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257B1 - 텔레스코픽 힌지를 구비한 안경용 프레임과 프레임용 힌지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픽 힌지를 구비한 안경용 프레임과 프레임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257B1
KR101696257B1 KR1020117023008A KR20117023008A KR101696257B1 KR 101696257 B1 KR101696257 B1 KR 101696257B1 KR 1020117023008 A KR1020117023008 A KR 1020117023008A KR 20117023008 A KR20117023008 A KR 20117023008A KR 101696257 B1 KR101696257 B1 KR 10169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iece
opening
rest surfaces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434A (ko
Inventor
도미니끄 들라무르
알렝 미끌리따리앙
올리비에 로디
리샤르 쉔느
Original Assignee
도미니끄 들라무르
알렝 미끌리따리앙
올리비에 로디
리샤르 쉔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미니끄 들라무르, 알렝 미끌리따리앙, 올리비에 로디, 리샤르 쉔느 filed Critical 도미니끄 들라무르
Publication of KR2012000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27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fixed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8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fold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4Coil spring pulled upon actu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30Pis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측방 포스트와 2개의 텔레스코픽 힌지(6,7)의 힌지 핀(11)에 대해 포스트에 힌지가 달린 2개의 암에 의해 연장된 프론트 표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포스트와 암 요소(9)에 단단히 연결된 프론트 표면 요소(8)를 구비한 이들의 각각은 프론트 표면 요소(8)에 힌지가 달리고 스프링에 반하여 시스내에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암에 단단히 연결되고; 프론트 표면 요소(8)와 암 요소(9)의 시스(13)는, 암의 오픈 위치에서, 오프닝을 멈추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매칭 횡단 면(24)에 의해 맞물린다. 각각의 힌지의 두 요소(8,9)의 오프닝을 멈추는 표면(24)은 거칠며, 요소, 표면, 그리고 암(8,9) 중 하나의 오프닝을 멈추는 표면(24)은 속이 빈 중간 영역(27)을 갖는다. 본 발명 덕분에, 프레임 힌지는 크기가 작아짐에도 동일한 성능을 갖는다.

Description

텔레스코픽 힌지를 구비한 안경용 프레임과 프레임용 힌지{FRAME FOR SPECTACLES WITH TELESCOPIC HINGES, AND HINGE FOR THE FRAME}
본 발명의 분야는 안경테(spectacle frames)에 관한 것이다.
안경테는 프론트 사이드와 힌지(hinge)에 의해 프론트 사이드(front side)의 사이드 테논(side tenon)에 각각 결합되어 장착되는 2개의 사이드-피스(two side-pieces)를 포함한다.
오프닝 위치(opening position)에서, 안경 사이드-피스(spectacle side-piece)는 프론트 사이드의 일반적인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텔레스코픽 힌지(telescopic hinge)는 사이드-피스가 이러한 직각 이상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오프닝(overopening)" 덕분으로 텔레스코픽 힌지는 프레임이 코에 얹혀질 때 더욱 편안함을 제공하며 프레임과 사이드-피스가 부러지거나 변형되는 위험을 방지한다.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는 일반적으로 머리에 사이드-피스를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지만, 정확히 이러한 과오프닝을 허용한다.
텔레스코픽 힌지는 일반적으로 조인트 축(joint axis)에 조립되고, 특히, 코어가 자체적으로 사이드-피스를 형성하지 않을 때, 텔레스코픽 힌지가 형성되는 코어(core)가 존재하는 사이드-피스의 슴베(tang)의 각각의 프론트 사이드 테논(프론트 요소)과 사이드-피스(사이드-피스 요소)와 일체로 되는 2개의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힌지가 사이드-피스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힌지가 슴베를 가지고 있을 때 조차, 잠김(fastening)은 사이드-피스 테논으로서 또한 지칭된 사이드-피스의 끝단(end)에서 일어난다.
사이드-피스와 일체를 이루는 사이드-피스 요소는, 한편으로, 조인트 축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코어 또는 사이드-피스 자체를 갖는 내부에 존재하는 시스(sheath) 내에 탑재된 슬라이드(slide)를 포함한다. 시스내 슬라이드의 슬라이딩은 스프링, 일반적으로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반하여 그리고 작용하에 일어나며, 또한 시스 내에서 연장된다.
힌지의 프론트 요소는 베이스(base)로서 지칭된 사이드-피스 요소의 시스의 전면부(front portion)와 협력한다.
현재의 프레임에서, 사이드-피스가 오픈된 위치에 있을 때, 프론트 요소와 텔레스코픽 힌지의 사이드-피스 요소의 베이스는, 서로에 반하여 접합부(abutment)에서, 조인트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평면(또는 2쌍의 평면)을 통해 협력한다.
즉, 2개의 힌지 요소는 프론트 사이드의 일반적인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이고 프레임의 관련된 사이드-피스의 일반적인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따라서 결합 된다.
프레임의 사이드-피스가 힌지의 조인트 축의 주위에 회전될 때, 오프닝 위치에서 클로징 위치로, 사이드-피스가 프론트 요소의 평면 조인트 표면에 인접한 캠 표면(cam surface)으로 인해 갑자기 기울어질 때까지, 사이드-피스 요소의 베이스의 조인트 표면은 프론트 요소의 조인트 표면의 내부 영역 둘레를 선회한다.
이러한 선회 조건에서, 힌지 스프링의 압축은 완전하지 않으며 리턴 기능(return function)은 약간 느슨하다.
스프링의 전체 힘을 완전히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제조업체들은 다른 힌지 부품과 마찬가지로 스프링의 크기를 과도하게 크게 하도록 강제된다.
범용성을 위해, 프레임 설계의 많은 다양성을 감안하여, 출원인들은, 동일한 성능으로, 안경 힌지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시도하였으며 이것은 이들이 자신들의 발명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2개의 사이드 테논과 더불어 연장된 프론트 사이드, 그리고 테논과 일체로 되는 프론트 요소 및 사이드-피스와 일체로 되는 사이드-피스 요소를 각각 구비하는 2개의 텔레스코픽 힌지의 힌지 축 주위 테논에 결합된 2개의 사이드-피스를 포함하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힌지의 사이드-피스 요소는 프론트 요소에 결합되고 스프링의 작용에 대해 그리고 작용하에 시스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탑재된 슬라이드(slide)를 포함하며, 사이드-피스의 오프닝 위치에서, 힌지의 사이드-피스 요소의 프론트 요소 및 시스는 힌지의 조인트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적어도 2개의 상호 상호 보완적인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two complementary transversal opening rest surface)을 통해 협력하며, 상기 프레임은 각각의 힌지의 두 요소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프론트와 사이드-피스 요소 중 하나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은 오목한 중간 영역(recessed intermediary are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엇보다도, 주목해야 할 것은, 사이드-피스의 오프닝 레스트 위치에서, 각각의 힌지의 두 프론트 및 사이드-피스 요소는 링크 형성을 통해 협력한다는 것이다. 요소들 중 하나의 표면이 오목한 중간 영역을 가지면, 다른 요소의 표면은 따라서 볼록한 중간 영역을 갖는다.
오목한 영역으로부터, 오목한 영역이 관련되는 한, 프론트 요소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은 관련된 사이드-피스의 끝단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사이드-피스 클로징선회시, 서로에 대한 두 표면 부분이 서로에 대해 구르거나 슬라이드하는 동안, 힌지의 스프링은 두 평면에 의한 것 이상으로 상당히 바이어스된다. 스프링의 전체 힘을 이용함으로써, 스프링은 종래 기술에 비해 작아질 수 있다.
각각의 힌지의 프론트 및 사이드-피스 요소의 오목하고 볼록한 영역에 의해, 관련된 사이드-피스의 오프닝 레스트 위치가 사전결정되고 변하지 않는다. 이들은 사이드-피스의 중심 영역이다.
바람직하게, 사이드-피스 요소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은 볼록한 중간 영역을 가지며, 이러한 볼록한 영역은 힌지의 조인트 축과 관련된 슬라이드에 의해 한정된 평면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론트 요소의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은 마찬가지로 고르지 못한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lateral closing rest surface)과 더불어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이드-피스 요소의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에 또한 보완적이며, 힌지의 조인트 축과 2개의 횡단 오프닝 및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의 조인트 영역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대하여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에 이롭게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계속적으로 바람직하게, 각각의 힌지의 사이드-피스 요소는 프론트 사이드의 리어(rear)에 대해 사이드-피스의 완전한 경사를 감안하도록 배치된 제 1 클로징 러그(first closing lug)와 프론트 요소의 숄더(shoulder)에 대해 접합부 내에 들어오도록 하고 사이드-피스의 완전한 경사를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 제 2 클로징 러그(second closing lug)를 포함하며, 두 러그는 조인트 축과 대응하는 슬라이드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이에 의해 프레임의 사이드-피스에 힌지 그리고 동일하지만 다른 사이드-피스 위-아래에 존재하는 다른 힌지를 탑재함으로써, 제 1 사이드-피스는 클로징 위치에서 제 1 사이드-피스와 제 1 사이드-피스 위의 제 2 사이드-피스에 경사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앞서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 힌지에 의해 각각 프레임의 프론트 사이드에 결합된 2개의 사이드-피스를 구비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프론트 사이드는 다른 힌지, 심지어 또한 텔레스코픽 힌지 주위에 접어질 수 있다.
사이드-피스는 또한 힌지, 심지어 또한 텔레스코픽 힌지 주위에 각각 접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경테는 2에서 5개의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에서, 출원인들은 프레임의 제 1 부분과 일체로 되는 제 1 요소와 프레임의 제 2 부분과 일체로 되는 제 2 요소를 포함하는 안경테를 위한 텔레스코픽 힌지를 청구하기를 더욱 원하며, 힌지의 제 2 요소는 제 1 요소에 결합되고 스프링의 작용에 대해 그리고 작용하에 시스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탑재된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오프닝 위치에서, 제 1 요소 및 힌지의 제 2 요소의 시스는 힌지의 조인트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적어도 2개의 상호 상호 보완적인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에 의해 협력하며, 상기 힌지는 힌지의 두 요소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두 요소 중 하나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은 오목한 중간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는 단일 축, 즉, 하나의 단일 자유도를 갖는 힌지에 대하여 결합된 2개의 요소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힌지는 또한 자유도 2를 갖는 본 발명 힌지의 프레임에 대해 고려될 수 있으며, 2개의 힌지 요소는 2개의 직교 축 둘레를 다른 힌지에 대해 힌지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힌지는 종래 기술에서 조인트로서 지칭된다. 계속하여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힌지의 발명적 특징은 단지 상기 고려되는 자유도에만 관련된다. 게다가, 힌지 조인트 축(hinge joint axis) 대신에, 힌지는 제 2 요소의 슬라이드가 벤트 핑거(bent finger)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힌지 요소와 일체로 되는 니(knee)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제 2 요소는 2개의 직교 축 주위의 니(knee) 둘레를 회전할 수 있으며, 2개의 직교 축 중 하나는 니(knee)에 배치되고 슬라이더의 벤트 핑거를 수용하는 홀(hole)을 통해 연장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경테를 위한 텔레스코픽 힌지의 여러 실시예의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전통적인 안경테의 평면 투시도;
도 2는, 사이드-피스의 오프닝 위치에서, 사이드-피스의 코어(core)에 탑재된 본 발명의 프레임의 텔레스코픽 힌지 중 하나의 투시도;
도 3은 도 2의 힌지의 종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힌지의 사이드-피스 요소를 위한 시스의 베이스의 투시도;
도 5는, 사이드-피스의 중간 클로징 위치에서, 도 2의 힌지의 투시도;
도 6은, 거의 클로징 위치에서, 도 2의 힌지의 측면도;
도 7은, 서로에 대해 경사진 사이드-피스 위치에서, 본 발명의 프레임의 힌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중간 클로징 위치에서, 조인트로서 지칭되는, 본 발명의 힌지의 특별한 실시예의 투시도.
도 1을 참조하여, 이제 기술될 안경테는 일반적으로 광학 안경(optical glasses)을 수용하기 위한 프론트 사이드(1), 그리고 우측 사이드-피스(2)와 좌측 사이드-피스(3)를 포함하며, 도시된 예에서, 우측 사이드-피스(2)는 클로징 위치에서 프론트 사이드(1)의 리어에 대해 경사지고 좌측 사이드-피스(3)는, 오프닝 위치에서, 프론트 사이드(1)의 일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프론트 사이드(1)는, 2개의 힌지(6,7), 본 명세서에서 소위 텔레스코픽 힌지에 의해 사이드-피스(2,3)가 결합되는 2개의 프론트 사이드 측방 테논(two front side lateral tenons)(4,5)에 의해 측방으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텔레스코픽 힌지 -즉 예를 들어 좌측 힌지(7)- 는 프론트 사이드 테논(5)과 일체로 되는 프론트 사이드 요소(8), 그리고 사이드-피스(3)와 일체로 되고, 특히, 코어(10)가 형성되는 사이드-피스의 코어(10)를 구비한 사이드-피스 요소(9)를 포함한다.
2개의 힌지 요소는 프론트 사이드 요소(8)와 일체로 되는 조인트 축(11)에 결합 된다.
2개의 사이드-피스(2,3)의 힌지(6,7)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하나를 제외하고, 동일하며, 이것이 이어지는 설명에서 하나의 단일 힌지만을 언급하는 이유이다.
사이드-피스 요소(9)는 조인트 축(11)에 결합되고 코어(10)와 일체로 되는 시스(13) 내에 탑재된 슬라이드(12)를 포함한다(도 3). 슬라이드(12)의 조인트 끝단은 축(11)이 연장 관통되는 링(14)의 형상을 갖는다. 프론트에서, 시스(13)는 시스(13) 내에 딱 맞는 베이스(15)를 통해 슬라이드의 조인트 끝단(14)까지 연장된다.
링(ring)(16)이 슬라이드의 다른 끝단에 탑재된 후, 이 끝단(17)은 이러한 링(16)을 특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변형된다. 베이스(15)의 리어 끝단(rear end)(19)과 링(16) 사이에, 스프링(18), 여기서 압축 스프링, 은 슬라이드(12)가 시스(13) 내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작용하에 그리고 작용에 대해 연장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슬라이드의 끝단의 변형의 결과로서 정지된 링 대신에, 스프링(18)을 접하기 위해, 시스내 이러한 끝단 위 스레디드 플러그(threaded plug)(41) 및 시스(13)의 끝단에 탑재된, 예를 들어, 시스(13)내에 나사로 조여진, 유지 인서트(retaining insert)와 마찬가지로 스레디드 슬라이드 끝단(threaded slide end)(40)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프론트 사이드 요소(8)는 프론트 사이드 테논(5)내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노즈피스(anchoring nosepiece)(20)를 포함하고, 이러한 요소(8)는 리어, 즉 두 영역의 에지에 대해 수축되는 원통 면(cylindrical surface)을 갖는 링(14)에 의해 분리된 두 사이드 영역(21,22)을 구비한 사이드-피스 요소(9)까지 연장된다. 링(14)은 조인트 축(11)을 수용하기 위해 천공(bore)(26)에 의해 구멍이 뚫린다.
각각의 영역은 횡단 리어 에지(transversal rear edge)((24)와 상부 측면 에지(upper side edge)(25)를 가지며, 둘 다 조인트 축(11)에 실질적이고 전체적으로 평행인 특별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영역의 횡단 리어 에지(24)는 고르지 못한 표면을 가지며, 중간 오목 영역(27)을 갖는다. 이러한 오목 영역(27)으로부터, 표면은, 사이드-피스 요소(9)의 끝단의 방향으로, 사이드-피스(3)의 끝단의 리어로 경사진다. 물론, 두 영역(21,22)의 리어 횡단 에지(24)는 동일한 공통 면 위에 연장된다. 따라서, 각각의 리어 에지(24)는 라운드형 코너(rounded corner)(28)를 넘어서 상부 측면 에지(25)에 의해 연장되고, 상부 에지(25)는 여기서 리어 횡단 에지(24)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르지 못하며 그리고 심지어 조인트 축(11) 및 두 횡단(24)과 상부 에지(25)의 조인트 코너(28)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대해 에지(24)와 대칭적이다. 물론 여전히, 두 치크(two cheeks)(21,22)의 측면 상부 에지(25)는 동일한 공통 면 위에 연장된다.
주목해야 할 것은 프론트 사이드 요소(8)는 프론트 사이드 테논내에 요소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노즈피스(nosepiece)를 포함한다. 프론트 사이드 요소는, 예를 들어 접착(gluing), 용접(welding), 나사조임(screwing) 등을 통해 상이하게 프론트 사이드 테논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15)는 잠금 랜드(fastening land)(29)를 구비한 관모양의 리어 테일(tubular rear tail)(19)을 통해 시스(13) 내에 딱 들어간다(도 4). 작은 평행육면체 베이스(small parallelepipedic base)(30) 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테일(29)에 인접한 프론트 크라운(front crown)(31)은 프론트 사이드 요소(8)와 협력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자신의 외부 횡단 프로파일, 또는 겉면(periphery)(32)과 자신의 내부 축 천공(internal axial bore)(33)을 통해 크라운(31)은 특별한 프론트 에지(34)를 포함한다. 특별한 프론트 에지(34)는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리어 횡단 에지(24)의 것에 상호 상호 보완적인 방법으로 고르지 못하게 존재하는 2개의 프론트 사이드 에지(35,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에지(35,36)는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리어 횡단 에지(24)의 오목한 중간 영역(27)에 정합하도록 중간 볼록 영역(37,38)을 갖는다.
고르지 못한 에지(35,36)는 크라운(31)의 주변 에지까지 연장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볼록 영역(37,38)은 힌지의 조인트 축(11)과 슬라이드(12)에 의해 한정된 평면내에 전체적으로 위치된다는 것이다.
2개의 고르지 못한 에지(35,36) 사이, 주변(32)과 천공(33) 사이에, 2개의 클로징 러그(39,40)가 연장된다. 이들 러그는 시스(13)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하나의 러그(40)는 프론트 방향으로 테이퍼 된다. 상부 측면 에지(25)의 측면의 치크(21 및 22)의 내부 측면들(40)은 상호 결합하고 프론트 수축 러그(40)가 이러한 숄더(42)에 대해 접합부내에 들어 올 수 없는 반면에 프론트에 대해 수축되지 않는 러그(39)를 위해 유지 숄더(retaining shoulder)를 형성하는 거의 구형인 일부 표면(42)에 의해 모서리가 깎여진 거의 원통형인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숄더(42)는 내부 원통 표면(41)과 곡선 리지(curvilinear ridge)(43)로 형성된다.
힌지의 구조가 기술되었다면, 이제 구조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리어 횡단 면(24)과 사이드-피스 요소(9)의 베이스(15)의 프론트 횡단 면(35,36)은 상호 보완적인 오프닝 레스트 표면(opening rest surfaces)이다.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측방 상부 면(25)과 베이스(15)의 프론트 횡단면(35,36)은 마찬가지로 상호 보완적인 클로징 레스트 표면(closing rest surfaces)이다. 오프닝 레스트 위치에서, 프론트 사이드 요소의 오목한 영역(27)으로부터, 표면(24)은 사이드-피스의 끝단을 향해 경사지고; 유사하게, 베이스(15)의 볼록한 영역(37,38)으로 부터, 표면(35,36)은 사이드-피스의 끝단을 향해 또한 경사진다. 사이드-피스의 클로징 선회시, 표면(35,36)은 스프링(18)을 강하게 바이어스시키는 표면(24) 상에서 구른다(슬라이드 한다).
프론트 사이드와 사이드-피스 요소(8,9)의 오목한 영역(25 및 27)과 볼록한 영역(37,38)은 사전결정되고 변하지 않는 위치를 갖는 레스트 영역이다. 오프닝 시, 이들은 사이드-피스의 중심 영역에 존재한다.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축되지 않은 클로징 러그(39)는 내부 위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사이드-피스(3)는 오프닝 위치(도 2 및 3)로부터 클로징 위치(도 6,7)로 회전되고, 힌지 요소들의 횡단 에지는 수축되지 않은 러그(39)가 숄더(42)에 거슬러 접합부내에 들어 올 때까지 서로 구르며, 이에 의해 관련된 사이드-피스가 업-다운 위치에서 베이스(15)를 구비한 프론트 사이드에 대해 완전히 경사진 다른 사이드-피스에 대해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수축된 클로징 러그(40)가 숄더(42)에 거슬러 접합부내에 들어올 수 없도록 한다.
도 5에 대해, 사이드-피스 요소(9)는 과오프닝 위치(overopening position)에 존재하며, 프론트 수축 클로징 러그(40)는 자신의 내부 표면(45)을 통해 접합부 또는 자신의 프론트 에지(44)내에 존재하며, 스톱 텅(stop tongue)(45)(도 3)에 반하여, 상부 측면 에지(25)와 마주하는 측면 위 두 치크(21,22) 사이에 연장된다.
도 6,7에 대해, 사이드-피스 요소의 클로징 위치에서, 클로징 러그(39)가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숄더(42)에 반하여 접합부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프론트 사이드 요소의 상부 측면 에지(25)와 프론트 측방 에지들(35,36)은 다른 에지들에 대해 에지가 고정되지 않는다.
도 8에 대해, 조인트는 자유도 2, 두 직교 축에 대해 2개의 가능한 회전을 갖는 특별한 힌지인 것으로 표시되었다.
프레임의 프론트 사이드에 고정되는 이전 힌지 요소에 대응하는 제 1 힌지 요소(108)는 이전 힌지의 사이드-피스 요소에 대응하고 슬라이드(112)와 스프링(118)을 포함하는 제 2 요소(109)에 고정된다. 두 요소(108, 109)의 연결은 제 1 요소의 니(knee)(150)와 슬라이드를 연장시키는 벤트 핑거(bent finger)(151)를 통해 일어난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니(150)는 볼록한 중앙부(raised median part)(153)를 구비한 2개의 고르지 못한 측방 표면(two irregular lateral surfaces)(156)을 갖는 요소의 베이스(152)와 일체로 된다. 슬라이드(112)의 벤트 핑거(151)는, 이들에 관한 한, 오목한 중앙부(158)를 구비한 고르지 못한 표면(157)을 갖는 두 영역(154,155) 사이에 연장된다.
니(150)는 중앙 관통-홀(central through-hole)(159)에 의해 구멍이 뚫리고 여기서 벤트 핑거(151)가 연장된다. 따라서, 도 2-6의 힌지에서와 같이, 이러한 조인트는 자유도 2, 제 2 요소(109)의 치크(154,155)가 니(150)의 주변에서 슬라이드될 때, 홀(159)의 축에 대한 하나 그리고 두 요소의 고르지 못한 표면이 서로 슬라이드 될 때, 첫 번째에 대해 수직인 다른 하나를 갖는다.

Claims (18)

  1. 2개의 사이드 테논(4,5)과 2개의 텔레스코픽 힌지(6,7)의 조인트 축(11)에 대해 테논에 결합된 2개의 사이드-피스(2,3)에 의해 연장되는 프론트 사이드(1)를 포함하고, 프론트 사이드 요소(8)를 갖는 각각의 텔레스코픽 힌지는 테논(5)과 일체로 되고 사이드-피스 요소(9)는 사이드-피스(3)와 일체로 되며, 힌지의 사이드-피스 요소(9)는 프론트 사이드 요소(8)에 결합되고 스프링(18)의 작용에 반하여 그리고 작용하에 시스(13)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탑재되는 슬라이드(12)를 포함하고, 프론트 사이드 요소(8) 및 힌지(7)의 사이드-피스 요소(9)의 시스(13)는, 사이드-피스의 오프닝 위치에서 힌지(7)의 조인트 축에 평행인 적어도 2개의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24,36)에 의해 협력하는 안경테에 있어서,
    각각의 힌지의 두 요소(8,9)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36,35)은 고르지 못하며, 프론트 사이드와 사이드-피스 요소(8,9) 중 하나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볼록한 영역(37, 38) 및 볼록한 영역에 인접한 곡면의 오목한 영역(27)을 가지며, 프론트 사이드와 사이드-피스 요소(8,9) 중 나머지 하나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오목한 영역(27) 및 오목한 영역에 인접한 곡면 영역을 가지며, 오프닝 레스트 표면들은 서로 상호보완적이어서, 오프닝 레스트 표면들이 오프닝 위치에 있을 때, 볼록한 영역과 곡면의 오목한 영역이 각각 오목한 영역과 곡면의 볼록한 영역과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프론트 사이드 요소와 사이드-피스 요소(8,9)의 나머지 하나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35,36)은 볼록한 중간 영역(37,38)을 갖는 안경테.
  3. 제1항에 있어서,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오목한 영역(27)을 가지며, 이러한 오목한 영역으로부터, 프론트 사이드 요소와 사이드-피스 요소(8,9)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36,35)이 상호 간에 구를 때 힌지 스프링(18)을 강하게 바이어스 시키기 위해 관련된 사이드-피스(3)의 끝단의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경테.
  4. 제3항에 있어서,
    사이드-피스 요소(9)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35,36)은 힌지의 조인트 축(11)과 관련된 슬라이드(12)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위치되는 볼록한 중간 영역(37,38)을 갖는 안경테.
  5. 제1항에 있어서,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마찬가지로 고르지 못한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25)과 더불어 확장되는 안경테.
  6. 제5항에 있어서,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25)은 사이드-피스 요소(9)의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35,36)에 상호 보완적인 안경테.
  7. 제6항에 따라서,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25)과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힌지의 조인트 축(11) 그리고 두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24)과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25)의 조인트 영역(28)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안경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힌지(6,7)의 사이드-피스 요소(9)는 프론트 사이드(1)의 리어에 대해 사이드-피스(2)가 완전히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배치된 제 1 클로징 러그(40) 및 프론트 사이드 요소(8)의 숄더(42)에 대한 접합부내에 들어오고 사이드-피스(3)의 완전한 경사를 방지하도록 배치된 제 2 클로징 러그(39)를 포함하며, 두 러그(39,40)는 조인트 축(11)과 대응하는 슬라이드(12)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되는 안경테.
  9. 제 1 프레임 부분(5)과 일체로 되는 제 1 요소(8)와 제 2 프레임 부분(3)과 일체로 되는 요소(9)를 포함하고, 힌지의 제 2 요소(9)는 제 1 요소(8)에 결합되고 스프링(18)의 작용에 반하여 그리고 작용하에 시스(13)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탑재되는 슬라이드(12)를 포함하며, 제 1 요소(8) 및 힌지(7)의 제 2 요소(9)의 시스는, 오프닝 위치에서, 힌지(7)의 조인트 축에 평행인 적어도 2개의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24,36)을 통해서 협력하는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에 있어서,
    힌지의 두 요소(8,9)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36,35)은 고르지 못하며, 두 요소(8,9)중 하나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볼록한 영역(37, 38) 및 볼록한 영역에 인전한 곡면의 오목한 영역(27)을 가지며, 프론트 사이드와 사이드-피스 요소(8,9) 중 나머지 하나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오목한 영역(27) 및 오목한 영역에 인접한 곡면 영역을 가지며, 오프닝 레스트 표면들은 서로 상호보완적이어서, 오프닝 레스트 표면들이 오프닝 위치에 있을 때, 볼록한 영역과 곡면의 오목한 영역이 각각 오목한 영역과 곡면의 볼록한 영역과 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10. 제9항에 있어서,
    요소들(8,9) 중 나머지 하나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35,36)은 볼록한 중간 영역(37,38)을 갖는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11. 제9항에 있어서,
    제 1 요소(8)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오목한 영역(27)을 가지며, 이러한 오목한 영역으로부터, 두 요소(8,9)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24,36,35)이 상호간에 하나를 구를 때 힌지 스프링(18)을 강하게 바이어스 시키기 위해 관련된 제 2 프레임 부분(3)의 끝단의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제 2 요소(9)의 오프닝 레스트 표면(35,36)은 힌지의 조인트 축(11)과 관련된 슬라이드(12)에 의해 한정된 평면내에 위치되는 볼록한 중간 영역(37,38)을 갖는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13. 제9항에 있어서,
    제 1 요소(8)의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마찬가지로 고르지 못한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25)과 더불어 확장되는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제 1 요소(8)의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25)은 제 2 요소(9)의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35,36)에 상호 보완적인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25)과 제 1 요소(8)의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24)은 힌지의 조인트 축(11) 그리고 두 횡단 오프닝 레스트 표면(24)과 측방 클로징 레스트 표면(25)의 조인트 영역(28)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대해 대칭적인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16. 제9항에 있어서,
    힌지(6,7)의 제 2 요소(9)는 제 1 프레임 부분(1)의 리어에 대한 제 2 프레임 부분(2)의 완전한 경사를 감안하도록 배치된 제 1 클로징 러그(40) 및 제 1 요소(8)의 숄더(42)에 대한 접합부내에 들어오고 제 2 프레임 부분(3)의 완전한 경사를 방지하도록 배치된 제 2 클로징 러그(39)를 포함하며, 두 러그(39,40)는 조인트 축(11)과 대응하는 슬라이드(12)에 의해 한정된 평면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되는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힌지의 제1 요소 및 제2 요소(108,109)는 두 직교 축에 대해 서로 결합되는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요소들 중 하나(108)는 니(150)를 포함하고 요소들 중 다른 하나(109)는 두 직교 축에 대한 두 요소의 상대적인 회전을 위해 니(151)의 관통-홀(159)내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 벤트 핑거(151)를 포함하는 안경테용 텔레스코픽 힌지.
KR1020117023008A 2009-03-03 2010-02-26 텔레스코픽 힌지를 구비한 안경용 프레임과 프레임용 힌지 KR101696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00965A FR2942889B1 (fr) 2009-03-03 2009-03-03 Monture de lunettes a charnieres telescopiques et charniere pour la monture
FR0900965 2009-03-03
PCT/EP2010/052473 WO2010100087A1 (fr) 2009-03-03 2010-02-26 Monture de lunettes a charnieres telescopiques et charniere pour la mon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34A KR20120004434A (ko) 2012-01-12
KR101696257B1 true KR101696257B1 (ko) 2017-01-13

Family

ID=4067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008A KR101696257B1 (ko) 2009-03-03 2010-02-26 텔레스코픽 힌지를 구비한 안경용 프레임과 프레임용 힌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57796B2 (ko)
EP (1) EP2404211B1 (ko)
JP (1) JP5661654B2 (ko)
KR (1) KR101696257B1 (ko)
CN (1) CN102341741A (ko)
FR (1) FR2942889B1 (ko)
WO (1) WO2010100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4200B2 (en) 2010-06-30 2014-11-25 Addo Industries, Llc Innovative and aesthetic alternative to traditional spectacle correction
CN102566083B (zh) * 2012-02-16 2015-02-25 叶兰相 一种眼镜脚
FR2988492B1 (fr) * 2012-03-21 2016-10-28 Dominique Delamour Charniere telescopique pour monture de lunettes
US9372589B2 (en) * 2012-04-18 2016-06-21 Facebook, Inc. Structured information about nodes on a social networking system
CN103048803A (zh) * 2012-12-11 2013-04-17 吴承忠 眼镜镜腿与镜框无摆动连接结构
FR3023928B1 (fr) * 2014-07-15 2016-07-15 Chene Richard Charniere pour monture de lunettes
US10261338B2 (en) 2015-01-15 2019-04-16 Addo Industries, Llc Eyewear comprising suspension system for nose and ears
ITUB20155545A1 (it) * 2015-11-12 2017-05-12 Visottica Ind Spa Cerniera elastica per montature di occhiali e procedimento per il suo montaggio
FR3052566B1 (fr) 2016-06-10 2019-11-01 Richard Chene Charniere pour monture de lunettes comprenant au moins une butee interne
FR3057680B1 (fr) 2016-10-17 2019-09-27 Richard Chene Charniere tridimensionnelle pour monture de lunettes comprenant une piece de guidage dans laquelle est montee une sphere
FR3062927B1 (fr) 2017-02-13 2019-03-29 Alexandre SONTHONNAX Monture de lunettes a orientation des branches selon plusieurs plans
KR101925727B1 (ko) * 2017-09-22 2019-02-26 김동학 탄성력을 이용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IT201900003847A1 (it) * 2019-03-15 2020-09-15 Visottica Ind Spa Metodo di assemblaggio di cerniere elastiche ad una montatura di occhiali e cerniera elastica suscettibile di essere impiegata in detto metodo
IT201900008262A1 (it) * 2019-06-06 2020-12-06 Safilo Spa Montatura per occhial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173A (ja) * 2003-01-22 2006-03-16 リシャール・シェーヌ 特にロボットで使用する装置および眼鏡フレームのためのヒンジ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78828B1 (ko) * 1972-04-06 1976-08-06 Guillet Henri
JPS5915021U (ja) * 1982-07-19 1984-01-30 手賀精工株式会社 テンプルの取付け構造
IT1158819B (it) * 1983-03-03 1987-02-25 Ratti Ind Ottica Spa Montatura per occhiali con cerniere elastiche
FR2654845B1 (fr) * 1989-11-21 1992-03-13 Essilor Int Charniere elastique.
FR2796471B1 (fr) * 1999-07-13 2001-10-19 Veuve Henri Chevassus Soc Charniere elastique de grande souplesse
FR2838530B1 (fr) * 2002-04-12 2004-06-18 Chevassus Charniere elastique comprenant une butee radiale de sur-ouverture
FR2870011B3 (fr) * 2004-05-06 2006-07-21 Comotec Sa Element de charniere elastique compact pour monture de lunettes
FR2905477A1 (fr) * 2006-09-06 2008-03-07 Richard Chene Charniere ou articulation de lunettes a angle de fermeture reglable.
FR2912516B1 (fr) * 2007-02-08 2009-05-01 Comotec Sa Charniere elastique compacte pour monture de lunet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9173A (ja) * 2003-01-22 2006-03-16 リシャール・シェーヌ 特にロボットで使用する装置および眼鏡フレームのためのヒンジ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19307A (ja) 2012-08-23
EP2404211A1 (fr) 2012-01-11
FR2942889A1 (fr) 2010-09-10
WO2010100087A1 (fr) 2010-09-10
KR20120004434A (ko) 2012-01-12
US8757796B2 (en) 2014-06-24
CN102341741A (zh) 2012-02-01
EP2404211B1 (fr) 2020-04-22
FR2942889B1 (fr) 2011-04-08
US20120026452A1 (en) 2012-02-02
JP5661654B2 (ja)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257B1 (ko) 텔레스코픽 힌지를 구비한 안경용 프레임과 프레임용 힌지
US20090303431A1 (en) Resilient hinge for eyeglasses
EP2748671B1 (en) An eyeglass frame, an eyeglass hinge,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hinge for an eyeglass frame
TWI489166B (zh) 眼鏡腿鉸鏈及其結合結構和結合方法
US8192016B2 (en) Spectacles
EP1359458B1 (en) A spectacle frame and a hinge assembly for use therein
US7108372B2 (en) Eyeglasses assembly with elastic temples
US8939575B2 (en) Spectacles frame with telescopic hinges and offset spring
WO1996018127A1 (en) Rimless spectacles
JP2001154156A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140001937A (ko) 압축력을 가하는 동안 힌지 너클에 대해 선회하는 것에 의해 장착되는 암을 구비하는 안경 프레임
JP3785168B2 (ja) 眼鏡枠
KR102499217B1 (ko)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US20180239166A1 (en) Screwless hinge for a pair of eyeglasses
KR200490801Y1 (ko)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체
KR20170070702A (ko) 조립형 안경
JP3059147U (ja) 眼鏡用のバネ蝶番
CA2665378A1 (en) Eyeglasses
KR101246743B1 (ko) 안경다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
IT201800005098U1 (it) Cerniera per occhiali
IT201800020584A1 (it) Cerniera per occhiali
JP2004516510A (ja) 眼鏡フレーム及びこのフレームで使用するためのヒンジアッセンブリ
US20080186444A1 (en) Eyeglasses structure and an eyeglasses frame
FR3125896A1 (fr) Branche d’une paire de lunettes
JP3130728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