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369B1 -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 Google Patents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369B1
KR102180369B1 KR1020200049752A KR20200049752A KR102180369B1 KR 102180369 B1 KR102180369 B1 KR 102180369B1 KR 1020200049752 A KR1020200049752 A KR 1020200049752A KR 20200049752 A KR20200049752 A KR 20200049752A KR 102180369 B1 KR102180369 B1 KR 10218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us bar
energized
bar bod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규섭
Original Assignee
(주)골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골드이엔지 filed Critical (주)골드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4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랙의 각 셀프에 착설되는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장치에 사용되는 버스바에 있어서, 절연플라스틱재질의 바로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부로 요부형성되데 좌측상향에서 우측하향으로 사선으로 단자사선요부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고 단자사선요부 내측단 우측면에는 삽입고정요홈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버스바몸체; 상기 버스바몸체의 단자사선요부에 삽입되는 사각바형상의 도체로 상기 삽입고정요홈에 삽입고정되는 크기를 갖고 일측선단면에는 전원의 +극이나 -극 중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통전볼트에 의해 통전공에 나사결합되어 통전이 이루어지고 좌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단자삽입홈이 연속형성되는 통전단자바; 및 도체로 일측단은 상기 버스바몸체의 단자사선요부 중 어느 하나에 사선으로 삽입되어 통전단자바의 다수개의 단자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서 통전단자바를 삽입고정요홈으로 각각 삽입고정시키면서 동시에 통전이 이루어지는 사선통전부가 형성되고 사선통전부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버스바몸체의 우측선단부 상면에 위치되며 상단면에는 절연코팅부를 갖고 우측선단부에는 단자볼트가 체결되는 단자공을 갖으며 우측선단부 저면에는 절연고무가 고정되어 단자볼트에 의해 버스바몸체 우측선단부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수평연장단자부가 형성되는 통전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스바몸체의 단자사선요부에 통전단자바를 각각 삽입위치시킨 다음, 통전연결단자로 각각 통전가능하게 손쉽게 고정지지하는 작업으로 단순하게 이루어지는바, 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통전연결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전기,전자 통신장비인 내부 셀프로 각각 분리하여 공급할 때, 전원연결 작업시, 버스바몸체의 통전연결단자의 갯수나 돌출위치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위치변경하거나 가감시킬 수 있어 남는 통전연결단자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버스바의 전원연결작업 및 배선작업이 손쉬우면서도 통일되게 이루어져 오배선의 염려없이 깔끔하게 정리된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Bus bars for power supply of peripheral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바몸체의 단자사선요부에 통전단자바를 각각 삽입위치시킨 다음, 통전연결단자로 각각 통전가능하게 손쉽게 고정지지하는 작업으로 단순하게 이루어지는바, 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통전연결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셀프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기기가 동시에 설치되는 하우징은 직육면체 형태이고, 최상부에는 전원분배장치가 설치된다. 전원 분배 장치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수평칸막이가 설치되어 하우징을 여러개의 공간으로 나뉘어 각각의 셀프를 구성하게 되고, 각각의 셀프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통신기기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우징에는 다수의 전기/전자 정보통신기기가 설치되고, 이들 기기는 하우징 외부에 설치된 정류기 또는 기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때 공급된 전원이 하우징에 설치된 전기/전자 정보통신기기에 입력되기 위해서는 전원분배장치를 경유하여 여러 단계의 전원으로 나뉘고 나뉜 전원은 케이블 배선을 통해 독립시스템인 각 셀프로 인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배선은 셀프의 수가 증가할수록 케이블 배선의 수도 함께 증가하게 되므로 각 케이블 배선간의 사이에 노이즈가 발생한다.
또한, 케이블 배선은 독립시스템인 셀프의 수가 증가할수록 배선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유지보수작업의 비효율이 생기고, 오배선과 납땜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정보통신기기의 운용환경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아 오작동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랙의 각 셀프에 착설되는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장치에 사용되는 버스바에 있어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단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입력되는 다수개의 입력단자로 구성된 입력단(30), 상기 입력단(30)의 반대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각각의 셀프로 분배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출력단자로 구성된 출력단(40,41,42,43,44), 상기 본체(20)에 내재되어 입력단(30)을 구성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40,41,42,43,44)을 구성하는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도전성 바(28)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20)는 본체(20)의 최하부에 설치되는 접지 베이스판(22), 상기 베이스판(22)의 상부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 단자판(26), 상기 출력단(40,41,42,43,44)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하는 절연층(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 베이스판(22)의 일측면에는 볼트홀(24)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50)은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두께 50 μm 이상의 폴리비닐프로라이드,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가 실용신안등록 제20-0191121호(2000.08.16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전원공급용 버스바는, 하나의 입력단과 다수개의 출력단(40,41,42,43,44)을 구성하는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도전성 바(28)를 갖는 전원 공급 단자판(26)을 절연층(50)으로 출력단(40,41,42,43,44)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다수개를 접착고정시키면서 적층시켜 이루어진 것인바, 전원 공급 단자판(26)의 상하단면에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두께 50 μm 이상의 폴리비닐프로라이드,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접착고정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추가되어야 하고, 이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더라도 많은 작업시간과 많은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추가되어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스바의 임의 장소에 임의 수의 출력단자가 돌출된 상태로 제작됨에 따라 소비자 사용시 버스바의 출력단자의 수가 너무 많거나 아니면 너무 적은 경우가 발생되고, 작업후 남는 출력단자가 많을 경우에는 버스바의 외관이 지저분하고 부주의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며, 작업시 출력단자가 모자르면 연결작업이 이루어지는 주변부가 아닌 다른 곳에서 전원을 끌고와서 연결해야 하므로 전원의 연결작업이 통일되고 깔끔하게 정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001)(KR)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1121호(2000.08.1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바몸체의 단자사선요부에 통전단자바를 각각 삽입위치시킨 다음, 통전연결단자로 각각 통전가능하게 손쉽게 고정지지하는 작업으로 단순하게 이루어지는바, 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통전연결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전기,전자 통신장비인 내부 셀프로 각각 분리하여 공급할 때, 전원연결 작업시, 버스바몸체의 통전연결단자의 갯수나 돌출위치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위치변경하거나 가감시킬 수 있어 남는 통전연결단자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버스바의 전원연결작업 및 배선작업이 손쉬우면서도 통일되게 이루어져 오배선의 염려없이 깔끔하게 정리된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랙의 각 셀프에 착설되는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장치에 사용되는 버스바에 있어서,
절연플라스틱재질의 바로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부로 요부형성되데 좌측상향에서 우측하향으로 사선으로 단자사선요부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고 단자사선요부 내측단 우측면에는 삽입고정요홈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버스바몸체;
상기 버스바몸체의 단자사선요부에 삽입되는 사각바형상의 도체로 상기 삽입고정요홈에 삽입고정되는 크기를 갖고 일측선단면에는 전원의 +극이나 -극 중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통전볼트에 의해 통전공에 나사결합되어 통전이 이루어지고 좌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단자삽입홈이 연속형성되는 통전단자바; 및
도체로 일측단은 상기 버스바몸체의 단자사선요부 중 어느 하나에 사선으로 삽입되어 통전단자바의 다수개의 단자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서 통전단자바를 삽입고정요홈으로 각각 삽입고정시키면서 동시에 통전이 이루어지는 사선통전부가 형성되고 사선통전부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버스바몸체의 우측선단부 상면에 위치되며 상단면에는 절연코팅부를 갖고 우측선단부에는 단자볼트가 체결되는 단자공을 갖으며 우측선단부 저면에는 절연고무가 고정되어 단자볼트에 의해 버스바몸체 우측선단부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수평연장단자부가 형성되는 통전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바몸체의 단자사선요부에 통전단자바를 각각 삽입위치시킨 다음, 통전연결단자로 각각 통전가능하게 손쉽게 고정지지하는 작업으로 단순하게 이루어지는바, 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통전연결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전기,전자 통신장비인 내부 셀프로 각각 분리하여 공급할 때, 전원연결 작업시, 버스바몸체의 통전연결단자의 갯수나 돌출위치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위치변경하거나 가감시킬 수 있어 남는 통전연결단자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버스바의 전원연결작업 및 배선작업이 손쉬우면서도 통일되게 이루어져 오배선의 염려없이 깔끔하게 정리된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1)는,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랙의 각 셀프에 착설되는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절연플라스틱재질로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를 갖는 버스바몸체(10)와,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에 각각 삽입되는 통전단자바(20,20a,20b,20c)와,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에 일측이 삽입되어 통전단자바(20,20a,20b,20c)와 각각 통전되면서 통전단자바(20,20a,20b,20c)를 삽입고정요홈(12,12a,12b,12c)에서 각각 고정지지하는 통전연결단자(30,30a.30b.30c)로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몸체(10)는, 절연플라스틱재질의 바로,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부로 요부형성되데, 좌측상향에서 우측하향으로 사선으로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고,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 내측단 우측면에는 삽입고정요홈(12,12a,12b,12c)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통전단자바(20,20a,20b,20c)는, 상기 버스바몸체(10)의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에 삽입되는 사각바형상의 도체로, 상기 삽입고정요홈(12,12a,12b,12c)에 삽입고정되는 크기를 갖고 일측선단면에는 전원선(도시않음)의 +극이나 -극 중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통전볼트(21a)에 의해 통전공(21)에 나사결합되어 통전이 이루어지고, 좌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단자삽입홈(22)이 연속형성된다.
상기 통전연결단자(30,30a.30b.30c)는, 도체로, 일측단은 상기 버스바몸체(10)의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 중 어느 하나에 사선으로 삽입되어 통전단자바(20,20a,20b,20c)의 다수개의 단자삽입홈(2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서 통전단자바(20,20a,20b,20c)를 삽입고정요홈(12,12a,12b,12c)으로 각각 삽입고정시키면서 동시에 통전이 이루어지는 사선통전부(31)가 형성되고, 사선통전부(31)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버스바몸체(10)의 우측선단부 상면에 위치되며 상단면에는 절연코팅부(32a)를 갖고 우측선단부에는 단자볼트(32c)가 체결되는 단자공(32b)을 갖으며 우측선단부 저면에는 절연고무(33)가 고정되어 단자볼트(32c)에 의해 버스바몸체(10) 우측선단부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수평연장단자부(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버스바몸체(10)의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에 통전단자바(20,20a,20b,20c)를 각각 삽입위치시킨 다음, 통전연결단자(30,30a.30b.30c)로 각각 통전가능하게 손쉽게 고정지지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지는바, 그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통전연결작업도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공급장치(2)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전기,전자 통신장비인 내부 셀프(shelf)로 각각 분리하여 공급할 때, 전원연결 작업시, 버스바몸체(10)의 통전연결단자(30,30a.30b.30c)의 갯수나 돌출위치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위치변경하거나 가감시킬 수 있어 남는 통전연결단자(30,30a.30b.30c)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버스바(1)의 전원연결작업 및 배선작업이 손쉬우면서도 통일되게 이루어져 오배선의 염려없이 깔끔하게 정리된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버스바
2 : 전원분배장치
10 : 버스바몸체 11,11a,11b,11c : 단자사선요부
12,12a,12b,12c : 삽입고정요홈
20,20a,20b,20c : 통전단자바 21 : 통전공
21a : 통전볼트 22 : 단자삽입홈
30,30a,30b,30c : 통전연결단자 31 : 사선통전부
32 : 수평연장단자부 32a : 절연코팅부
32b : 단자공 32c : 단자볼트
33 : 절연고무

Claims (1)

  1. 절연플라스틱재질의 바로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부로 요부형성되데 좌측상향에서 우측하향으로 사선으로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되고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 내측단 우측면에는 삽입고정요홈(12,12a,12b,12c)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버스바몸체(10)와, 상기 버스바몸체(10)의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고정요홈(12,12a,12b,12c)에 삽입고정되는 크기를 갖는 사각바형상의 도체인 통전단자바(20,20a,20b,20c)와, 도체로 상기 버스바몸체(10)의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 중 어느 하나에 사선으로 삽입되어 통전단자바(20,20a,20b,20c)의 다수개의 단자삽입홈(2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서 통전이 이루어지고 단자볼트(32c)가 체결되는 단자공(32b)을 갖으며 단자볼트(32c)에 의해 버스바몸체(10) 우측선단부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수평연장단자부(32)가 형성되는 통전연결단자(30,30a.30b.30c)를 구비하여 전기/전자 통신장비의 랙의 각 셀프에 착설되는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분배장치(2)에 사용되는 버스바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바(20,20a,20b,20c)는, 일측선단면에는 전원의 +극이나 -극 중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통전볼트(21a)에 의해 통전공(21)에 나사결합되어 통전이 이루어지고 좌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단자삽입홈(22)이 연속형성되며;
    상기 통전연결단자(30,30a.30b.30c)는, 일측단은 상기 버스바몸체(10)의 단자사선요부(11,11a,11b,11c) 중 어느 하나에 사선으로 삽입되어 통전단자바(20,20a,20b,20c)의 다수개의 단자삽입홈(2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서 통전단자바(20,20a,20b,20c)를 삽입고정요홈(12,12a,12b,12c)으로 각각 삽입고정시키면서 동시에 통전이 이루어지는 사선통전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장단자부(32)는 사선통전부(31)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버스바몸체(10)의 우측선단부 상면에 위치되며 상단면에는 절연코팅부(32a)를 갖고 우측선단부 저면에는 절연고무(33)가 고정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KR1020200049752A 2020-04-24 2020-04-24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KR10218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52A KR102180369B1 (ko) 2020-04-24 2020-04-24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52A KR102180369B1 (ko) 2020-04-24 2020-04-24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369B1 true KR102180369B1 (ko) 2020-11-18

Family

ID=7369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752A KR102180369B1 (ko) 2020-04-24 2020-04-24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3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21Y1 (ko) 2000-03-07 2000-08-16 서울텔레콤주식회사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버스바
KR200259338Y1 (ko) * 2001-10-09 2002-01-05 윤여관 단자대 지지홀더
KR100772135B1 (ko) * 2006-05-22 2007-10-31 김영찬 다중 모선 부스 방식의 전원 분배 장치
JP2010108738A (ja) * 2008-10-30 2010-05-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20180086982A (ko) * 2017-01-24 2018-08-01 코리아알프스(주) 분전반의 부스바 고정 구조체
KR102081988B1 (ko) * 2019-03-12 2020-02-26 청진산전 주식회사 변압기 함내 분전대의 저압측 부스바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121Y1 (ko) 2000-03-07 2000-08-16 서울텔레콤주식회사 정보통신 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버스바
KR200259338Y1 (ko) * 2001-10-09 2002-01-05 윤여관 단자대 지지홀더
KR100772135B1 (ko) * 2006-05-22 2007-10-31 김영찬 다중 모선 부스 방식의 전원 분배 장치
JP2010108738A (ja) * 2008-10-30 2010-05-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20180086982A (ko) * 2017-01-24 2018-08-01 코리아알프스(주) 분전반의 부스바 고정 구조체
KR102081988B1 (ko) * 2019-03-12 2020-02-26 청진산전 주식회사 변압기 함내 분전대의 저압측 부스바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41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input power distribution to adjacent outputs
US11411358B2 (en) Outlet connection schema for a PDU
US9130326B2 (en)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a load, and system therefor
US20220079353A1 (en) System for a presentation, sales or exhibition stand and/or for store fitting
US20090053937A1 (en) Stackable composite power connector
KR101297487B1 (ko) 멀티 모듈러를 구비하는 분전반
CN102882083A (zh) 供电装置及具有供电装置的机柜供电系统
US8039997B2 (en) Power supply strip for electronic equipment
US11272636B2 (en) Power connection distributor
KR102180369B1 (ko)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US10411420B2 (en) Universal electrical installation system
JP2012248140A (ja) サーバシステムにおける直流電源の給電構造
KR102186673B1 (ko)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용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버스바
KR100594908B1 (ko) 분,배전반용 꽂음식 자선부스바
US11849865B2 (en) System for a presentation, sales or exhibition stand and/or for store fitting, as well as current-carrying wall member in such a system
KR102168436B1 (ko) 건물용 정보통신기기 및 정보통신 주변기기의 전원공급용 바
JP2003289604A (ja) ブレーカ用端子台および1次送りブレーカ付き分電盤
KR101633734B1 (ko)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KR100594909B1 (ko)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CN220492847U (zh) 一种供电单元
US11217970B2 (en) Multiple fed busbar system
JP5441032B2 (ja) 単相3線式分電盤の母線構造
EP3060032B1 (en) Power terminal
KR100981154B1 (ko) 분전반 어셈블리
SE538769C2 (en) Power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