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180B1 -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 Google Patents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180B1
KR102273180B1 KR1020200054108A KR20200054108A KR102273180B1 KR 102273180 B1 KR102273180 B1 KR 102273180B1 KR 1020200054108 A KR1020200054108 A KR 1020200054108A KR 20200054108 A KR20200054108 A KR 20200054108A KR 102273180 B1 KR102273180 B1 KR 10227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oller
rice straw
sealed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혜
Original Assignee
박민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혜 filed Critical 박민혜
Priority to KR102020005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2Looms for weaving reed, straw or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볏짚거적 열융착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직조사로 볏짚을 엮어 만든 볏짚거적을 상호 열융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프레임; 상기 테이블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볏집거적의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 전방으로 이송되는 볏집거적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어 각각 열가소성수지 재질의 열융착사를 복수 가닥으로 공급하는 상부열융착사공급부 및 하부열융착사공급부;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와 하부열융착사공급부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고, 일정 간격으로 간격유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와 하부열융착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열융착사 가닥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상부간격유지구 및 하부간격유지구; 상기 상부간격유지구 및 하부간격유지구의 전방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열융착사와 그 사이로 이송되는 볏짚거적을 상부와 하부에서 가열하면서 압착하는 상부융착롤러 및 하부융착롤러; 상기 상부융착롤러와 하부융착롤러의 전방에 구비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압착된 볏짚을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열융착사가 용융되면서 볏집에 열융착되어 볏짚을 상호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볏짚거적 열융착장치{Apparatus for conjugating straw mat by heat fusion}
본 발명은 볏짚거적 열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볏짚을 직조하여 제조한 볏짚거적의 해체를 방지하기 위해 열융착방식에 의해 볏짚을 서로 접합시킬 수 있는 볏짚거적 열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탈면은 제방축조나 도로 등의 토공사시 절토 및 성토에 의하여 발생되며, 풍수해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 어 비탈면 표면부의 세굴현상에 의한 토사 유출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제방축조나 도로공사시 발생되는 비탈면에 토양침식방지 및 생태계 복원을 위해 비탈면에 토양침식방지매트를 앵커 핀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하여 고정한 후, 토양침식방지매트에 식물의 씨앗을 살포하여 시공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토양침식방지매트는, 식물의 씨앗이 발아 하기 전까지는 지반이 노출되므로 우천시 토양과 함께 씨 앗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공법이 시도되었는데, 이는 그물형상의 씨앗시트를 이한 방법이다.
이러한 시트를 이용한 방법은, 주로 씨앗이 수용된 씨앗층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면으로 망사층, 수분층, 비료층과 같은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시트를 중첩시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씨앗시트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피가 매우커서 이동하기가 매우 불편 했을 뿐 만 아니라 단위면적당 재료비가 매우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19938호(2005.12.22.)에서 적은 부피에 많은 면적을 설치할 수 있도록 수분층, 비료층, 씨앗층, 망사층이 단일로 이루어지는 녹지조성용 씨앗시트를 제시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녹지조성용 씨앗시트는 "격자구조로 직조된 항마 및 코코넷 섬유로 이루어진 네트와, 상기 네트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등분된 간격으로 고정되는 씨앗을 수하는 씨앗식생지로 구성되는 제 1시트층 및 상기 씨앗식생지에 수된 씨앗의 보온과 보습을 위해 볏짚을 엮어 직조되며, 상기 제 1시트층의 상부에 형상적으로 대응 밀착되는 제2시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시트층은 씨앗생식지에 수용된 씨앗의 보온과 보습을 위해 볏짚을 엮어 직조되는데, 볏짚이 풀어지지 않고 자연분해가 가능하도록 제1시트층의 네트와 같은 재질인 황마나 코코넛섬유 등 천연섬유나 천연사와 같은 엮음줄로 엮는다.
그리고 토목공사 후 생기는 둑이나 절토 등과 같은 절개지나 성토지역의 법면에는 빗물에 의해 토사가 흘러내려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목을 식재하여 녹화한다.
최근 법면에 직접 파종하여 녹화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어 현재 각종 토목공사로 생기는 법면 녹화사업에 이용된다.
이러한 법면을 덮는 법면 덮개용 벗짚거적 및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는데, 여기에도 볏짚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사용되는 볏짚으로 직조된 거적의 경우, 볏짚 자체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어 하나 이상을 가로로 배열한 상태에서 마사실과 코아실을 사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빠지지 않도록 엮어 두루마리 형태로 제조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양측에서 볏짚을 잡아당기면 빠지거나 풀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시트의 전체적인 강도를 저하시키고 해체되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4425에서, 녹화거적 제조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제조장치의 경우 벗짚거적과 덮개지 및 바닥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압착하는 방식으로 제조한다.
그러나 접착제를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것은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제조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 볏짚거적을 제단하는 경우 엮음줄도 끊어져 전체적으로 볏짚들이 흩어지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9259(2017.9.11.) "볏짚을 이용한 산길용 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19938(2005.12.22.) "녹지조성용 씨앗시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4425(2000.6.21.) "녹화거적 제조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7-0009533(1997.3.27.) "토목 법면덮개용 볏짚 거적 및 그 제조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볏짚거적의 해체를 방지하기 위해 볏짚거적의 상하부면에 열가소성수지 재질의 열융착사를 열융착시킬 수 있는 볏짚거적 열융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볏짚거적 열융착장치는, 직조사로 볏짚을 엮어 만든 볏짚거적을 상호 열융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프레임; 상기 테이블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볏집거적의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 전방으로 이송되는 볏집거적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어 각각 열가소성수지 재질의 열융착사를 복수 가닥으로 공급하는 상부열융착사공급부 및 하부열융착사공급부;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와 하부열융착사공급부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고, 일정 간격으로 간격유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와 하부열융착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열융착사 가닥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상부간격유지구 및 하부간격유지구; 상기 상부간격유지구 및 하부간격유지구의 전방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열융착사와 그 사이로 이송되는 볏짚거적을 상부와 하부에서 가열하면서 압착하는 상부융착롤러 및 하부융착롤러; 상기 상부융착롤러와 하부융착롤러의 전방에 구비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압착된 볏짚을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열융착사가 용융되면서 볏집에 열융착되어 볏짚을 상호 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볏짚거적 열융착장치는, 볏짚거적을 직조하면서 상호 열융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프레임; 상기 테이블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볏짚을 나란히 배치하고 볏짚 사이사이에 열가소성수지 재질의 열융착사를 상하로 교차시키면서 직조하여 볏짚거적을 제조하는 직조기; 상기 직조기 전방에 구비되어 직조된 볏짚거적의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 전방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볏짚거적을 상부와 하부에서 가열하면서 압착하는 상부융착롤러 및 하부융착롤러; 상기 상부융착롤러와 하부융착롤러의 전방에 구비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압착된 볏짚을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열융착사가 용융되면서 볏집에 열융착되어 볏짚을 상호 접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융착사는 천연섬유 재질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에 코팅된 EVA 재질의 융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융착롤러와 하부융착롤러는, 롤러 내부에 히터가 내설되고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이송롤러의 전방에는 열융착사가 융착된 볏짚거적이 감기는 권취심이 회전되게 하는 권취롤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융착사가 녹으면서 볏짚 사이에 융착되면서 볏짚을 서로 접합시켜 주기 때문에 볏짚거적이 외력에 의해서도 해체되지 않고 남은 열융착사의 중심부가 볏짚거적의 인장강도를 높여준다.
그리고 열융착사의 중심부는 천연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분해되어 친환경적이다.
또 처음부터 볏짚거적을 열융착사로 직조하고 융착시키는 경우에는 공정이 매우 단순화되고, 직조사를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볏짚거적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볏짚거적 열융착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열융착사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간격유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열융착사가 융착된 볏짚거적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볏짚거적 열융착장치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볏짚거적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볏짚거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볏짚 다수 가닥을 일방향으로 중첩 배열하여 거적의 폭을 형성하고, 일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직조사를 교차로 직조하여 거적의 길이가 연장된다.
보통 직조사는 마, 코코넛, 면 등의 천연섬유를 일정한 굵기로 꼬아서 실로 만들어 사용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볏짚거적의 볏짚 분리, 해체를 방지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가 코팅된 열융착사(900)를 볏짚거적에 융착시켜 볏짚들이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볏짚거적 열융착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테이블프레임(100), 가이드롤러(200), 열융착사공급부(300), 간격유지구(400), 융착롤러(500), 이송롤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테이블프레임(100)은 다른 모든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복수개의 프레임들이 장방형으로 조립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볏짚거적(m)이 수평으로 이송되면서 처리되므로 상기 테이블프레임(100)은 일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을 이룰 수 있고 상부면에 각 구성들이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롤러(200)를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롤러(200)는 직조된 볏짚거적(m)을 수평으로 이송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롤러(200)는 상기 테이블프레임(100)의 일측에 한 쌍이 상하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200)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것은 아니고, 아이들(idle) 롤러이다.
이때, 상기 테이블프레임(100)의 일단 지면에 볏짚거적(m)이 마련되어 공급될 수 있고,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롤러(200) 사이로 인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롤러(200)의 전방에는 열융착사공급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열융착공급부()는 상기 테이블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열융착사공급부(310)와,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열융착사공급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200)에 의해 수평으로 이송되는 볏짚거적(m)의 상측에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310)가 배치되고, 하측에 하부열융착사공급부(320)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310)와 하부열융착사공급부(320)는 열융착사(900)를 일정하게 순차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구성으로서, 각각 열융착사(900)가 권취된 융착사롤로 구비된다.
또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310)와 하부열융착사공급부(320)는 각각 복수 가닥을 공급해야 하므로 상기 융착사롤은 복수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상기 열융착사(900)의 재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융착사의 단면도이다.
상기 열융착사(900)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후 융착롤러(500)가 가열하면 용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열융착사(900)는 전부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실이거나 더 바람직 한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910)와 융착부(92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실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중심부(910)는 마사, 코코넛섬유사, 면사 등의 천연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융착부(920)는 EVA와 같은 열가소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융착부(920)는 상기 중심부(910)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간격유지구(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간격유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간격유지구(400)는 상부간격유지구(410) 및 하부간격유지구(4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간격유지구(410)는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310)의 전방에, 상기 하부간격유지구(420)는 상기 하부열융착사공급부(320)의 전방에 위치하되, 상기 상부간격유지구(410)는 수평 이송되는 볏짚거적(m)의 상측에, 상기 하부간격유지구(420)는 볏짚거적(m)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간격유지구(410)는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310)에서 공급되는 복수 가닥의 열융착사(90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융착롤러(510)까지 전달하고, 상기 하부간격유지구(420)는 상기 하부열융착사공급부(320)에서 공급되는 복수 가닥의 열융착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부융착롤러(520)까지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간격유지구(410)와 하부간격유지구(420)는 가로로 긴 바(bar) 형상의 판재에 복수개의 간격유지홀(430)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홀(430)에 각각 상기 열융착사(900)가 하나씩 통과하면서 거치된다.
이때, 상부 상부간격유지구(410)와 하부간격유지구(420)는 하나 이상 구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310)와 상부간격유지구(410) 사이에는 거치봉(44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310)에서 공급되는 열융착사(900)를 상측으로 안내한 후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간격유지구(410)로 인입되게 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융착롤러(500)에 대해 설명하자면, 상기 융착롤러(500)는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 한 쌍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에는 각각 전기가 공급되어 가열되고, 가열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압착할 수 있다.
상기 상부융착롤러(510)는 상기 상부간격유지구(410)의 전방에, 상기 하부융착롤러(520)는 상기 하부간격유지구(420)의 전방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 사이로 볏짚거적(m)이 인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간격유지구(410)를 통과한 열융착사(900)가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볏짚거적(m)의 상부면 사이로 인입되고, 상기 하부간격유지구(420)를 통과한 열융착사(900)가 상기 하부융착롤러(520)와 볏짚거적(m)의 하부면 사이로 인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는 내부에 히터(530)가 내설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히터(53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540)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히터(530) 대신에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의 내부에 열매체가 충진, 순환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를 가열할 수 있는 어떤 구조나 원리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의 가열온도는 상기 열융착사(900)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200 ~ 250℃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 사이의 간격은 볏짚거적(m)의 두께 및 열융착사(900)의 외경을 고려하여 볏짚거적(m)에 열융착사(900)가 압착되면서 융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이송롤러(6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융착사가 융착된 볏짚거적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이송롤러(600)는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의 전방에 구비되어 볏짚거적(m)이 수평 이송되도록 구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송롤러(600)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이송롤러(600)는 상부이송롤러(610)와 하부이송롤러(620)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이송롤러(620)를 회전 구동하는 별도의 모터(6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이송롤러(620)가 회전 구동되면 상기 상부이송롤러(610)도 마찰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송롤러(600)를 통해 인출되는 볏짚거적(m)은 열융착사(900)의 융착부(920)가 볏짚거적 표면에 융착되어 볏짚들이 서로 접합되고 상기 중심부(910)는 그대로 남아 직조사(s)의 기능을 하게 되어 볏짚거적의 강도는 향상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이송롤러(600)의 전방에는 권취롤러(700)가 하나 이상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롤러(600)를 통해 최종적으로 열융착이 완성된 볏짚거적(m)은 권취심(c)에 감아야 하는데, 상기 권취롤러(700)에 의해 권취심(c)이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권취롤러(7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역삼각형을 이루며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권취롤러(710)와 제2권취롤러(720)에 상기 권취심(c)이 안착되고 상기 권취롤러(700)들이 상기 권취심(c)에 볏짚거적(m)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이때, 상기 제3권취롤러(730)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권취심(c)에 감기는 볏짚거적(m)이 많이 감겨 외경이 커지는 경우를 대비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권취롤러(700)의 표면에는 볏짚거적(m)의 표면과 마찰을 크게 하기 위해 돌기가 균일하게 분포,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한편, 상기 하부이송롤러(620), 하부융착롤러(520), 권취롤러(700)는 모두 연동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이송롤러(620)와 하부융착롤러(520)는 제1체인(640)에 의해 서로 연동되므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이송롤러(620)와 제1권취롤러(710)는 제2체인(650)에 의해 서로 연동되므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상기 제1, 2, 3권취롤러(700)는 제3체인(660)에 의해 연동되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630)가 상기 하부이송롤러(620)를 구동하면, 상기 하부융착롤러(520) 및 권취롤러(700)는 모두 동일한 방향, 속도로 구동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볏짚거적 열융착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테이블프레임(100), 직조기(800), 가이드롤러(200), 융착롤러(500) 및 이송롤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직조사(s)로 직조된 볏짚거적(m)에 별도의 열융착사(900)를 융착시켜 볏짚을 서로 접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볏짚거적(m)을 직조하는 단계에서 직조사(s)를 사용하지 않고 열융착사(900)를 사용하여 볏짚거적(m)을 직조하는 방식으로 볏짚을 상호 접합시키는 방식이다.
우선, 상기 테이블프레임(100), 가이드롤러(200), 융착롤러(500), 이송롤러(600)는 모두 상술한 바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테이블프레임(100)과 가이드롤러(200) 사이에 직조기(800)가 구비된다.
상기 직조기(800)는 볏짚을 사용하여 볏짚거적(m)을 직조하는 구성으로서, 종래의 공지된 직조기(80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방식 및 구조를 가진 직조기(800)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조기(800)는 볏짚을 나란히 배치하되, 서로 단부가 중첩되도록 배치할 수 있고, 열융착사(900)를 배치된 볏짚의 사이사이에 상하로 교차시키면서 직조할 수 있다.
이렇게 열융착사(900)로 직조된 볏짚거적(m)은 상기 가이드롤러(200)에 의해 수평 이송되고, 수평 이송된 볏짚거적(m)은 바로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인입된 볏짚거적(m)을 상기 상부융착롤러(510)와 하부융착롤러(520)가 가열하면서 압착하면 상기 열융착사(900)가 용융되면서 융착되므로 볏짚들이 상호 접합된다.
열융착이 완료된 볏짚거적(m)은 상기 이송롤러(600)에 의해 강제 이송되어 상기 권취심(c)에 감기게 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테이블프레임
200 : 가이드롤러
300 : 열융착사공급부
310 : 상부열융착사공급부 320 : 하부열융착사공급부
400 : 간격유지구
410 : 상부간격유지구 420 : 하부간격유지구
430 : 간격유지홀 440 : 거치봉
500 : 융착롤러
510 : 상부융착롤러 520 : 하부융착롤러
530 : 히터 540 : 전력공급수단
600 : 이송롤러
610 : 상부이송롤러 620 : 하부이송롤러
630 : 모터 640 : 제1체인
650 : 제2체인 660 : 제3체인
700 : 권취롤러 710 : 제1권취롤러
720 : 제2권취롤러 730 : 제3권취롤러
800 : 직조기
900 : 열융착사
910 : 중심부 920 : 융착부
m : 볏짚거적 s : 직조사
c : 권취심

Claims (5)

  1. 직조사로 볏짚을 엮어 만든 볏짚거적을 상호 열융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프레임;
    상기 테이블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볏집거적의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 전방으로 이송되는 볏집거적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어 각각 열가소성수지 재질의 열융착사를 복수 가닥으로 공급하는 상부열융착사공급부 및 하부열융착사공급부;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와 하부열융착사공급부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고, 일정 간격으로 간격유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열융착사공급부와 하부열융착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열융착사 가닥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상부간격유지구 및 하부간격유지구;
    상기 상부간격유지구 및 하부간격유지구의 전방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열융착사와 그 사이로 이송되는 볏짚거적을 상부와 하부에서 가열하면서 압착하는 상부융착롤러 및 하부융착롤러;
    상기 상부융착롤러와 하부융착롤러의 전방에 구비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압착된 볏짚을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열융착사가 용융되면서 볏집에 열융착되어 볏짚을 상호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2. 볏짚거적을 직조하면서 상호 열융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프레임;
    상기 테이블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볏짚을 나란히 배치하고 볏짚 사이사이에 열가소성수지 재질의 열융착사를 상하로 교차시키면서 직조하여 볏짚거적을 제조하는 직조기;
    상기 직조기 전방에 구비되어 직조된 볏짚거적의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 전방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볏짚거적을 상부와 하부에서 가열하면서 압착하는 상부융착롤러 및 하부융착롤러;
    상기 상부융착롤러와 하부융착롤러의 전방에 구비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압착된 볏짚을 이송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열융착사가 용융되면서 볏집에 열융착되어 볏짚을 상호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사는 천연섬유 재질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외주면에 코팅된 EVA 재질의 융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융착롤러와 하부융착롤러는,
    롤러 내부에 히터가 내설되고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의 전방에는 열융착사가 융착된 볏짚거적이 감기는 권취심이 회전되게 하는 권취롤러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KR1020200054108A 2020-05-06 2020-05-06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KR10227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08A KR102273180B1 (ko) 2020-05-06 2020-05-06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108A KR102273180B1 (ko) 2020-05-06 2020-05-06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180B1 true KR102273180B1 (ko) 2021-07-06

Family

ID=7686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08A KR102273180B1 (ko) 2020-05-06 2020-05-06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1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533A (ko) 1995-08-10 1997-03-27 박상억 토목 법면 덮개용 볏짚 거적 및 그 제조방법
KR200194425Y1 (ko) 1999-10-06 2000-09-01 박상억 녹화거적 제조장치
KR200260186Y1 (ko) * 2001-06-16 2002-01-10 손삼수 왕겨 합성수지 판재
KR20030095629A (ko) * 2002-06-12 2003-12-24 최병국 양면 합포 방법 및 양면 합포기
KR20050119938A (ko) 2004-06-17 2005-12-22 박상억 녹지조성용 씨앗시트
KR101779259B1 (ko) 2015-10-29 2017-09-15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볏짚을 이용한 산길용 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533A (ko) 1995-08-10 1997-03-27 박상억 토목 법면 덮개용 볏짚 거적 및 그 제조방법
KR200194425Y1 (ko) 1999-10-06 2000-09-01 박상억 녹화거적 제조장치
KR200260186Y1 (ko) * 2001-06-16 2002-01-10 손삼수 왕겨 합성수지 판재
KR20030095629A (ko) * 2002-06-12 2003-12-24 최병국 양면 합포 방법 및 양면 합포기
KR20050119938A (ko) 2004-06-17 2005-12-22 박상억 녹지조성용 씨앗시트
KR101779259B1 (ko) 2015-10-29 2017-09-15 주식회사 와이즈이앤지 볏짚을 이용한 산길용 매트와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529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grass
US8153227B2 (en) Substrate for floorings such as, for instance, synthetic grass turf, corresponding synthetic grass turf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040091326A1 (en) Integral lofty polymer grid and fiber web matrix turf reinforcement mats
EP2419565B1 (en) Method for forming an artificial grass layer and artificial grass product for use therein
CN103841820A (zh) 温室帘幕
SU1837742A3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tion of cylindrical bales of plant material
KR100935817B1 (ko) 드레인 보드 제조 장치
KR102273180B1 (ko) 볏짚거적 열융착장치
CN106687842A (zh) 光纤单元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KR100818174B1 (ko) 절개지 녹화용 네트와 이 네트를 사용한 녹화용 매트
CN111630228B (zh) 包含无纺布的植被分隔金属丝网及坡面绿化方法
CA2569099C (en) Composite fiber environmental filtration media containing flocculant
KR102268606B1 (ko) Pe계 유니소재로 제작된 복합잔디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JP2967464B2 (ja) 植生用シートの製造方法
US20210039287A1 (en) Thermoplastic Mat,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Uses Of Same
IT9048360A1 (it) Muro vegetativo in terra rinforzata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JP3363396B2 (ja) 緑化用の植生ネットと植生基体構成用のネット及び植生基体
EP0546934B1 (fr) Nappe d'enrobage de conduite dans une tranchée
KR102008228B1 (ko) 전량 재활용이 가능하고 전면배수 및 온도저감효과가 뛰어난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JP2014212737A (ja) 植生マット、法面植生構造及び法面緑化方法
KR100972515B1 (ko) 식물보강매트 제조 및 시공방법
JPH10503557A (ja) 二成分及び長繊維製品形成
KR100912689B1 (ko) 식생매트 제작장비와 식생매트
KR200194425Y1 (ko) 녹화거적 제조장치
FR2748189A1 (fr) Procede pour le montage d'un filet sur ses ralinques, les filets obtenus ainsi que la machine pour sa mise en oeuv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