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167Y1 -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167Y1
KR200191167Y1 KR2019950026725U KR19950026725U KR200191167Y1 KR 200191167 Y1 KR200191167 Y1 KR 200191167Y1 KR 2019950026725 U KR2019950026725 U KR 2019950026725U KR 19950026725 U KR19950026725 U KR 19950026725U KR 200191167 Y1 KR200191167 Y1 KR 200191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outer shell
plate
intermediate member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428U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26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167Y1/ko
Publication of KR970013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1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예시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외피(14)와 내피(18) 사이에 발포성 수지재질인 중간부재(16)가 설치되어 있고 중간부재(16)는 충격흡수가 뛰어나 리벳(20)의 끝단에 충격을 가할때 효과적으로 체결시키기 위해 보다 큰 충격을 주어야 했고 이로인한 외피(14)와 빈플레이트(12)의 변형을 야기시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수려한 곡면에 손상을 주고 빈플레이트(12)면의 손상으로 인하여 차량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상품성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취부 부분 내측에 체결홈(22)을 형성시켜 내피(18)와 외피(14)를 밀착시키고 취부분에는 중간부재(16)를 삭제시킴으로써 상기 폐단을 해소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
제1도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빈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 - A 선 단면도.
제3(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빈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빈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스트루먼트 패널 12 : 빈플레이트
14 : 외피 16 : 중간부재
18 : 내피 20 : 리벳
22 : 체결홈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의 일측부 상면에 부착되는 빈플레이트(VIN Plate)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빈플레이트의 리벳(Rivet) 취부 지점의 저부에 외피와 내피를 밀착시키고 포옴(Foam)재질을 삭제시켜 리벳팅 작업시 빈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시켜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시켜 상품성을 유지시키는 빈플레이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시도면 제1도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이에 장착되는 빈플레이트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이란 소위 계기판 또는 대시보드라 불리우며 합성수지 성형품으로서 계기류나 스위치가 들어있는 부분뿐만 아니라 오디오시스템이나 에어컨 유닛등의 부착장소도 포함해서 말하고 최근에서 에어로다이나믹 스타일로 수려한 곡면형상으로 제작되어 주행시 탑승자에게 시각적인 편안함도 제공하고 있다.
빈플레이트(12)는 수지재질로 북미법규에 있어 차량제작회사, 고유번호등을 표시한 것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일측 상부에 두 점을 리벳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빈플레이트(12)의 취부시 리벳팅으로 인한 빈플레이트와 외피의 변형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곡면의 미려함을 훼손시켜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시도면 제2도는 상기 문제점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은 크게 외피(14), 중간부재(16), 내피(18)로 나뉘어져 있고 외피(14)와 내피(18) 역시 빈플레이트(12)와 마찬가지로 수지재질이고 중간부재(18)는 발포성 수지재질로 방음, 방진, 충격흡수가 뛰어나다.
따라서 리벳(20)으로 체결시키는 과정, 즉 빈플레이트(12),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리벳(20)의 끝단에 충격을 가해 끝단을 납작하게 성형시켜 빈프레이트(12)를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중간부재(16)가 충격흡수가 뛰어나므로 효과적으로 리벳(20)의 끝단에 충격을 가하기 위하여는 중간부재(16)의 충격흡수를 고려하여 충격을 흡수시키지 못하는 부재와는 달리 더 큰 충격으로 리벳(20)의 끝단에 충격을 주여야 한다. 때문에 1차적으로 충격을 받는 빈플레이트(12)와 외피(14)에서 충격에 의한 재료의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즉 리벳(20)을 취부시키기 위한 관통공은 미리 성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벳(20)을 삽입시키고 리벳(20)의 끝단에 충격을 가할때 리벳(20)의 몸통에 의해 빈플레이트(12)와 외피(14)는 고정되어 있으면서 충격지점을 중심으로 재료가 얇아지면서 밀리는 변형이 일어나며 이때 취부점은 리벳(2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취부점에서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중간지점에서 재료가 위로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변형이 일어나는 것이다.
상기 이러한 변형은 빈플레이트(12)가 운전자의 시야에 포착되는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궁극적으로는 차량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폐단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적은 충격을 리벳의 끝단에 주어 빈플레이트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취부시킴으로써 빈플레이트와 외피가 위로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변형을 방지시킴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미려한 곡면을 유지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빈플레이트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리벳팅 작업시 종래에는 중간부재가 전체적으로 충격을 가장 많이 흡수하므로 본 고안은 내피와 외피가 직접 맞닿는 체결홈을 형성시켜 중간부재가 외피와 내피 사이에 없도록 하고 상기 체결홈에 리벳을 관통시켜 체결작업을 하여 보다 적은 충격으로 리벳으로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로 인하여 재료의 변형을 경감시켜 본래 인스트루먼트 패널 외피의 수려한 곡면과 이에 장착되는 빈플레이트의 곡면을 유지시키며 궁극적으로는 차량 상품성의 저하를 방지시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빈플레이트(12)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외피(14), 중간부재(16), 및 내피(18)를 관통시켜 리벳(20)으로 취부시키는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취부부분 내측에 내피(18)를 원통형태로 상방으로 절곡 성형시켜서 체결홈(22)을 형성시켜 외피(14)의 저면과 내피(18)의 상면을 밀착시키고 빈플레이트(12)와 외피(14)와 내피(18)를 관통시켜 리벳(20)으로 취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플레이트의 체결구조이다.
예시도면 제3(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예시도면 제3(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성형시 빈플레이트(12)의 취부부분의 내측에 내피(18)를 원통형 상으로 절곡 성형시켜 내피(18)의 상면이 외피(14)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종래 빈플레이트(12)의 취부구조에 있어 외피(14), 중간부재(16), 내피(18)로 구성되었던 거와는 달리 본 고안은 외피(14)와 내피(18)로만 구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리벳(20)의 끝단에 충격을 가해 끝단부위를 넓혀 빈플레이트(12)를 취부시킬때 발포성 수지재질인 중간부재가 충격을 많이 흡수하므로 리벳(20) 끝단에 이에 상당하는 많은 충격을 가해 이로 인한 외피(14)와 빈플레이트(12)의 변형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리벳(20)으로 취부시키는 과정에 있어 외피(14)와 내피(18) 사이에 중간부재가 없기 때문에 리벳(20)의 끝단에 충격을 가하는 과정에 있어 중간부재(16)에 의한 충격흡수가 삭제되었으므로 보다 적은 충격으로 리벳(20)을 체결시켜 이로 인한 빈플레이트(12)와 외피(14)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경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취부부분 내측에 체결홈(22)을 형성시켜 외피(14)의 저면과 내피(18)를 관통시켜 보다 적은 충격으로 리벳(20)의 끝단에 충격을 가해 체결시킴으로써 외피(14)와 빈플레이트(12)가 볼록하게 솟은 변형을 방지시켜 본래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수려한 곡면을 유지시키며 이에 장착되는 빈플레이트(12)의 곡면을 유지시켜 궁극적으로 차량 상품성의 저하를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빈플레이트(12)와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외피(14), 중간부재(16) 및 내피(18)를 관통시켜 리벳(20)으로 취부시키는 차량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취부부분 내측에 내피(18)를 원통형태로 상방향으로 절곡 성형시켜서 체결홈(22)을 형성시켜 외피(14)의 저면과 내피(18)의 상면을 밀착시키고 빈플레이트(12)와 외피(14)와 내피(18)를 관통시켜 리벳(20)으로 취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플레이트의 체결구조.
KR2019950026725U 1995-09-28 1995-09-28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 KR200191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725U KR200191167Y1 (ko) 1995-09-28 1995-09-28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725U KR200191167Y1 (ko) 1995-09-28 1995-09-28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428U KR970013428U (ko) 1997-04-25
KR200191167Y1 true KR200191167Y1 (ko) 2000-09-01

Family

ID=1942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725U KR200191167Y1 (ko) 1995-09-28 1995-09-28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1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428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7594B1 (en) Grab handle assembly
EP1882616A3 (en) Interior member having an airbag door section for use in vehicles, and its molding method
KR200191167Y1 (ko)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빈플레이트의 취부구조
US5630256A (en) Buffer clip
US4752084A (en) Instrument pad arrangement in automotive vehicle
JPH0619373Y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H1044777A (ja) 車両用ドア構造
JPH072029A (ja) 自動車用緩衝内装材
JPH0443384Y2 (ko)
JP3007070B2 (ja) 自動車天井部のサイドレール衝撃吸収体
KR940000350Y1 (ko) 자동차용 전기면도기
KR100522511B1 (ko) 자동차의 루프 콘솔
JPS5820406Y2 (ja) 自動車用パネル補強部材
JPS6382882A (ja) 自動車のリツドガ−ニツシユ構造
JPH0117498Y2 (ko)
JPH0453317Y2 (ko)
JPH11286217A (ja) エネルギー吸収用パッド
JPH06270840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3345944B2 (ja) 自動車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200150865Y1 (ko) 자동차 범퍼의 체결구조
JPH0345877Y2 (ko)
JPH0826000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H0332517U (ko)
JPH07164881A (ja) 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JPH03122942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