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011Y1 - 식생대 - Google Patents

식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011Y1
KR200192011Y1 KR2020000005757U KR20000005757U KR200192011Y1 KR 200192011 Y1 KR200192011 Y1 KR 200192011Y1 KR 2020000005757 U KR2020000005757 U KR 2020000005757U KR 20000005757 U KR20000005757 U KR 20000005757U KR 200192011 Y1 KR200192011 Y1 KR 200192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vegetation
net
easy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규일
Original Assignee
우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규일 filed Critical 우규일
Priority to KR2020000005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0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시 이동이 간편하며 시공후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식생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줄무늬형의 네트와, 네트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적정량의 종자 및 비료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각각 구획되게 형성되는 상,하 식생용지와, 식생용지의 상측에 상호 적정간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비료대를 구비한 것이다.
비료대는 투수성 재질로 봉합되어 내부에 보습제나, 토양 개량재가 수납되어 시공후 장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식생용지의 내부공간에 종자 및 비료를 수납하여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며,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식생대{apparatus of afforestation}
본 고안은 식생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탈진 경사면등의 지반을 녹화하기 위한 네트형 식생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공사나 대지 조성시에 형성되는 절개지 또는 성토지등의 경사진 비탈면으로부터 침식붕괴를 방지하고 자연경관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경사면에 식생판 또는 식생대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식생대는 여러가지 방법이 실용화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2장의 수분해성 시이트 사이에 종자,비료등을 구획지게 수납한 것이 있다.
이 식생대는 단순히 경사면등에 부설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시공성이 좋지만 초기 비료의 양이 많으면 종자 또는 발아한 식물이 농도장해를 일으킬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납비료를 약간 적게 주고, 생육한 다음에 추가로 시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식생대는 시이트 사이에 내장되는 비료의 양을 제한하여 공급하여야 하므로, 시공후 유지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동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실용신안 공개 번호 95-22343호 '볏짚을 이용한 사방공사용 식생대'에 나타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성의 하부 시이트(12)위에 잔디 또는 초본류의 종자(13) 및 적량의 비료(14)를 깔아주고, 그 위에 다시 상부 시이트(11)를 덮어주어 한장의 매트형태를 이루도록 하고나서, 상면에 볏짚(15)을 일정한 두께로 깔아준 다음, 이에 접착띠(16)를 적정 간격으로 배치한 후 이들을 전열 접착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식생대는 볏짚으로 인하여 보습성과 단열성을 만족하며, 또 시간이 경과된 후에 볏짚이 퇴비가 되어 영양소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사방공사되는 토양의 질이 나쁠 경우 초기 종자의 발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또 식생하는 경사면의 토양이 식물에 필요한 영양소가 부족할 경우, 피이트모스, 바아크등의 토양 개량재를 산포하여야 하고, 이는 식생대의 시공과는 별개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현장으로의 운반시 운반성이 양호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볏짚의 부스러기등이 이탈되어 외관상 보기 싫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장소 및 환경에 관계없이 시공 및 운반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사후에도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식생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식생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식생대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네트 120 : 식생용지
210 : 비료대 310 : 종자
320 : 비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식생대는 네트와,
내부에 종자, 비료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부를 결합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네트의 하측에 고정되는 수용성의 식생용지와,
상기 네트의 상측에 상호 적정간격으로 열을 이루어 돌출되게 설치되는 비료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식생대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줄무늬형의 네트(110)와, 네트(11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적정량의 종자(310) 및 비료(320)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각각 구획되게 형성되는 상,하 식생용지(120)와, 네트(110)의 상측에 상호 적정간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비료대(210)를 구비한 것이다.
비료대(210)는 내부에 토양 개량재등의 특수비료(320)가 수납되며, 네트(110)의 상측으로 열을 지어 돌출되게 설치된다.
식생용지(120)는 수용성의 것을 사용하여 수분이 제공될 경우, 지면에 녹으면서 내부에 수납된 비료(320) 및 종자(310)가 땅에 밀착되어 발아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료대(210)는 내부가 봉합된 투수성 재질을 사용하여 강우에 의한 수분이 침투될 경우, 보습제나 토양 개량재(피이트 모스, 바아크)등의 특수비료가 용해되면서 외부로 누설되어 주변 토양에 영양소를 공급하여 종자(310)의 발아 및 발육을 촉진하게 된다.
종자(310)와 비료(320)는 히트시링(heat sealing)방식으로 제조된 상,하 식생용지(120)의 내부의 각각 구획된 공간에 수납되므로, 이송도중에 외부 이탈이 방지된다.
그 종자(310)의 종류로는 시공되는 장소 및 환경을 고려하여 잔디나 억새풀,기타 개화식물을 채용할 수 있다.
미 설명부호 '410'는 네트(110)를 비탈진 경사면(5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410)이며, 이 고정구(410)는 일단이 비료대(210)의 상측에 지지되고 지면의 내부로 삽입 설치된다.
한편, 바람이 심한 곳에는 고정구(410)외에도 끈을 이용하여 네트(11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성토공사등으로 인하여 경관이 훼손된 경사면(500) 상측에서 네트(110)의 일단을 파지한 후에 하측으로 펼쳐서 하측 식생용지(120)의 하면을 경사면(500)에 밀착시킨다.
이후에 고정구(410)의 일단을 비료대(210)의 상측에 밀착 가압하고, 타단을 지면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여 네트(110)를 고정시키고, 펼쳐진 네트(110)의 상측으로 흙을 적정 두께로 복토한다.
이때, 고정구(410)는 네트(110)의 최상단에 위치한 비료대(210)를 고정하면서 지면에 삽입 설치하여 네트(110)를 고정시키고, 중간 및 최하단측에 설치하여 네트(11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복토작업시 흙은 네트(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비료대(210)에 걸려 각각 구획진 식생용지(120)의 상측에 적정 두께로 덮이게 된다.
한편, 수용성의 식생용지(120)가 토양수 또는 강우에 의해 젖게 되면 하측으로 종자(310) 및 비료(320)가 떨어져 경사면(500)의 지면에 밀착되고, 이후에 지면에 밀착된 종자(310)는 대략 2∼3개월후에 발아되어 녹화되고, 이때 발아된 종자(310)는 줄무늬형의 네트(110)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녹화된다.
그리고, 비료대(210)에 수납된 특수 비료는 봉합된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면, 용해되면서 외부로 누설되어 주변 토양에 영양소를 공급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식생대는 상,하로 배치된 식생용지(120)의 내부에 종자(310) 및 비료를 수납하고, 그 식생용지(120)를 네트(110)에 연결 고정한 후에 내부에 토양 개량재등의 특수 비료가 수납된 투수성의 비료대(210)를 돌출되도록 함으로서, 현장으로의 운반시 권회하여 운반할 수 있어 이동성이 우수하며 시공후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의 식생대는 식생용지의 구획진 내부공간에 종자 및 비료를 수납하여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며, 네트에 연결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수 비료가 수납된 비료대를 네트의 상측에 설치하여 공사후에도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네트(110)와,
    내부에 종자(310), 비료(320)등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부를 결합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네트(110)의 하측에 고정되는 수용성의 식생용지(120)와,
    상기 네트(110)의 상측에 상호 적정간격으로 열을 이루어 돌출되게 설치되는 비료대(21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대.
KR2020000005757U 2000-03-02 2000-03-02 식생대 KR200192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757U KR200192011Y1 (ko) 2000-03-02 2000-03-02 식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757U KR200192011Y1 (ko) 2000-03-02 2000-03-02 식생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011Y1 true KR200192011Y1 (ko) 2000-08-16

Family

ID=1964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757U KR200192011Y1 (ko) 2000-03-02 2000-03-02 식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0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0846B2 (en) Vertical concentrated vegetable and plant grower
AU2016202365C1 (en) Subsurface barrier retention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TE233041T1 (de) Trägerband mit keimeinheiten und verpackung desselben sowie methode und anordnung seiner produktion
US5946854A (en) Modular soilless growth medium
US6415548B1 (en) Mini-garden bag
JP2010220591A5 (ko)
KR200192011Y1 (ko) 식생대
KR200194255Y1 (ko) 식생대
KR200189601Y1 (ko) 식생대
KR101014602B1 (ko) 식생기반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 방법
JP3856998B2 (ja) 切土法面、硬質岩盤法面、モルタル吹付層等の草木苗植栽方法及びその草木苗を植栽した緑化法面並びに草木苗植栽用客土袋
KR200251500Y1 (ko) 리핑네트형 식생대
JP2001169672A (ja) 養液培地植物栽培システム
KR200251501Y1 (ko) 네트형 식생대
JPH11256547A (ja) 湛水池等水位変動域の法面緑化基盤材
KR200194254Y1 (ko) 식생대
JP2001049671A (ja) 法面緑化工法
AU650566B2 (en) Creeping-stem grass vegetative sheet
KR200228939Y1 (ko) 비료 팩
JP3464885B2 (ja) 高設栽培容器
Mann et al. A study on the moisture availability and other conditions of unstabilised dunes in the context of present land use and the future prospects of diversification
TW205579B (en) Method of keeping greens on a rock base
JPH084013A (ja) 緑化用土嚢袋及び緑化用土嚢
JP3425931B2 (ja) 法面の緑化構造
JPH08338025A (ja) 植生用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