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870B1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870B1
KR100991870B1 KR1020100012100A KR20100012100A KR100991870B1 KR 100991870 B1 KR100991870 B1 KR 100991870B1 KR 1020100012100 A KR1020100012100 A KR 1020100012100A KR 20100012100 A KR20100012100 A KR 20100012100A KR 100991870 B1 KR100991870 B1 KR 10099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attached
attachment
holes
attached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태석
조윤영
김지현
정연근
김형빈
추태헌
권순대
Original Assignee
추태헌
(주)유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4093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918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태헌, (주)유진기업 filed Critical 추태헌
Priority to KR102010001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내에서 비부착 긴장재에 외삽(外揷)되어 비부착 긴장재가 부착 긴장재에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비부착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스페이서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비부착 긴장재와 부착 긴장재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비부착 긴장재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길이를 가지며, 비부착 긴장재가 내삽되는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이 중앙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비부착 긴장재홀의 외측에 부착 긴장재가 내삽되는 복수의 부착 긴장재홀이 양단 외측부가 절결된 상태로 설치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 양단으로 각각 대향 배치되어 끼워지고, 내부 중앙의 관통공에는 비부착 긴장재가 각각 압입식으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쐐기를 구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SPACER FOR STRAND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내에서 비부착 긴장재에 외삽(外揷)되어 비부착 긴장재(비부착 강연선)가 부착 긴장재(부착 강연선)에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비부착 긴장재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스페이서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비부착 긴장재와 부착 긴장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은 철근콘크리트 교량에 비하여 경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국내의 많은 교량에 시공되어 왔다. 그리고 거더를 연속화함에 따라서 거더의 경간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건설비의 절감 효과가 있고,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를 없앰으로써 건설비와 함께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고 차량의 주행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연속교량에서 사용 중 과도한 처짐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나, 과적 차량의 통행 등으로 내하력이 부족할 시에는 별도의 보강공법을 도입하여 보수 보강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G)의 쉬스(P)의 내부에 한 쌍 이상의 비부착 긴장재(A, 긴장재 외부면에 표피가 감싸져 형성된것)와, 그 둘레에 다수의 부착 긴장재(B, 긴장재 외부면에 표피가 감싸져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는 것)와 이루어진 긴장재(W)를 삽입한 다음, 상기 부착 긴장재(B)를 긴장시키고, 비부착 긴장재(A)를 비 긴장 상태로 그대로 거더의 외측으로 노출시킨 구조를 가진 거더(G)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거더(G)는 교량의 사용중에 거더(G)의 과도한 처짐이나 균열이 일어나거나, 또는 과적차량의 통행으로 거더(G)의 내하력이 부족할 경우에는 상기 비부착 긴장재(A)를 별도의 긴장장치(예컨대 유압잭, 미 도시)로 긴장시킴으로써 거더(G)의 내하력을 용이하게 효과적으로 보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부착 긴장재(A)는 다른 복수의 부착 긴장재(B)와 함께 거더(G)의 쉬스(P)에 삽입 하게 되는데, 쉬스(P)에 삽입될 때 부착 긴장재(B)와 마찰되고, 서로 꼬이면서 비부착 긴장재(C)의 표피가 벗겨져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손상된 비부착 긴장재(A)는 부착 긴장재(B)와 같이 표피가 벗겨져 쉬스(P)의 내부에 모르타르를 그라우팅할 경우 모르타르에 비부착 긴장재가 노출되어 추후 비부착 긴장재의 긴장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모르타르가 경화되면 추후에 유압잭과 같은 긴장장치로 긴장시킬 때에 긴장되지 못하게 되어 비부착 긴장재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가지며, 비부착 긴장재(A)가 내삽되는 한 쌍의 비부착 긴장재홀(1)이 중앙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비부착 긴장재홀(1)의 외측에 부착 긴장재(B)가 내삽되는 복수의 부착 긴장재홀(2)이 양단 외측부가 절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비부착 긴장재(A)와 부착 긴장재(B)를 거더(G)의 쉬스(P)에 삽입할 때, 상기 비부착 긴장재(A)와 부착 긴장재(B)가 서로 꼬이지 않아 비부착 긴장재의 표피(C)가 벗겨지지 않게 됨으로써, 추후 거더(G)의 내하력 보강을 위해 비부착 긴장재(A)를 긴장시키더라도 그라우팅으로부터 자유로워 효과적으로 비부착 긴장재(A)를 긴장시킬 수 있도록 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보호홀더(10)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보호홀더(10)는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비부착 긴장재(A)와 부착 긴장재(B)에 끼워진 위치를 이탈하여 당초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비부착 긴장재(A)과 부착 긴장재(B)를 고정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보호홀더(10)는 비부착 긴장재(A)와 부착 긴장재(B) 상에서 위치를 이탈하면서 비부착 긴장재(A)의 표피(C)를 역시 손상시켜 비부착 긴장재의 표피 일부가 여전히 벗겨지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부착 긴장재와 부착 긴장재 상에 끼워진 스페이서가 유동하지 않도록 정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스페이서의 유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비부착 긴장재의 표피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개선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더의 외측으로 노출시킨 비부착 긴장재가 그라우팅으로부터 자유로워 거더의 내하력 보강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개선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비부착 긴장재의 스페이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길이를 가지며, 비부착 긴장재가 내삽되는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이 중앙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비부착 긴장재홀의 외측에 부착 긴장재가 내삽되는 복수의 부착 긴장재홀이 양단 외측부가 절결된 상태로 설치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 양단으로 각각 대향 배치되어 끼워지고, 내부 중앙의 관통공에는 비부착 긴장재가 각각 압입되어 고정되는 쐐기를 구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각각의 비부착 긴장재에 대해서 비부착 긴장재홀의 양단에 압입되어 고정된 쐐기들이 몸체부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길이를 가지며, 비부착 긴장재가 내삽되는 한 쌍의 비부착 긴장재홀만이 양측으로 설치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 양단으로 각각 대향 배치되어 끼워지고, 내부 중앙의 관통공에는 비부착 긴장재가 각각 압입되어 고정되는 쐐기를 구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역시 각각의 비부착 긴장재에 대해서 비부착 긴장재홀의 양단에 압입되어 고정된 쐐기들이 몸체부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각각의 쐐기의 외부면 둘레에 링형 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비부착 긴장재홀 내주면에는 링형 오목홈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의 비부착 긴장재홀 양단으로 각각 쐐기들이 삽입되면 상기 링형 돌기가 상기 링형 오목홈에 끼워져서 상기 쐐기들이 몸체부의 비부착 긴장재홀 양단에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부착 긴장재에 대해서 비부착 긴장재홀의 양단에 압입식으로 끼워진 쐐기들이 비부착 긴장재상에서 스페이서의 몸체부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의 유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비부착 긴장재의 표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거더의 외측으로 노출시킨 비부착 긴장재가 쉬스내의 그라우팅으로부터 자유로워 긴장장치에 의해서 비부착 긴장재의 긴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거더의 내하력 보강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연속교량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페이서가 비부착 긴장재와 부착 긴장재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페이서가 비부착 긴장재와 부착 긴장재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가 비부착 긴장재와 부착 긴장재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에서 쐐기(고정수단)의 외주면에 링형 돌기가 형성되고, 비부착 긴장재홀의 내주면에는 링형 오목홈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에서 쐐기(고정수단)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형 돌기가 비부착 긴장재홀의 내주면에는 형성된 링형 오목홈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스페이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스페이서에서 쐐기의 외주면에 링형 돌기가 형성되고, 비부착 긴장재홀의 내주면에는 링형 오목홈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가지고, 비부착 긴장재(A)가 내삽(內揷)되는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120)이 중앙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비부착 긴장재홀(120)의 외측에 부착 긴장재(B)가 내삽되는 복수의 부착 긴장재홀(130)이 양단 외측부가 절결된 상태로 설치된 몸체부(11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몸체부(110)는 중앙부 양측의 비부착 긴장재홀(120)로 각각 비부착 긴장재(A)가 삽입되고, 그 외측의 부착 긴장재홀(130)에는 부착 긴장재(B)들이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100)는 상기와는 다르게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가지며, 비부착 긴장재(A)가 내삽되는 한 쌍의 비부착 긴장재홀(120')만이 양측으로 설치된 변형 구조의 몸체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구조의 몸체부(110')는 중앙부 양측의 비부착 긴장재홀(120')로 각각 비부착 긴장재(A)만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몸체부(110,110')의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120,120') 양단으로는 고정수단(150)의 쐐기(152)들이 각각 대향 배치되어 끼워지는데, 이와 같은 쐐기(152)는 원추형의 외주면(154a)을 형성하며, 내부 중앙의 관통공(154b)에는 비부착 긴장재(A)가 각각 압입되어 끼워져서 비부착 긴장재홀(120)의 단부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150)의 쐐기(152)들은 그 내부 중앙의 관통공(154b)에 각각의 비부착 긴장재(A)가 끼워진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부착 긴장재홀(120)의 양단에 밀착되어 비부착 긴장재홀(120)의 내주면과 비부착 긴장재(A)의 비부착(C) 사이의 공간(S)으로 압입식으로 끼워지며,
비부착 긴장재(A) 상에서 몸체부(110)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100)는 몸체부(110)가 비부착 긴장재(A)와 부착 긴장재(B)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수단(150)의 쐐기(152)를 이용하여 비부착 긴장재(A) 상에서 정위치에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되며, 이 상태로 거더(G)를 교각의 상부에 가설한 후에, 쉬스(P)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부착 긴장재홀(120) 내부에 비부착 긴장재(A)가 내삽(內揷)되고, 부착 긴장재홀(130)에는 부착 긴장재(B)가 내삽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 내부에만 비부착 긴장재(A)이 내삽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100)가 장착된 비부착 긴장재(A)와 부착 긴장재(B)를 거더(G)의 긴장재삽입구(P)에 삽입시킬 때,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100)는 비부착 긴장재(A)와 부착 긴장재(B)가 서로 꼬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비부착 긴장재(A)의 표피(C)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100)가 장착된 비부착 긴장재(A)와 부착 긴장재(B)를 거더(G)의 긴장재 삽입구(P)에 삽입한 다음에는, 거더(G)의 상부에 슬래브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긴장재 중에서 비부착 긴장재(A)는 그대로 두고 부착 긴장재(B) 만을 인장기(미 도시)로 긴장시켜서 정착시키고, 비부착 긴장재(A)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부착 긴장재(B)의 노출된 끝 단부를 절단한 후 쉬스(P)에 그라우팅으로 마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비부착 긴장재의 스페이서(100)가 적용되어 완성된 연속교 타입의 교량을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거더(G)의 과도한 처짐이나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과적차량의 통행으로 인해 거더의 내하력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와 같은 경우, 별도의 긴장장치를 사용하여 비부착 긴장재(A)를 긴장시키는 보수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면 상기 비부착 긴장재(A)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100)에 의해서 표피(C)가 전혀 손상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그라우팅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긴장장치에 의해서 원활하게 긴장되고 원하는 프리스트레스를 추가 도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150)은 도 5a, 도 5b 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쐐기(152)의 원추형 외부면 둘레에 예컨대 경사면(161a)과 수직면(161b)을 구비한 삼각 단면의 링형 돌기(16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 내주면에는 링형 오목홈(162)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 양단으로 각각 쐐기(152)들이 삽입되면 삼각 단면의 링형 돌기(160)가 링형 오목홈(162)에 끼워져서 상기 쐐기(152)들이 몸체부(110,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120') 양단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상기 고정수단(150)의 쐐기(152)들은 몸체부(110,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120') 양단에 일단 끼워지면 삼각 단면의 링형 돌기(160)와 링형 오목홈(162)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도 빠지지 않고 더욱 견고한 상태로 안정되게 몸체부(110)를 비부착 긴장재(A)에 고정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부착 긴장재(A)에 대해서 비부착 긴장재홀(120)의 양단에 압입식으로 끼워진 고정수단(150)의 쐐기(152)들이 비부착 긴장재(A) 상에서 몸체부(110,110')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스페이서의 유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비부착 긴장재(A)의 외부 비부착(C)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더(G)의 외측으로 노출시킨 비부착 긴장재(A)를 추가 긴장시키는 경우, 그라우팅 콘크리트로부터 자유로워 인장기에 의해서 비부착 긴장재(A)의 인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거더의 내하력 보강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120,120'....... 비부착 긴장재홀 2,130...... 부착 긴장재홀
10...... 종래의 보홀홀더 100......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110..... 몸체부 150...... 고정수단
152..... 쐐기 154a..... 외주면
154b.... 관통공 160..... 링형 돌기
161a.... 경사면 161b...... 수직면
162...... 링형 오목홈 A...... 비부착 긴장재
B...... 부착 긴장재 C...... 비부착
G...... 거더 P...... 쉬스
S....... 공간 W...... 긴장재

Claims (3)

  1. 일정길이를 가지며, 비부착 긴장재(A)가 내삽되는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120)이 중앙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비부착 긴장재홀(120)의 외측에 부착 긴장재(B)이 내삽(內揷)되는 복수의 부착 긴장재홀(130)이 양단 외측부가 절결된 상태로 설치된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 양단으로 각각 대향 배치되어 끼워지고, 내부 중앙의 관통공에는 비부착 긴장재가 각각 압입되어 고정되는 쐐기를 구비한 고정수단(150);을 포함하여 각각의 비부착 긴장재(A)에 대해서 비부착 긴장재홀(120)의 양단에 압입식으로 끼워진 쐐기(152)들이 비부착 긴장재(A) 상에서 몸체부(110)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수단(150)은 각각의 쐐기(152)의 외부면 둘레에 링형 돌기(16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 내주면에는 링형 오목홈(162)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10,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120') 양단으로 각각 쐐기(152)들이 삽입되면 링형 돌기(160)가 링형 오목홈(162)에 끼워져서 상기 쐐기(152)들이 몸체부(110,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120') 양단에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비부착 긴장재의 스페이서.
  2. 일정길이를 가지며, 비부착 긴장재(A)이 내삽되는 한 쌍의 비부착 긴장재홀(120')만이 양측으로 설치된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한쌍의 비부착 긴장재홀 양단으로 각각 대향 배치되어 끼워지고, 내부 중앙의 관통공에는 비부착 긴장재가 각각 압입되어 고정되는 쐐기를 구비한 고정수단(150);을 포함하여 각각의 비부착 긴장재(A)에 대해서 비부착 긴장재홀(120')의 양단에 압입식으로 끼워진 쐐기(152)들이 비부착 긴장재(A)상에서 몸체부(110')의 유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150)은 각각의 쐐기(152)의 외부면 둘레에 링형 돌기(160)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 내주면에는 링형 오목홈(162)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10,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120') 양단으로 각각 쐐기(152)들이 삽입되면 링형 돌기(160)가 링형 오목홈(162)에 끼워져서 상기 쐐기(152)들이 몸체부(110,110')의 비부착 긴장재홀(120,120') 양단에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비부착 긴장재의 스페이서.
  3. 삭제
KR1020100012100A 2010-02-09 2010-02-09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 KR10099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00A KR100991870B1 (ko) 2010-02-09 2010-02-09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00A KR100991870B1 (ko) 2010-02-09 2010-02-09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870B1 true KR100991870B1 (ko) 2010-11-04

Family

ID=4340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100A KR100991870B1 (ko) 2010-02-09 2010-02-09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8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700B1 (ko) 2011-05-20 2011-11-22 (주)홍지디씨에스 강연선 커플러와 커플러포켓을 이용한 프리텐션 거더 및 그의 제작공법
CN106436585A (zh) * 2016-12-02 2017-02-22 中交第二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预应力钢绞线穿束夹具及操作方法
KR101775583B1 (ko) * 2015-02-11 2017-09-14 (주)성환이앤씨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거더
KR102144079B1 (ko) 2020-04-03 2020-08-13 (주)유진기업 Psc구조물에 긴장재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psc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709U (ko) 1976-02-19 1977-08-23
JPS6015518A (ja) 1983-07-07 1985-01-26 Oval Eng Co Ltd 渦流量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709U (ko) 1976-02-19 1977-08-23
JPS6015518A (ja) 1983-07-07 1985-01-26 Oval Eng Co Ltd 渦流量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700B1 (ko) 2011-05-20 2011-11-22 (주)홍지디씨에스 강연선 커플러와 커플러포켓을 이용한 프리텐션 거더 및 그의 제작공법
KR101775583B1 (ko) * 2015-02-11 2017-09-14 (주)성환이앤씨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거더
CN106436585A (zh) * 2016-12-02 2017-02-22 中交第二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预应力钢绞线穿束夹具及操作方法
KR102144079B1 (ko) 2020-04-03 2020-08-13 (주)유진기업 Psc구조물에 긴장재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psc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476B2 (en) Sealing arrangement
KR100991870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용 긴장재의 스페이서
EP1076742A2 (en) Anchoring method and apparatus of end bearing support type in external prestress reinforcement
KR101257941B1 (ko) 강 박스 거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302128Y1 (ko)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KR20090063393A (ko) 프리스트레스 빔
KR100400980B1 (ko) 강선을 이용한 교각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101339367B1 (ko) 프리플렉스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 및 보수/보강 방법
KR101998247B1 (ko) 빔 보강공법 및 빔 보강장치
JP4086863B2 (ja) 複径間桁橋における連続桁構造
KR100767145B1 (ko)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JPH11280021A (ja) 斜張橋ケーブル用サドル構造体
KR200184684Y1 (ko) 교량의 부모멘트 방지장치
KR100575266B1 (ko) 교각 보강장치
JP3164031U (ja) 伸縮装置の定着構造
KR101775583B1 (ko)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거더
KR20130090455A (ko) 구속 콘크리트를 이용한 연속교의 시공방법
KR20130140336A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758709B1 (ko) 편심방지 기능을 가진 가설교량 주형의 긴장 보강구조 및이를 구비한 가설교량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KR20040033238A (ko) 탄소판을 이용한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공법
KR100442969B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방법 및 그 장치
JP2887133B1 (ja) 法枠用プレストレスト鉄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019412B1 (ko) Pc강선 긴장 정착부 위치가 개선된 psc라멘교
KR101353450B1 (ko) 선인장 압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820

Effective date: 201502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