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128Y1 -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 Google Patents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128Y1
KR200302128Y1 KR20-2002-0030232U KR20020030232U KR200302128Y1 KR 200302128 Y1 KR200302128 Y1 KR 200302128Y1 KR 20020030232 U KR20020030232 U KR 20020030232U KR 200302128 Y1 KR200302128 Y1 KR 200302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lange
plate
type steel
composite beam
str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이종현
Original Assignee
동국강재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강재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동국강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0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1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Abstract

본 고안은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를 감싸는 단부지지체에 의하여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효율적으로 확보함으로서, I형 강재와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의 일체적인 거동이 가능한, 그리고 보다 낮은 형고를 유지하면서 완전 프리스트레싱이 되도록 비접착 스트랜드를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분산 배치한 후 긴장, 단부지지체의 정착판에 정착시켜 2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 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및 추후 비접착 스트랜드의 재긴장이 가능하도록 재긴장수단이 추가로 형성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에 관한 것으로서, 1차 및 2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형성된 I형 강재; 상기 I형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단부지지체; 상기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상부,하부에 수평으로 분산 배치되어 긴장된 후 단부지지체의 정착판에 정착된 다수의 비접착 스트랜드; 및, 상기 비접착 스트랜드의 일부로서, I형 강재의 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안쪽으로 하부플랜지콘크리트 상부면에 형성된 재긴장용 정착구에 설치되도록 경사져 설치된 재긴장용 비접착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possible to retensioning}
본 고안과 관련되는 종래의 프리플렉스(preflex) 강합성빔은 1950년대 초반에 벨기에에서 개발된 교량용 빔으로써, 고장력 강판 등으로 제작한 I형 강재(I형 girder)에 일정한 하중(Pf하중)을 재하하여 미리 설계최대휨모멘트(Pf Moment)를발생시킴으로써 처짐 변형을 수반하여 하부플랜지에 일정단면의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미리 재하한 하중(Pf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수반된 처짐변형을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압축 프리스트레스(1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것으로서, 일정한 지간 및 설계하중조건에서 PC빔(prestress concrete beam)교 등 다른 어떤 교량가설공법보다 형고가 상당히 낮아 형하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잇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은 하부플랜지콘크리트에 미리 도입시키는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의 크기를 낮은 형고 유지라는 근본적인 장점을 고수하기 위하여 제한된 I형 강재의 형고 높이와 그에 따라 제한된 처짐 및 복귀변형량의 크기에 의하므로 하부플랜지콘크리트에 큰 크기의 인장응력(부득이한 경우의 부분프리스트레싱에 의한 설계시에도 고려될 수 없을 정도의 큰 인장응력)발생과 그에 따른 과도한 처짐값을 유발하는 부분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설계 제작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다른 별도의 수단 없이 종래의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을 완전프리스트레싱으로 설계할 경우에 일정한 지간 및 하중조건에서 단면이 더욱 더 커지고, 형고가 높아지게 되어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근본적인 장점을 모두 잃게 되므로 제한된 조건으로서 부분프리스트레싱(partial prestressing)으로 설계 및 시공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종래의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장점인 낮은 형고를 그대로 유지하고 경제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완전프리스트레싱(full prestressing)으로 설계 제작하여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인장균열과 그로 인한 과도한 처짐 및 급격한 피로강도의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단면에서 하부플랜지콘크리트에 균열발생 모멘트의 크기에 대체할 수 있도록, 하부플랜지 콘크리트가 양생 종료 후 미리 재하 하였던 일정 하중(Pf하중)을 제거하여, 하부플랜지콘크리트에 1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후(release후)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속에 미리 배치된 스트랜드를 인장하고, 정착장치로서 정착하여 하부플랜지콘크리트에 2차 프리스트레스를 추가로 도입함으로써 이에 의한 부재 내부의 저항모멘트를 증가시켜 기존의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형고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하부플랜지콘크리트에 인장응력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완전프리스트레싱(full prestressing)으로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은 1차 프리스트레스(I형 강재에 프리플렉션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하부플랜지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I형 강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도입된 압축응력)가 도입된 상태에서 스트랜드와 같은 인장재를 이용하여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작하는 거더이며, 특히 상기 2차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있어 도1a와 같이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0) 내부에 다수의 비접착 스트랜드(300,unbonded strand)를 일정간격을 두고 분산 배치한 후 긴장하여 정착시킴으로서, 접착식 스트랜드를 설치함으로서 발생되는 쉬스파이프(덕트) 설치의 어려움이 배제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며, 완전 프리스트레싱(full prestressing) 설계방식으로 2차 프리스트레스를 추가로 더 도입하기 때문에 종래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의 낮은 형고를 그대로 유지하고 경제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의 인장응력 발생을 설계시부터 예방하여 그에 따른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인장균열 및 과도한 처짐발생과 피로강도저하등이 발생되지 않아 더욱 안전한 교량건설에 이바지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1b와 같이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단부에 형성된 단부지지체(200)에 의하여 하부플랜지콘크리트 폭과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폭은 상호 제한되어지지 않고 독립적으로 자유로운 단면 형태, 즉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폭을 상당히 크게 하고 상대적으로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폭을 아주 작게 한 상태에서도 I형 강재의 복귀변형과 동시에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단면 전체영역이 균일하게 거동하여 압축되는 2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함으로서 I형 강재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측면거푸집과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양쪽 끝단과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면서 단부지지체의 상부판, 중간판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에 의해 하부플랜지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가 원활히 충진됨으로 작업성의 곤란 및 품질관리의 취약성이 해소되어 안정성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경우 비접착 스트랜드를 사용하여 2차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도입하는데 있어, 긴장장치에 의해 일단 긴장시킨 후 단부지지체를 구성하는 정착판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정착구 및 쐐기를 이용하여 정착시키는 바, 시간이 흘러갈수록 상기 2차 프리스트레스가 이완되는 현상 즉, 릴렉세이션 현상 및 크리프·건조수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며,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설치 후 활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충격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초기에 도입된 2차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이 설계 시 가정된 것보다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국 교량의 내구성 및 사용성의 저하라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설치 후라도 비접착 스트랜드를 I형강재의 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안쪽으로 배치하고 재긴장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강합성빔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및 품질관리를 용이하게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안전율을 향상시켜 효율적인 유지관리 및 품질관리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을 재긴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되, 재긴장작업이 용이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및 단부지지체의 정면도의 구체예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비접착 스트랜드의 구체예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고안의 재긴장용 정착구의 구체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0: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200:단부지지체
300:비접착 스트랜드
400:재긴장용 정착부
440:재긴장용 비접착 스트랜드
본 고안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은 1차 및 2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0)와 결합되어 형성된 I형 강재(100); 상기 I형 강재의 단부에, 하부판, 상기 하부판 상부면에 형성된 내부지지판과 측면판으로 구성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 상부면에 형성된 상부판 및 정착판을 포함하여 하부플랜지콘크리트 내부에 형성된 단부지지체(200); 상기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상부,하부에 수평으로 분산 배치되어 긴장된 후 단부지지체의 정착판에 정착된 다수의 비접착 스트랜드(300); 및, 상기 비접착 스트랜드의 일부로서, I형 강재의 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안쪽으로 하부플랜지콘크리트 상부면에 형성된 재긴장용 정착구에 설치되도록 경사져 설치된 재긴장용 비접착스트랜드(440);를 포함한다.
특히 도1a와 같이 스트랜드(강연선)는 현장에서의 원활한 시공성 확보를 위하여 포스트 텐션닝에 의한 긴장을 할 수 있도록 모노 스트랜드방식의 비접착스트랜드(300)를 사용하며, 정착장치(후술되는 단부지지체의 정착판에 형성된 구멍에 정착구 및 쐐기등에 의해 스트랜드를 긴장 후 정착시킨다.)를 이용하여 강합성빔의 단부에 형성되는 단부지지체(200)의 정착판에 정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비접착스트랜드(300)의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 도2이다. 즉, 일종의 피복재인 플라스틱쉬스(310) 내부에 단일가닥으로 꼬여져 형성된 강연선(320,STRAND)과 강연선과 플라스틱 쉬스 사이에 영구부식방지용 그리스(330)가 충진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로서 접착식스트랜드 설치방식과는 달리 현장에서 별도의 쉬스파이프와 같은 덕트를 사용하지 않아 덕트 내부에 삽입되는 강연선과 덕트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작업(그라우팅)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공성이 매우 증진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10)의 강도는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의 경우 통상 fck = 400 kgf/㎠ 이나 본 고안에서는 fck = 450 kgf/㎠으로 하는 것이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단면을 줄일 수 있어 외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역학적·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단부지지체(200)는 도1b와 같이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양 단부에 하부판(210), 상기 하부판 상부면에 형성된 내부지지판(221)과 측면판(222)으로 구성된 중간판(220), 상기 중간판 상부면에 형성된 상부판(230) 및 정착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를 감싸는 하부플랜지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후, 가해지고 있던 하중(상기 Pf하중)을 제거하여 유발되어 있던 I형 거더의 처짐 변형이 원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양생된 하부플랜지콘크리트가 양 단부에 부착된 단부지지체에 의해 구속되어져 1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것으로서, 종래의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을 제작함에 있어서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는, 이를 감싸는 하부플랜지콘크리트와 충분한 부착력 및 마찰저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서 타설된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전체 단면 영역 내에서 균일하게 부착력과 마찰저항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의 폭을 크게 할 수밖에 없어, 하부플랜지의 폭을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전체 단면 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일정한 폭을 유지해야만 했다. 만약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폭을 상당히 크게 하고,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폭을 작게 하였을 경우, 양생된 하부플랜지콘크리트와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의 부착력 및 마찰저항이 감소되기 때문에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전체 폭 중 좌·우의 일정한 부분은 I형 강재의 복귀변형과 함께 거동하지 못하여 1차 프리스트레스가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전단면 영역내에서 균일하게 도입되지 못하거나 그로 인하여 하부플랜지콘크리트와 I형 강재가 접하는 부분 등에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하부플랜지콘크리트 폭과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폭은 상호 제한 되어지지 않고 독립적으로 자유로운 단면 형태를 취하면서도,즉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의 폭을 상당히 크게 하고 상대적으로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폭을 아주 작게 한 상태에서도 I형 강재의 복귀변형과 동시에 하부플랜지콘크리트 단면의 전체영역이 균일하게 거동하여 압축되도록 함으로써,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전단면에 걸쳐 균일한 1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킴과 동시에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폭보다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폭을 작게 함으로 인하여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측면 거푸집과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양쪽 끝단과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타설 시 작업성의 곤란 및 품질관리의 취약성을 해소하고, 안정성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부지지체는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복부로 이루어진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양 단부에 형성된 하부판(210), 상기 하부판 상부면에 형성되며,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상,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된 내부지지판(221), 상기 상부판의 양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판(222), 상기 I형 강재의 복부의 개략 중간 부위에 중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부판(230) 및 하부판, 중간판 및 상부판으로 형성된 사각박스지지체의 개구부에 형성되며, 비접착스트랜드가 관통되어 정착되는 구멍이 다수 형성된 정착판(240)으로 구성되며, 상부판 및 하부판, 중간판으로 구성된 단부지지체를 견고하게 접합시켜서 일체를 이루도록 하되, 하부판을 제외한 중간판 및 상부판에는 원활한 콘크리트 타설 및 충진을 위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양 단부에 단부지지체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킴으로써, 상기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가 아주 작더라도 I형 강재의 처짐변형이 복귀될 때, I형 강재에 부착된 단부지지체가 하부플랜지콘크리트의 전체단면을 균일하게 구속 지지하여 I형 강재의 복귀변형과 동시에 하부플랜지콘크리트를 압축 거동하게 하는 1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본 고안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에 도입되는 2차 프리스트레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접착스트랜드가 하부플랜지콘크리트에 다수 분산 되어 단부지지체의 정착판의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긴장장치로 긴장후 정착됨으로서 2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며, 이로서 최종적인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은 형고를 낮게 하면서도, 완전프리스트레싱이 가능하고, 비접착스트랜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의 설치작업상 시공성이 향상되고, 단부지지체에 의하여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의 폭을 상대적으로 줄이면서, 하부플랜지콘크리트와 I형강재의 부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1차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균열 등을 방지할 수있고,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비접착스트랜드의 정착판 역할을 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빔의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접착스트랜드의 긴장 및 정착은 유압잭과 같은 긴장장치를 이용할 수밖에 없고,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분산 설치되기 때문에 비접착스트랜드의 긴장순서도 정해지기 마련인데, 시공상 여러 하자요인이 발생할 소지가 많다. 즉 설계상 요구된 2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기 위한 품질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 교량자체의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비접착스트랜드의 시간경과에 따른 프리스트레스의 손실 및 시공불량 등으로 인한 경우에 프리스트레스를 용이하게 재도입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수단은 도3a 및 도3b에 도시되어 있다.
즉, 단부지지체에 정착된 다수의 비접착스트랜드를 재긴장하는 것이 아니라, 단부지지체의 일정간격 안쪽으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상부면에 형성된 재긴장용 정착구(400)를 추가로 더 형성시켜, 미리 비접착스트랜드의 일부분을 상기 재긴장용 정착구로 유도하여 필요시 비접착스트랜드를 재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만약 강합성빔 제작시 상대적으로 적은 2차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긴장재를 긴장하여 부족한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거나, 강합성빔 제작시에는 재긴장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강합성빔 설치 후 처짐 등에 의한 재긴장 작업이 필요한 경우, 긴장재를 재긴장하는 경우 교량의 보수,보강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재긴장용 정착구(400)는 하부플랜지콘크리트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턱(410); 상기 돌출턱 측면에 구멍이 형성된 지지판(420); 상기 지지판의 구멍에 접하여 형성된 정착콘(430); 상기 정착콘 또는 지지판에 삽입된 쐐기(431);를 포함한다.
돌출턱(410)은 도3a 및 도3b와 같이 단부지지체로부터 일정간격 안쪽으로 하부플랜지콘크리트 상부면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양 측면부는 재긴장용 비접착스트랜드의 정착판의 역할을 하게된다.
돌출턱의 측면부(A)에는 지지판(4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재긴장용 비접착스트랜드가 관통되는 구멍이 지지판 및 돌출턱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구멍은 돌출턱에 형성된 구멍과 연속하여 테이퍼 처리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 처리된 구멍의 경우 지지판의 테이퍼 처리된 부분에 쐐기가 삽입되도록 하므로 도3a와 같이 지지판과 정착콘이 서로 접하여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도3b와 같이 지지판에 정착콘 없이 쐐기가 삽입 설치됨을 확인 할 수 있어, 추가적인 정착콘의 사용이 배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공이 용이하게된다.
재긴장용 비접착 스트랜드(440)는 비접착스트랜드(300)를 이용하되, 상기 지지판(420)에 형성된 구멍에 정착될 수 있도록, 정착콘 및 쐐기 또는 쐐기만을 이용하여, 재긴장 후 지지판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정착콘(430)은 쐐기(431)를 수용하기 위한 테이퍼형상의 홈이 중앙에 형성된 콘을 사용하며, 쐐기(431)는 복수개의 편체의 머리부가 연결링으로 묶인 것을 이용하며, 상기 정착콘 또는 지지판의 홈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종래의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낮은 형고를 유지하면서 안전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제고시킨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과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및 품질관리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강합성빔을 재긴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강합성빔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차 및 2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형성된 I형 강재;
상기 I형 강재의 단부에, 하부판, 상기 하부판 상부면에 형성된 내부지지판과 측면판으로 구성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 상부면에 형성된 상부판 및 정착판을 포함하여 하부플랜지콘크리트 내부에 형성된 단부지지체;
상기 I형 강재의 하부플랜지 상부, 하부에 수평으로 분산 배치되어 긴장된 후 단부지지체의 정착판에 정착된 다수의 비접착 스트랜드; 및,
상기 비접착스트랜드의 일부로서, I형 강재의 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안쪽으로 하부플랜지콘크리트 상부면에 형성된 재긴장용 정착구에 설치되도록 경사져 설치된 재긴장용 비접착 스트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1항에서, 상기 재긴장용 정착구는
하부플랜지콘크리트 상부면에 구멍이 형성된 돌출턱;
상기 돌출턱 측면에 구멍이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구멍에 접하여 형성된 정착콘;
상기 정착콘에 삽입된 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1항에서, 상기 재긴장용 정착구는
하부플랜지콘크리트 상부면에 구멍이 형성된 돌출턱;
상기 돌출턱 측면에 쐐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테이퍼 처리된 구멍을 갖는 지지판(321);
상기 지지판에 삽입된 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제1항에서, 상기 비접착 스트랜드는 모노 스트랜드 타입으로서 강연선을 감싸는 피복재 타입의 플라스틱 쉬스에 부식방지제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KR20-2002-0030232U 2002-10-10 2002-10-10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KR200302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232U KR200302128Y1 (ko) 2002-10-10 2002-10-10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232U KR200302128Y1 (ko) 2002-10-10 2002-10-10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128Y1 true KR200302128Y1 (ko) 2003-01-24

Family

ID=4933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232U KR200302128Y1 (ko) 2002-10-10 2002-10-10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128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162B1 (ko) * 2003-05-12 2006-01-11 주식회사 노빌테크 하부플랜지 매립 구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및 그 시공방법
KR100580327B1 (ko) * 2004-01-15 2006-05-15 정지승 하부플랜지를 선 긴장시킨 psc빔 및 그 시공방법
KR100888926B1 (ko) 2008-06-11 2009-03-16 노윤근 교량 유지관리용 정착부 시공방법
KR100999019B1 (ko) 2008-05-02 2010-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치형상의 교량용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346344B1 (ko) * 2013-07-11 2013-12-31 (주) 청명토목이엔지 콘크리트 내부에 긴장재 고정 정착부를 구비한 비부착식 psc i 빔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5524B1 (ko) * 2014-11-17 2016-01-14 비알테크(주) 프리플렉스 거더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상부 프리플렉션 지점선상에 2차 추가강선 돌출 정착부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강합성 거더 및 이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KR101819326B1 (ko) * 2016-03-29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강합성 거더 및, 강합성 거더의 시공방법
KR102287372B1 (ko) * 2020-12-17 2021-08-11 주식회사 아이비엘이앤씨 재긴장이 가능한 언본디드 pc 강선의 정착구조 및 그 제작방법
KR102379586B1 (ko) * 2021-06-04 2022-03-29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이중복부 거더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162B1 (ko) * 2003-05-12 2006-01-11 주식회사 노빌테크 하부플랜지 매립 구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및 그 시공방법
KR100580327B1 (ko) * 2004-01-15 2006-05-15 정지승 하부플랜지를 선 긴장시킨 psc빔 및 그 시공방법
KR100999019B1 (ko) 2008-05-02 2010-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치형상의 교량용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888926B1 (ko) 2008-06-11 2009-03-16 노윤근 교량 유지관리용 정착부 시공방법
KR101346344B1 (ko) * 2013-07-11 2013-12-31 (주) 청명토목이엔지 콘크리트 내부에 긴장재 고정 정착부를 구비한 비부착식 psc i 빔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5524B1 (ko) * 2014-11-17 2016-01-14 비알테크(주) 프리플렉스 거더 하부 케이싱 콘크리트 상부 프리플렉션 지점선상에 2차 추가강선 돌출 정착부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강합성 거더 및 이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KR101819326B1 (ko) * 2016-03-29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강합성 거더 및, 강합성 거더의 시공방법
KR102287372B1 (ko) * 2020-12-17 2021-08-11 주식회사 아이비엘이앤씨 재긴장이 가능한 언본디드 pc 강선의 정착구조 및 그 제작방법
KR102379586B1 (ko) * 2021-06-04 2022-03-29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이중복부 거더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2128Y1 (ko) 재긴장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
KR100991869B1 (ko) 단경간 및 다경간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860796B1 (ko) 상하 대칭 또는 비대칭 정착브라켓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연속화 방법
KR101251118B1 (ko) 교량의 정모멘트 구간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강박스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JP6442801B2 (ja) 鋼橋の床版構造、及び鋼橋の床版取替え方法
KR20050001736A (ko) 지연합성효과를 이용한 합성형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합성형
KR101374701B1 (ko) 바이프레스 압축재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빔 제작방법
KR101339367B1 (ko) 프리플렉스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 및 보수/보강 방법
JP2528432B2 (ja) 中空pc鋼棒を使用したコンクリ―ト構造物の補強方法
KR20140076005A (ko) 분절식 강합성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71648B1 (ko) 하이브리드 텐던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040001280A (ko)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빔 및 그 제작방법
JP7186670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修方法
KR101664165B1 (ko) 임시보강강판에 의해 추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RU2265103C1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балки пролетного строения моста
KR100561034B1 (ko) 분절된 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강합성빔의 일체화방법
KR101293838B1 (ko) 응력전달길이 구간을 제거하는 프리텐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구조체 제작방법
KR101413974B1 (ko) 피에스씨 빔 시공방법
CN110747735A (zh) 钢-混凝土组合梁预制混凝土桥面板的锚固连接装置
KR101819326B1 (ko) 강합성 거더 및, 강합성 거더의 시공방법
KR20090054511A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JP2020100976A (ja) Pc箱桁橋のせん断補強工法
KR101674103B1 (ko) 선제작 긴장재 정착부 및 이를 이용한 fcm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
KR20160078150A (ko)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99904Y1 (ko) 비접착 피씨스트랜드를 사용한 프리스트레스트프리플렉스 합성빔의 단부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