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055Y1 - 절첩식 상다리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055Y1
KR200245055Y1 KR2020010017852U KR20010017852U KR200245055Y1 KR 200245055 Y1 KR200245055 Y1 KR 200245055Y1 KR 2020010017852 U KR2020010017852 U KR 2020010017852U KR 20010017852 U KR20010017852 U KR 20010017852U KR 200245055 Y1 KR200245055 Y1 KR 200245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board
leg
plate
folding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화자
Original Assignee
차화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화자 filed Critical 차화자
Priority to KR2020010017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055Y1/ko

Links

Landscapes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자상에 장착되는 상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다리의 절첩이 가능토록 하되, 외부에서의 충격에 의하여 상다리가 임의대로 절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상다리에 관한 것이다.
상판(1)의 저면부 측판(2)에 만곡면(3a)을 가진 한쌍의 지지체(3)를 고정하고, 상기 만곡면(3a)에는 걸림턱(4)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체(3)사이에 다리(5)를 결합하고, 상기 다리(5)에는 스프링(12)으로 탄지된 경첩(10)을 부착하여, 탄지판(11)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4)에 걸리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경첩(10)을 구성하는 탄지판(11)의 중앙부를 절결하여 절결부(13)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13)에는 작동편(14)을 삽입하여 상기 탄지판(11)의 후면부에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상다리{APPARATUS FOR FOLDING AND UNFOLDING TABLE LEGS}
본 고안은 교자상에 장착되는 상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다리의 절첩이 가능토록 하되, 외부에서의 충격에 의하여 상다리가 임의대로 절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상다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절첩식 상다리는 실용신안공고 제93-6100호가 제안되어 있는 바, 이는 지지틀의 중간부에 형성한 간격 사이에 다리를 축으로 유설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의 턱면을 형성하과 아울러 상기한 간격의 양측에는 전방에 만곡면이 형성된 돌출벽을 마련하고, 상기 다리의 일측벽에는 상기 턱면상에 받쳐지는 걸림턱을 형성하며, 다리의 타측면에는 경첩식 탄지파의 일측을 목나사로 고정하는 동시에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한 탄지판의 타측연부가 상기한 돌출벽에 형성된 검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종래의 선등록고안은, 다리를 전개할 때에 탄지판이 만곡면을 접촉하면서 회동하다가 걸림홈에 자동적으로 걸리게 되므로 그 다리를 전개하는데 힘이 들지 않게 되고, 그와 같이 다리를 전개했을 때 걸리턱이 턱면상에 받쳐지는 동시에 탄지판이 걸림홈에 걸리면서 서로 버팀작용을 하여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고안은 전개된 다리를 절첩할 때에 탄지편의 하단부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서 작동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탄지편의 작동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즉, 상기 탄지편을 작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작동부가 마련되지 않아 탄지편의 하단부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작동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선등록 고안의 문제점인 탄지편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리의 절첩을 보다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리를 탄지하는 탄지편의 작동을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작동편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지편의 작동을 보다 편리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2 : 측판
3 : 지지체 4 : 걸림턱
5 : 다리 10 : 경첩
11 : 탄지판 12 : 스프링
14 : 작동편
도면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부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작동사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판(1)의 저면부 측판(2)에 만곡면(3a)을 가진 한쌍의 지지체(3)를 고정하고, 상기 만곡면(3a)에는 걸림턱(4)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체(3)사이에 다리(5)를 결합하고, 상기 다리(5)에는 스프링(12)으로 탄지된 경첩(10)을 부착하여, 탄지판(11)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4)에 걸리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경첩(10)을 구성하는 탄지판(11)의 중앙부를 절결하여 절결부(13)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13)에는 작동편(14)을 삽입하여 상기 탄지판(11)의 후면부에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3)의 만곡면(3a)에는 철판으로 된 보강판체(3b)를 밀착, 고정하여 탄지판(11)의 작동시 밀착작동에 의한 지지체(3)의 훼손을 방지토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리(5)를 절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식 탄지판(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작동편(14)을 손가락으로 누른다.
상기 작동편(14)이 눌려지면 탄지판(11)이 상측으로 회동하여 걸림턱(4)으로부터 이탈되어 회동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후, 다리(5)를 완전히 회동시켜 절첩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편(14)은 탄지판(11)이 걸림턱(4)으로부터 이탈되어 회동하는 순간 누르고있던 손가락을 이탈시켜도 다리(5)의 회동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절첩 된 다리(5)를 다시 확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리(5)를 잡고 하부로 펼치면, 상기 탄지판(11)이 지지체(3)의 만곡면(3a)에 밀착되면서 회동하여 확개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 지지체(3)의 만곡면(3a)에는 금속제의 보강판체(3b)가 보강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기 탄지판(11)의 밀착 회동에 의한 마찰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리 절첩장치는, 탄지판이 걸림턱에 걸린 상태로 고정되므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임의대로 다리가 접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다리의 절찹작동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판(1)의 저면부 측판(2)에 만곡면(3a)을 가진 한쌍의 지지체(3)를 고정하고, 상기 만곡면(3a)에는 걸림턱(4)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체(3)사이에 다리(5)를 결합하고, 상기 다리(5)에는 스프링(12)으로 탄지된 경첩식 탄지판(10)을 부착하여, 탄지판(11)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4)에 걸리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경첩(10)을 구성하는 탄지판(11)의 중앙부를 절결하여 절결부(13)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13)에는 작동편(14)을 삽입하여 상기 탄지판(11)의 후면부에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다리 절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의 만곡면(3a)에는 철판으로 된 보강판체(3b)를 밀착, 고정하여 탄지판(11)의 작동시 밀착작동에 의한 지지체(3)의 훼손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다리 절첩장치.
KR2020010017852U 2001-06-14 2001-06-14 절첩식 상다리 KR200245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52U KR200245055Y1 (ko) 2001-06-14 2001-06-14 절첩식 상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52U KR200245055Y1 (ko) 2001-06-14 2001-06-14 절첩식 상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055Y1 true KR200245055Y1 (ko) 2001-10-31

Family

ID=7310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852U KR200245055Y1 (ko) 2001-06-14 2001-06-14 절첩식 상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0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79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er assembly and foldable support frame therefor
CA2465939A1 (en) Infant support with selectively covered tray
KR200245055Y1 (ko) 절첩식 상다리
US5583588A (en) Spectacle frame having rotary members
KR101805797B1 (ko) 받침다리 절첩장치
KR101956051B1 (ko) 접이식 테이블
KR970003632Y1 (ko) 세탁물건조대의 세탁물거치대 절첩구조
KR200163862Y1 (ko) 다리절첩식테이블의다리기립상태잠금해제장치
KR100803521B1 (ko) 절첩식 상다리
JP2003135316A (ja) 小形モップ
KR200285369Y1 (ko) 절첩식 상다리
JP5244306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KR200285444Y1 (ko) 절첩식 천막용 골조
KR200336387Y1 (ko) 휴대용 스크린
KR200265484Y1 (ko) 목발
KR20000021000U (ko) 전용 받침대 다리가 장착된 노트북 컴퓨터
JPH08154768A (ja) 画 架
KR200264218Y1 (ko) 상다리 고정용 경첩 고정부재
JPH09140486A (ja) 家具用脚の折り曲げ装置
KR960000657Y1 (ko) 전화기의 경사조절장치
KR200280399Y1 (ko) 책받침대
KR200207721Y1 (ko)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KR200190647Y1 (ko) 크립형 안경 힌지체결구조
KR200184730Y1 (ko) 상다리의 고정 구조
USD428413S (en) Hand held computer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