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040Y1 - 차량용 휠커버링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커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040Y1
KR200196040Y1 KR2020000010382U KR20000010382U KR200196040Y1 KR 200196040 Y1 KR200196040 Y1 KR 200196040Y1 KR 2020000010382 U KR2020000010382 U KR 2020000010382U KR 20000010382 U KR20000010382 U KR 20000010382U KR 200196040 Y1 KR200196040 Y1 KR 200196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ehicle
covering
mounting portio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준
Original Assignee
이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준 filed Critical 이희준
Priority to KR2020000010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10Assembling;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1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20Avoidance of
    • B60B2900/212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커버링의 지름이 탄력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휠커버 장착부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조립된 후에는 장착부에 보다 큰 신장력을 부가하여 휠커버가 휠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휠커버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의 휠커버링은 지름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하여 고리형태를 갖는 탄성고리부가 다수의 지점에 연장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휠커버링은 일정 외력을 가하면 지름이 줄어들어 휠커버의 장착부에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탄력적으로 복귀되므로 휠커버의 장착부에 충분한 신장력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휠커버링{ Wheeel Cap Ring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휠커버 장착부에 설치되는 휠커버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휠커버의 장착부에 보다 큰 신장력을 부가하여 휠커버가 휠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휠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볼트에 의해 차축에 장치되는 휠의 외측편에는 플라스틱재로 성형된 휠커버가 결합되며, 이러한 휠커버는 차량 주행시 돌이나 기타 물체에 의해 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도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휠커버는 휠의 림 내주연에 비례하여 억지 끼움될 정도의 지름을 갖는 원둘레로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부를 휠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뒤 이를 외측에서 타격하거나 외력을 가하여 끼움결합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휠커버는 장착부에 별도의 신장력을 부가하는 지지체가 제공되어 있지 않고 플라스틱재가 지닌 자체 탄성력에 의존하여 휠에 장착 및 탈착되므로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휠커버의 장착부는 단순히 다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에는 각 돌기가 변형 및 파손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휠에서 이격되거나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휠커버의 장착부에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태의 휠커버링이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휠커버링(1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강선을 원형의 고리모양으로 구부린 뒤 양끝단을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맞대기 용접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휠커버링(120)은 휠커버(100)의 장착부(110)를 구성하는 각 돌기의 내측에 형성된 링홈(115)에 끼워져 위치고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휠커버링(120)을 장착부(11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장착부(110)를 구성하는 각 돌기를 외측으로 벌린 뒤 휠커버링(120)을 끼워넣어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재로 성형된 돌기가 무리하게 힘을 받게 될 경우에는 영구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휠커버링(120)은 단순한 원형의 고리형태로 장착부(110)의 링홈(115) 지름에 비례하게 제작되므로 상기 장착부(110)에 충분한 신장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휠커버(100)을 휠(W)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효과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휠커버링의 지름이 탄력적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휠커버 장착부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조립된 후에는 장착부에 보다 큰 신장력을 부가하여 휠커버가 휠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휠커버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휠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휠커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휠커버링의 탄력적인 변형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휠커버링
5 : 휠커버
6 : 장착부
7 : 링홈
10 : 탄성고리부
20 : 요홈부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휠커버 장착부에 조립되어 이를 지지하는 휠커버링에 있어서,
상기 휠커버링은 지름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하여 고리형태를 갖는 탄성고리부가 다수의 지점에 연장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휠커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휠커버링(1)은 외력이 작용하면 탄력적인 변형을 통해 지름이 조절되도록 하는 탄성고리부(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고리부(10)는 링형태를 갖는 휠커버링(1)의 중심을 향하여 작은 고리가 위치되도록 360。 굽힘 성형되며, 이러한 탄성고리부(10)는 다수의 지점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등간격으로 6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휠커버링(1)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형의 링형태를 가지면서 내측으로 지름이 작은 다수개의 탄성고리부(10)가 꼬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휠커버링(1)은 휠커버(5)에 장착시 타이어 공기밸브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일단이 차량 측방향으로 수회 굽힘성형된 요홈부(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부(20)는 다양한 형태로 절곡성형 될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휠커버링(1)은 외력에 의해 탄력적인 변형을 이루기 때문에 비교적 탄성계수가 높은 재질의 강선이 사용되며, 맞대기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양 끝단부는 템퍼링과 같은 열처리 공정과정을 거쳐 휠커버링(1)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강도와 인장강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휠커버링의 작용은 첨부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휠커버링(1)을 휠커버(5)의 장착부(6)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휠커버링(1)을 양쪽편에서 잡은 뒤 중심을 향하여 소정의 힘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휠커버링(1)에 작용하는 힘은 탄성고리부(10)에 전달되고, 이 탄성고리부(10)의 지름이 신장됨과 동시에 휠커버링(1)의 지름이 줄어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휠커버링(1)을 휠커버의 장착부(6) 내측에 형성된 링홈(7)에 끼워질 수 있도록 위치조정한 뒤 휠커버링(1)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휠커버링(1)은 자체 탄력성에 의해 탄성고리부(10)의 지름이 원래대로 복귀되어 줄어들게 되고 이와 동시에 휠커버링(1)의 지름은 원래의 지름으로 신장되므로 장착부(6) 링홈(7)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휠커버링은 일정 외력을 가하면 지름이 줄어들어 휠커버의 장착부에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탄력적으로 복귀되므로 휠커버의 장착부에 충분한 신장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휠커버링은 그 지름이 장착부의 링홈 지름에 비해 크더라도 탄력적으로 지름이 가변되어 조립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조립작업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장착부에 보다 큰 신장력을 부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휠커버의 장착부는 휠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각종 충격 및 진동에 대해서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흡수하므로 장착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휠커버 장착부에 조립되어 이를 지지하는 휠커버링에 있어서,
    상기 휠커버링은 지름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하여 고리형태를 갖는 탄성고리부가 다수의 지점에 연장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커버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커버링은 타이어의 공기밸브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단부가 수회절곡된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커버링.
KR2020000010382U 2000-04-12 2000-04-12 차량용 휠커버링 KR200196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382U KR200196040Y1 (ko) 2000-04-12 2000-04-12 차량용 휠커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382U KR200196040Y1 (ko) 2000-04-12 2000-04-12 차량용 휠커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040Y1 true KR200196040Y1 (ko) 2000-09-15

Family

ID=1965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382U KR200196040Y1 (ko) 2000-04-12 2000-04-12 차량용 휠커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0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129B2 (en) Vehicle stabilizer
JP2013035491A (ja) スポーク車輪
JP2002122237A (ja) 保護ベローズ
KR200196040Y1 (ko) 차량용 휠커버링
JP3893478B2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エイト
KR101488645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JP5842291B2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エイト
KR102417408B1 (ko) 서스펜션 부시
US20040021367A1 (en) Rim with decorative cover
JP2005282760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用ダストカバーの取付構造
JPH10252795A (ja) 防振装置
JPH11210835A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エイト
JP2007147040A (ja) カバー部材の取付構造
JP2002156063A (ja) バルブ装置
CN213425939U (zh) 一种减震环和应用该减震环的电子水泵电机的安装结构
JPH0231623Y2 (ko)
JP3700580B2 (ja) 配管のクランプ
KR200319335Y1 (ko) 자동차의 도어래치 구조
JP2010125139A (ja) ゴルフクラブ
JPH11210836A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エイト
KR200164184Y1 (ko) 체결이간편한자동차스테빌라이저의마운팅부시고정클램프
JPH11165272A (ja) 低騒音型ソケットレンチ
JPH0411509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H0710582U (ja) ダンパ
KR200348204Y1 (ko) 자동차 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