 적고, 또한 인출된 가동틀이 안정되어 편안하게 내부 활동할 수 있게 한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에 관한 것이다.
피아니스트, 바올리니스트 등의 연주자, 성악가나 국악가 등의 가수가 자기집에서 혹은 피아노 학원처럼 넓은 실내에서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고 타인의 시선도 의식함이 없이 마음놓고 연습할 수 있다면 좋겠지마는 그러기에는 이웃과의 거리가 너무 가깝고 또 공개된 넓은 장소에서 활동하는 이들에게 끼칠 소음피해 때문에 마음을 졸여야 하고 연습자 자신의 프라이버시도 의식하지 않을 수도 없기에 연주 또는 발성 연습이 제대로 이뤄질리 만무하다.
일례로, 주택가의 피아노전문 음악학원을 보자면. 다수의 연주자가 동시에 연주하는 피아노 소리를 싫어하는 주민이 있다면 그들에겐 소음피해로 인식하여 민원을 살 수 있다. 학원측에선 이러한 주민의 원성을 염려하여 연주시간대를 제한하고 방음시설로 소음피해를 줄이는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가정에서 피아노를 시험연주할 때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피아노가 위치한 방에 방음시설을 갖추려면 우선 비용이 만만찮고, 주로 현장시공인 방음설비는 장정 두 사람의 힘으로도 버거운 피아노를 옮기는 일, 기설 방 시설의 포기 및 정리 공사에 따른 비용손실이 부담스럽다.
이와 같이 여럿 가운데서 자기만의 독립된 공간을 확보하여 조용히 일을 볼 수 있게 작은 독립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 밀폐식 소형 부스중에는 실용신안공보 제96-23558호와 같은 공간가변식 조립 부스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특징은 부스의 평면적을 양분한 고정틀은 앞이 완전히 트이고 천장과 양측벽 내면에는 앞 뒤 방향으로 레일 가이드가 부착되어 있고, 가동틀은 뒤가 완전히 트이고 앞벽에 출입문이 설치되며 천장과 양측벽 외면에는 앞 뒤 방향으로 레일이 깔려 있으며, 상기 고정틀과 가동틀을 트인 쪽 끼리 맞보게 암수 결합한 것으로서, 부스를 사용하지 않으면 가동틀을 고정틀 속에 밀어넣어서 부스의 평면적으로 축소시키고 부스를 사용하려면 고정틀에서 가동틀을 인출하여 부스의 내부 공간이 최대한 확보하게 된다.
이렇게 편리한 점을 가진 조립 부스이긴 하지만 그래도 개선해야 될 점은 여전하다. 즉, 가동틀을 인출하면 레일이 겉으로 다 드러나서 보기에 흉하고, 인출된 가동틀의 자세가 불안정하여 애써 확보한 부스의 내부 공간이 좁혀드는 경향이 있는데, 이들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여태껏 마련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인출된 가동틀에 대한 시각적 거부감이 적고, 또한 인출된 가동틀의 안정을 기하여 편안하게 내부 활동할 수 있게 한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동틀에 출납가능하게 조립된 가동틀로 이뤄진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에 있어서, 본 고안은
도 1은 가동틀이 인출된 상태로 나타낸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창측 종단측면도
도 3은 도 1의 횡단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부 상세도
도 5는 고정틀에 가동틀이 수납된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동틀 1a,2a : 천장
1b,2b : 측벽 1c,2c : 바닥
2 : 가동틀 3 : 홈레일
4 : 레일 스토퍼 5 : 방진고무
6 : 걸림턱 7 : 고무바퀴
8 : 안내바퀴 9 : 고정판
도 1 내지 도 3에서,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는 그 평면적을 대략 반분한 크기로 된 고정틀(1)과 가동틀(2)과의 조합체이며, 방음판제 또는 방음구조를 갖춘 판제이다. 고정틀(1)은 피아노 등의 악기가 차지할 공간으로서, 앞벽을 완전 생략한 사각박스이며, 그 천장(1a)과 측벽(1b) 및 바닥(1c)에는 앞 뒤 방향으로 가동틀(2)을 레일끼움하여 안내하는 직선상의 홈레일(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모든 홈레일(3)의 앞끝에는 가동틀(2)이 빠지지 않게 저지하는 레일 스토퍼(4)도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틀(1)의 바닥(1c) 저면에는 베이스를 겸한 방진고무(5)도 부착되어 있다. 가동틀(2)은 피아노 등의 악기를 연주할 사람이 차지하는 공간용으로서, 뒷벽이 생략된 사각박스형이며, 고정틀(1)의 앞쪽으로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게 조립되어 있고, 그 천장(2a)과 측벽(2b) 및 바닥(2c)은 상기 홈레일(3)에 대한 레일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천장(2a)과 측벽(2b) 및 바닥(2c)의 모든 후단에는 상기 레일 스토퍼(4)의 안쪽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하는 걸림턱(6)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틀(2)의 바닥(1c) 저면에는 출납시 이동편의와 악기 연습할 때 부스가 놓인 실내의 바닥으로 진동이 미치지 않도록 억제하고 구름안내하는 고무바퀴(7)도 부착되어 있으며, 앞벽(2d)에는 출입문(11)과 환기창(12)도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동틀(2)이 최대한 인출딘 상태에서 그 앞벽(2d)의 내면 하단과 고정틀(1)의 바닥(1c) 선단면간에는 바닥공간(a)이 남는다. 이 바닥공간(a)은 부스 내에서의 활동의 영향으로 가동틀(2)이 유동하여 이미 확보해 둔 부스의 평면적이 줄어들 수 있는 빌미가 되므로 이 바닥공간(a)을 메꿔서 인출된 가동틀(2)을 움직이지 못하게 해야 안전하다. 고정판(9)은 이런 이유에서 필요하다. 이 고정판(9)은 가동틀(2)을 인출한 후 그 바닥공간(a)에 끼워서 가동틀(2)을 고정시키고, 가동틀(2)을 수납할 적에는 고정판(9)을 빼서 고정틀(1)의 바닥(1c)에 올려놓든가 그림처럼 가동틀(2)의 앞벽(2d) 내면에 세워 둔다. 고정틀(1)의 양 측벽(1b)에도 앞 끝에 레일 스토퍼(4)를 가진 홈레일(3)이 형성되어 있고, 홈레일(3)에는 가동틀(2)의 측벽(2b)을 레일삼아 끼워진 가운데 그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6)이 레일 스토퍼(4)의 내면에 걸려서 앞쪽으로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도 4에서, 측벽(2b)의 걸림턱(6)은 내측면에 그리고 천장(2a)의 걸림턱(6)은 저면에 각각 안내바퀴(8)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안내바퀴(8)는 가동틀(2)이 홈레일(3)에 안내되어 순탄하고 소음적게 출입하도록 돕는다. 상기 부스는 고정틀(1)에 피아노(b)와 의자(c)를 비치해 두고 평소에는 도 5의 실선표시대로 가동틀(2)을 밀어넣어서 부스의 평면적으로 줄여 실내공간을 넓게 활용하고, 피아노 연습을 할 시에는 도 1, 2 및 도 5의 점선표시대로 가동틀(2)을 인출하고 출입문(11)을 열고 들어가서 고정판(9)을 들어 바닥공간(a)에 깔아 고정틀(2)을 안정시킨 후 피아노 연습에 돌입한다. 가동틀(2)이 고정틀(1)을 출입할 때 가동틀(2)의 천장(2a)과 측벽(2b) 나아가 바닥(2c)은 레일 역할을 하고 고정틀(1)의 천장(1a)과 측벽(1b) 및 바닥(1c)에 주어진 홈레일(3)은 가동틀(2)이 미끄러지듯이 직선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순탄하게 이뤄지도록 안내하며 안내바퀴(8)는 천장(1a)측 홈레일(3)의 상면과 측벽(1b)쪽 홈레일(6)의 내면 및 바닥(1c)의 홈레일(6) 바닥을 타고 굴러 가동틀(2)의 이동을 아주 부드럽게 하므로 소음이 거의 나지 않는다. 고무바퀴(7)도 가동틀(2)의 순탄한 출납을 돕는다. 또, 방진고무(5)는 피아노를 쳤을 때 발생한 음파와 진동이 부스가 놓인 실내의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소음피해를 줄인다. 고무바퀴(7)는 이때도 기여한다. 이 피아노 연습을 마친 뒤에는 의자(c)를 피아노(b) 밑으로 밀어 넣고 고정판(9)을 빼서 전과 같이 가동틀(2)의 앞벽(2d)에 세워 붙인 다음에 출입문(11)을 열고 나와 닫고 고정틀(1) 쪽으로 가동틀(2)을 밀어 넣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는 가동틀을 인출하더라도 레일과 이것을 타고 다니거나 유도되는 레일 가이드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펼친 외관이 아주 산뜻하여 특히 외부인에게 시각적 거부감을 주지 않는다. 또, 인출된 가동틀을 고정틀과의 사이에 고정판을 끼워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부스 공간에서 편하게 악기 연습을 할 수가 있다. 나아가, 고정틀의 방진고무와 가동틀의 고무바퀴는 악기 연숩 때의 진동으로 인한 고통이 덜어진다.

Claims (1)

  1. 평면적으로 대략 반분한 크기로서 앞이 트인 박스형 고정틀(1)에 뒤가 트인 박스형 가동틀(2)을 출납가능하게 조립한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은 천장(1a)과 측벽(1b) 및 바닥(1c)에 앞끝에다 레일 스토퍼(4)가 형성된 전후 직선상의 홈레일(3)을 갖고 바닥(1c)의 저면에는 방진고무(5)를 부착하며, 상기 가동틀(2)은 천장(2a)과 측벽(2b) 및 바닥(2c)을 홈레일(3)에 대응하는 레일로 삼고 천장(2a)과 측벽(2b) 및 바닥(2c)의 후단에는 상기 레일 스토퍼(4)의 안쪽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하는 걸림턱(6)을 형성하며 바닥(1c)의 저면에는 고무바퀴(7)를 부착하고, 고정판(9)으로 인출된 가동틀(2)을 안정시킬 수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
KR2020000005191U 2000-02-24 2000-02-24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 KR200196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191U KR200196646Y1 (ko) 2000-02-24 2000-02-24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191U KR200196646Y1 (ko) 2000-02-24 2000-02-24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646Y1 true KR200196646Y1 (ko) 2000-09-15

Family

ID=1964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191U KR200196646Y1 (ko) 2000-02-24 2000-02-24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6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924A (ko) * 2000-05-03 2000-09-05 여태홍 건물내의 기계실 소음 방지장치
KR20180115929A (ko) * 2017-04-14 2018-10-24 주식회사 제네코 확장형 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이동주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924A (ko) * 2000-05-03 2000-09-05 여태홍 건물내의 기계실 소음 방지장치
KR20180115929A (ko) * 2017-04-14 2018-10-24 주식회사 제네코 확장형 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이동주택
KR101964366B1 (ko) * 2017-04-14 2019-04-01 주식회사 제네코 확장형 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이동주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5785A (en) Bedroom cabinet
KR200196646Y1 (ko)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
JP4133374B2 (ja) デスク
JPH10102643A (ja) 間仕切り構造
JP5396683B2 (ja) 音響面材配置システム
KR20110010949U (ko) 개인용 이동식 방음학습방
JP2003079457A (ja) 引出家具
KR200444889Y1 (ko) 피씨방용 테이블의 칸막이 설치구조
JP5364892B2 (ja) トイレブース
JPH06229039A (ja) 室内音響可変装置
JP3911458B2 (ja) ホームシアターシステム
JP2001277932A (ja) 移動教室用車両
Green San Sylmar
JP3232231U (ja) 集合住宅建築物
JP6854956B1 (ja) 台構造
JP6844596B2 (ja) 間仕切収納システム
JP3227089U (ja) 集合住宅
JP2004081353A (ja) 室内の間仕切り装置
KR200267679Y1 (ko) 노래방 부스
KR20120004929U (ko) 커튼식 방음실
JPH0393946A (ja) システムパーティション
JPS6140191Y2 (ko)
JPS5972378A (ja) 間仕切装置
JP2000045426A (ja) キッチンとキッチン隣室との間仕切り構造
Limmesand et al. Room acoustics in rehearsal rooms and public areas in the new Norwegian National Opera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