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647Y1 -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647Y1
KR200190647Y1 KR2020000006497U KR20000006497U KR200190647Y1 KR 200190647 Y1 KR200190647 Y1 KR 200190647Y1 KR 2020000006497 U KR2020000006497 U KR 2020000006497U KR 20000006497 U KR20000006497 U KR 20000006497U KR 200190647 Y1 KR200190647 Y1 KR 200190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tone
hinged
eyeglas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2020000006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테나 안경다리 선단부에 선택적으로 힌지돌봉과 이에 끼워지는 끼움공을 갖는 텐션돌편을 형성함에 있어 힌지돌봉에 끼워지는 한 쌍의 텐션돌편을 탄동되도록 무리하게 벌리지 않고도 텐션돌편을 힌지돌봉에 용이하게 체결토록 함으로서 안경다리의 힌지체결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힌지돌봉의 돌출길이를 길게 연장할 수 있어 힌지체결부위의 고정력을 높여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에도 안경다리가 안경테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함에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텐션절개홈을 기준으로 탄동하고 끼움공을 천공하여서 된 한 쌍의 텐션돌편을 안경테 양측이나 안경다리 선단부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텐션돌편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힌지돌봉을 상기 텐션돌편을 형성하지 않는 안경테나 안경다리의 체결부위상에 위치한 돌부에 형성하여 원터치 크립 체결방식으로 안경다리와 안경테를 힌지체결함에 있어서, 안경테의 양측으로부터 회동 절첩되는 안경다리의 회동반경에 있어 90°간격으로 안경다리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회동 반경내에서(약 45°정도의 각도) 텐션돌편을 탄력적으로 변형시키지 않고도 힌지돌봉에 텐션돌편의 끼움공을 끼움 체결하기 위한 체결유도절개홈을 텐션돌편 일측면에서 텐션돌편의 끼움공과 연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Hinge locking structure of clip style glasses}
본 고안은 안경테 양측으로 안경다리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기 위한 힌지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체결을 용이하게 이루어 조립라인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비틀림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힌지체결부위가 빠지지 않도록 그 체결력을 일층 강화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킴에 있다.
개시하고 있는 안경은 다양한 구성의 힌지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안경테 양측으로부터 안경다리를 회동절첩되도록 체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힌지체결수단에 있어 본 고안과 관련한 크립방식의 안경 힌지체결수단의 일례를 도 1a와 도 1b를 토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안경테(10) 양측으로 돌출하는 돌부(11)를 형성하고, 돌부 상,하부에 힌지돌봉(11a)이 돌출되어진 힌지체결부위를 구성하고있다.
그리고 안경다리(20) 선단부에는 상기한 안경테상의 힌지체결부위에 체결되어지는 힌지체결부위를 마련하데, 이는 힌지돌봉에 끼워지는 끼움공(21a)(21a')을 갖는 텐션돌편(21)(21')이 상,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텐션돌편이 상,하측으로 탄동할 수 있도록 텐션절개홈(22)을 한 쌍의 텐션돌편 사이에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안경 힌지체결부위를 이용하여 안경테 양측으로 안경다리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즉, 안경 조립라인에서 작업자가 한손으로 렌즈가 장착되어진 안경테(1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안경다리(20)를 잡은 상태에서 안경다리 선단부의 힌지체결부위에 있어 상,하측 텐션돌편(21)(21')의 사이에 마련되어진 공간을 이용하여 안경테 힌지체결부위의 돌부(11)에 요입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한 쌍의 텐션돌편상에 형성되어진 끼움공(21a)(21a')을 상기한 돌부의 상,하측에 마련된 힌지돌봉(11a)에 끼움으로서 소망하는 바와 같이 안경다리가 안경테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한 쌍의 텐션돌편은 텐션절개홈(22)에 의해 상,하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이면서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수단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가해진 외력으로부터 안경다리와 안경테간의 힌지체결부위가 크립방식으로 체결되어 있어 쉽게 그 체결력을 잃어버리고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여 사용이 불편한 것이었다.
예컨데, 안경다리 선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텐션돌편이 텐션절개홈에 의해 탄동되도록 되어 있어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으로부터 텐션돌편이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안경테 돌부의 힌지돌봉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와 착용자가 수시로 안경다리를 재차 체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노출되었던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문제점을 일층 해소코져 힌지돌봉의 길이를 연장시켜 한 쌍의 텐션돌편이 뒤틀림이나 적은 충격에도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안경다리를 안경테에 체결함에 있어, 길게 돌출되어진힌지돌봉으로부터 텐션돌편의 끼움공을 끼움 결합하기가 매우 난해하며, 이러한 과정중에 텐션돌편이 부러지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안경테나 안경다리 선단부에 선택적으로 힌지돌봉과 이에 끼워지는 끼움공을 갖는 텐션돌편을 형성함에 있어 힌지돌봉에 끼워지는 한 쌍의 텐션돌편을 탄동되도록 무리하게 벌리지 않고도 텐션돌편을 힌지돌봉에 용이하게 체결토록 함으로서 안경다리의 힌지체결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힌지돌봉의 돌출길이를 길게 연장할 수 있어 힌지체결부위의 고정력을 높여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에도 안경다리가 안경테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원터치 크립체결방식의 안경 힌지체결부위에 있어 힌지돌봉과 이에 끼워지는 텐션돌편의 체결부위에 각각 고정돌편과 고정홈을 이용하여 고정토록 함으로서 안경다리를 펼친상태에서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에도 안경다리 선단부의 텐션돌편이 벌어지지 않도록 방지하여 안경다리가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측면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a는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예시도.
도 3b는 안경다리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예시도.
도 3c는 안경다리가 분리되어 빠져나오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 사시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측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안경테, 101 - 돌부,
102,214,224 - 힌지돌봉, 103,103' - 고정홈,
200 - 안경다리, 210,220 - 텐션돌편,
211,221 - 끼움공, 212,222 - 체결유도절개홈,
213,223 - 고정돌편, 230 - 텐션절개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텐션절개홈을 기준으로 탄동하고 끼움공을 천공하여서 된 한 쌍의 텐션돌편을 안경테 양측이나 안경다리 선단부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텐션돌편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힌지돌봉을 상기 텐션돌편을 형성하지 않는 안경테나 안경다리의 체결부위상에 위치한 돌부에 형성하여 원터치 크립 체결방식으로 안경다리와 안경테를 힌지체결함에 있어서, 안경테의 양측으로부터 회동 절첩되는 안경다리의 회동반경에 있어 90°간격으로 안경다리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회동 반경내에서(약 45°정도의 각도) 텐션돌편을 탄력적으로 변형시키지 않고도 힌지돌봉에 텐션돌편의 끼움공을 끼움 체결하기 위한 체결유도절개홈을 텐션돌편 일측면에서 텐션돌편의 끼움공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적 구성으로는, 한 쌍의 텐션돌편 일측면에 고정돌편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편이 요입 끼움되는 고정홈을 힌지돌봉을 형성하는 돌부의 일측면에 형성함으로서, 상기 텐션돌편이 돌부의 힌지돌봉에 힌지체결될때 텐션돌편의 고정돌편이 돌부의 고정홈에 끼워져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에도 텐션돌편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적 구성으로는, 안경테 측면의 돌부에 끼움공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돌부 일측면으로 끼움공과 연통하는 체결유도절개홈을 상,하측으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체결유도절개홈으로 출입하면서 끼움공에 끼워지는 힌지돌봉을 안경다리 선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텐션돌편에 형성하여 안경다리를 안경테에 원터치로 힌지체결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 발췌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절개홈(230)을 기준으로 상,하측방향으로 탄동하고 끼움공(211)(221)을 천공하여서 된 한 쌍의 텐션돌편(210)(220)을 안경다리(200) 선단부에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한 텐션돌편을 안경테 양측으로 안경테 사출성형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텐션돌편의 끼움공(211)(221)에 끼워지는 힌지돌봉(102)을 상,하면에 돌출형성하는 돌부(101)를 안경테(100) 양측면에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 또한 안경다리 사출성형시 그 선단부에 위치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끼움공(211)(221)을 갖는 텐션돌편과 힌지돌봉(102)을 형성한 돌부(101)를 이용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원터치 크립 체결방식으로 힌지체결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은 통상의 원터치 크립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회동 절첩되도록 힌지체결하는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만 안경테(10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회동 절첩되는 안경다리(200)의 회동반경에 있어 90°간격으로 안경다리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회동 반경내에서(약 45°정도의 각도) 텐션돌편(210)(220)을 탄력적으로 조금만 변형시키거나 또는 변형시키지 않고도 (조금만 벌어지거나 또는 벌어지지 않고도) 돌부의 힌지돌봉(102)에 텐션돌편의 끼움공(211)(221)을 끼움 체결하기 위한 체결유도절개홈(212)(222)을 텐션돌편 일측면에서 텐션돌편의 끼움공과 연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텐션돌편 일측면에 고정돌편(213)(223)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편이 요입 끼움되는 고정홈(103)(103')을 힌지돌봉을 형성하는 돌부(101)의 일측면에 형성함으로서, 상기 텐션돌편이 돌부의 힌지돌봉에 힌지체결될때 텐션돌편의 고정돌편이 돌부의 고정홈(103)(103')에 움직이지 않도록 끼워짐으로서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에도 펼쳐진 상태에서 안경다리의 텐션돌편이 벌어지지 못하게 하여 안경다리가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6은 동 실시예의 측면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경테 측면의 돌부(101)에 끼움공(104)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돌부 일측면으로 끼움공과 연통하는 체결유도절개홈(105)(105')을 상,하측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유도절개홈으로 출입하면서 끼움공에 끼워지는 힌지돌봉(214)(224)을 안경다리 선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텐션돌편(210)(220)에 형성하여 안경다리를 안경테에 원터치로 힌지체결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한 쌍의 텐션돌편(210)(220)에 형성되어진 끼움공과 연통하도록 텐션돌편 일측면에 마련되어진 체결유도절개홈(212)(222)을 안경테 측방의 돌부(101) 상,하면에 돌출되어진 힌지돌봉(102)과 직선거리에서 일치하는 각도, 예컨데 안경테를 기준으로할때 안경다리의 회동반경중 약 45°각도에서 안경다리를 위치시킨후 안경테의 돌부를 향해 밀어주면 상기 안경다리 선단부의 텐션돌편(210)(220)상에 마련된 체결유도절개홈(212)(222)이 힌지돌봉에 안내된체 슬라이딩 요입함과 동시에 텐션돌편의 끼움공(211)(221)이 최종적으로 힌지돌봉에 원터치로 요입되어 체결되며,이때 길게 돌출되어진 힌지돌봉의 돌출길이와 상관없이 텐션돌편을 신속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어 힌지돌봉의 돌출길이를 길게 설계하여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으로부터 탄동하는 텐션돌편이 힌지돌봉에 걸려 쉽게 빠져나오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경테를 기준으로 안경다리를 자유롭게 회동절첩하면서 안경을 착용하거나 벗어서 안경케이스와 같은 보관함에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안경다리를 회동 절첩함에 있어 도 3a와 도 3b와 같이 안경다리가 안경테(100)로부터 약 90°각도의 간격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때는 돌부의 힌지돌봉(102)과 텐션돌편상의 체결유도절개홈(212)(222)이 직선거리에 위치하지 않고 일측으로 틀어져 있어 어떠한 방향에서든지 외력을 가하거나 작은 충격 또는 뒤틀림에도 텐션돌편의 체결유도절개홈(212)(222)이 힌지돌봉(102)에 걸려있거나 텐션돌편의 일부가 안경테의 돌부(101) 일면에 걸려짐으로서 안경다리가 빠지지 않는 것이다.
아울러, 안경다리(200)를 안경테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는 도 3c와 같이 힌지돌봉을 기준으로하여 체결유도절개홈(212)(222)이 직선거리에 위치함과 동시에 텐션돌편의 일부분이 안경테의 돌부 일면에 걸려지지 않는 각도 예컨데, 안경다리 회동반경중 약 45°각도상에 위치시킨후 안경다리(200)를 잡아당기면 체결유도절개홈(212)(222)이 힌지돌봉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져나오면서 손쉽게 안경다리를 분리하게 되고, 이로서 안경다리를 신속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와 같이 안경다리 선단의 텐션돌편(210)(220)이 안경테 돌부에 힌지체결된 후 안경다리(200)를 도 3a와 같이 펼친 상태에서는 텐션돌편 일측의 고정돌편이 돌부 일측면에 형성되어진 고정홈(103)(103')에 요입되어 끼움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외력에 따라 신축적으로 탄동하는 텐션돌편이 상기한 고정돌편과 고정홈의 고정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아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에도 텐션돌편이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안경테 측면의 돌부(101)상에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진 끼움공(104)과 연통하도록 돌부 측면에 마련된 체결유도절개홈(105)(105')과 안경다리 선단부 한 쌍의 텐션돌편 사이에 형성되어진 힌지돌봉(214)(224)을 직선거리에 위치시킨 후 안경다리를 밀어주면, 이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결유도절개홈(105)(105')을 따라 힌지돌봉(214)(224)이 자연스럽게 요입된 다음 최종적으로 텐션돌편의 힌지돌봉이 돌부의 끼움공에 끼워짐으로서 소망하는 바와 같이 안경다리의 회동 절첩을 편리하게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고안은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크립 체결방식으로 체결함에 있어, 안경테 측면의 돌부 상,하면에 돌출되어진 힌지돌봉의 돌출길이에 상관없이 안경다리 선단부의 텐션돌편을 탄동하도록 벌려서 체결하지 않고도 텐션돌편이나 안경테의 돌부상에 마련된 체결유도절개홈을 이용하여 힌지돌봉에 텐션돌편을 신속간편하게 체결토록함으로서 작업라인에서의 안경다리 힌지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텐션돌편을 무리하게 체결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미연에 예방하며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에도 텐션돌편이 빠지지 않아 사용편리성을 가일층 높이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텐션절개홈(230)을 기준으로 탄동하고 끼움공(211)(221)을 천공하여서 된 한 쌍의 텐션돌편(210)(220)을 안경테 양측이나 안경다리(200) 선단부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텐션돌편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힌지돌봉(102)을 상기 텐션돌편을 형성하지 않는 안경테나 안경다리의 체결부위상에 위치한 돌부(101)에 형성하여 원터치 크립 체결방식으로 안경다리와 안경테를 힌지체결함에 있어서, 안경테(100)의 양측으로부터 회동 절첩되는 안경다리의 회동반경에 있어 90°간격으로 안경다리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회동 반경내에서(약 45°정도의 각도) 텐션돌편(210)(220)을 탄력적으로 조금만 변형시키거나 또는 변형시키지 않고도 힌지돌봉(102)에 텐션돌편의 끼움공을 끼움 체결하기 위한 체결유도절개홈(212)(222)을 텐션돌편 일측면에서 텐션돌편의 끼움공과 연통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텐션돌편(210)(220) 일측면에 고정돌편(213)(223)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편이 요입 끼움되는 고정홈(103)(103')을 힌지돌봉을 형성하는 돌부(101)의 일측면에 형성함으로서, 상기 텐션돌편이 돌부의 힌지돌봉에 힌지체결될때 텐션돌편의 고정돌편이 돌부의 고정홈(103)(103')에 끼워져 작은 충격이나 뒤틀림에도 텐션돌편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 측면의 돌부(101)에 끼움공(104)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돌부 일측면으로 끼움공과 연통하는 체결유도절개홈(105)(105')을 상,하측으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체결유도절개홈으로 출입하면서 끼움공에 끼워지는 힌지돌봉(214)(224)을 안경다리 선단부에 마련된 한 쌍의 텐션돌편에 형성하여 안경다리를 안경테에 원터치로 힌지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KR2020000006497U 2000-03-08 2000-03-08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KR200190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97U KR200190647Y1 (ko) 2000-03-08 2000-03-08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97U KR200190647Y1 (ko) 2000-03-08 2000-03-08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647Y1 true KR200190647Y1 (ko) 2000-08-01

Family

ID=1964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497U KR200190647Y1 (ko) 2000-03-08 2000-03-08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6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491A1 (ko) * 2019-07-22 2021-01-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사경을 구비한 검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491A1 (ko) * 2019-07-22 2021-01-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사경을 구비한 검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3965B1 (en) Guiding sheath assembly for a hinge of an eyeglass frame
US5963296A (en) Detachable cam-biased eyeglass temples
KR200443382Y1 (ko) 조립형 안경
ES2391146T3 (es) Dispositivo de retención y ajuste para componentes de mueble móviles
KR100892543B1 (ko) 안경 프레임
JP2975361B1 (ja) 眼鏡用のバネ蝶番
KR101696257B1 (ko) 텔레스코픽 힌지를 구비한 안경용 프레임과 프레임용 힌지
KR101114547B1 (ko) 안경 구조체
KR200190647Y1 (ko)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JP2828916B2 (ja) ケース入り折畳み眼鏡
JPH10306632A (ja) 蝶番式ロックキー
JPH02304415A (ja) 眼鏡用ばねつき蝶番
JP4005024B2 (ja) ヒンジ
KR102121209B1 (ko) 여닫이도어의 힌지장치
KR102462079B1 (ko) 안경용 힌지
KR200435746Y1 (ko) 안경테
JP2001154156A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417639Y1 (ko) 손톱깎이
ATE237824T1 (de) Elastisches brillenscharnier
KR200259862Y1 (ko) 조립식 액자
KR200257497Y1 (ko) 안경다리의 완충장치
JPH0894978A (ja) 眼鏡用サイドジョイント
JP3089482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JP3315390B2 (ja) 蝶 番
KR200371056Y1 (ko) 헤어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