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764B1 -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 - Google Patents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0764B1 KR100680764B1 KR1020050070019A KR20050070019A KR100680764B1 KR 100680764 B1 KR100680764 B1 KR 100680764B1 KR 1020050070019 A KR1020050070019 A KR 1020050070019A KR 20050070019 A KR20050070019 A KR 20050070019A KR 100680764 B1 KR100680764 B1 KR 100680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gment
- tension member
- girder
- prestressed concrete
- joi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부의 구조적인 취약점이 개선된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에 있어서, 각 세그먼트의 하부 플랜지의 외측부에 긴장재용 덕트가, 일단부는 하부 플랜지의 상측으로 개구되고 타단부는 다른 세그먼트와의 접합되는 면으로 개구되는 상태로, 매설된 세그먼트를 제작하는 단계; 각 세그먼트를 근접시키는 단계; 상기 밀착된 한 쌍의 세그먼트의 긴장재용 덕트들에 접합용 긴장재를 끼워넣어 그 긴장재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밀착된 세그먼트들의 하부 플랜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접합용 긴장재를 상기 양 단부 사이에서 긴장시킨 후 그 양단부를 상기 각 세그먼트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1는 종래의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더의 결합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합용 긴장재를 이용하여 세그먼트를 접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20 : 접합용 긴장재 21 : 정착장치
22 : 긴장재용 덕트
본 발명은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그먼트 연결부의 구조적인 취약점이 개선된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의 거더를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나누어 공장이나 제작장에서 제작한 다음, 거더의 사용현장에서 세그먼트를 접합하고 거더의 길이방향의 긴장재를 긴장하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를 말한다.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접합 방법에는, 현장에서 세그먼트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철근이음을 한 다음 콘크리트, 모르타르, 그라우트 등을 타설하여 접합하는 현장타설 접합방법과,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세그먼트 접합면에 얇게 도포하여 접합하거나, 접착제 없이 긴장재의 긴장력만으로 세그먼트를 밀착시켜 접합하는 접촉식 접합방법이 있다.
현장타설 접합방법은 연결부에 별도의 콘크리트, 모르타르, 그라우트 등을 타설하기 때문에 접합되는 세그먼트의 단면형상과 관계없이 세그먼트를 연결할 수 있고 연결시 철근이음을 하게 되므로 접촉식 접합방법에 비해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접합되는 세그먼트들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과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이 요구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접촉식 접합방법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양생시키는 과정 없이 미리 제작된 세그먼트(10)들을 단순히 맞붙이는 방식으로 접합하여 거더를 제작하는 방식이므로, 현장타설 접합방법에 비해 공기가 현저히 짧아지는 장점이 있고,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이다. 그러나 접촉식 접합방법의 경우 현장타설 방법과 같은 철근이음이 없으므로, 연결부에서 거더의 길이방향 철근의 불연속이 발생하고, 세그먼트의 제작시에 발생하는 제작오차, 접착제의 부적절한 배합 및 도포 등으로 인하여 연결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할 수 있어서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접촉식 접합방법을 사용하여 세그먼트(10)를 접합할 때,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부를 방수할 수 있고, 세그먼트의 제작시에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연결되는 세그먼트들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경우에도 접착제가 그 공간을 메워줌으로 인해 상기 세그먼트들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부분에 응력집중을 완화시켜주는 등의 효과가 있고, 접착제가 연결부의 응력에 저항할 수 있다. 다만, 접착제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력을 신뢰할 수 있는 정도로 산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 저항력은 무시하고, 구조적으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접촉식 접합방법과 같이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결부의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할 수 있는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의 이음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에 있어서, 각 세그먼트의 하부 플랜지의 외측부에 긴장재용 덕트가, 일단부는 하부 플랜지의 상측으로 개구되고 타단부는 다른 세그먼트와의 접합되는 면으로 개구되는 상태로, 매설된 세그먼트를 제작하는 단계; 각 세그먼트를 근접시키는 단계;상기 밀착된 한 쌍의 세그먼트의 긴장재용 덕트들에 접합용 긴장재를 끼워넣어 그 긴장 재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밀착된 세그먼트들의 하부 플랜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상기 접합용 긴장재를 상기 양 단부 사이에서 긴장시킨 후 그 양단부를 상기 각 세그먼트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용 긴장재를 이용한 세그먼트 이음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25)의 연결에 있어서, 접합용 긴장재(20)와 접합용 긴장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정착장치(21)를 이용하여 세그먼트 연결부의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I-형 거더의 세그먼트(25)의 제작시, 하부 플랜지 외측부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용 긴장재(20)가 내설될 긴장재용 덕트(22)를 미리 매설한 상태로 세그먼트(25)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긴장재용 덕트(22)의 하나의 단부는 하부 플랜지의 상측으로 개구되도록 하며, 나머지 단부는 다른 세그먼트와 접합되는 면으로 개구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플랜지 상측의 상기 긴장재용 덕트(22)의 단부는 상기 접합용 긴장재(20)를 세그먼트(25)에 고정하기 위한 정착장치(21)가 부착되는 정착부이고, 상기 정착부는 접합용 긴장재(20)를 긴장시키는 경우 압축력과 전단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와 긴장재용 덕트(22)가 만나는 정착면 이, 긴장재의 정착장치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방향과 수직에 가깝게 교차되도록, 하부 플렌지의 상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제작하여 상기 압축력과 전단력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부와 긴장재용 덕트(22)가 만나는 정착면이 하부 플렌지의 상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또하나의 이유는 긴장재용 정착장치를 설치하는 것과 그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긴장재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착면과 긴장재용 정착장치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한다.
긴장재용 덕트(22)가 매설된 상태로 상기 세그먼트(25)가 제작되면, 한쌍의 세그먼트(25)를 근접시킨 후, 미리 매설된 긴장재용 덕트(22)에 접합용 긴장재(20)를 끼워넣어 그 긴장재의 양단부가 각각 밀착된 세그먼트들의 하부 플랜지의 상측으로 개구된 긴장재용 덕트(22)의 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 때 서로 연결된 세그먼트들의 긴장재용 덕트(22)를 통해서 접합용 긴장재(20)가 끼워져 양단부가 노출될 수 있어야 하므로, 서로 연결될 세그먼트들의 긴장재용 덕트(22)는 이를 고려하여 세그먼트(25)접합면으로 개구된 부분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매설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세그먼트(25)의 접합면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접합용 긴장재(20)의 양단부가 세그먼트들의 하부 플랜지의 상측으로 노출되면, 그 접합용 긴장재(20)를 상기 양 단부 사이에서 긴장시킨 후 그 양단부를 각 세그먼트에 정착장치(21)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합용 긴장재(20)을 정착시키는 때에는, 우선 어느 하나 의 세그먼트의 정착부에서 접합용 긴장재(20)의 일단부를 공지의 쐐기부재 등의 정착장치(21)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그 세그먼트에 연결된 다른 세그먼트의 정착부로 노출된 접합용 긴장재(20)의 타단부에 인장력을 가하여 그 접합용 긴장재(20)를 긴장시킨 후, 그 타단부를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세그먼트의 정착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합용 긴장재(20)가 설치되면, 그 접합용 긴장재(20)가 인장부재로서도 기능하게 되므로, 거더의 길이 방향 철근이 세그먼트들간의 연결부에서 연결된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게 되어 세그먼트들간의 연결부의 구조적 취약성이 보완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세그멘트(25) 접합 작업이 끝나면, 상기 인장부재로서의 기능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접합용 긴장재(20)를 부식 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긴장재용 덕트(22) 내부를 그라우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세그먼트 이음방법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의 접합에 있어서, 접촉식 결합방법의 취약점으로 지적되는 연결부의 인장철근의 불연속으로 인한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
-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에 있어서,각 세그먼트의 하부 플랜지의 외측부에 긴장재용 덕트가, 일단부는 하부 플랜지의 상측으로 개구되고 타단부는 다른 세그먼트와의 접합되는 면으로 개구되는 상태로, 매설된 세그먼트를 제작하는 단계;각 세그먼트를 근접시키는 단계;상기 밀착된 한 쌍의 세그먼트의 긴장재용 덕트들에 접합용 긴장재를 끼워넣어 그 긴장재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밀착된 세그먼트들의 하부 플랜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상기 접합용 긴장재를 상기 양 단부 사이에서 긴장시킨 후 그 양단부를 상기 각 세그먼트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0019A KR100680764B1 (ko) | 2005-07-30 | 2005-07-30 |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0019A KR100680764B1 (ko) | 2005-07-30 | 2005-07-30 |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5567A Division KR20060112874A (ko) | 2005-04-28 | 2005-04-28 |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3323A KR20060113323A (ko) | 2006-11-02 |
KR100680764B1 true KR100680764B1 (ko) | 2007-02-09 |
Family
ID=3765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0019A KR100680764B1 (ko) | 2005-07-30 | 2005-07-30 |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0764B1 (ko) |
-
2005
- 2005-07-30 KR KR1020050070019A patent/KR10068076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3323A (ko) | 2006-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10254B1 (ko) | 분절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및 그제조방법 | |
JP5285305B2 (ja) |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 | |
KR100696441B1 (ko) |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20010024043A (ko) |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 구조 및 보강 공법 | |
KR20060112874A (ko) |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 | |
KR100680764B1 (ko) |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i-형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방법 | |
JP2008038426A (ja) |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JPH07292783A (ja) | Pc部材の接続構造 | |
KR101642049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 |
JP2017101445A (ja) |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 | |
EP3543418B1 (en) |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segments tendon ducts and resulting structure | |
KR20150039970A (ko) | 교량의 연장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판넬 결합구조 | |
KR101404477B1 (ko) | 종방향 분절형 거더 | |
JP2020200729A (ja) | コンクリート床版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修方法 | |
KR100591262B1 (ko) |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 | |
KR100591263B1 (ko) |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세그먼트 이음 방법 | |
FI62888C (fi) | Foertillverkat betongarmeringselement och foerfarande vid tillverkning av armeringsanslutningar | |
KR100555246B1 (ko) | 허니컴 거더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1807825B1 (ko) | 철근 커플러 | |
JPH0610420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方法 | |
KR101198184B1 (ko) | 건설공사의 철근콘크리트 공종에서 격자형태로 교차하여놓여진 철근들을 후속작업으로 인한 흐뜨러짐에 영향받지않게 하기위해 철근들을 설계 위치에 고정시키는 장치 또는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돌출된 철근에게 같은 방법을적용하여 고정시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설계위치에 고정 시키는 장치. | |
JP2003138517A (ja) |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多径間連続桁構造物の分割施工により構成された桁部の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 |
KR100442704B1 (ko)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 |
JP7490479B2 (ja) |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方法 | |
JP5150354B2 (ja) | 充填材の充填状態の確認方法、定着金物を鉄筋に固定する方法、定着金物、pc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