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425Y1 - 녹화거적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녹화거적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425Y1
KR200194425Y1 KR2019990021387U KR19990021387U KR200194425Y1 KR 200194425 Y1 KR200194425 Y1 KR 200194425Y1 KR 2019990021387 U KR2019990021387 U KR 2019990021387U KR 19990021387 U KR19990021387 U KR 19990021387U KR 200194425 Y1 KR200194425 Y1 KR 200194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ing
straw
sensitive adhesive
paper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억
Original Assignee
박상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억 filed Critical 박상억
Priority to KR2019990021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개지나 성토지의 법면(法面)을 단기간에 녹화할 때 사용되는 녹화거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자를 개재하여 상호 점착된 바닥지와 덮개지 그리고 거적의 세 겹으로 이루어진 녹화거적을 제조하기 위한 녹화거적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는 두루말이식으로 말려진 볏짚거적(1), 덮개지(2) 및 바닥지(3)를 각각 동시에 푸는 제 1 내지 3 롤(10)(20)(30)과; 제 1 및 제 2 롤에서 풀려져 이송되는 볏짚거적 및 덮개지의 각 하면에 점착제(4)를 도포하는 제 1, 2 도포기(40)(50)와; 제 3 롤(30)에서 풀려져 수평이송되는 바닥지(3) 위에 종자를 산포하는 산포기(60)와; 제 1 내지 3 롤로부터 제 1, 2 도포기 및 산포기를 각각 거쳐 이송되어오는 볏짚 거적, 덮개지 및 바닥지가 위에서부터 겹쳐지게 하여 그들을 압착하는 압착 롤러(70)와; 압착 롤러에서 압착되어 나와 이송되는 녹화거적(100)을 외부로부터 차단된 공간 내에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실(80)과; 건조실에서 건조되어 나오는 녹화거적을 심대(91)에 감는 동력 롤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녹화거적 제조장치{MACHINE FOR MANUFACTURING SEEDING STRAW MAT}
본 고안은 절개지나 성토지의 법면(法面)을 단기간에 녹화할 때 사용되는 녹화거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자를 개재하여 상호 점착된 바닥지와 덮개지 그리고 거적의 세 겹으로 이루어진 녹화거적을 제조하기 위한 녹화거적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토목공사 후 생기게 되는 둑이나 절토(切土) 등과 같은 절개지나 성토지역의 법면에는 빗물에 의해 토사가 흘러내려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목을 식재(植栽)하여 녹화하게 된다.
전통적인 법면 녹화시공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잔디가 어느 정도 자란 상태의 잔디떼를 법면에 직접 입히는 종래의 줄떼 시공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줄떼 시공방법은 잔디떼를 야생에서 채취하거나 또는 사전에 인공을 재배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급에 상당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을 훼손할 수 있고 또 시공에 과다한 노동력과 시간이 소비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법면에 직접 파종하여 녹화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어 현재 각종 토목공사로 생기는 법면 녹화사업에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실용신안등록공보 제 135756 호에는 식물성섬유로된 부직포 표면에 잔디씨를 점착재를 이용하여 점착하고 그 위에는 나무에서 추출한 단섬유를 적층시킨 '잔디씨를 내장한 법면보호용 매트'가 제안되어 있으며, 국내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98-8287 호에는 상하의 수용성 종이 사이에 씨앗과 비료 등이 점착제에 의해 점착되어 개재된 '법면녹화용 식생지'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 97-9533 호와 제 1998-025589 호에는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게 법면을 덮어 보호할 수 있는 '법면덮개용 거적'과, 파종을 위한 씨앗을 개재한 엮음로프로 엮은 '조경 법면 녹화용 볏짚거적'이 각각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법면에 씨앗을 파종하여 법면에서 초목을 직접 발아시키거나 또는 씨앗이 파종된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들로서, 이들은 각각 줄떼를 입히는 전통적인 녹화방식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다음과 같이 각기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즉, 국내 실용신안등록공보 제 0135756 호의 '잔디씨를 내장한 법면보호용 매트'는, 제조시, 나무에서 추출되는 단섬유(공보상 부호 4´)들이 부직상태로 적층된 최상층의 웹층(4)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섬유 추출용 목재를 필요로 하고 또 그 목재로부터 단섬유를 추출하는 추출공정과 추출된 단섬유를 부직상태로 적층하는 가공공정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재료수급이 어려워 재료비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가공공정도 까다로워 생산성 및 경제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완성품인 매트 자체의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운반 및 시공도 매우 번거롭다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국내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98-8287 호의 법면녹화용 식생지는 시공전,후에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PE 그물망 등과 같은 별도의 인조 지지네트(공보상 부호 7)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이 인조 지지네트는 천연재가 아닌데다 그 부패기간도 길기 때문에 토양에 악영향을 줄 우려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식생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지지네트가 유연재질인데다 상부종이와도 유리되어 있기 때문에 식생지 형상유지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미약한 힘에도 쉽게 흐느적거리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후에는 바람에 날리어 법면을 보호하고 녹화하는 제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이 제안한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 97-9533 호의 법면덮개용 거적은 이미 파종되거나 초목이 식재된 법면을 덮어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게 보호하는 단순한 보호기능만 가지고 있을 뿐 초목 종자를 파종하고 식재하는 기능이 없었으며, 특허공개공보 제 98-025589 호의 '조경 법면 녹화용 볏짚거적'은 종자를 엮음로프에 개재한 채로 파종할 수 있고 또 토양을 비옥하게 할 수 있는 볏짚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초목을 쉽게 생장시킬 수는 있으나, 법면에 엮음로프를 따라 극히 제한된 면적에만 파종되기 때문에 법면에 대한 파종밀도가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엮음로프를 수작업으로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가 높고 생산성도 좋지 못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 가진 문제점들 중 일부가 개선된 것으로서, 바닥식생지 윗면에 종자를 산포한 다음, 그 위에, 하면에 고형접착띠가 격자형으로 부착된 덮개식생지와 고형접착띠로 엮어진 자리형태의 볏짚거적(또는 네트)를 차례로 겹쳐 댄 후 열을 가함으로써, 고형접착띠가 녹으면서 상기 바닥식생지와 덮개식생지 그리고 볏짚거적이 서로 부착되어 완성되는 식재거적이 실용화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 종래 식재거적은 앞서의 종래 전형적인 기술들이 가진 문제점들, 즉, 형상유지력이 취약하여 야기되는 시공 상의 불편함과, 시공후 바람에 날리는 문제, 인조 지지네트가 유발하는 토양에 대한 악영향 문제, 그리고, 법면의 파종밀도가 불균일하다는 등의 문제를 일부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식재거적은 볏짚을 고형 접착띠로 자리형태로 엮어 만드는 거적엮는 작업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수가 커서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제조단가도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바닥식생지에 산포된 종자들이 점착되지 않은 상태로 있어 시공시나 운반시 어느 한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종자가 법면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한 상태에서 발아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더욱이, 격자형으로 배열된 접착띠가 갖는 접착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시공시나 운반시 거적과 덮개식생지 그리고 바닥식생지들이 상호 유리되어 식재거적을 아예 못쓰게 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법면녹화 기술들이 가진 문제점들이 일소된 것으로, 법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도 간편하고, 또, 수급제한의 문제가 전혀 없으며, 짧은 기간 내에 썩어 법면 토양을 비옥하게 할 수 있는 볏집 거적이 사용되어 이 볏짚으로 하여금 종자의 발육을 촉진함으로써 단기간에 법면을 녹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우(風雨)에 쉽게 날리지 않는 정도의 형상유지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여 법면보호역할도 충실히 이행할 수 있고 또 제조원가도 아주 저렴한 법면녹화용 종자식재거적을 실용신안출원번호 제99-9675호로서 출원하였다.
이 법면녹화용 종자식재거적은, 바닥지와; 상기 바닥지 위에 산포된 식재용 종자와;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식재용 종자를 개재하여 상기 바닥지 윗면에 부착되는 덮개지와; 하면에 도포된 점착제에 의해 덮개지 윗면에 부착되는 거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법면녹화용 종자식재거적(이하 '녹화거적'으로 약칭함), 즉, 바닥지, 상기 바닥지 위에 산포되는 종자, 상기 바닥지 윗면에 점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덮개지, 그리고, 덮개지 윗면에 점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볏짚 거적 등으로 이루어진 녹화거적의 양산을 가능케 하는 녹화거적용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의 볏짚거적 로딩용 제 1 롤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의 볏짚거적 점착제 도포용 제 1 도포기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의 덮개지의 로딩과 도포를 위한 제 2 롤과 제 2 도포기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의 바닥지 로딩과 종자 살포를 위한 제 3 롤과 산포기를 보인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볏짚거적 2 : 덮개지
3 : 바닥지 4, 5 : 점착제
6 : 종자 10 : 제 1 롤
20 : 제 2 롤 30 : 제 3 롤
40 : 제 1 도포기 50 : 제 2 도포기
60 : 산포기 70 : 압착 롤러
80 : 건조실 90 : 동력 롤러
100 : 녹화거적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는, 두루말이식으로 말려진 볏짚거적(1), 덮개지(2) 및 바닥지(3)를 각각 동시에 푸는 제 1 내지 3 롤(10)(20)(30)과; 상기 제 1 및 제 2 롤(10)(20)에서 풀려져 이송되는 볏짚거적(1) 및 덮개지(2)의 각 하면에 점착제(4)(5)를 도포하는 제 1, 2 도포기(40)(50)와; 상기 제 3 롤(30)에서 풀려져 수평이송되는 바닥지(3) 위에 종자를 산포하는 산포기(60)와; 상기 제 1 내지 3 롤(10)(20)(30)로부터 상기 제 1, 2 도포기(40)(50) 및 상기 산포기(60)를 거쳐 이송되어오는 볏짚 거적(1), 덮개지(2) 및 바닥지(3)가 위에서부터 겹쳐지게 하여 그들을 압착하는 압착 롤러(70)와; 상기 압착 롤러(70)에서 압착되어 나와 이송되는 녹화거적(100)을 외부로부터 차단된 공간 내에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실(80)과; 상기 건조실(80)에서 건조되어 나오는 녹화거적(100)을 심대(91)에 감는 동력 롤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기는, 점착제(4)가 채워지는 점착제통(41)과;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각 하부가 상기 점착제통(41)의 점착제(4) 수위 아래에 몰입되는 복수 개의 원판형 도포용 원주체(42a)를 구비하여, 그 도포용 원주체(42a) 외주에 접하면서 압착 롤러(70)를 향하여 이송되는 볏짚 거적(1)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도포용 원주체(42a) 외주에 묻는 점착제(4)를 볏짚 거적(1) 하면에 도포하는 도포 롤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도포기는, 점착제(5)가 채워지는 용기형 점착제통(51)과; 상기 점착제통(51) 위에서 순차적으로 서로 맞대어진 채로 연동,회전하면서 상기 점착제통(51)의 점착제(5)를 각 표면에 묻혀 순차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압착롤러(70)로 이송되는 덮개지(2) 하면에 도포하는 다단형 도포 롤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으로 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이상의 각 구성들의 기능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의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는, 두루말이식으로 말려진 볏짚거적(1), 덮개지(2) 및 바닥지(3)를 각각 동시에 푸는 제 1, 2, 3 롤(10)(20)(30)과, 상기 제 1 및 제 2 롤(10)(20)에서 풀려져 이송되는 볏짚거적(1) 및 덮개지(2)의 각 하면에 점착제(5)를 도포하는 제 1, 2 도포기(40)(50)와, 상기 제 3 롤(30)에서 풀려져 수평이송되는 바닥지(3) 위에 종자(6)를 산포하는 산포기(60)와, 상기 제 1 내지 3 롤(10)(20)(30)에서부터 상기 제 1, 2 도포기(40)(50) 및 상기 산포기(60)를 거쳐 이송되어오는 볏짚 거적(1), 덮개지(2) 및 바닥지(3)를 압착하는 압착 롤러(70)와, 상기 압착 롤러(70)에서 압착된 녹화거적(100)을 외부로부터 차단된 공간 내에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실(80)와, 상기 건조실(80)에서 건조되어 나온 녹화거적(1)을 심대(91)에 감는 동력 롤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들 각 구성들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하여 녹화거적(100)을 제조하게 된다.
먼저, 제 1 롤(10) 및 제 2 롤(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제작된 볏짚 거적(1)과 덮개지(2)를 감은 상태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그 롤(10)(20)들에 감겨진 볏짚 거적(1)과 덮개지(2)는 예컨대 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외주면들이 상호 맞대어진 채 연동회전하는 두 이송롤러(11,12) 사이에 끼워져 두 이송롤러(11,12) 외주면 마찰에 따른 인장력에 의해 풀려진 후 압착 롤러(70)의 인장력에 의해 각각 제 1, 2 도포기(40)(50)를 거쳐 압착 롤러(70) 측으로 동시에 이송된다.
제 1, 2 도포기(40)(50)는 상기 제 1, 2 도포기(40)(50)로부터 압착 롤러(70)로 이송되는 볏짚거적(1) 및 덮개지(2)의 각 하면에 점착제(4)(5)를 각각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도포기(4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원판형 도포용 원주체(42a)를 갖는 도포 롤러(42)와 그 도포용 원주체(42a)가 함입되는 점착제통(41)으로 이루어지며, 제 2 도포기(50)는 상하로 배열되어 외주면들이 맞대어진 다단형 도포 롤러(52)와 그 다단 롤러(52)의 최하부 도포 롤러가 함입되는 점착제통(51)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도포기(40)는, 그 도포 롤러(42)의 원판형 도포용 원주체(42a)의 하부가 상기 점착제통(41)내에 함입되어 있는 상태로 그 원주체(42a) 상단부분이 압착 롤러(70)를 향하여 이송되는 볏짚 거적(1)에 마찰되어 도포 롤러(42)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점착제통(41)의 점착제(4)를 묻히면서 회전하는 도포용 원주체(42a)로써 점착제통(41)에 채워진 점착제(4)를 볏짚 거적(1) 하면에 도포한다.
상기 제 2 도포기(50)는 다단 롤러(52)의 최상단 롤러가 제 2 롤(20)에서 압착 롤러(70)로 이송되는 덮개지(2) 하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덮개지(2)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여 그 하부의 도포 롤러(42)들이 서로 연동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제 2 도포기(50)는 덮개지(2)의 마찰로 다단 롤러(52)들이 연동회전하면서 점착제통(51) 점착제(5)를 최하단 도포 롤러로부터 최상단 도포 롤러까지 순차적으로 묻혀 덮개지(2) 하면에 도포한다.
한편, 산포기(60)는 하부에 산포구(61)와 그 산포구(61) 개폐용 밸브(미도시)를 가진 역삼각형 단면구조의 용기로서, 이송되는 바닥지(3)의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그 하단부의 산포구(61)를 통하여 제 3 롤(30)과 압착 롤러(70) 사이에 제 3 롤(30)로부터 압착 롤러(70)로 이송되는 바닥지(3) 위에 그 내부에 채워진 종자(6)를 일정한 속도로 배출하여 바닥지(3) 위에 균일한 분포로 종자(6)를 산포한다.
상기 압착 롤러(70)는 소정의 압력을 가지고 맞대어진 채 예컨대 전동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연동회전하는 두 개의 롤러(71,72)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3 롤(10)(20)(30)로부터 각각 제 1, 2 도포기(40)(50) 및 상기 산포기(60)를 거쳐 이송되어오는 볏짚 거적(1), 덮개지(2) 및 바닥지(3)를 끌어들여 그들을 상하로 겹쳐 압착 이송함으로써 볏짚 거적(1) 및 덮개지(2) 하부에 도포된 점착제(4)(5)에 의해 서로 압착되게 한다.
상기 건조실(80)은 상기 압착 롤러(70)와 동력 롤러(90) 사이에서 외부로부터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압착 롤러(70)에서 압착되어 나와 동력 롤러(90)로 이송되는 녹화거적(1)을 약 41℃로 가열,건조하여 점착제(4)(5)를 고형화함으로써 볏짚 거적(1)과 덮개지(2) 그리고 바닥지(3)들이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동력 롤러(90)는 예컨대 모터(미도시)와 같은 동력장치에 의해 강제 회전되며 원호형으로 배열된 여러 개의 작은 롤러로 이루어져 그 위에 작업자에 의해 녹화거적(1)의 선단 일부를 감은 채 올려지는 심대(91)를 강제회전시켜 상기 건조실(80)에서 건조되어 완성된 녹화거적(1)을 심대(91)에 두루말이식으로 감는다. 이 때 작업자는 심대(91)에 단위 길이의 녹화거적(1)이 감겨지면 건조실(80)와 심대(91) 사이에서 녹화거적(1)을 자른 후 일정량의 녹화거적(1)이 감겨진 그 심대(91)를 내려놓고, 잘려진 녹화거적(1)의 선단을 새로운 심대(91)에 감고 그 새로운 심대(91)를 동력 롤러(90)에 올려놓음으로써 녹화거적(1)을 운반이 용이한 양만큼 심대(91)에 감아둘 수 있다.
이상의 구성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녹화거적 제조장치는 제 1, 2, 및 제 3 롤(10)(20)(30)에 소재상태로 감겨진 바닥지(3)와 덮개지(2) 그리고 볏짚 거적(1)을 동시에 풀어 콘베이어 형식으로 이송하면서 수평이송되는 상기 바닥지(3) 위에는 종자(6)들을 고르게 산포하고 덮개지(2)와 거적(1)의 하면에는 각각 액상의 점착제(4)(5)를 도포하여 이들을 압착롤러로 압착한 후, 약 40 ℃의 건조실(80)에서 점착제(4)(5)를 건조시킴으로써 서로 견고하게 부착된 녹화거적(100)을 연속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제조된 녹화거적(100)을 운반과 시공에 편리한 양(量) 만큼 심대(91)에 감을 수 있다. 이에 녹화거적(100)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녹화거적(100)은 두루말이식으로 감겨져 시공현장까지 운반되며, 현장에서 적당한 길이로 분할되어 법면에 거적(1)이 위로 가도록 펼쳐진 후 그 상,하단이 앙카(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이 녹화거적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후 법면에 시공되는 녹화거적(100)은 수용성 펄프재인 바닥지(3)와 덮개지(2)가 인위적인 살수나 우천시 내리는 빗물에 의해 녹기 때문에 종자(6)를 아주 용이하게 법면에 파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파종된 종자(6)들이 발아하여 토양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거적(1)이 법면을 덮어보호함으로써 종자(6)가 비바람에 흩날리지 않게 하며, 동시에 우천시 빗물받이 역할을 하여 법면의 토양이 흘러내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볏짚 거적이 시간이 경과에 따라 습기 등에 의해 썩어 토양속으로 스며들고 일정기간 동안 종자(6)에서 발아된 어린 초목의 성장을 돕는 유기질 양분으로 제공되므로 토목공사 후 생긴 법면을 단기간 내에 녹화할 수 있으며, 척박한 토양의 법면 녹화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녹화거적 제조장치는 수급에 거의 제한을 받지않는 볏짚을 소재로 사용하여 법면녹화를 단기간내에 실현할 수 있게 하고 척박한 토양의 녹화도 가능하게 하는 등 여러 가지 잇점을 가진 녹화거적을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녹화거적의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하여 법면 녹화 시공비 절감에 크게 기여할 있다.

Claims (3)

  1. 두루말이식으로 말려진 볏짚거적(1), 덮개지(2) 및 바닥지(3)를 각각 동시에 푸는 제 1 내지 3 롤(10)(20)(30)과;
    상기 제 1 및 제 2 롤(10)(20)에서 풀려져 이송되는 볏짚거적(1) 및 덮개지(2)의 각 하면에 점착제(4)를 도포하는 제 1, 2 도포기(40)(50)와;
    상기 제 3 롤(30)에서 풀려져 수평이송되는 바닥지(3) 위에 종자를 산포하는 산포기(60)와;
    상기 제 1 내지 3 롤(10)(20)(30)로부터 상기 제 1, 2 도포기(40)(50) 및 상기 산포기(60)를 거쳐 이송되어오는 볏짚 거적(1), 덮개지(2) 및 바닥지(3)가 위에서부터 겹쳐지게 하여 그들을 압착하는 압착 롤러(70)와;
    상기 압착 롤러(70)에서 압착되어 나와 이송되는 녹화거적(100)을 외부로부터 차단된 공간 내에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실(80)과;
    상기 건조실(80)에서 건조되어 나오는 녹화거적(100)을 심대(91)에 감는 동력 롤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거적 제조장치.
  2. (1회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기는
    점착제(4)가 채워지는 점착제통(41)과,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각 하부가 상기 점착제통(41)의 점착제(4) 수위 아래에 몰입되는 복수 개의 원판형 도포용 원주체(42a)를 구비하여, 그 도포용 원주체(42a) 외주에 접하면서 압착 롤러(70)를 향하여 이송되는 볏짚 거적(1)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도포용 원주체(42a) 외주에 묻는 점착제(4)를 볏짚 거적(1) 하면에 도포하는 도포 롤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거적 제조장치.
  3. (1회정정)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포기(50)는
    점착제(4)가 채워지는 용기형 점착제통(51)과,
    상기 점착제통(51) 위에서 순차적으로 서로 맞대어진 채로 연동,회전하면서 상기 점착제통(51)의 점착제(4)를 각 표면에 묻혀 순차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압착롤러(70)로 이송되는 덮개지(2) 하면에 도포하는 다단형 도포 롤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거적 제조장치.
KR2019990021387U 1999-10-06 1999-10-06 녹화거적 제조장치 KR200194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387U KR200194425Y1 (ko) 1999-10-06 1999-10-06 녹화거적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387U KR200194425Y1 (ko) 1999-10-06 1999-10-06 녹화거적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425Y1 true KR200194425Y1 (ko) 2000-09-01

Family

ID=1959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387U KR200194425Y1 (ko) 1999-10-06 1999-10-06 녹화거적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42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689B1 (ko) * 2009-03-26 2009-08-19 주식회사 강산산업 식생매트 제작장비와 식생매트
KR101396369B1 (ko) 2013-02-14 2014-05-19 김영기 생분해성 식생매트 제조장치
KR102273180B1 (ko) 2020-05-06 2021-07-06 박민혜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689B1 (ko) * 2009-03-26 2009-08-19 주식회사 강산산업 식생매트 제작장비와 식생매트
KR101396369B1 (ko) 2013-02-14 2014-05-19 김영기 생분해성 식생매트 제조장치
KR102273180B1 (ko) 2020-05-06 2021-07-06 박민혜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7010A (en) Light weight seeding sheet
US5836107A (en) Multi-layered vegetation element
US7174671B2 (en) Artificial seedbeds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0789737B1 (en) Mulch or seed mat
US5101594A (en) Tape or packaged tape provided along the length thereof with pockets containing viable plant material as well as a process for producing the tape
US5274951A (en) &#34;Grass waffle&#34; or &#34;seed waffle&#34;
AU2003208939A1 (en) Artificial seedbed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2516575A (ja) もつれた有機繊維からなるマットを含む植生支持体
US5213857A (en) Wall material for a cell-structure plant growing container and a cell-structure growing container made of the material
KR200194425Y1 (ko) 녹화거적 제조장치
US6739089B1 (en) Vegetation element
KR200469648Y1 (ko) 사면 녹화용 네트
JP3774359B2 (ja) 水稲の育苗方法
JP2009240243A (ja) 苔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施工方法
KR200288946Y1 (ko) 법면녹화용 종자식재거적
JP3685850B2 (ja) マルチング材およびマルチング材を用いた種苗植栽方法
JP2829343B2 (ja) 天然繊維マット
GB2225693A (en) Seeding system
US10687483B1 (en) Eco-friendly netting and methods of growing and harvesting sod using the same
KR200186115Y1 (ko) 사방공사용 식생대
JP3833910B2 (ja) 植生体
JPH0731219A (ja) 播種シート
JPH08302698A (ja) 地面敷設マ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20862A (ja) 急勾配盛土の施工方法
CA1131449A (en) Fibrous web for planting seeds, method of using same,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