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079B1 - 안경용 힌지 - Google Patents

안경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079B1
KR102462079B1 KR1020200188471A KR20200188471A KR102462079B1 KR 102462079 B1 KR102462079 B1 KR 102462079B1 KR 1020200188471 A KR1020200188471 A KR 1020200188471A KR 20200188471 A KR20200188471 A KR 20200188471A KR 102462079 B1 KR102462079 B1 KR 10246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hinge
protrusion
extending
te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218A (ko
Inventor
문경식
Original Assignee
문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식 filed Critical 문경식
Priority to KR1020200188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0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경용 힌지는. 안경프레임 또는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제 1 프레임 연결부,
상기 제 1 프레임 연결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 상기 제 2 연장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 2 연장부와 직각을 이루는 제 3 연장부, 상기 제 3 연장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 3 연장부와 직각을 이루는 제 4 연장부, 상기 제 4 연장부에서 외측을 향해 개방된 반원형으로 연장된 제 5연장부, 상기 제 4 연장부 및 제 5 연장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홈부, 상기 가이드 홈부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가이드 홈부보다 크게 형성된 삽입홈부를 구비한 제 1 힌지부와; 상기 삽입홈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삽입홈부에 끼워지며 전방을 향해 연장된 복수 개의 막대상 돌출부, 전방을 향한 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된 돌출부 지지부, 상기 돌출부 지지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안경다리 또는 안경프레임에 연결되는 제 2 프레임 연결부, 상기 돌출부 지지부와 막대상 돌출부가 접하는 측의 돌출부의 단면 높이가 상기 가이드 홈부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단면이 감소된 단면감소부를 구비한 제 2 힌지부와; 선단이 직각을 이루며, 선단과 대향되는 면에 스프링 삽입홈이 구비된 가압부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 2,4,5 연장부에 내접하며, 원주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제 1 삽입부 및 상기 가압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부를 구비한 유닛본체와; 상기 제 2 삽입부와 가압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용 힌지 {Hinge For Eyeglasses}
본 발명은 안경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가 설치되는 안경프레임과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힌지에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견고히 결합할 수 있으며, 안경다리의 접고 펴짐에 대한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안경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 렌즈가 설치되는 안경 프레임은 양단으로 연장된 연장부에 제 1 힌지부를 구비하고, 안경다리의 제 2 힌지부와 결합되게 된다. 제 1 힌지부와 제 2 힌지부의 결합은 각 힌지부를 통과하는 볼트에 의해 유지된다. 하지만 사용중 체결이 느슨해져 볼트가 이탈하면 안경다리가 분해되어 버리고, 크기가 작은 볼트는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6440호(도 1 참조)에는 안경다리(2)의 힌지부(10)를 중공 원통형으로 가공하고, 힌지부(10) 중앙에 회전유닛(20)을 삽입하고, 힌지부(10)의 벽체에 홈(13)이 가공되어 있으며, 안경프레임(1)의 연장부(14)는 홈(13)을 통과하여 회전유닛(20)의 결합공(21)에 고정된다.
이와 유사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0038호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18133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한편, 안경을 사용할 때는 안경다리를 펴고, 안경 케이스 등에 보관할 때는 안경다리를 접게 된다. 안경다리가 펴진 상태 또는 안경다리가 접힌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파지하여 펴거나 접는 방향으로 안경다리를 회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회동시 무리한 힘을 가하면 안경다리에 손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경다리가 펴진 상태와 안경다리가 접힌 상태로 이행되는 조작감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61800호(도2 참조)에는 안경프레임(1)의 제 1 힌지부(11)와, 길이방향 탄성변형이 가능한 안경다리(2)의 제 2 힌지부(12)가 개시되어 있다. 안경다리(2)가 접힌 상태(도 2(a))에서 펴진 상태(도 2 (b))로 이행되는 동안 제 1 힌지부(11)의 모서리를 제 2 힌지부(12)가 넘게 되면서 불안정한 상태(도 2 (b) 참조)가 되어 접히거나 펴진 상태로 이행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 1,2 힌지부의 결합이 볼트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안경다리가 분해될 수 있는 문제점은 계속 존재한다.
또한,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2207058A1호에는 도 3과 같이 제 1 힌지부(11)에 상하에 원형 외주면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각형 외주면이 형성된 회전유닛(20)이 결합되고, 제 2 힌지부(12)는 상기 원형 외주면과 결합된 원통부(15) 및 상기 각형 외주면과 접촉되는 탄성접촉부(16)로 이루어진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탄성접촉부(16)와 각형 외주면은 안경다리(2)가 펴지거나 접힘에 따라 조작감을 형성하지만, 탄성접촉부(16)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를 다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786440 B1, 2017.10.18., 도 7,8 KR 10-1390038 B1, 2014.04.29., 도 2 KR 10-1518133 B1, 2015.05.07., 도 2 KR 10-2006-0061800 A1, 2006.06.08., 도 6,7,8 EP 2207058 A1, 2010.07.14., 도 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경다리를 안경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으며, 외면으로 돌출되어 사용자를 다치게 할 부재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경이 펴진 상태와 접힌 상태로 이행되는 조작감이 확보될 수 있는 안경용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경용 힌지는.
안경프레임 또는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제 1 프레임 연결부,
상기 제 1 프레임 연결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
상기 제 2 연장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 2 연장부와 직각을 이루는 제 3 연장부,
상기 제 3 연장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 3 연장부와 직각을 이루는 제 4 연장부,
상기 제 4 연장부에서 외측을 향해 개방된 반원형으로 연장된 제 5연장부,
상기 제 4 연장부 및 제 5 연장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홈부,
상기 가이드 홈부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가이드 홈부보다 크게 형성된 삽입홈부를 구비한 제 1 힌지부와;
상기 삽입홈부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삽입홈부에 끼워지며 전방을 향해 연장된 복수 개의 막대상 돌출부,
전방을 향한 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된 돌출부 지지부,
상기 돌출부 지지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안경다리 또는 안경프레임에 연결되는 제 2 프레임 연결부,
상기 돌출부 지지부와 막대상 돌출부가 접하는 측의 돌출부의 단면 높이가 상기 가이드 홈부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단면이 감소된 단면감소부를 구비한 제 2 힌지부와;
선단이 직각을 이루며, 선단과 대향되는 면에 스프링 삽입홈이 구비된 가압부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 2,4,5 연장부에 내접하며, 원주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제 1 삽입부 및 상기 가압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부를 구비한 유닛본체와;
상기 제 2 삽입부와 가압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제 1 프레임 연결부 또는 제 2 프레임 연결부는 안경다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빅하다.
상기 돌출부 지지부는 제 2 프레임 연결부의 전방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경다리를 안경프레임과 연결할 수 있으며, 외면으로 돌출되어 사용자를 다치게 할 부재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경이 펴진 상태와 접힌 상태로 이행되는 조작감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종래의 안경용 힌지들을 나타낸 도.
도 4는 본 출원서에서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 안경용 힌지의 외관을 나타낸 도.
도 6는 본 발명 일실시예 안경용 힌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 힌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 안경다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 회전유닛을 나타낸 도.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 안경용 힌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에는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다하여 그 구성이 제거된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실제 형상을 도시한 것이 아니고, 이해를 돕기위하여 길이, 폭, 높이, 두께 등을 크게 또는 작게 도시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설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며, 안경다리가 펴진 상태에서의 방향을 적용한다.
본 실시예는 이하 설명될 제 1 힌지부(11)는 렌즈가 장착되는 안경 프레임에 설치되며, 제 2 힌지부(12)는 안경다리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설명을 이해하는 사람은 제 1 힌지부(11)가 안경다리에 설치되고 제 2 힌지부(12)는 안경 프레임에 설치될 수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안경용 힌지의 외관을 나타낸 도이며, 도 1의 종래 힌지와 유사하게 외면으로 돌출되거나 긁힐 수 있는 부품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안경용 힌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각 구성의 형상을 나타낸 도이다.
먼저 제 1 힌지부(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힌지부(11)는 안경용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 1 프레임 연결부(110), 상기 제 1 프레임 연결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11), 상기 제 1 연장부(111)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112), 상기 제 2 연장부(11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 2 연장부(112)와 직각을 이루는 제 3 연장부(113), 상기 제 3 연장부(113)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 3 연장부(113)와 직각을 이루는 제 4 연장부(114), 상기 제 4 연장부(114)에서 외측을 향해 개방된 반원형으로 연장된 제 5연장부(115), 상기 제 4 연장부(114) 및 제 5 연장부(115)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홈부(116), 상기 가이드 홈부(116)의 시작점에 가이드 홈부(116)보다 크게 형성된 삽입홈부(117)로 이루어진다.
삽입홈부(117)은 가이드 홈부(16)의 끝점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제 2 힌지부(12)는 상기 삽입홈부(117)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삽입홈부(117)에 끼워지며 전방을 향해 연장된 복수 개의 막대상 돌출부(127), 전방을 향한 면에 상기 돌출부(127)가 배치된 돌출부 지지부(128), 상기 돌출부 지지부(128)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제 2 프레임 연결부(120), 상기 돌출부 지지부(128)측의 돌출부의 단면 높이는 상기 가이드 홈부(116)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단면이 감소된 단면감소부(126)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유닛(20)을 나타낸 것으로, 회전 유닛(20)은 유닛본체(200), 가압부(210), 스프링(220)으로 이루어진다.
가압부(210)는 선단(211)이 직각을 이루고 있고, 선단(211)과 대향되는 면에 스프링 삽입홈(212)이 구비되어 있다.
유닛본체(200)는 원통형상이며, 제 1 힌지부(11)의 상기 제 2,4,5 연장부(112,114,115)에 그 원주면이 내접하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원주면에 상기 돌출부(127)가 삽입될 제 1 삽입부(201) 및 상기 가압부(212)가 삽입되는 제 2 삽입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본체(200)의 제 2 삽입부(202)에 상기 가압부(210)가 삽입되며, 스프링(220)은 가압부(210)를 유닛 본체(200)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제 1 힌지부(11)에 회전 유닛(20)을 끼울 때는 가압부(210)의 선단(211)이 제 3 연장부(113)와 제 4 연장부(114)가 이루는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회전 유닛(20)을 삽입하게 되면, 회전 유닛(20)의 제 1 삽입부(201)는 삽입홈부(117)측에 위치하게 되며, 제2 힌지부(12)의 돌출부(127)를 삽입홈부(117)를 통하여 제 1 삽입부(201)에 끼우는 것에 의해 제 1,2 힌지부(11,12)와 회전 유닛(20)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돌출부(127)과 제 1 삽입부(201)의 결합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억지 끼워맞춤, 스냅 핏, 접착제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 안경용 힌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안경다리가 펴진 상태이며, 가압부(210)는 제 2 연장부(112)와 제 3 연장부(113)가 이루는 모서리에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가 안경다리를 접기 위해 안경다리를 회전시키면 도 10(b)상태가 될때 까지 가압부(210)은 제 2 삽입부(202) 내로 밀려 들어간다. 이후 다시 가압부(210)는 제 2 삽입부(202)외측으로 밀려나오는 힘을 받게 되어 사용자가 안경다리를 더 조작하지 않더라도 스프링(220)의 힘에 의해 제 3 연장부(113)과 제 4 연장부(114)가 이루는 모서리에 가압부(210)가 결합될 때까지 안경다리는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회전은 단면감소부(126)이 가이드 홈부(116)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프레임 연결부(120)는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2 프레임 연결부가 안경다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돌출부 지지부(128)은 도 8(a)와 같이 제 2 프레임 연결부(120)에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도 8(b)와 같이 제 2 프레임 연결부(120)의 전면이 돌출부 지지부(128)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1: 안경 프레임 2 : 안경다리 10 : 힌지부
11 : 제 1 힌지부 110 : 제 1 프레임 연결부 111~115 : 제 1~5 연장부
116 : 가이드 홈부 117 : 삽입홈부
12 : 제 2 힌지부 120 : 제 2 프레임 연결부 126 : 단면감소부
127 : 돌출부 128 돌출부 지지부
13 : 홈 14 : 연장부 15 : 원통부 16 : 탄성접촉부
20 : 회전유닛 200 : 유닛본체 201 : 제 1 삽입부 202 : 제 2 삽입부
210 : 가압부 211 : 선단 212 : 스프링 삽입부 220 : 스프링

Claims (3)

  1. 안경프레임 또는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제 1 프레임 연결부,
    상기 제 1 프레임 연결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
    상기 제 2 연장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 2 연장부와 직각을 이루는 제 3 연장부,
    상기 제 3 연장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 3 연장부와 직각을 이루는 제 4 연장부,
    상기 제 4 연장부에서 외측을 향해 개방된 반원형으로 연장된 제 5연장부,
    상기 제 4 연장부 및 제 5 연장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가이드 홈부,
    상기 가이드 홈부의 시작점 또는 끝점에 가이드 홈부보다 크게 형성된 삽입홈부를 구비한 제 1 힌지부와;

    상기 삽입홈부와 같은 크기를 가지고 삽입홈부에 끼워지며 전방을 향해 연장된 복수 개의 막대상 돌출부,
    전방을 향한 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된 돌출부 지지부,
    상기 돌출부 지지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안경다리 또는 안경프레임에 연결되는 제 2 프레임 연결부,
    상기 돌출부 지지부와 막대상 돌출부가 접하는 측의 돌출부의 단면 높이가 상기 가이드 홈부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단면이 감소된 단면감소부를 구비한 제 2 힌지부와;

    선단이 직각을 이루며, 선단과 대향되는 면에 스프링 삽입홈이 구비된 가압부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 2,4,5 연장부에 내접하며, 원주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제 1 삽입부 및 상기 가압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부를 구비한 유닛본체와;

    상기 제 2 삽입부와 가압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에 연결되는 제 1 프레임 연결부 또는 제 2 프레임 연결부는 안경다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지지부는 제 2 프레임 연결부의 전방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힌지.
KR1020200188471A 2020-12-30 2020-12-30 안경용 힌지 KR10246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71A KR102462079B1 (ko) 2020-12-30 2020-12-30 안경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471A KR102462079B1 (ko) 2020-12-30 2020-12-30 안경용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218A KR20220096218A (ko) 2022-07-07
KR102462079B1 true KR102462079B1 (ko) 2022-11-03

Family

ID=8239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471A KR102462079B1 (ko) 2020-12-30 2020-12-30 안경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111B1 (ko) * 2023-06-01 2024-03-21 (주)제이디엠테크 터널 공동구용 덮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7828A (ja) 2009-07-22 2011-02-10 Bonbaa Design Works: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7884A (ja) * 1998-03-26 1999-12-10 Charmant Inc 眼鏡における回動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眼鏡
ITBL20030011A1 (it) 2003-07-22 2005-01-23 Milan Di Kacavenda Milenko Ora Ske Yottica Di Kac Cerniera ad incasso per l'elasticizzazione delle astine degli occhiali
JP3119349U (ja) * 2005-12-09 2006-02-23 耕衛 金澤 眼鏡フレーム
ITUD20090001A1 (it) 2009-01-07 2010-07-08 Andrea Sommavilla Cerniera per occhiali e relativo procedimento di montaggio
KR101390038B1 (ko) 2013-07-24 2014-04-29 주식회사 휴브아이웨어 안경다리 힌지 및 그 결합구조와 결합방법
KR101518133B1 (ko) 2013-11-26 2015-05-07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786440B1 (ko) * 2016-01-19 2017-10-18 도지현 안경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7828A (ja) 2009-07-22 2011-02-10 Bonbaa Design Works:Kk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19349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218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01009B2 (en) A spectacle folded into box-shaped
US5987702A (en) Connecting device, particularly for eyeglasses
KR10177928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3040995B1 (ja) 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KR102462079B1 (ko) 안경용 힌지
US20090244476A1 (en) Pair of spectacles with interchangeable lenses
US7222960B2 (en) Spectacle frame
US5473395A (en) Foldable elastic temple for spectacles
KR20160108990A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2011013188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
KR101163885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1232804B1 (ko) 착탈식 안경다리 구조
KR200217299Y1 (ko) 탄성 안경다리
KR20210021722A (ko) 안경용 힌지
KR102091967B1 (ko) 접힘유지수단이 구비된 무힌지 안경
JP3477235B2 (ja) 眼 鏡
KR200313658Y1 (ko) 안경다리의 조립구조
CN213957780U (zh) 一种眼镜用组装式弹性铰链结构及应用其的眼镜
KR200388409Y1 (ko) 합성수지재로 된 안경의 경첩연결부구조
KR200490801Y1 (ko)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체
KR20090012361U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KR200415602Y1 (ko) 원상 복귀용 접철수단이 구비된 안경
KR20240009125A (ko) 안경테의 템플 힌지접속장치
KR200190349Y1 (ko) 안경다리 결합용 마멸방지관
EP1073927A1 (en) Eyeglass components for assembly to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