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343Y1 - 철근 연결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343Y1
KR200193343Y1 KR2020000007618U KR20000007618U KR200193343Y1 KR 200193343 Y1 KR200193343 Y1 KR 200193343Y1 KR 2020000007618 U KR2020000007618 U KR 2020000007618U KR 20000007618 U KR20000007618 U KR 20000007618U KR 200193343 Y1 KR200193343 Y1 KR 200193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einforcing bar
mortar
presen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천
양선주
김영길
김형기
박명현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주식회사
주식회사대동엠에스
삼연피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주식회사, 주식회사대동엠에스, 삼연피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7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C부재간 접합시 주물용 강재 슬리브를 이용하여 철근 상호간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철근 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충전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 각도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1)을 구비하고, 슬리브 협구 끝단 부분의 상기 돌출부 (11)에는 일부를 절취한 절취부(12)가 형성되어 모르타르의 흐름을 양호하게 유도하도록 하며, 슬리브(10)의 내부 중심부에는 대칭적으로 한 쌍의 철근 스토퍼(13)를 형성되어 내부로 철근이 삽입될 때 철근의 정착길이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연결용 슬리브 { Sleeve for steel reinforcing connection }
본 고안은 철근 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부재간 접합시 주물용 강재 슬리브를 이용하여 철근 상호간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은 철근위치의 오차를 쉽게 흡수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또한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구경 철근에 대해서도 접합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공법의 철근이음 방법으로 매우 유효한 수단이다.
종래에는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 이음법에 사용되는 철근연결용 스플리스 슬리브를 개발하여 충전 모르타르 종류, 철근의 슬리브내 정착길이,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단면적 크기, 가력 방법 등을 변수로 채택하여 가력실험에 의해서 구조 성능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것과 동등 이상의 구조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슬리브 구조 성능 시험에서 슬리브에 모르타르를 충전한 결과 구조 성능은 만족하나, 모르타르의 시공성이 다소 부족하여 모르타르의 충전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강도는 물론 강성, 연성, 슬립(Slip)등의 규정된 구조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철근 연결용 슬리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슬리브의 내부 단면도
도 3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철근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슬리브 11 : 돌출부
12 : 절취부 13 : 스토퍼
14 : 유도돌기 20,21 : 철근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충전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 각도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와, 슬리브 협구 끝단 부분의 상기 돌출부에는 모르타르의 흐름을 양호하게 유도하기 위한 절취부와, 내부 중심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철근이 삽입될 때 철근의 정착길이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쌍의 철근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 슬리브(10)의 내부는 관통되게 구성되고, 부착력 향상을 위하여 다수의 돌출부(11)이 일정각도(140°)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의 내경이 타측 끝단의 내경보다 조금 크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내경이 좁은 슬리브 협구 끝단 부분의 상기 돌출부(11)에는 일부를 절취한 절취부(12)가 형성되어 있어서 모르타르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슬리브(10)의 내부 중심부에는 한쌍의 스토퍼(13)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슬리브(10)내부로 철근이 삽입될 때 철근의 정착길이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 본 고안의 슬리브(10)내부에 형성된 스토퍼(13)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 본 고안의 슬리브 (10)의 끝단부에 모르타르 주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슬리브 협구 끝단 부분의 상기 돌출부(11)에는 일부를 절취한 절취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철근 연결용 슬리브(10)에 양측으로 철근(20)(21)이 삽입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슬리브(10)의 광구내경과 철근과의 간격을 15-20mm정도가 되도록 하여 부재 제조 오차, 시공 오차 등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슬리브(10)내부 협구쪽에 테이퍼(taper)를 주어 도 5와 같이 철근(20)(21)을 매입시켰을 경우 협구쪽의 구속효과를 높일 수 있고, 슬리브(10)의 내부에 다수의 돌출부(11)이 일정각도로 형성되어 있어 충전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슬리브(10)의 길이는 슬리브(10)에 매입되는 철근(20)(21)의 길이가 철근 직경의 6.5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10)의 내부에 철근(20)(21)을 매입시킬 때, 슬리브(10)의 내부 중앙부 근처에 철근 스토퍼(13)가 형성되어 있어 정착길이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철근 유도 돌기(14)에 의해 철근(20)(21)의 수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슬리브(10)의 협구쪽 끝단 부분의 상기 돌출부(11) 일부를 제거하여 절취부(12)를 형성함으로써 슬리브에 충전하는 모르타르의 흐름을 보다 양호하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자유로운 형상의 슬리브(10)를 만들기 위해 주물 제작으로 하고 재료로는 구상 흑연 주철품을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철근 연결용 슬리브(10)의 협구쪽에 테이퍼를 주어 구속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슬리브(10)내부에 다수의 돌출부(11)을 형성하여 충전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철근 유도 돌기를 형성하여 철근의 수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10)의 협구쪽에 끝단 부분의 상기 돌출부(11)에는 일부를 절취한 절취부(12)를 형성하여 슬리브(10)에 충전되는 모르타르의 흐름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각 슬리브(10) 이음에 있어서 매입 철근(20)(21)은 각 슬리브의 해당 철근보다 2단계 가는 것까지 사용이 가능하고 직경이 다른 철근이 접합된 경우의 이음성능은 가는 철근의 내력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충전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 각도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과,
    내경이 좁은 끝단 부분의 상기 돌출부 일부를 절취하여 모르타르의 흐름을 양호하게 유도하기 위한 절취부와,
    내부 중심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철근이 삽입될 때 철근의 정착길이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쌍의 철근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측 끝단의 내경이 타측 끝단의 내경보다 조금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슬리브.
KR2020000007618U 2000-03-17 2000-03-17 철근 연결용 슬리브 KR200193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618U KR200193343Y1 (ko) 2000-03-17 2000-03-17 철근 연결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618U KR200193343Y1 (ko) 2000-03-17 2000-03-17 철근 연결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343Y1 true KR200193343Y1 (ko) 2000-08-16

Family

ID=1964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618U KR200193343Y1 (ko) 2000-03-17 2000-03-17 철근 연결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3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544B1 (ko) * 2019-06-07 2019-12-23 팔미금속공업주식회사 철근 결합용 슬리브
KR102080318B1 (ko) 2019-06-19 2020-02-25 박장만 피씨 철근 연결용 몰탈 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US11732479B2 (en) 2018-11-19 2023-08-22 Dae Dong M.S. Ltd. Sleeve for connecting steel b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2479B2 (en) 2018-11-19 2023-08-22 Dae Dong M.S. Ltd. Sleeve for connecting steel bar
KR102058544B1 (ko) * 2019-06-07 2019-12-23 팔미금속공업주식회사 철근 결합용 슬리브
KR102080318B1 (ko) 2019-06-19 2020-02-25 박장만 피씨 철근 연결용 몰탈 슬리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00227A1 (en) Splice sleeve with elliptical or compound curve cross section
KR200193343Y1 (ko) 철근 연결용 슬리브
JP379385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ブロックによるコンクリ−ト構造物のブロック間接合方法
EP3674484B1 (en)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991870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
KR1016420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6700989B2 (ja) 桁の補強構造
JPH061042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方法
JP4166389B2 (ja) セグメントの定着装置及びセグメント並びにセグメントの定着構造
JPS62228556A (ja) モルタル充填式鉄筋継手スリ−ブ
JP2007239240A (ja) 鉄筋の継手方法、pc部材の接合方法
JPS6146606B2 (ko)
JP2007217869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相互の接合構造
JP4711569B2 (ja) 鉄筋鉄骨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鉄骨定着構造
JPH07292857A (ja) 継手用異形鋼管を有するpc部材及びその接続方法
JPH05171740A (ja) 棒鋼のねじ継手及び接続方法
JP2001123582A (ja) 継手具及びその連結方法
JP5666258B2 (ja) 舗装用コンクリート版
KR100680764B1 (ko)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
JPS61229070A (ja) 鉄筋コンクリ−ト構造物の接続工法
JPH07252884A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による架構の構築方法
CN206625377U (zh) 后浇带结构
JP2568399Y2 (ja) アンカー頭部の補剛板
JPH0438251B2 (ko)
JP2019152077A (ja) 板状のPCa構造体とPCa構造体と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