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429A -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429A
KR19990000429A KR1019970023335A KR19970023335A KR19990000429A KR 19990000429 A KR19990000429 A KR 19990000429A KR 1019970023335 A KR1019970023335 A KR 1019970023335A KR 19970023335 A KR19970023335 A KR 19970023335A KR 19990000429 A KR19990000429 A KR 19990000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processing
reading
informa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영
Original Assignee
박광소
청호컴퓨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소, 청호컴퓨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광소
Priority to KR101997002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429A/ko
Publication of KR1999000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429A/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대금, 세금 및 공과금 청구서 등의 제반 고지서인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는, 각종 지로청구서 등의 장표의 MICR, OCR, 바코드 등의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장표를 기계화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표(10)를 그 단변방향(Y방향)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그 장변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투입구(41); 장표가 투입되었음을 감지하고, 투입된 장표(10)들 중 1매를 분리 이송하는 분리이송수단(42a,42b,42c,42d); 분리이송된 장표(10)에 기입되어 있는 소정 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독출수단(44,50); 상기 독출된 정보에 따라 소정 기능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45); 그리고, 상기 처리가 완료된 후, 상기 장표(10)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장표(10)를 그 단변방향(Y방향)으로 피딩하여 처리함으로써 이동거리 및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잼 등의 장애가 발생될 소지가 적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된 일부가 아닌 전제 장표(10)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물품대금, 세금 및 공과금 청구서 등의 제반 고지서인 장표를 기계화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표를 그 단변방향으로 피딩하고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물품대금, 세금 및 공과금 청구서 등의 제반 고지서인 장표에는 OCR, MICR, 바코드 등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문자 기호가 작성되어 있어서, 수납기관 및 징수기관에 회수되어 기계화처리를 하고 있다. 종래의 장표를 기계화처리하는 장치, 예컨대 OCR/MICR 리더, 소터 등의 장표자동처리기에는 장표를 장변방향으로 피딩하고 있다.
도 1에 일반적인 장표의 일예의 구성을 간단하게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장표(10)는 절단선(19)으로 구획되어 있는 고객용 영수증(12)과 수납은행용 영수증(14) 그리고 기계처리용 영수증(16)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영수증(12,14,16)에는 영수를 확인하는 표시가 인쇄될 영수인부(18)가 있고, 기계처리용 영수증(16)에는 기계처리용 문자부(17)가 있다.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여기서는 장표의 가장자리 중 긴 쪽, 즉 장변방향을 X방향이라 하고 짧은 쪽, 즉 단변방향을 Y방향이라고 한다. 고객이 대금과 함께 이 장표를 수납은행 등에 제시하면 은행원 등은 영수인부(18)에 영수인을 압인한 뒤 절단선(19)을 잘라 고객용 영수증(12) 부분만을 고객에게 반환한다. 수납은행에서는 수납은행용 영수증(14)은 보관하며, 나머지 기계처리용 영수증(16) 부분만이 장표자동처리기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장표처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부(21)로 투입된 장표는 분리이송롤러(22)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반송로(27)를 따라 이송되며 각각 감별부(23), 판독부(24)의 리더(30)에 의하여 그 불량여부나 기계처리용 문자가 판독되어 불량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반송로(28,29)를 거쳐 불량반환부(26)로 반환되고,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는 수납부(25)로 수납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투입부(21)나 반송로(27)의 여러 위치에는 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송중인 장표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잼이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문제가 발생된 것을 작업자에게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종래의 장표처리기에 있어서는 장표(10)를 그 장변방향(X방향)으로 투입하여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처리용 영수증(16)만을 처리하고 있음에도 전체 장치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다. 그리고, 기계화 문자나 기호를 읽거나 영수증(16)이 반송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동거리가 길기 때문에 잼 등의 장애가 발생될 소지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군다나, 상기 고객용 및 수납은행용 영수증(12,14)를 절단하지 않은 완전한 장표(10)를 처리하기에는 이동거리 및 이동시간이 너무 길고 오래 걸리기 때문에 종래의 장변방향 처리 장치에서는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장표(10)를 그 단변방향(Y방향)으로 피딩하여 처리함으로써 이동거리 및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잼 등의 장애가 발생될 소지가 적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된 일부가 이닌 전제 장표(10)를 처리할 수 있는 장표의 단변 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장표의 일예의 구성을 간단하게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장표처리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장표처리기에 있어서 장표를 장변방향(X방향)으로 투입하여 처리하는 것을 간략히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장표를 단변방향(Y방향)으로 투입하여 처리하는 것을 간략히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표처리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표처리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럭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표처리장치를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 결합시킨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표발행부2:통장기기부
3:주제어부4:고객조작부
5:카드 및 명세표 기기부6:입출금부
7:호스트컴퓨터8:전송제어회로
9:기억장치10:장표
12:고객용 영수증14:수납은행용 영수증
16:기계처리용 영수증17:기계처리용 문자부
18:영수인부19:절단선
20,40:장표처리기21,41:투입부
22,42a,42b,42c:분리이송롤러23,43:감별부
24,44:판독부(독출부)25,49b,49c:수납부
26,48:불량반환부27,47a,47b,47c:반송로
28,81:제1반환로29,82:제2반환로
30,50:리더45:장표처리 제어부
54:기능처리부60:압인, 스탬핑 또는 인쇄부
70:절단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지로청구서 등의 장표의 MICR, OCR, 바코드 등의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장표를 기계화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표를 그 단변방향(Y방향)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그 장변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투입구; 장표가 투입되었음을 감지하고, 투입된 장표들 중 1매를 분리 이송하는 분리이송수단; 분리이송된 장표에 기입되어 있는 소정 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독출수단; 상기 독출된 정보에 따라 소정 기능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그리고, 상기 처리가 완료된 후, 상기 장표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장표는 하나 이상의 절단선으로 구획된 두 개 이상의 영수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장표를 일시보류하고, 장표에 대한 소정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장표의 영수인부에 압인, 스탬핑 또는 프린트하는 스탬핑 또는 인쇄수단; 그리고, 영수인 인쇄후, 상기 장표의 절단선을 따라 각각 절단하여 그 절단된 각 영수증을 별도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절단수단 및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독출수단은, 장표의 장변에 평행하게 기입된 정보를 라인단위로 독출하는 이미지 스캐닝헤드이거나, 정보가 기록된 라인을 따라 독출헤드가 이동하면서 독출하거나, 또는 장표의 단변에 평행하게 정보가 기입된 상기 장표가 이송되는 동안에 그 정보를 독출하는 고정된 독출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단수단은 장표의 각 절단선으로 구획된 영수증이 같은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도록 이동됨으로써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종 지로청구서 등의 장표의 MICR, OCR, 바코드 등의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장표를 기계화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표를 단변방향으로 투입하는 단계; 장표가 투입되었음을 감지하고, 투입된 장표중 1매를 분리이송하는 이송단계; 이송되어 온 장표에 기입되어 있는 소정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단계; 상기 독출단계에서 독출된 소정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처리하는 처리단계; 및 소정처리가 완료된 후, 장표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방법은,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장표는 하나 이상의 절단선으로 구획된 두 개 이상의 영수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단계는: 독출된 정보에 따라 소정 기능 등의 관련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장표를 일시수납하는 일시보류하고, 장표에 대한 입출금 등의 관련 처리가 완료되면 그 장표를 이송하여 수납인 표시를 인쇄하는 단계; 그리고 수납인 인쇄후, 상기 장표의 절단선을 따라 각각 절단하여 그 절단된 영수증을 별도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방법은,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독출단계는, 장표의 장변에 평행하게 기입된 정보를 라인단위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정보가 기록된 라인을 따라 독출헤드가 이동하면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는 장표의 장변에 평행하게 기입된 정보를 따라 독출헤드가 이동하면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단단계는 장표의 각 절단될 영수증이 같은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도록 이동됨으로써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표의 단변방향(Y방향) 처리장치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장표를 단변방향(Y방향)으로 투입하여 처리하는 것을 간략히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그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각종 지로청구서 등의 장표의 MICR, OCR, 바코드 등의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장표를 기계화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표의 단변방향(Y방향) 처리장치(40)는 투입구(41), 분리이송수단(42), 독출수단(44), 제어수단(45), 및 배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투입구(41)는 장표(10)의 장변방향(X방향)의 크기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 이 투입구(41)로는 1매의 장표만을 투입할 수 있는 것 또는 다수매를 일괄하여 투입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투입구(41)에는 장표가 투입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이송수단(42a,42b,42c,42d)는 투입된 장표(10)들 중 1매를 분리이송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4개의 롤러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장표(10)를 반송하는 반송로(47)는 장표(10)가 절단될 부분에 따라서 각각 별도의 반송벨트(47a,47b,47c)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감별부(43)는 적법한 장표인가 아닌가를 감별하는 수단이며 여기서 일차로 장표가 감별되어 불량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제1반환로(81)를 따라 불량반환부(48)로 반환될 수 있다.
상기 독출수단(44,50)에는 리더(5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리더(50)는 분리이송된 장표(10)에 기입되어 있는 소정 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한다. 이 리더(50)는 장표(10)의 장변에 평행하게 기입된 정보(17)를 라인단위로 독출하는 이미지 스캐닝헤드일 수 있다. 이런 이미지 스캐닝 헤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45)에서 이미지를 문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한다. 이외에도 상기 리더(50)가 정보가 기록된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독출할 수도 있다. 다른 식으로는 장표(10)의 단변에 평행하게 정보가 기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장표(10)가 이송되는 동안에 그 정보를 독출하는 고정된 리더(5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45)은 상기 독출된 정보에 따라 소정 기능을 처리하도록 상위 장치로 이 정보를 송출하거나, 또는 소정의 기능처리부(54)를 제어한다. 이 제어수단(45)은 장표처리장치(4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이며,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그 주제어부(3)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이 제어수단(45)의 제어하에 소정의 기능처리부(54)가 대금결재 등의 처리를 하는 동안 상기 장표(10)는 일시 보류상태로 되고, 대금 부족 등의 이유로 장표(10)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일시보류 중인 장표는 제2반환로(82)를 거쳐 반환된다.
상기 배출수단은, 독출된 정보에 따른 소정의 처리, 예컨대 대금결제처리 등이 완료된 후, 상기 장표(10)를 배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투입되는 장표(10)는 하나 이상의 절단선(19)으로 구획된 두 개 이상의 영수증(12,14,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수단은 일시보류 중인 장표(10)에 대한 소정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장표(10)의 영수인부(18)에 압인, 스탬핑 또는 프린트하는 스탬핑 또는 인쇄수단(60)을 포함한다. 또한 영수인 인쇄후, 상기 장표의 절단선을 따라 각각 절단하여 그 절단된 각 영수증(12,14,16)을 별도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절단수단(70) 및 이송수단(91,92,93)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절단수단(70)은 장표(10)의 각 절단선(19)으로 구획된 영수증(12,14,16)이 같은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도록 이동됨으로써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식으로는 별도의 공지된 기술에 의한 자동절단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금결재 등의 처리가 완료된 장표(10)에는 대금 수령을 확인하는 영수인이 압인 또는 스탬핑 또는 인쇄된 후, 각각 절단되며 고객반환구(49a)로 반송로(91)를 따라 고객용 영수증(12)이 반환되며, 다른 영수증(14,16)들도 각각 적절한 반송로(92,93)를 통하여 수납부(49b,49c)에 수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ICR, OCR, 바코드 등의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장표를 기계화처리하기 위한 장표처리기의 투입구(41)에 장표(10)를 단변방향(Y방향)으로 투입한다. 투입구(41)에 장표(10)가 투입되는 것을 감지하고, 투입된 장표(10)중 1매를 분리이송한다(S1단계). 감별부(43)에서 상기 분리이송되는 장표(10)를 감별하여(S2단계) 정규의 장표인 경우에는 독출부(43)로 이송하고, 정규의 장표가 아닌 불량 장표인 경우에는 제1반환로(81)를 통해 불량반환부(48)로 배출한다(S8단계).
정규의 장표에 대해서는 감별부(42)를 지나 독출부(43)에서 그 장표에 기입되어 있는 OCR, MICR 또는 바코드 등과 같은 소정 문자정보를 독출한다(S3단계). 이 독출된 정보는 장표처리 제어부(45)로 입력되며, 장표처리 제어부(45)는 상위장치로 정보를 보내거나 또는 다른 소정의 기능을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기능처리부(54)를 제어하는데 사용한다(S4단계). 이러한 소정 기능처리로는 장표에서 지정하고 있는 대금 등을 결재하는 것과 관련하여 카드나 통장 등을 처리하고 현금을 입출금하는 것들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소정처리가 진행되는 동안에 그 처리가 예컨대 대금의 부족 등의 사유로 불능인 경우에는 장표를 도 5의 제2반환로(82)를 통하여 반환하게 된다. 소정 처리가 완료되었으면, 그 장표(10)를 배출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표(10)에 영수인을 인쇄, 압인 또는 스탬핑하는 단계를 거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장표(10)는 독출된 정보에 따라 소정 기능 등의 관련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일시보류되고 있다가, 일시보류 중인 장표에 대한 입출금 등의 관련 처리가 완료되면 그 장표를 이송하여 수납인 표시를 인쇄한다(S6단계). 수납인 인쇄후, 상기 장표의 절단선을 따라 각각 절단하게 되는데, 이 때 장표(10)의 각 절단될 영수증(12,14,16)이 같은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도록 이동됨으로써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7단계). 그런 다음, 절단된 영수증을 별도로 이송하여, 예컨대 고객용 영수증(12)은 고객용 반환구(49a)로 반송로(91)를 통해 배출하며, 수납은행용 영수증(14) 및 기계처리용 영수증(16)은 각각 다른 수납로(92,93)를 따라 수납부(49b,49c)로 수납되도록 한다(S8단계).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표처리장치를 현금자동입출금기(ATM)에 결합시킨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도시되어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는 수표발행부(1), 통장기기부(2), 고객조작부 및 표시장치(4), 카드처리 및 명세표 기기부(5), 현금 입출금부(6)가 각각 기억장치(9)를 지니는 주제어부(3)의 제어하에 각종 거래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리고 호스트 컴퓨터(7)와 주 제어부(3)는 전송제어회로(8)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ATM은 통장이나 카드를 이용하여 현금이나 수표 등을 입출금하며, 계좌이체 등의 은행업무를 무인으로 가능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지로 청구서 등의 장표를 처리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를 사용하면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장표를 그 단변방향(Y방향)으로 피딩하여 처리함으로써 이동거리 및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잼 등의 장애가 발생될 소지가 적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된 일부가 아닌 전제 장표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2)

  1. 각종 지로청구서 등의 장표의 MICR, OCR, 바코드 등의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장표를 기계화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표(10)를 그 단변방향(Y방향)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그 장변길이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투입구(41);
    장표가 투입되었음을 감지하고, 투입된 장표(10)들 중 1매를 분리이송하는 분리이송수단(42a,42b,42c,42d);
    분리이송된 장표(10)에 기입되어 있는 소정 정보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독출수단(44,50);
    상기 독출된 정보에 따라 소정 기능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45); 그리고,
    상기 처리가 완료된 후, 상기 장표(10)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표(10)는 하나 이상의 절단선(19)으로 구획된 두 개 이상의 영수증(12,14,1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장표(10)를 일시보류하고, 장표(10)에 대한 소정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장표(10)의 영수인부(18)에 압인, 스탬핑 또는 프린트하는 스탬핑 또는 인쇄수단(60); 그리고,
    영수인 인쇄후, 상기 장표의 절단선을 따라 각각 절단하여 그 절단된 각 영수증(12,14,16)을 별도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절단수단(70) 및 이송수단(91,92,9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단변방향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은, 장표(10)의 장변에 평행하게 기입된 정보(17)를 라인단위로 독출하는 이미지 스캐닝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은, 정보가 기록된 라인을 따라 독출헤드(50)가 이동하면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은, 장표(10)의 단변에 평행하게 정보가 기입된 상기 장표(10)가 이송되는 동안에 그 정보를 독출하는 고정된 독출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70)은 장표(10)의 각 절단선(19)으로 구획된 영수증(12,14,16)이 같은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도록 이동됨으로써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각종 지로청구서 등의 장표의 MICR, OCR, 바코드 등의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장표를 기계화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표(10)를 단변방향(Y방향)으로 투입하는 단계;
    장표가 투입되었음을 감지하고, 투입된 장표(10)중 1매를 분리이송하는 이송단계;
    이송되어 온 장표(10)에 기입되어 있는 소정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단계;
    상기 독출단계에서 독출된 소정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처리하는 처리단계; 및
    소정처리가 완료된 후, 장표(10)를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표는 하나 이상의 절단선으로 구획된 두 개 이상의 영수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단계는:
    독출된 정보에 따라 소정 기능 등의 관련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장표를 일시보류하고, 장표에 대한 입출금 등의 관련 처리가 완료되면 그 장표를 이송하여 수납인 표시를 인쇄하는 단계; 그리고
    수납인 인쇄후, 상기 장표의 절단선을 따라 각각 절단하여 그 절단된 영수증을 별도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단변방향 처리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단계는, 장표(10)는 장변에 평행하게 기입된 정보(17)를 라인단위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단계는, 정보가 기록된 라인을 따라 독출헤드가 이동하면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단계는, 장표(10)의 장변에 평행하게 기입된 정보(17)를 따라 독출헤드(50)가 이동하면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단계는 장표의 각 절단될 영수증이 같은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도록 이동됨으로써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23335A 1997-06-05 1997-06-05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 KR19990000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335A KR19990000429A (ko) 1997-06-05 1997-06-05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335A KR19990000429A (ko) 1997-06-05 1997-06-05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429A true KR19990000429A (ko) 1999-01-15

Family

ID=6598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335A KR19990000429A (ko) 1997-06-05 1997-06-05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4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329B1 (ko) * 2000-04-04 2002-11-13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KR100608443B1 (ko) * 2004-06-30 2006-08-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형태복원을 통한 지로인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329B1 (ko) * 2000-04-04 2002-11-13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KR100608443B1 (ko) * 2004-06-30 2006-08-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형태복원을 통한 지로인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4811A (en) Document processor with transport buffer
KR19990000429A (ko) 장표의 단변방향 처리장치 및 방법
WO1991003799A1 (en) Printing device of securities
KR100265372B1 (ko) 은행창구형이미지시스템
KR101056668B1 (ko) 수표입출금장치의 수표문자인식방법
KR20130138510A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JP3088841B2 (ja) 券読取装置
JP3761607B2 (ja) 自動取引装置
KR980010885A (ko) 지로 장표 무인 자동 수납 장치와 시스템
JP200126622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idタグ付き通帳
JPH0424895A (ja) 媒体処理装置
KR101090103B1 (ko) 지폐처리장치
JPH0877271A (ja) 自動取引装置
KR100260942B1 (ko) 지로용지 자동거래장치 및 그 방법
KR200401531Y1 (ko) 감지센서를 이용한 지로자동처리기내의 지로장표 배출장치
JP3968296B2 (ja) 複数の帳票類を一括して取り扱い可能な帳票類取扱装置
JPS58162370A (ja) 印字装置
JP2001076077A (ja) 情報記録媒体処理装置
JP3560795B2 (ja) 通帳発行方法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2001162873A (ja) 発券用プリンタ及び自動発券装置
JP3638987B2 (ja) 自動改札装置
JP2007011949A (ja)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262930B1 (ko) 압인자기를 구비한 자동수표분류 스탬핑기를 이용한 발행 또는 회수 수표 자동 분류 방법
JP3018303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S624467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