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121Y1 -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버스바 - Google Patents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121Y1
KR200191121Y1 KR2020000006290U KR20000006290U KR200191121Y1 KR 200191121 Y1 KR200191121 Y1 KR 200191121Y1 KR 2020000006290 U KR2020000006290 U KR 2020000006290U KR 20000006290 U KR20000006290 U KR 20000006290U KR 200191121 Y1 KR200191121 Y1 KR 200191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us bar
main body
inpu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갑
Original Assignee
서울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6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1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1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6Cable duct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exchange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셀프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기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정보통신기기의 각 셀프로 분리되어 공급됨과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다중입력 및 다중출력이 가능한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가 개시되어 있다.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랙의 각 셀프에 착설되는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장치에 사용되는 버스바에 있어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단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입력되는 다수개의 입력단자로 구성된 입력단(30), 상기 입력단(30)의 반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각각의 셀프로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출력단자로 구성된 출력단(40,41,42,43,44), 상기 본체(20)에 내재되어 입력단(30)과 출력단(40,41,42,43,44)을 연결하는 도전성 바(28)로 구성되어, 기존의 일반 배선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배선이 간결하게 되어 오배선과 납땜 불량이 발생하거나 온도 및 습도의 영향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Bus bar of a power distribution device}
본 고안은 전원공급용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셀프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기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정보통신기기의 각 셀프로 분리되어 공급됨과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다중입력 및 다중출력이 가능한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수개의 셀프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기기가 동시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하우징(1)은 직육면체 형태이고, 최상부에는 전원분배장치(2)가 설치된다. 전원 분배 장치(2)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수평칸막이(3)가 설치되어 하우징을 여러개의 공간으로 나뉘어 각각의 셀프를 구성하게 되고, 각각의 셀프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통신기기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우징에는 다수의 전기/전자 정보통신기기가 설치되고, 이들 기기는 하우징 외부에 설치된 정류기 또는 기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때 공급된 전원이 하우징에 설치된 전기/전자 정보통신기기에 입력되기 위해서는 전원분배장치를 경유하여 여러 단계의 전원으로 나뉘고 나뉜 전원은 케이블 배선을 통해 독립시스템인 각 셀프로 인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배선은 셀프의 수가 증가할수록 케이블 배선의 수도 함께 증가하게 되므로 각 케이블 배선간의 사이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또한, 케이블 배선은 독립시스템인 셀프의 수가 증가할수록 배선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유지보수작업의 비효율이 생기고, 오배선과 납땜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정보통신기기의 운용환경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아 오작동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전자 정보통신기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전기/전자 정보통신기기를 구성하는 독립시스템인 셀프(shelf)로 각각 분리하여 공급해주도록 하는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기기에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부 일측면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입력단자로 구성된 입력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입력단이 형성된 버스바의 반대측면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각각의 셀프로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출력단자로 구성된 출력단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는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를 제공한다.
도 1은 다수개의 셀프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기기가 동시에 설치되는 하우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일실시예의 우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일실시예의 좌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도 5e, 도 5f, 도5g 및 도 5h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하우징 2 : 전원 분배 장치
10 : 버스바 20 : 본체
30 : 입력단 40,41,42,43,44 : 출력단
50b, 50c,50d, 50e, 50f, 50g : 절연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일실시예의 우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좌측면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버스바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단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입력되는 다수개의 입력단자로 구성된 입력단(30), 상기 입력단(30)의 반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각각의 셀프로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출력단자로 구성된 출력단(40,41,42,43,44)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스바의 단부 일측면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다수개의 입력단자로 구성된 입력단(30)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입력단(30)이 형성된 버스바의 반대측면에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각각의 셀프로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출력단자로 구성된 출력단(40,41,42,43,4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출력단(40,41,42,43,44)은 버스바(10)의 측면에 걸쳐 여러개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각각의 셀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단(30)을 구성하는 각각의 입력 단자와 출력단(40,41,42,43,44)을 형성하는 각각의 출력단자는 도전성 바(Bar)에 의해 입력단(30)을 구성하는 입력단자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도 5e, 도 5f, 도5g, 및 도 5h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버스바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선형태로 형성된 버스바(10)의 최하부에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의 접지용 베이스판(22)이 위치되고, 베이스판(22)의 일측면에는 조립 완성된 버스바가 하우징에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볼트홀(24)과 출력 단자(40e, 41e, 42e, 43e, 44e)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22)의 상부에는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하여 절연층(미도시)을 형성시킨 후,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의 전원 공급 단자판(26)이 설치되고, 전원 공급 단자판(26)에서 측면으로 출력 단자(40c, 41c, 42c, 43c, 44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전원 공급 단자판(26)의 상부에는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하여 절연층(50b)을 형성시킨다. 상기 절연층(50b)은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두께 50 μm 이상의 폴리비닐프로라이드,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 단자판(26)의 상부에 절연층(50b)이 형성된 후, 형성되어 있는 절연층(50b)의 상부면에는 도 5c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2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입력단자(30a, 30b, 30c)와 출력단자(40a, 40b, 41a)를 각각 배치한다. 입력단자(30a, 30b, 30c)와 출력단자(40a, 40b, 41a)를 연결하는 바(28)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바와 바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합선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입력단자(30a, 30b, 30c)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출력단자(40a, 40b, 41a)에서는 인가된 전압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도 5c 와 같이 입력단과 출력단이 배치된 후에는 그 상부에 다시 절연층(50c)이 형성되도록 하고, 절연층(50a)의 상부에 도 5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단자(30d, 30e, 30f)와 출력단자(41b, 42a, 42b)를 연결한다.
입력단자(30d, 30e, 30f)와 출력단자(41b, 42a, 42b)가 연결된 후, 상부에 절연층(50d)을 형성한 후, 도 5e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단자(30h, 30i, 30j)와 출력단자(43a, 43b, 44b)를 연결하고 상부에 절연층(50e)을 형성하고, 도 5f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단자(30g)와 출력단자(44b)를 차례대로 연결한다.
입력단자(30g)와 출력단자(44b)가 연결 배치된 후, 상부에 다시 절연층(50f)을 형성하고, 출력단자(40d, 41d, 42d, 43d, 44d)가 형성된 접지판(60a)을 도 5g 와 같이 배치하고, 절연층(50g)을 형성한 후, 출력단자(40f, 41f, 42f, 43f, 44f)가 형성된 접지판(60b)을 배치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단과 출력단을 배치할 때는 이전에 설치된 단자와 다른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여 단자와 단자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위치를 조절하여야 한다.
또한, 각각의 입력단과 출력단이 형성되고, 각단이 서로 연결된 후에는 반드시 절연층을 형성하여 각각의 입력단과 출력단이 서로 절연되도록 한다.
신호선을 연결하고, 입력단(30)을 구성하는 입력단자(30a, 30b, 30c, 30d, 30e, 30f)에 각각의 전원을 연결하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출력단(40, 41, 42, 43, 44)을 구성하는 출력단자들을 통해 각각의 셀프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버스바를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하우징과 같은 설비에 설치한 후, 외부의 전원선을 전원입력단에 연결하고, 각각의 셀프의 전원선을 버스바의 전원출력단과 연결하여 셀프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버스바를 구성함에 있어, 입출력단과 절연층의 적층 정도는 버스바가 사용되는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하우징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전기/전자 통신장비인 내부 셀프(shelf)로 각각 분리하여 공급함에 있어, 전선을 이용한 배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원 입력단과 전원 출력단이 설치되어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바를 사용하여 기존의 일반 배선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배선이 간결하게 되어 오배선과 납땜 불량이 발생하거나 온도 및 습도의 영향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랙의 각 셀프에 착설되는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장치에 사용되는 버스바에 있어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단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입력되는 다수개의 입력단자로 구성된 입력단(30), 상기 입력단(30)의 반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각각의 셀프로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출력단자로 구성된 출력단(40,41,42,43,44), 상기 본체(20)에 내재되어 입력단(30)을 구성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40,41,42,43,44)을 구성하는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도전성 바(2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본체(20)의 최하부에 설치되는 접지 베이스판(22), 상기 베이스판(22)의 상부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단자판(26), 상기 출력단(40,41,42,43,44)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하는 절연층(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베이스판(22)의 일측면에는 볼트홀(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50)은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두께 50 μm 이상의 폴리비닐프로라이드,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KR2020000006290U 2000-03-07 2000-03-07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버스바 KR200191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290U KR200191121Y1 (ko) 2000-03-07 2000-03-07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290U KR200191121Y1 (ko) 2000-03-07 2000-03-07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121Y1 true KR200191121Y1 (ko) 2000-08-16

Family

ID=1964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290U KR200191121Y1 (ko) 2000-03-07 2000-03-07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1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436B1 (ko) 2020-06-19 2020-10-22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건물용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바
KR102180369B1 (ko) 2020-04-24 2020-11-18 (주)골드이엔지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KR102186673B1 (ko) 2020-03-20 2020-12-04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73B1 (ko) 2020-03-20 2020-12-04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KR102180369B1 (ko) 2020-04-24 2020-11-18 (주)골드이엔지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KR102168436B1 (ko) 2020-06-19 2020-10-22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건물용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1950A (en) Backpanel assemblies
US5057026A (en) Electric junction box
US5325267A (en) Remote driver board having input/output connector circuitry molded therein
EP0421960B1 (en) Function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US6075704A (en) Input/output bus system in a tower building block system
CN107112655B (zh) 用于接线端组件的连接转接器
JPH1022593A (ja) バックプレーン配電システム
US20020127895A1 (en) Electrical apparatus including a bus conductor section
US3567999A (en) Integrated circuit panel
KR200191121Y1 (ko)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버스바
US5269693A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382983B2 (en) Module mounting system
EP0129982B1 (en) Backpanel assemblies
AU657824B2 (en) 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
JPH0412715Y2 (ko)
JP3161840B2 (ja) 積層母線
JPH0583828A (ja) ブスバーの回路変更方法
JPH01255179A (ja) コネクタ
JP2579957B2 (ja) 装置増設方法
CA2125433C (en) Remote driver board having input/output connector circuitry molded
JP3248354B2 (ja) 端子台
JPS6317168Y2 (ko)
JPH037265U (ko)
JPS62177879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20030018308A (ko) 보드의 컨넥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