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995Y1 -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995Y1
KR200195995Y1 KR2020000009615U KR20000009615U KR200195995Y1 KR 200195995 Y1 KR200195995 Y1 KR 200195995Y1 KR 2020000009615 U KR2020000009615 U KR 2020000009615U KR 20000009615 U KR20000009615 U KR 20000009615U KR 200195995 Y1 KR200195995 Y1 KR 200195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it
processing
book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윤익씨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윤익씨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윤익씨엔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9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장표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일화된 자동 시스템 구성에 의해 금융기관에서 취급되는 각종 장표(수표 또는 어음 및 입출금전표 , 지방세 납부를 위한 각종 오씨알(OCR)장표 등)등을 그 수량 및 종류에 구애받음 없이 일괄적으로 자동처리되게하므로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정확한 자동 정보입력에 의한 신속한 업무진행과 효과적인 관리체계로서 고객의 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다기능 장표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지향의 다기능 기기로서, 수표 및 어음의 발행 및 회수업무로 부터 입출금전표 및 각종 오씨알(OCR)장표의 수납업무에 이르기 까지 취급자의 선택에 따라 그 사용기능을 다용도로 변환가능케 하여 각종 장표 취급업무에 따른 작업진행 시간을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러한 업무진행에 따른 인적 및 물적경비의 절감으로 사용효율을 극히 상승되도록 한 다기능 장표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컨트롤기판이 내설되고 상부로 덮개수단이 탈,부착 결합되는 메인베이스상에 안내홀을 구비한 장표안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장표안내수단을 연결 매개체로하여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부 좌,우측면에 각 장표투입부와, 장표수거부를 형성한 후, 상기 장표안내수단과 연계하는 설치구조로서 장표의 종류(두께)에 따라 밀착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과,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통해 전송된 장표의 일련번호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데이터로 처리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전송되는 장표의 기재내용을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1 스캐닝부와, 상기 제1 스캐닝부를 통해 전송된 장표에 처리결과를 인쇄하는 회수결과처리부와, 상기 회수결과처리부를 통해 전송되는 장표에 회수에 따른 사용완료상태를 인쇄하고, 신규로 발행되는 수표 내지 어음 전송시에는 그 전송되는 수표내지 어음에 발행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를 통과 전송된 장표의 처리결과를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2 스케닝부를 순차적인 일렬구조로 배열구성시키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장표처리장치{SMARY DOCUMENT PROCESSOR}
본 고안은 다기능 장표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기관 등에서 행하여지는 수표, 어음, 전표 및 각종 오씨알(OCR)장표 등의 회수(수납), 발행 및 그에 따른 입,출금 관리작업을 단일화된 시스템 구성에 의해 일괄적으로 자동처리되게하므로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신속 정확한 자료입력 및 관리업무의 효율화로 고객의 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다기능 장표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표, 어음 및 입출금전표의 관리, 각종 지방세 수납, 주식 및 채권의 입,출고, 상품권등의 관리업무 등을 행하는 각종 금융기관등에서는 철저한 관리체계에 따라 금융혼란을 방지하고 원활한 업무처리를 위하여 취급되는 수표 및 각종 어음등에 발행기관명 내지 사용기관명을 배서하고, 그 발행되는 순서에 따라 고유의 일련번호와 발행날짜를 병기하게 되는 것이며, 또 다르게 회수되는 수표 및 어음, 또는 각종 입,출금전표 및 지방세 납부를 위한 각종 오씨알(OCR)장표 등을 취급함에 있어서는 입,출금날짜 및 처리기관명, 장표의 일련번호 등을 단말기상에 입력하여 이를 데이타 자료로 보관하므로서 체계적인 관리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는 금융기관의 각종 장표처리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수표 내지 어음등의 발행관계에 있어서, 취급자는 발행을 필요로하는 수표 내지 어음의 권종(券種)을 선택하여 그 수표 및 어음의 표면과 이면에 스템프를 이용한 수작업에 의해, 발행기관명, 발행날짜, 일련번호등을 인쇄하고, 이러한 정보를 키보드를 통해 단말기상에 입력시키므로서 각종 수표 및 어음의 유통관계를 갖게 하는 것이었으며, 또 다르게 수표 내지 어음의 회수 및 입출금전표, 지방세 납부등을 위한 각종 오씨알(OCR) 장표등을 처리 또는 수납함에 있어서는 처리되는 각 장표에 금융기관의 확인 인장을 날인하고, 이와같이 인장 날인된 각 장표의 정보(발행기관명, 발행 및 납부날짜, 일련번호 등)를 단말기상에 입력시키므로서 그 업무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업무형태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장표처리과정은 스템프와 키보드(단말기)를 이용한 분할된 수작업 형태에 따라 각종 장표의 처리업무를 행하게 되는 것이 었던바, 이에 금용기관에서 각종 장표 취급에 따른 업무처리시간의 지연과 불필요한 노동력의 소모로 과다한 운용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르게 각종 장표의 발행 및 취급량의 증가로 그 업무가 과중될 경우에 있어서는 이를 신속하게 처리하지 못하게 되므로 고객의 신뢰도를 저하시킴은 물론 과다한 장표 처리에 따른 정보입력 오류등의 발생으로 관리업무에 혼선을 갖게 하는 등 매우 비효율적인 장표처리과정의 문제점을 상존시키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금융기관등에서 행하여지는 종래 장표처리업무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화된 자동 시스템 구성에 의해 금융기관에서 취급되는 각종 장표(수표 또는 어음 및 입출금전표, 지방세 납부를 위한 각종 오씨알(OCR)장표 등)등을 그 수량 및 종류에 구애받음 없이 일괄적으로 자동처리되게하므로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정확한 자동 정보입력에 의한 신속한 업무진행과 효과적인 관리체계로서 고객의 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다기능 장표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지향의 다기능 기기로서, 수표 및 어음의 발행 및 회수업무로 부터 입출금전표 및 각종 오씨알(OCR)장표의 수납업무에 이르기 까지 취급자의 선택에 따라 그 사용기능을 다용도로 변환가능케 하여 각종 장표 취급업무에 따른 작업진행 시간을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러한 업무진행에 따른 인적 및 물적경비의 절감으로 사용효율을 극히 상승되도록 한 다기능 장표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컨트롤기판이 내설되고 상부로 덮개수단이 탈,부착 결합되는 메인베이스상에 안내홀을 구비한 장표안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장표안내수단을 연결 매개체로하여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부 좌,우측면에 각 장표투입부와, 장표수거부를 형성한 후, 상기 장표안내수단과 연계하는 설치구조로서 장표의 종류(두께)에 따라 밀착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과,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통해 전송된 장표의 일련번호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데이터로 처리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전송되는 장표의 기재내용을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1 스캐닝부와, 상기 제1 스캐닝부를 통해 전송된 장표에 처리결과를 인쇄하는 회수결과처리부와, 상기 회수결과처리부를 통해 전송되는 장표에 회수에 따른 사용완료상태를 인쇄하고, 신규로 발행되는 수표 내지 어음 전송시에는 그 전송되는 수표내지 어음에 발행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와, 상기 인쇄부를 통과 전송된 장표의 처리결과를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2 스케닝부를 순차적인 일렬구조로 배열구성시키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장표처리장치의 부분분해 내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장표투입부의 부분확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간격조절수단의 부분확대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감지부의 부분확대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1 스캐닝부의 부분확대 구성도
도 6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수결과처리부의 부분확대 구성도
도 7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인쇄부의 부분확대 구성도
도 8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2 스캐닝부의 부분확대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장표처리장치의 개략 사용상태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베이스 2 : 장표안내수단 3 : 장표투입부
4 : 장표수거부 5 : 간격조절수단 6 : 감지부
7 : 제1 스캐닝부 8 : 회수결과처리부 9 : 인쇄부
10 : 제2 스캐닝부 11 : 덮개수단 12 : 컨트롤기판
21 : 안내홀 31 : 안내면 32 : 간격조절판
33 : 장표안내판 34,92,911 : 구동모터 35 : 장표전송로울러
41 : 지지판 42 : 이탈방지편 51 : 브라켓트
52 : 작동구 61 : 안내구 62 :자기잉크문자판독장치
71,101 : 스캐너 311 : 가이드레일 511 : 간격조절레버
512,611 : 탄성스프링 521 : 밀착안내로울러 522 : 간격감지센서
612 : 전송안내로울러 912 : 스템프잉크 913 : 스템프
913' : 고무인 914 : 회전감지센서 941 :고정홀더
이하, 본 고안의 따른 다기능 장표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장표처리장치의 부분분해 내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장표투입부의 부분확대 구성도이며, 도 3 ∼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각 주요부분의 부분확대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장표처리장치의 개략 사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직사각 케이스구조를 이루는 메인베이스(1)상에 장표안내수단(2)과, 장표투입부 (3)와, 장표수거부(4)와, 간격조절수단(5)과, 감지부(6)와, 제1 스캐닝부(7)와, 회수결과처리부(8)와, 인쇄부(9)와, 제2 스케닝부(10)를 상호 연계된 설치관계로 결합 형성시키므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베이스(1)는 다기능 장표처리기를 형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몸체구성으로서, 이와같은 메인베이스(1)는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상부에 탈,부착 가능한 결합형태로 덮개수단(11)을 구비하고, 그 내부로 도 9로 도시된 바와같은 컨트롤기판(12)을 내설, 고정되게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S는 온/오프 스위치)
또한, 상기 장표안내수단(2)은 도 1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 판상체를 상호 근접된 형태로 대향설치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장표안내수단(2)은 상호 근접된 대향설치관계에 따라 그 대향부위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공간구조로서 절개된 형상의 안내홀(21)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표투입부(3)는 도1 내지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절개된 한쌍의 가이드레일(311)을 갖는 안내면(31)을 형성하고, 이러한 안내면(31)의 가이드레일(311)에 결합된 형태로서 이송작용을 행하는 판상의 간격조절판(32)을 직립설치하며, 이와같은 간격조절판(32)의 대향면에 고정된 설치구조로서 판상의 장표안내판 (33)과 구동모터(34)에 의해 회동되는 장표전송로울러(35)를 상호 연계 구성시키므로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표수거부(4)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로 분할된 포켓식 연결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이 분할구성된 각 장표수거부(4)는 그 내측면에 탄성지지작용을 행하는 지지판(41)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41)을 형성한 각 장표수거부의 외측면에 수납되는 장표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서 직사각체로 절곡된 이탈방지편(42)을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수단(5)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으로서 고정구조를 취하는 브라켓트(51)의 상부로 수동식 다이얼 구조를 취하는 간격조절레버 (511)와 탄성스프링(512)을 수평 대칭구조로 횡가설치하고, 이와같은 브라켓트(51)의 간격조절레버(511)와 탄성스프링(512)에 수평 연결되어 탄력적인 밀착작용을 행하는 구조로서 회동되는 밀착안내로울러(521)와,이 밀착안내로울러(521)에 대향되는 타측 하단에 간격감지센서(522)를 구비한 작동구(52)를 형성하여 구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6)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술한 장표안내수단을 중심으로 그 일측면에 탄성스프링(611)에 의한 탄력적 연결구조로서 전송안내로울러 (612)를 장착한 안내구(61)를 형성하고, 이와같은 안내구(61)에 대향되며 상기 전송안내로울러(612)와 밀착되는 구조로서 그 타측면에 자기잉크 문자판독장치(62)를 설치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송안내로울러(612)와 자기잉크 문자판독장치(62)는 전술한 장표안내수단(2)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면에 상호 분할 대향된 구조로 설치되어지는 것인바, 이에 전송안내로울러(612)와 자기잉크 문자판독장치(62)가 외부 간섭없이 원할한 밀착관계를 유지할수 있도록 상기 장표안내수단(2)에 있어 감지부(6)가 형성되는 부위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관통된 구조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스캐닝부(7)는 각종 장표의 이미지가 입력되는 이미지 처리부로서, 이와같은 제1 스캐닝부(7)는 도 1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직립된 고정구조로서 소형의 스캐너(71)를 설치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수결과처리부(8)는 장표 처리에 따른 결과정보(처리날짜 내지 처리 기관명등)를 프린팅하는 수단으로서, 이와같은 회수결과처리부(8)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되는 잉크용기(81)와, 이러한 잉크용기(81)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잉크홀더(82)를 고정된 구조로 설치하여 구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쇄부(9)는 도 1 또는 도 7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으로서 판상의 고정판(91) 상부에 일렬배열구조로서 구동모터(911)와, 스탬프잉크(912)와, 스탬프(913)를 장착하고,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스탬프(913) 하단에, 스템프(913)의 회전위치를 항상 정위치로 조정되게하는 회전감지센서(914)을 구비되도록 하여 전술한 장표안내수단(2)과 접한구조을 취하도록 한 후, 재차 그 측면으로 탈,부착 교환이 가능한 구조로서 구동모터(92)와, 교환감지센서(93)에 의해 제어되는 리본형태의 잉크제공수단(94)을 형성하고, 이러한 잉크제공수단(94) 전방에 고정된 원통형의 직립구조로서 각인된 문자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한 활자고정구(95)를 형성하며, 이와같은 활자고정구(95) 전방에 피스톤 왕복식 압입작용을 행하는 구조로서 압압구(96)를 형성토록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스템프(913)의 외주면으로는 연질의 고무재로서 문자가 각인된 고무인(913')을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감착 구성되도록 한 것이며, 잉크제공수단 (94)은 도 7로 도시된 바와같은 고정홀더(941)에 장착고정되도록하여 그 사용관계를 갖게 한 것이다.(도면미설명 부호 942는 잉크제공수단 구동축)
끝으로, 상기 제2 스케닝부(10)는 전술한 제1 스캐닝부와 같이 각종 장표의 이미지를 입력하는 이미지 처리부로서, 이와같은 제2 스캐닝부(10)는 도 1 또는 도 8로 도시된 바와같이 직립된 고정구조로서 소형의 스캐너(101)를 설치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각 구성부를 상호 조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장표처리기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메인베이스(1) 상부면 중앙에 장표안내수단(2)을 길이방향으로 횡가 설치한 후, 이 장표안내수단(2)을 연결 매개체로하여 그 좌, 우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구조로서 장표투입부(3)와, 장표수거부 (4)를 일체로 장착 구성시킨다.
한편, 이와같은 상태하에 길이방향으로 횡가설치된 장표안내수단(2)을 각 구성부의 조합 매개체로하여 상기 장표투입부(3)로 부터 장표수거부(4)에 이르기 까지 상호 연계된 구조로서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간격조절수단(5)과, 감지부(6)와, 제1 스캐닝부(7)와, 회수결과처리부(8)와, 인쇄부(9)와, 제2 스케닝부(10)를 순차적인 일렬구조로 배열구성시킨 후, 그 상부로 덮개수단(11)을 결합하여 상기 조합구성을 수용되게하므로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장표처리장치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장표처리장치는 도 9로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에 별도 구성된 메인컴퓨터(C)에 연결되어 설정된 프로그램 제어에 따라 선택적인 사용관계를 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사용관계를 갖는 다용도 장표처리장치의 구동작용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이 완료된 수표, 어음 내지 각종 오씨알(OCR) 장표등을 수납처리하고자 할 경우, 메인컴퓨터(C)를 통해 그에 합당한 제어명령을 부여하게되면, 메 인베이스(1)에 내설된 컨트롤 기판(12)은 제어명령에 따라 다기능 장표처리장치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처리하고자하는 다량의 장표를 하나의 묶음형태하여 장표투입부(3)에 수용시키게 되면, 다량의 장표는 간격조절판(32)과 장표안내판(33)에 밀착 지지된 형태를 취하며 장표전송로울러(35)에 의한 회전 구동력에 의해 장표를 한장씩 분리시키며 장표안내수단(2)의 안내홀(21)로 전송하게 하는 것인바. 이에 장표안내수단(2)내로 전송된 장표는 간격조절수단(5)의 간격감지센서(522)에 의해 장표의 종류(두께)가 감지되어 간격조절레버(511)에 의한 조작으로서 밀착안내로울러의 밀착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간격조절수단(5)의 조절작업이 완료하게 되면 간격조절수단(5)은 밀착안내로울러(521)의 회동작용에 의해 연속적으로 장표를 다음단계로 전송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형태로서 장표의 전송작업이 진행되어지면 최초 감지부(6)는 자기잉크 문자판독장치(62)에의해 장표의 일련번호 및 그에 따른 제반정보를 판독하여 그 정보를 메인컴퓨터(C)에 데이터 입력시키게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6)를 경유한 장표는 순차적인 전송단계로서 제1 스캐닝부 (7)와, 회수결과처리부(8)와 제2 스캐닝부(10)를 경유하며 또 다른 처리작업이 진행되는 것으로;
이에, 상기 제1 스캐닝부(7)는 감지부(6)를 통해 전송된 장표의 기재내용(금액, 발행기관, 사용자등에 관한 정보)을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회수결과 처리부(8)는 제1 스캐닝부(7)를 통해 전송된 장표의 처리결과에 대한 정보(처리날짜, 처리기관명 등)를 장표에 직접 인쇄하게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제2 스캐닝부(10)는 회수 처리결과가 인쇄된 장표를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여 메인컴퓨터(C)에 화일형태로 저장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처리과정을 거친 장표는 마무리 단계로서 메인컴퓨터(C)에 의한 프로그램 제어에 따라 처리된 장표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포켓식 구조를 이루는 장표수거부에 수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장표회수처리 작용을 행함에 있어, 상기 인쇄부(9)는 사용자의 선택적이 프로그램제어에 따라 수표 및 어음등의 발행기능을 병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회수되는 각종 장표가 전술한 회수결과 처리부를 통해 인쇄부로 전송될 경우에 있어서는, 그 전송되는 장표에 회수에 따른 사용완료상태, 즉 '회수' 또는 '사용완료' 등과 같은 문자를 인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장표처리장치는 설정된 프로그램 제어에 따라 수표 및 어음등의 발행작업 또한 선택적으로 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발행작업을 행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장표 회수작업와 동일한 구동형태로서 장표투입부(3)와 간격조절수단(5)을 통행 수표 및 어음을 전송시키되, 감지부(6)와, 제1 스캐닝부(7)와, 회수결과처리부(8)와, 제2 스캐닝부(10)의 처리작용은 정지시킨 상태로서 상기 인쇄부만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인쇄부(9)에 의해 수표 및 어음등을 발행함에 있어서는 모터 (911)구동력에 의해 회동되는 스템프(913)에 의해 수표 및 어음등에 은행명등을 인쇄되도록 하고, 잉크제공수단(94)과, 활자고정구(95)와, 압압구(96)를 이용하여 발행되는 수표 및 어음에 일련번호를 기재되도록 한후, 메인컴퓨터(C)에 의한 프로그램 제어에 따라 발행된 수표 및 어음을 권종(券種))별로 분리하여 장표수거부에 수용되게하므로 그 사용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장표처리장치는 단일화된 자동 시스템 구성에 의해 금융기관에서 취급되는 각종 장표(수표 또는 어음 및 입출금전표, 지방세 납부를 위한 각종 오씨알(OCR)장표 등)를 그 수량 및 종류에 구애받음 없이 일괄적으로 자동처리되게하므로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되도록 한 것일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제어에 따른 자동 정보입력에 의해 신속, 정확한 업무진행을 가능케 하여 고객의 신뢰도를 증대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통합지향의 다기능 기기로서, 수표 및 어음등의 발행 및 회수업무로 부터 입출금전표 및 각종 오씨알(OCR)장표의 수납업무에 이르기 까지 취급자의 선택에 따라 그 사용기능을 다용도로 변환가능케 하여 각종 장표 취급업무에 따른 작업진행 시간을 단축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러한 업무진행에 따른 인적 및 물적경비의 절감으로 사용효율을 극히 상승되게 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컨트롤기판(12)이 내설되고 상부로 덮개수단(11)이 탈,부착 결합되는 메인베이스(1)상에 안내홀(21)을 구비한 장표안내수단(2)을 설치하고, 상기 장표안내수단(2)을 연결 매개체로하여 상기 메인베이스(1)의 상부 좌,우측면에 각 장표투입부 (3)와, 장표수거부(4)를 형성한 후, 상기 장표안내수단(2)과 연계하는 설치구조로서 장표의 종류(두께)에 따라 밀착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5)과, 상기 간격조절수단(5)을 통해 전송된 장표의 일련번호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데이터로 처리하는 감지부(6)와, 상기 감지부(6)를 통해 전송되는 장표의 기재내용을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1 스캐닝부(7)와, 상기 제1 스캐닝부(7)를 통해 전송된 장표에 처리결과를 인쇄하는 회수결과처리부(8)와, 상기 회수결과처리부(8)를 통해 전송되는 장표에 회수에 따른 사용완료상태를 인쇄하고, 신규로 발행되는 수표 내지 어음 전송시에는 그 전송되는 수표내지 어음에 발행정보를 인쇄하는 인쇄부(9)와, 상기 인쇄부(9)를 통과 전송된 장표의 처리결과를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2 스캐닝부(10)를 순차적인 일렬구조로 배열구성시키므로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표투입부(3)는 한쌍의 가이드레일(311)을 갖는 안내면(31)에 이송작용을 행하는 간격조절판(32)을 직립 설치하고, 상기 간격조절판의 대향면에 고정된 설치구조로서 장표안내판(33)과 장표이송로울러(35)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표수거부(4)는 다수개로 분활된 포캣식 연결구조로서, 분할된 각 장표수거부(4) 내측에 지지판(41)을 형성하고, 그 외측면으로 각 이탈방지편(42)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장표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5)은 간격조절레버(511)와 탄성스프링 (512)을 갖는 브라켓트(51)에 밀착안내로울러(521)와 간격감지센서(522)를 구비한 작동구(52)를 연결토록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6)는 상기 장표안내수단(2)을 중심으로 그 일측면에 전송안내로울러(612)를 구비한 안내구(61)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구(61)와 대향되는 타측면에 자기잉크 문자판독장치(62)를 설치하여 상호 밀착된 연결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9)는 구동모터(911)와 회전감지센서(914)에 의해 제어되는 구조로서 고무인(913')을 감착한 스템프(913)를 형성하고, 상기 스템프(913) 측면으로 각 탈,부착 교환이 가능한 구조로서 리본형태의 잉크제공수단 (94)과 문자를 각인한 활자고정구(95)를 형성하며, 상기 활자고정구(95) 전방에 압입작용을 행하는 압압구(96)를 형성토록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KR2020000009615U 2000-04-04 2000-04-04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KR2001959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693A KR100360329B1 (ko) 2000-04-04 2000-04-04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693A Division KR100360329B1 (ko) 2000-04-04 2000-04-04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995Y1 true KR200195995Y1 (ko) 2000-09-15

Family

ID=196618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615U KR200195995Y1 (ko) 2000-04-04 2000-04-04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KR1020000017693A KR100360329B1 (ko) 2000-04-04 2000-04-04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693A KR100360329B1 (ko) 2000-04-04 2000-04-04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59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294B1 (ko) * 2002-11-05 2005-06-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4437A (en) * 1977-07-15 1979-05-15 Diebold, Incorporated Multiple bill detector for currency dispensers
KR980010885A (ko) * 1996-07-05 1998-04-30 김종택 지로 장표 무인 자동 수납 장치와 시스템
KR19980053128A (ko) * 1996-12-26 1998-09-25 양현철 자동 수표 발급 장치
KR19990000429A (ko) * 1997-06-05 1999-01-15 박광소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
KR19990000430A (ko) * 1997-06-05 1999-01-15 박광소 보조운반구를 사용하는 장표처리장치
KR100239772B1 (ko) * 1997-08-20 2000-01-15 구자홍 지로(giro)용지 처리장치
KR100265372B1 (ko) * 1997-10-31 2000-09-15 함현철 은행창구형이미지시스템
KR100490782B1 (ko) * 1997-11-24 2005-11-08 엘지엔시스(주) 현금자동입출금기의지로장표처리방법및장치
JP2001006019A (ja) * 1999-06-18 2001-01-12 Hitachi Ltd 自動取引装置
KR200190379Y1 (ko) * 2000-02-17 2000-08-01 주식회사태림테크 공과금 자동 수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199A (ko) 2001-10-31
KR100360329B1 (ko) 200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249B1 (ko) 프린트형 지폐 결속기
KR200195995Y1 (ko)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KR100663875B1 (ko) 수표 발행 및 수납이 가능한 다기능 금융 단말기 및 그시스템
CN101377845A (zh) 帐票处理系统
CN110706399A (zh) 一种票据归集类的自助设备
KR200195996Y1 (ko) 장표처리장치
KR20050082466A (ko) 금융 복합기
KR100187425B1 (ko) 인증 관리기의 증지 요금 제어 장치 및 방법
JP3778878B2 (ja) 発券システム、発券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209149480U (zh) 智能柜员机的票据发售装置
TW417051B (en) An input apparatus
JPS6017145B2 (ja) 通帳取扱装置
KR100578052B1 (ko) 신청서 접수장치
JPH09259328A (ja) 預金通帳及び自動取引装置
JP2582916B2 (ja) 金融自動化機器
JPH074926Y2 (ja) 紙カード発行機
JPH01162997A (ja) 自動取扱装置
JP2001232971A (ja) 伝票及び伝票綴り及び印字装置並びに印字装置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64319B2 (ja) 自動取引装置
JPH0316272B2 (ko)
JP2005269057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JP3084624U (ja) 印刷機能を有するpda
KR200307372Y1 (ko) 신청서 접수장치
JP2008015757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S62231396A (ja) 証紙発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