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721Y1 -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 Google Patents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721Y1
KR200207721Y1 KR2020000012152U KR20000012152U KR200207721Y1 KR 200207721 Y1 KR200207721 Y1 KR 200207721Y1 KR 2020000012152 U KR2020000012152 U KR 2020000012152U KR 20000012152 U KR20000012152 U KR 20000012152U KR 200207721 Y1 KR200207721 Y1 KR 200207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bottom plate
upper member
folding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옥
Original Assignee
장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옥 filed Critical 장광옥
Priority to KR2020000012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36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상단부재와 밑판 사이에 고정된 측면판들이 선회되며 절첩되게 구성됨에 의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 및 휴대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 1고정홈부들이 대향하는 양측연부에 돌설된 밑판; 상기 밑판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고정홈부와 대응되는 양측저면부에 제 2고정홈부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그와 이웃한 양측내면부에 지지공들이 형성된 상단부재; 상기 상단부재와 밑판의 제 1,제 2고정홈부에 회전가능케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들을 상하부에 각각 구비하며, 중심부가 절손되어 선회절첩가능케 선회공과 선회돌기로 결합된 상하의 제 1판과 제 2판으로 구성된 좌우한쌍의 절첩측판들; 및 상기 절첩측판들과 이웃하게 상기 상단부재와 밑판 사이에 장착되어 측면부를 이루며, 상기 상단부재의 지지공들에 고정되는 지지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재에서 회전되는 대향하는 한쌍의 선회측판들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서, 본 절첩바구니는 보관 및 휴대시 점유공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편리하고 걸리적거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A handy folding basket}
본 고안은 물건들을 담아 나를 수 있는 바구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측면판들이 선회되며 절첩되게 구성됨에 의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 및 휴대의 편의성을 개선시킨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장이나 백화점등에서 물건을 사면 바구니에 물건을 담아서 집으로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최근까지 바구니를 잘 들고 다니지 않아 통상 산 물건들은 비닐봉지에 담아주곤 했다. 하지만, 최근들어 비닐봉지가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주범으로 주목되면서 비닐봉지를 쓰지말자는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물론, 비닐봉지를 쓰지 않으면 자원절약의 측면에서는 큰 이익을 가져다 준다. 따라서, 요즘들어 주부들은 바구니를 들고 다니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바구니는 일반적으로 천으로 제작된 바구니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천바구니는 뽀족한 물건을 담을 경우 찢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분이 약하고 손에 힘이 많이 집중되므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박스형의 바구니를 들고 다니고 있다. 한편, 백화점이나 대형슈퍼마켓등에서도 박스형의 바구니를 비치하고 그것에 물건을 담아서 다니면서 장을 보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박스형 바구니는 항상 일정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물건을 담지 않은 상태에서도 큰 크기를 그대로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므로, 휴대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도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측면들이 선회되며 절첩되게 구성됨에 의하여 그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 및 휴대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의 결합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절첩바구니의 절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본 절첩바구니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상단부재 11 : 제 1고정홈부
12,13 : 지지공 20 : 밑판
21 : 제 2고정홈부 22 : 걸림턱
30,30a : 절첩측판 31 : 제 1판
32 : 제 2판 33 : 선회돌기
34 : 선회공 35,36 : 제 1,제 2고정돌기
40,40a : 선회측판 41,42 : 지지돌기
43 : 걸림부 50,50a : 손잡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는 물건을 담아다니는 바구니에 있어서, 제 1고정홈부들이 대향하는 양측연부에 돌설된 밑판; 상기 밑판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고정홈부와 대응되는 양측저면부에 제 2고정홈부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그와 이웃한 양측내면부에 지지공들이 형성된 상단부재; 상기 상단부재와 밑판의 제 1,제 2고정홈부에 회전가능케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들을 상하부에 각각 구비하며, 중심부가 절손되어 선회절첩가능케 선회공과 선회돌기로 결합된 상하의 제 1판과 제 2판으로 구성된 좌우한쌍의 절첩측판들; 및 상기 절첩측판들과 이웃하게 상기 상단부재와 밑판 사이에 장착되어 측면부를 이루며, 상기 상단부재의 지지공들에 고정되는 지지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재에서 회전되는 대향하는 한쌍의 선회측판들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의 결합사시도이다. 이 두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바구니는 대략 박스형으로 상단부재(10)와 밑판(20) 사이에 고정되는 두쌍의 측판들로 구성되어 있다. 측판들은 한쌍의 절첩측판들(30,30a)과, 한쌍의 선회측판들(40,40a)로 이루어져 있는 데, 선회측판들(40,40a)은 도면에서 볼 때 바구니의 전후측면부를 이루며 절첩측판들(30,30a)은 좌우측면부를 이루고 있다. 특히, 선회측판들(40,40a)은 상단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방향으로 선회되며, 절첩측판들(30,30a)은 각각 상하한쌍의 제 1,제 2판(31,32)으로 결합되어 중심부가 절첩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선회측판들(40,40a)을 상단부재(10)에서 상부쪽으로 선회시킨 후, 절첩측판들(30,30a)의 중심절첩부를 접으면 바구니를 완전히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바구니의 구조에 대해 하나씩 들어가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대향한 한쌍으로 이뤄진 선회측판들과 절첩측판들은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어느 하나만을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절첩측판(30)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상하 한쌍의 제 1,제 2판(31,32)으로 구성되며, 제 1판(31)의 하단에는 선회돌기(33)가 돌설되어 있고 그와 대응되는 제 2판(32)의 상단에는 선회돌기(33)가 삽입고정되는 선회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회공(34)에 선회돌기(33)가 삽입되어 고정됨에 의해서 제 1판(31)과 제 2판(32)은 연결되어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판(31)의 상단에는 제 1고정돌기(35)들이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상단부재(10)의 저면부에는 제 1고정홈부(11)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제 2판(32)의 하단에도 제 2고정돌기(3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와 대응되는 밑판(20)의 상부외측연에도 제 2고정홈부(21)들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제 1,제 2고정돌기들(35,36)은 절첩측판(30)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게 되고, 그와 대응되는 제 1,제 2고정홈부들(11,21)은 상단부재(10)와 밑판(20)에 각각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첩측판(30)이 상단부재(10)와 밑판(20)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절첩측판(30)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절첩측판(30)을 접으면 제 1판(31)의 선회돌기(33)가 제 2판(32)의 선회공(34)에서 회전하면서 제 1,제 2판(31,32)이 포개지고, 그와 동시에 제 1판(31)의 제 1고정돌기(35)가 상단부재(10)의 제 1고정홈부(11)에서 선회되는 한편 제 2판(32)의 제 2고정돌기(36)가 밑판(20)의 제 2고정홈부(21)에서 선회되어 절첩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선회측판(40)은 상단의 양측부에 지지돌기들(41,42)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이 지지돌기들(41,42)을 그와 대응되는 상단부재(10)의 지지공(12,13)들에 삽입시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회측판(40)은 상단부만이 상단부재(10)에 회전가능케 고정된다. 그리고, 하단부는 외측방향으로 걸림부(43)가 형성되어 있어 밑판(20)에 형성된 걸림턱(22)에 삽입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바구니를 절첩할 때는 밑판(20)의 걸림턱(22)에 걸착된 선회측판(40)의 걸림부(43)를 해제시킨 후 상방향으로 선회시켜 상단부재(10)내에 수평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단부재(10)에는 사용자가 바구니를 손쉽게 잡고 다닐 수 있도록 한쌍의 손잡이(50,50a)를 마련하고 있다. 이 손잡이(50,50a)는 상단부재(10)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위로 선회시켜서 한쌍을 합체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절첩바구니의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는 선회측판을 선회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선회측판을 상단부재내로 선회시킨 후 절첩측판들을 접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과정을 거쳐 본 절첩바구니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제,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바구니를 접어 휴대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회측판들(40,40a)을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부재(10)에서 선회시켜 그 내부로 접어넣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밑판(20)의 걸림턱(22)에 고정되어 있는 선회측판(40,40a)의 걸림부(43)를 내측으로 밀어 이탈시킨 다음, 계속해서 상방향으로 선회시켜 상단부재(10)내로 위치시킨다. 그러면, 도 3a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선회측판들(40,40a)이 일직선을 이루고 대략 ㅁ자형상의 상단부재(10)내에 접혀져 들어가게 된다.
그런 다음, 상단부재(10)를 하방으로 누르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절첩측판들(30,30a)의 중심절첩부, 즉 제 1판(31)과 제 2판(32)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접히면서 포개지게 된다. 이때, 상단부재(10)와 밑판(20)에 각각 상하단부가 고정된 절첩측판들(30,30a)의 고정돌기들(35,36)이 고정홈부들(11,21)에서 회전되는 한편, 절첩측판(30,30a)을 이루는 제 1판(31)과 제 2판(32)의 결합부위인 선회돌기(33)와 선회공(34)이 상호 선회되며 절첩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완전히 접히면 바구니는 도 4와 같은 얇은 판재형상을 이루게 되어 사용자는 손쉽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게 된다. 물론, 바구니에 물건을 담으려면 바구니를 접는 위의 동작을 반대로 수행하여 바구니를 펼쳐서 사용하면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는 그 측면들이 선회되며 절첩되어 그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잇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장에 갈때는 접어 크기를 줄여서 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고, 차에 싣고 다닐 경우도 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서, 본 절첩바구니는 보관 및 휴대시 점유공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리적거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3)

  1. 물건을 담아다니는 바구니에 있어서,
    제 1고정홈부들이 대향하는 양측연부에 돌설된 밑판;
    상기 밑판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고정홈부와 대응되는 양측저면부에 제 2고정홈부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그와 이웃한 양측내면부에 지지공들이 형성된 상단부재;
    상기 상단부재와 밑판의 제 1,제 2고정홈부에 회전가능케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들을 상하부에 각각 구비하며, 중심부가 절손되어 선회절첩가능케 선회공과 선회돌기로 결합된 상하의 제 1판과 제 2판으로 구성된 좌우한쌍의 절첩측판들; 및
    상기 절첩측판들과 이웃하게 상기 상단부재와 밑판 사이에 장착되어 측면부를 이루며, 상기 상단부재의 지지공들에 고정되는 지지돌기들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재에서 회전되는 대향하는 한쌍의 선회측판들을 포함하는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의 상부에는 상단부재로부터 선회되어 대략 수직상태에서 합체되어 사용자가 들 수 있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측판의 하단부는 외측방향으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상기 밑판상에도 상기 걸림부가 삽입걸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KR2020000012152U 2000-04-28 2000-04-28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KR200207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152U KR200207721Y1 (ko) 2000-04-28 2000-04-28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152U KR200207721Y1 (ko) 2000-04-28 2000-04-28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721Y1 true KR200207721Y1 (ko) 2000-12-15

Family

ID=1965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152U KR200207721Y1 (ko) 2000-04-28 2000-04-28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7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29842T1 (de) Behälter
USD379900S (en) Portable grill
KR200445540Y1 (ko) 접이식 수납함
CA2475531A1 (en) Collapsible container
USD428729S (en) Portable collapsible laptop computer table
KR200207721Y1 (ko) 휴대간편한 절첩바구니
USD444948S1 (en) Container
USD345236S (en) Mops wringer
USD328355S (en) Folding sawhorse
USD333913S (en) Foldable carrying case
USD418875S (en) Foldable holder for holding flyers, brochures and other flat articles
JPH1114752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
CN215945202U (zh) 一种可折叠的收纳盒
KR200185939Y1 (ko) 절첩식 물품 수취함
US6767027B2 (en) Folding structure for basket support of a stroller
JP4241966B2 (ja) テーブル
KR200249717Y1 (ko) 절첩식 운반수레
USD438043S1 (en) Caddy tote basket
CN212710945U (zh) 一种折叠式垃圾桶
CN217117812U (zh) 一种折叠柜
JPH0754103Y2 (ja) 折り畳み収納容器
JP2573589Y2 (ja) 服飾類の収納箱
KR200177187Y1 (ko) 어린이용 캐리어 완구
CN219237689U (zh) 一种可折叠收纳的置物筐
KR200291709Y1 (ko) 절첩식 테이블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