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449Y1 - 폐기물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0449Y1 KR200190449Y1 KR2020000006926U KR20000006926U KR200190449Y1 KR 200190449 Y1 KR200190449 Y1 KR 200190449Y1 KR 2020000006926 U KR2020000006926 U KR 2020000006926U KR 20000006926 U KR20000006926 U KR 20000006926U KR 200190449 Y1 KR200190449 Y1 KR 2001904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inorganic
- organic waste
- light
- light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5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8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10812 mixe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0805 in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08 plant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543 intermedi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95 organic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 footwe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72 peristal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 또는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및/또는 침전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원심력, 중력 및 부력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로부터 유기성 폐기물을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하여 가축용 사료 및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거나 발효성 물질로 중간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폐기물 및/또는 침전성 폐기물을 분리하여 분뇨/오수/축산폐수 처리장에 설치된 시설물의 수명을 보장함과 동시에 분뇨/오수/축산폐수 처리장에서의 분뇨/오수/축산폐수 처리능력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로부터 유기성 폐기물을 분리하여, 유기질 비료 또는 가축용 사료로 재활용하거나 발효 물질로 중간처리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폐기물 및/또는 침전성 폐기물을 분리하여 분뇨/오수/축산폐수 처리장에 설치된 시설물의 수명을 보장함과 동시에 분뇨/오수/축산폐수 처리장에서의 분뇨/오수/축산폐수 처리능력을 더욱 배가시키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2-012883호, 제95-026506호, 제96-005519호, 제96-062962호, 제97-082344호, 제98-02781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선행기술에 개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무기성 폐기물(금속류, 유리류, 플라스틱류, 비닐류, 신발류, 의류, 토사류(土砂類), 목재류, 패류(貝類) 등)과 유기성 폐기물(어류(魚類), 채소류, 과일류, 화훼류, 음식물류 등)이 혼합된 상태의 혼성 폐기물로부터 유기성 폐기물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은 유기성 폐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무기성 폐기물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로부터 무기성 폐기물의 분리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해 혼성 폐기물로부터 무기성 폐기물이 분리되는 경우, 혼성 폐기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혼성 폐기물로부터 무기성 폐기물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 재활용 가능한 유기성 폐기물 조차도 무기성 폐기물과 함께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폐기물 처리 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2차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는 다른 단점이 있다.
이들 단점은 수작업에 의한 분리공정을 수반하지 않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등장으로 해결되었다. 그러나, 이 폐기물 처리 시스템도 역시 혼성 폐기물로부터 무기성 폐기물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없다는 다른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다른 단점은 다단계의 선별공정을 가진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등장으로 어느 정도는 해결되었다. 그러나, 이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복잡한 구성으로 인한 부피의 증가 및 그에 따른 유지보수에 필요한 관리 비용의 증가와 같은 또 다른 단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는 부유성 폐기물(목재류, 플라스틱류, 비닐류, 부직포류, 신발류, 의류 등)과 침전성 폐기물(금속류, 유리류, 토사류 등)을 수반하고 있다. 그런데, 부유성 폐기물은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 설치된 배관을 막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침전성 폐기물은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 설치된 배관을 마모시켜 배관의 부식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침전조에 퇴적되어 점진적인 석화(石化)를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점은 배관으로 부유성 폐기물 및/또는 침전성 폐기물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또는 침전조에 침전성 폐기물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해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수단이 등장한 바가 없기 때문에, 그 해결수단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목적은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로부터 유기성 폐기물을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하여 유기질 비료 또는 가축용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로부터 유기성 폐기물을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하여 발효 물질로 중간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및/또는 침전성 폐기물을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 설치된 배관 및 침전조에 도달하기 전에 분리하여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 설치된 시설물의 수명을 보장함과 동시에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서의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해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래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퍼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농도 크린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드럼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8a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압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압착기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호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a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8 실시예를 도시
한 도면.
도 17b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9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해리기 200 : 래거
300 : 퍼지 400 : 고농도 크린너
500 : 제1 선별기 600 : 제2 선별기
700 : 드럼 스크린 800 : 압착기
900 : 호퍼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을 원심력, 중력 및 부력중 어느 하나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과 무기성 폐기물로 단계적으로 분리 배출하거나, 또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폐기물 및/또는 침전성 폐기물을 원심력, 증력 및 부력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분뇨/하수/축산폐수로부터 단계적으로 분리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 예컨대 중량 무기성 폐기물(금속류, 유리류, 신발류, 토사류(土砂類), 패류(貝類) 등)과, 경량 무기성 폐기물(의류, 부직포류, 플라스틱류, 비닐류, 목재류 등)과,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해조류, 어류(魚類), 채소류, 과일류, 화훼류, 곡물류, 음식물류 등)이 서로 혼합된 상태의 혼성 폐기물로부터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분리하여 가축용 사료 및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거나 발효성 물질로 중간처리하거나, 또는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폐기물(목재류, 플라스틱류, 부직포류, 비닐류, 신발류 등)과 침전성 폐기물(토사류, 금속류, 유리류 등)을 분뇨/하수/축산폐수와 분리하여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 설치된 시설물의 수명을 보장하거나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서의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경량 또는 부유성' 이란 용어는 물에 쉽게 뜬다는 의미하며, '중량 또는 침전성'이란 용어는 물에 쉽게 가라앉다는 의미하며, 또한 '경량과 중량'이란 용어는 상대적인 개념임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비록 선처리공정과 후처리공정에서 동일하게 사용될지라도 그 부피 및 중량에 있어서 선처리공정에서 보다는 후처리공정에서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 및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해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해리기(100)는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을 파쇄하여 중량 무기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해리기(100)는 벨트 컨베이어 또는 크레인(도시 생략)에 의해 적정량씩 이송되는 혼성 폐기물과 급수관에 의해 급수되는 교반수(攪拌水)를 수용하는 터브(110)와, 이 터브(110)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을 교반수와 함께 회전시켜 파쇄 및 분리하는 회전구동부와, 이 회전구동부에 의해 파쇄 및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터브(110)는 상하부에서 각각 경사진 원통형 터브이다. 상기 터브(110)에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효과적으로 일으키기 위한 복수의 베인(111)이 그 내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밀려나가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중간측 및 하측 배출구(112, 113)가 그 중간측 원주부 및 경사진 하측 원주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흡인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파쇄하여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배출하기 위한 바닥측 배출구(114)가 그 바닥부에 형성되고, 전체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지주역활을 하는 H 형강 또는 소정 직경의 강관(115)이 그 하부에 용접된다.
상기 터브의 경사진 하측 원주부에 형성된 하측 배출구(113)는 대형의 중량무기성 폐기물이 빠져나가도록 대직경의 단일의 대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터브의 중간측 원주부에 형성된 중간측 배출구(112)는 소형의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이 빠져나가도록 소정 반경내에 형성된 소직경의 복수의 소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의 바닥부에 형성된 바닥측 배출구(114)는 소형의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이 빠져나가도록 소직경의 복수의 구멍을 가진 천공판(114a)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바닥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121)와, 이 임펠러(121)와 결합되는 샤프트(122)와, 이 샤프트(122)에 축설되는 풀리(123)와, 이 풀리(123)에 벨트(124)와 같은 간접 동력전달수단을 매개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원(125)을 구비한다. 상기 임펠러(121)에는 터브 내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을 파쇄하면서 상기 천공판(114a)을 향해 경중량의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흡인하기 위한 복수의 베인(121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122)는 터브(110)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2개의 베어링(122a, 122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터브의 중간측 및 하측 배출구(112, 113)를 포함하도록 상기 터브의 외주면 상에 장착된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터브의 중간측 배출구(112)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1 배출부(131)와, 상기 터브의 하측 배출구(113)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2 배출부(132)와, 상기 터브의 바닥측 배출구(114)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3 배출부(133)를 구비한다. 이들 제1 및 제2 배출부(131, 132) 사이에는 조업의 완료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단(135)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배출부(132)에는 상하로 소정거리를 두고 제1 및 제2 전동밸브(132a, 132b)가 설치된다. 이들 제1 및 제2 전동밸브(132a, 132b)는 어느 하나가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가 폐쇄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연동식 밸브들이다. 예컨대, 제2 배출부(132)를 통해 배출되는 대형의 중량 무기성 폐기물이 제2 배출부의 제1 전동밸브(132a) 상에 소정높이를 유지하면, 제1 전동밸브(132a)가 개방되면서 제2 전동밸브(132b) 상에 쌓이게 되고, 이어서 제1 전동밸브(132a)가 폐쇄되면서 제2 전동밸브(132b)가 개방되어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세척수단(135)은 조업을 완전히 종료한 후에 상기 제1 배출부(131)와 제2 배출부(132) 사이에 붙어있는 폐기물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단에 분사노즐(135a)이 마련되어 있고, 이 분사노즐(135a)에 인접하여 전동밸브(135b)가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122)와 상기 터브(110)의 천공판(114a)이 접촉하는 부위에 밀봉 박스(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상기 터브(110)내의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봉 박스는 압력수(청정수)의 주입을 위한 방수링 및 복수의 패킹에 의해 적층된 2분할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리기(100)는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 및 급수된 물의 부력에 의해 터브(110) 내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을 파쇄하면서 대형의 중량 무기성 폐기물만을 기계적 손상없이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래거(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래거(200)는 상기 해리기(100)의 터브 내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로부터 경량 무기성 폐기물만을 분리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래거(200)는 상기 해리기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210)과, 이 프레임(210)에 장착되는 구동원(220)과, 이 구동원(220)과 결합되는 감속기(230)와, 이 감속기(230)와 결합되는 구동 롤러(250)과, 이 구동 롤러(250)와 맞물려 회전하는 공압 작동식 웨이트 로딩 롤러(pneumatic weight-loaded roller; 240)와, 이들 로딩 롤러(240)와 구동 롤러(250) 사이로 안내되어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인출하는 인출수단(26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롤러(250)는 상기 감속기(230)과 연결된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로딩 롤러(240)는 유압액츄에이터(245)와 연동한다. 이 유압 액츄에이터(245)는 상기 로딩 롤러(240)의 중심축과 연결된 링크기구(246)와 연결된다.
상기 래거(200)는 상기 해리기(100)의 터브 내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소정간격으로 절단하는 커터(cutter; 2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래거는 상기 인출수단(260)이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롤러(250)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공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 롤러(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터(280)는 상기 해리기(100)의 터브(110)에서 나선형으로 꼬인 상태로 상기 래거의 로딩 롤러(240)와 구동 롤러(250) 사이로 인출되는 경량 무기성 폐기물, 즉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중의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등을 그 상부에 설치된 칼날(도시 생략)에 의해 소정간격으로 절단한다.
상기 구동원(220)은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모터이며, 상기 감속기(230)는 워엄 감속기이다. 상기 브레이크 모터(220)의 작동시간은 타임 릴레이(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되는 한편, 그 회전속도는 상기 워엄 감속기(23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인출수단(260)은 상기 로딩 롤러(240)에서 안내 롤러(270)를 경유하여 상기 해리기(100)의 임펠러(121)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길이의 로프이다. 이 인출수단(260)은 갈고리 형상의 앵커(anchor)에 의해 그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자유단이다.
상기 인출수단(260)의 일단에 고정된 앵커는 상기 해리기(100)의 터브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등의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나선형으로 꼬아서 로프 형태를 취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수단(260)은 로프 형태를 취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상기 안내 롤러(270)에 의해 안내하면서 상기 로딩 롤러(240)와 구동 롤러(250)에 의해 연속적으로 인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퍼지(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퍼지(300)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파쇄하여 중량 무기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퍼지(300)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터브(310)와, 이 터브(310)에 수용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파쇄 및 분리하는 회전구동부와, 이 회전구동부에 의해 파쇄 및 분리된 경량 및 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퍼지(300)는 도 1에 도시된 해리기(100)와 비교하여 설치방향이 횡방향이고, 터브의 처리용량이 더 작고, 양측면이 폐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기 해리기(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해리기(100)와 다른 점이 설명될 것이다.
상기 퍼지의 터브(310)에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이 인입되는 인입구(312)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인입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파쇄하여 경량 및 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와 터브(310)는 전체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고정부(350)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이 고정부(350)는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된 앵커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인입구(312)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대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터브(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313)와, 상기 인입구(312)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형성되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314)와, 상기 터브(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3 배출구(315)로 구성된다. 이들 배출구중 제2 배출구(314)는 소직경의 복수의 소구멍을 가진 천공판(314a)이 장착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3 배출구(315)에는 2개의 전동 밸브(315a, 315b)가 설치된다. 이 전동 밸브(315a, 315b)는 상기 해리기(100)의 제2 배출부(132)에 설치된 전동 밸브(132a, 132b)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일측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임펠러(322)와, 이 임펠러(322)와 결합되는 샤프트(323)와, 이 샤프트(323)에 축설되는 풀리(324)와, 이 풀리(324)에 벨트(325)와 같은 간접 동력전달수단을 매개하여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원(330)을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322)에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흡인하여 파쇄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다수의 베인(322a)이 형성된다. 이 임펠러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의 조건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샤프트(323)는 상기 고정부(350) 에 대해 상기 터브(310) 및 구동원(330)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2개의 구면 롤러 베어링(326a, 326b)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퍼지는 타이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천공판(314a)은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용으로 이용될 경우 그 구멍 직경을 조절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고농도 크린너(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고농도 크린너(400)는 중력과 부력을 이용하여 경중량 폐기물로부터 중량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는 인입된 경중량 폐기물이 접선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하는 원통형 터브(410)와, 이 원통형 터브(410)와 동일한 길이방향 축선 상의 내측에 배치되고 평형수가 공급되는 원추형 터브(420)와, 상기 원추형 터브(420)로 공급된 평형수에 의해 상기 원통형 터브(410)를 따라 하강하는 경중량 폐기물을 중량 폐기물과 경량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원추형 터브(420)에는 상기 원통형 터브(410)로 인입된 경중량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경량 폐기물이 흡인되는 복수의 흡인구(426)도시 생략)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중간부에 상대적으로 많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추형 터브(420)에는 그 하단부에 상기 원통형 터브(410)를 따라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하강하는 경량 폐기물을 흡인하여 상승류를 형성하여 배출하기 위한 평형수(平衡水; balance water)가 공급관(430)을 통해 급수된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 터브(410)로 인입된 경중량 폐기물은 중력방향으로 그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하강하면서 원추형 터브(420)로 공급되는 평형수를 만나 평형을 이루면서 상기 원추형 터브(420)를 거슬러 올라가 배출된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원추형 터브(4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터브(410)에 의해 경중량 폐기물로부터 분리된 경량 폐기물을 평형수와 함께 배출하는 제1 배출구(425)와, 상기 원통형 터브(4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터브에 의해 분리된 중량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부(41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배출부(415)에는 서로 연동하는 2개의 전동 밸브(415a, 415b)가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전동 밸브(415a, 415b) 사이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440)이 설치된다. 상기 2개의 전동 밸브(415a, 415b)는 상기 해리기(100)의 제2 배출부(132)에 설치된 2개의 전동밸브(132a, 132b)와 동일한 작동방식으로 작동하며, 릴레이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원통형 터브(410)로 인입된 경중량 폐기물은 보다 효과적인 분리를 위해 펌프(도 10b의 우상단 참조)에 의해 2-3㎏/㎠의 압력으로 급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농도 크린너(400)는 경중량 폐기물로부터 중량 폐기물을분리하는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혼성 폐기물을 가축용 사료 또는 유기질 비료로 재생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이며, 특히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과정에서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침전성 폐기물을 95% 정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선별기(5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제1 선별기(500)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파쇄하여 중량 무기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1 선별기(500)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터브(510)와, 이 터브(510)에 수용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파쇄 및 분리하는 회전구동부와, 이 회전구동부에 의해 파쇄 및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선별기(500)는 도 3에 도시된 퍼지(300)와 비교하여 터브의 처리용량이 더 작고, 인입구(512a, 512b)가 회전구동부에 대향하는 일측면 및 터브(51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기 퍼지(30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선별기는 별도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선별기(6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제2 선별기(600)는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파쇄하여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2 선별기(600)는 인입된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터브(610)와, 이 터브에 인입된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파쇄 및 분리하는 회전구동부와, 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파쇄 및 분리되는 경량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터브(610)에는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이 인입되는 인입구(615)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파쇄하면서 경량 무기성 폐기물 및 경량 유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경량 무기성 폐기물에 붙어있는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부(6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입구(615)는 터브(6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터브의 길이방향 일측면에 형성되어 비닐류, 플라스틱류, 발포성 소재류(스치로품) 등의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616)와, 상기 터브의 하부에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617)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부(620)는 상기 터브 상부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터브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630)와, 이 회전체(630)에 각각 결합된 풀리(640)와, 이 풀리(640)에 벨트(635)와 같은 간접동력전달 수단을 매개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원(65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630)에는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파쇄하고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제1 배출구(616)을 향해 날려보내는 바람을 일으키기 위해 방사상으로 복수의 베인(63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과 약간의 거리를 두고 소정 규격의 메쉬를 가진 원통형 망상체(632)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기 터브(610)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체(630)의 회전에 의해 원통형 망상체(632)를 빠져나오는 경량 유기성 폐기물이 쉽게 달라붙지 못하도록 미세 표면처리된 안내판(633)이 취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선별기(600)는 경량 유기성 폐기물에 붙어 있는 비닐류, 플라스틱류 등의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확실하게 분리하며,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보다 세분화시킨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드럼 스크린(7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드럼 스크린(700)은 경량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해서 농축하거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탈수 농축하여 분리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드럼 스크린(700)은 원통형 본체(710)와, 이 본체(710)와 동축(同軸) 으로 결합되어 인입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원통형 망상체(720)와, 이 원통형 망상체(720)를 회전시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 농축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원통형 망상체(720)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나선형의 안내판(725)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탈수 농축됨과 동시에 나선형 안내판(725)을 따라 밀려나가 배출된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본체(710)의 일측 외주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 풀리(715)와, 이 풀리(715)에 벨트(717)와 같은 간접동력전달 수단 및 안내풀리(718)을 매개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원(75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수단은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이 인입되는 인입구(735)와,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과 이로부터 제거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입구(735)는 상기 원통형 망상체(720)의 일측면과 연결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본체(7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로부터 탈수된 수분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745)와, 상기 인입구(735)에 대향하는 원통형 망상체(72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탈수 농축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75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럼 스크린은 인입되는 폐기물의 성상(性狀)에 따라 원통형 망상체(720)의 메쉬(mesh)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시에는, 큰 치수의 메쉬를 가진 원통형 망상체가 장착된다. 그 결과, 원통형 망상체의 내주면에 마련된 나선형 안내판(725)을 통해 배출되는 물질은 부직포류, 신발류, 목재류, 등과 같은 대형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이고, 원통형 망상체를 통해 배출되는 물질은 토사류, 오수, 분뇨 등과 같은 소형 폐기물 또는 액체가 될 것이다.
도 8a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압착기(8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압착기(800)는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해서 농축하는 장치이다.
상기 압착기(800)는 인입되는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중에 압착하여 탈수하는 압착부와, 이 압착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 및 이로부터 탈수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압착부는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소정 두께로 분산시켜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 이송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는 이송구간과 복귀구간으로 분할된 타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이송롤러(830)와, 이 복수의 이송롤러(830)에 감겨 안내되면서 인입구(850)를 통해 인입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자연 탈수하는 무한 벨트형의 피더 매트 밴드(feathered mat band; 835)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830)는 이송구간에서 동평면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안내 이송롤러(830a)와, 상기 이송구간과 복귀구간의 전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더 매트 밴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정 이송롤러(830b)와, 상기 복수의 안내 이송롤러와 장력조정 이송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이송롤러(830c)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안내 이송롤러(830a)는 상기 피더 매트 밴드(835)에 박혀 있는 볼트류(M12 ×25㎜ 이하), 돌멩이(25㎜ 이하) 등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용 롤러(830d)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력조정 이송롤러(830b)는 그 중심축에 결합되는 유압 액츄에이터(845)에 의해 위치변동을 일으킨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송부와 대칭적인 형상이며, 가압구간과 복귀구간으로 분할된 타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압롤러(860)와, 이 복수의 가압롤러(860)에 감겨 안내되면서 상기 이송부의 피더 매트 밴드(feather mat band)와 접촉하는 무
한 벨트형의 가압 밴드(865)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가압롤러(860)는 가압구간에서 동평면상에 배열되는 복수의 안내 가압롤러(860a)와, 상기 가압구간과 복귀구간의 전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밴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정 가압롤러(860b)와, 상기 복수의 안내 가압롤러(860a)와 장력조정 가압롤러(860b)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가압롤러(860c)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조정 가압롤러(860b)는 상기 장력조정 이송롤러(830b)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축에 결합되는 유압 액츄에이터(885)에 의해 위치변동을 일으킨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이송롤러(830c) 및 구동 가압롤러(860c)의 일단부에 각각 감긴 간접동력 전달수단(855)과, 이 동력전달 수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원(85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이송롤러(830c)는 상기 구동 가압롤러(860c)와 정반대의 회전방향을 가진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자연 탈수된 수분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810)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가압부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820)를 포함한다. 상기 피더 매트 밴드(835)에는 수분을 흡인하는 흡인 여과기(812)가 설치된다. 이 흡인 여과기(812)는 별도의 흡인장치(89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흡인 장치(890)는 상기 제1 배출구(810)로부터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 배출구(81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피더 매트 밴드(835)는 내열성,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의 특수화학세사(細絲)로 제작되며, 탈수 건조작업 후에는 2.0㎏/㎠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며, 특히 4.0-5.0㎏/㎠의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는 경우 세척효과가 향상되면서 세척수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세척효과 및 세척수의 절약을 위해 세척수는 적당한 세제와 함께 혼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 밴드는 통상의 고무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830a-830d) 및 가압롤러(860a-860d)는 스테인레스강 (SUS304)으로 제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830a-830d) 각각은 경량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의 탈수 농축 및 건조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에 발열수단을 내장하거나 증기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착기(800)는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용 배합사료에 혼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범위인 함수율 60-65%로 탈수시킨다.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압착기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된 압착기도 경량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해서 농축하는 장치이다. 도 8b에 도시된 압착기는 일명 스크류형 압착기로 불리워지며, 도 8a에 도시된 압착기는 피더 매트형 압착기로 불리워진다.
상기 스크류형 압착기(1800)는 원통형 터브(1805)와, 이 터브 내측에 설치되어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원통형 망상체(1810)와, 이 원통형 망상체(1810)를 회전시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탈수 농축하는 회전구동부와, 이 회전구동부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 및 이로부터 탈수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망상체(1810)에는 필터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고, 그 외주면에 수분만을 통과시키는 필터(1820)가 배치된다. 상기 원통형 망상체(1810)는 용이한 조립분해를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2개로 분할될 수 있고, 그 메쉬는 처리대상 폐기물의 성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망상체(1810)는 그 외측에 고압의 세척수를 간헐적으로 자동분사하는 분사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막힘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원통형 망상체(1810)의 길이방향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1830)와, 이 샤프트(1830)에 결합되는 풀리(1835)와, 이 풀리(1835)에 벨트(1837)를 매개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원(1850)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1830)에는 나선부(1839)가 형성되어 있다.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의 인입측에서는 저압을 유지하되 배출측에서는 고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1830)는 고압측을 향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샤프트(1830)에 증기가 공급되거나 발열수단이 장착됨으로써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의 함수율이 더욱 낮아질 수 있다.
상기 구동원(1850)은 일반 표준형 모터로서, 사이클론 감속기(1855)와 결합된다. 이 감속기(1855)는 별도로 장착되는 속도 조절장치에 의해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감속기의 회전속도는 유기성 경량 폐기물의 성상에 따라 적절하게조절된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터브(1805)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인입구(1860)로 인입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 또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1870)와, 탈수된 수분을 배출하는 제2 배출구(1880)로 구성된다. 이들 제1 배출구(1870)와 제2 배출구(1880)는 모두 원통형 터브(1805)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1 배출구(1870)는 상기 인입구(1860)와 대각방향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2 배출구(1880)는 상기 원통형 터브(1805)의 하부에 형성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호퍼(9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호퍼는 최종 탈수 농축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보관하는 기구이다.
상기 호퍼(900)는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통상 하부가 원추형이고 나머지는 원통형이다. 상기 호퍼(900)는 그 상단에 마련된 인입구(910)를 통해 인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그 하단에 마련된 배출구(920)를 통해 적정량씩 배출한다. 상기 배출구(920)는 유압 액츄에이터(930)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출되는 유기성 경량 폐기물은 운반차량에 의해 운반되어 후속공정을 거쳐 가축용 사료 및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된다.
도 10a 및 도 10b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농수산물 판매장에서 방출되는 다량의 무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농수산물 판매장에서 방출되어 수거된 금속류, 토사류, 유리류, 플라스틱류, 비닐류 등의 무기성 폐기물과 어류, 채소류, 과일류 등의 유기성 폐기물이 서로 혼합된 상태의 혼성 폐기물을 교반수와 함께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100)와, 상기 해리기(100)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아서 분리 배출하는 래거(200)와, 상기 해리기(100)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2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퍼지(300)와, 상기 해리기(100)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400)와, 상기 퍼지(300)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3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제1 선별기(500)와,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4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제2 선별기(600)와, 상기 제1 및 제2 선별기(500, 600)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탈수 농축하는 드럼 스크린(700)과, 상기 드럼 스크린(700)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 농축하는 압착기(800)와, 상기 압착기에 의해 탈수 건조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호퍼(900)를 포함한다.
상기 해리기(100)와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 사이에는 고압원심펌프(1200)가 설치되어 상기 해리기(100)로부터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를 향해 고압으로 급송하게 된다. 상기 압착기(800)로부터 탈수된 수분과 외부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수를, 상기 해리기(100), 퍼지(300) 및 제2 선별기(600)에서 이용되는 세척수로 이용하기 위해 고압 원심펌프(13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착기(800)로부터 탈수된 수분을 상기 해리기(100)의 교반수로 사용하기 위해 고압 원심펌프(1400)가 설치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해 농수산물 판매장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농수산물 판매장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이 특정 장소에 수거된 후에 벨트 콘베이어 또는 크레인과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일정량씩 해리기(100)의 터브(110)를 향해 연속적으로 투입된다. 이와 동시에 고압 원심펌프(1400)를 통해 급수된 교반수(攪拌水)가 해리기의 터브(110)로 공급된다.
해리기의 터브(110) 내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은 교반수와 함께 해리기의 터브(110)의 바닥부에 장착된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회전구동부의 임펠러(121)에 의해 1차 파쇄되면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배출물, 경량 무기성 폐기물 및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터브의 하측 원주부에 형성된 하측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며,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터브의 중간측 원주부에 형성된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거나 터브의 바닥부에 형성된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며,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후술하는 래거(200)에 의해 배출된다. 터브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후술할 퍼지(300)로 급송되며, 터브의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후술할 고농도 크린너(400)로 급송되며, 터브의 하측 배출구(113)를 경유하여 제2 배출부(132)를 통해 배출되는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탈수된 후에 별도의 후속공정에 의해 중간처리되거나,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해리기(100)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래거(200)에 의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 내에서 회전하는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의류 등의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앵커를 일단에 고정한 인출수단(260)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로딩롤러(240)와 구동롤러(25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배출되는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상기 래거(200)와 인접하게 설치된 커터(280)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퍼지(300)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2차 파쇄되면서 터브(310) 내에서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중력과 부력에 의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 및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퍼지의 터브(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313)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제2 선별기(500)로 급송되며,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퍼지의 터브(3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314)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고농도 크린너(400)로 급송되며,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퍼지의 터브(310)의 하부에 형성된 제3 배출구(3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의 바닥측 배출구(114)와, 상기 퍼지(300)의 제2 배출구(314)를 통해 배출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고농도 크린너(400)로 인입되어 원통형 터브(4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하강하면서 원추형 터브(420)의 하단부에서 공급되는 평형수를 만나게 된다. 이때, 중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그 비중으로 인하여 계속 하강해서 원통형 터브(4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2 배출부(4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되며,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평형수와 함께 상승류를 형성하여 원추형 터브(420)의 상단에 마련된 제1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제1 선별기(500)로 급송된다.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의 제1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제1 선별기(500)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파쇄되면서 터브(510) 내에서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 및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제1 선별기의 터브(5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514)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드럼 스크린(700)으로 급송되며,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제1 선별기의 터브(510)의 중간부에 형성된 제3 배출구(5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퍼지의 제1 배출구(313)를 통해 배출된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제2 선별기(600)로 유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파쇄되면서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함께 발생하는 풍력에 의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경량 무기성 폐기물과 경량 유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제2 선별기의 터브(6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배출구(616)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되며,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제2 선별기의 터브(61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배출구(617)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드럼 스크린(700)으로 급송된다.
상기 제1 선별기(500)의 제2 배출구(514) 및 제2 선별기(600)의 제2 배출구(617)에 의해 배출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드럼 스크린(700)으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탈수 농축된다. 이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드럼 스크린의 터브(710)의 내측에 설치된 원통형 망상체(720)와 일체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판(725)을 따라 제2 배출구(755)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압착기(800)로 보내진다.
상기 드럼 스크린(700)의 제2 배출구(755)를 통해 배출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압착기(800)로 인입되어 이송부의 이송롤러(830)에 감긴 피더 매트 밴드(835)에 올려져서 가압부의 가압롤러(860)에 의해 가압되면서 탈수 농축된다. 이때,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피더 매트 밴드(835) 상에서 자연 탈수 및 강제 탈수를 동반하면서 배출되어 후술할 호퍼(900)로 보내진다.
상기 압착기(800)에 의해 탈수 배출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스크류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호퍼(900)로 인입되어 보관된다. 이 호퍼(900)에 보관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가금(家禽)에 해로운 무기성 폐기물을 완벽하게 제거된 상태이면서 낮은 함수율을 가지기 때문에 가축용 배합사료의 원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농수산물 판매장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고압용 원심펌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각각의 공정으로 처리대상 폐기물을 신속하게 급송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 종료 또는 작업중에 발생하는 배출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퍼지(300)와 제2 선별기(600) 사이에는 레벨 박스(1500)가 설치된다. 이 레벨 박스(1500)는 각각 순차적으로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의 원통형 터브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제2 선별기(600)로 인입되는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의 양을 조절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농수산물 가공공장 또는 대형 식당에서 방출되는 소량의 무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농수산물 가공공장 또는 대형 식당에서 방출되지만 농수산물 판매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무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혼성 폐기물을 교반수와 함께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100)와; 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2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퍼지(300)와; 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 및 상기 퍼지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탈수 농축하는 드럼 스크린(700)과, 상기 드럼 스크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 농축하는 압착기(800)와, 상기 압착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호퍼(900)를 포함한다.
또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해리기(100)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아서 분리 배출하는 래거가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압착기(800)로부터 탈수된 수분과 외부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수를 상기 해리기(100)의 임펠러(121), 천공판(114a) 및 배출수단과 퍼지(300)의 천공판(314a)을 세척하는 세척수로 이용하기 위해 고압 원심펌프(13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착기(800)로부터 탈수된 수분을 상기 해리기(100)의 터브에 공급되는 교반수로 사용하기 위해 고압 원심펌프(1400)가 설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해 농수산물 가공공장 또는 대형 식당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농수산물 가공공장 또는 대형 식당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이 특정 장소에 수거된 후에 벨트 콘베이어 또는 크레인과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일정량씩 해리기의 터브(110)를 향해 연속적으로 투입된다. 이와 동시에 고압 원심펌프(1400)에 의해 교반수(攪拌水)가 해리기의 터브(110)를 향해 급수된다.
해리기의 터브(110) 내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은 교반수와 함께 해리기의 터브(110)의 바닥부에 장착된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회전구동부의 임펠러(121)에 의해 1차 파쇄되면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 중량 무기성 폐기물 및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하측 원주부에 형성된 하측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며,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원주부에 형성된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거나 터브의 바닥부에 형성된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며, 경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후술하는 래거(200)에 의해 배출된다.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후술할 퍼지(300)로 급송되며, 터브의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후술할 드럼 스크린(700)으로 급송되며, 터브의 하측 배출구(113)를 경유하여 제2 배출부(132)를 통해 배출되는 중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탈수된 후에 별도의 후속공정에 의해 중간처리되거나,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해리기(100)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래거(200)에 의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 내에서 회전하는 소량의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앵커를 일단에 고정한 인출수단(260)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로딩 롤러(240)와 구동 롤러(25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배출되는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래거(200)와 인접하게 설치된 커터(280)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퍼지(300)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2차 파쇄되면서 터브(310) 내에서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원심력에 의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 및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퍼지의 터브(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313)를 통해, 그리고 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퍼지의 터브(3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314)를 통해 각각 배출되어 후술할 드럼 스크린(700)으로 급송되며,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퍼지의 터브(310)의 하부에 형성된 제3 배출구(3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해리기의 바닥측 배출구(114)와 상기 퍼지의 제1 및 제2 배출구(313, 314)를 통해 배출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드럼 스크린(700)으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탈수 농축된다. 이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드럼 스크린의 터브(710)의 내측에 설치된 원통형 망상체(720)와 일체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판(725)을 따라 제2 배출구(755)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압착기(800)로 보내진다.
상기 드럼 스크린(700)의 제2 배출구(755)를 통해 배출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압착기(800)로 인입되어 이송부의 이송롤러(830)에 감긴 피더 매트 밴드(835)에 올려져서 가압부의 가압롤러(860)에 의해 가압되면서 탈수 농축된다. 이때,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피더 매트 밴드(835) 상에서 자연 탈수 및 강제 탈수를 동반하면서 배출되어 후술할 호퍼(900)로 보내진다.
상기 압착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스크류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호퍼(900)로 인입되어 보관된다. 이 호퍼(900)에 보관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가금(家禽)에 해로운 무기성 폐기물을 완전 제거된 상태이면서 낮은 함수율을 가지기 때문에 가축용 배합사료의 원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농수산물 가공공장 또는 대형 식당에서 방출되는 소량의 무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농수산물 가공공장 또는 대형 식당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을 교반수와 함께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100)와; 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400)와; 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고농도 크린너에 의해 분리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탈수 농축하는 드럼 스크린(700)과; 상기 드럼 스크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 농축하는 압착기(800)와, 상기 압착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호퍼(900)를 포함한다.
또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해리기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아서 분리 배출하는 래거가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해리기(100)와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 사이에는 고압 원심펌프(1200)가 설치되어 상기 해리기(100)로부터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를 향해 고압으로 급송하게 된다. 상기 압착기(800)로부터 탈수된 수분과 외부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수를 조업중 또는 조업후에 상기 해리기(100)의 임펠러(121), 천공판(114a) 및 배출수단을 세척하는 세척수로 이용하기 위해 고압 원심펌프(13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해리기(100)에 급수되는 교반수로 사용하기 위해 고압 원심펌프(1400)가 설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해 농수산물 가공공장 및 대형 식당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농수산물 판매장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이 특정 장소에 수거된 후에 벨트 콘베이어 또는 크레인과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일정량씩 해리기의 터브(110)를 향해 연속적으로 투입된다. 그리고 고압 원심펌프(1400)에 의해 교반수(攪拌水)가 해리기의 터브(110)를 향해 급수된다.
해리기의 터브(110) 내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은 교반수와 함께 해리기의 터브(110)의 바닥부에 장착된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회전구동부의 임펠러(121)에 의해 1차 파쇄되면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 중량 무기성 폐기물 및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하측 원주부에 형성된 하측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며,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원주부에 형성된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거나 터브의 바닥부에 형성된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다.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그리고 터브의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고농도 크린너(400)로 급송되며, 터브의 하측 배출구(113)를 경유하여 제2 배출부(132)를 통해 배출되는 중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탈수된 후에 별도의 후속공정에 의해 중간처리되거나,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와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래거(200)가 설치되어, 상기 해리거의 터브(110)에서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래거(200)에 의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 내에서 회전하는 소량의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앵커를 일단에 고정한 인출수단(260)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로딩 롤러(240)와 구동 롤러(25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배출되는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래거(200)와 인접하게 설치된 커터(280)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그리고 터브의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고농도 크린너(400)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2차 파쇄되면서 원통형 터브(4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하강하면서 원추형 터브(420)의 하단부에서 공급되는 평형수를 만나게 된다. 이때, 중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그 비중으로 인하여 계속 하강하여 원통형 터브(4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2 배출구(4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과 같이 최종처리되며,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평형수와 함께 상승류를 형성하여 원추형 터브(420)의 상단에 마련된 제1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드럼 스크린(700)으로 급송된다.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의 제1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드럼 스크린(700)으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탈수 농축된다. 이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드럼 스크린의 터브(710)의 내측에 설치된 원통형 망상체(720)와 일체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판(725)부를 따라 제2 배출구(755)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압착기(800)로 보내진다.
상기 드럼 스크린의 제2 배출구(755)를 통해 배출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압착기(800)로 인입되어 이송부의 이송롤러(830)에 감긴 피더 매트 밴드(835)에 올려져서 가압부의 가압롤러(860)에 의해 가압되면서 탈수 농축된다. 이때,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피더 매트 밴드(835) 상에서 자연 탈수 및 강제 탈수를 동반하면서 배출되어 후술할 호퍼(900)로 보내진다.
상기 압착기(800)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스크류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호퍼(900)로 인입되어 보관된다. 이 호퍼에 보관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가금(家禽)에 해로운 무기성 폐기물을 완전 제거된 상태이면서 낮은 함수율을 가지기 때문에 가축용 배합사료의 원료 또는 유기질 비료로 재생된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소량의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소량의 혼성 폐기물을 교반수와 함께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100)와; 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400)와, 상기 고농도 크린너에 의해 분리된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2차 파쇄하여 원심력에 의해 경량 유기성 폐기물과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제2 선별기(600)와, 상기 제2 선별기에 의해 분리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 농축하는 압착기(800)와, 상기 압착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호퍼(900)를 포함한다.
또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해리기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아서 분리 배출하는 래거가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해리기(100)와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 사이에는 고압 원심펌프(1200)가 설치되어 상기 해리기(100)로부터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를 향해 고압으로 급송하게 된다. 상기 압착기(800)로부터 탈수된 수분과 외부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청정수를 조업중 또는 조업후에 상기 해리기(100)의 임펠러(121), 천공판(114a) 및 배출수단을 세척하는 세척수로 이용하기 위해 고압 원심펌프(13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해리기(100)에 급수되는 교반수로 사용하기 위해 고압 원심펌프(1400)가 설치된다.
도 13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해 소량의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소량의 혼성 폐기물이 해리기의 해리기의 터브(110)를 향해 연속적으로 투입된다. 그리고 고압 원심펌프(1400)에 의해 교반수(攪拌水)가 해리기의 터브(110)를 향해 급수된다.
해리기의 터브(110) 내에 수용된 혼성 폐기물은 교반수와 함께 해리기의 터브(110)의 바닥부에 장착된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회전구동부의 임펠러(121)에 의해 1차 파쇄되면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 중량 무기성 폐기물 및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하측 원주부에 형성된 하측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며,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원주부에 형성된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거나 터브의 바닥부에 형성된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다.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그리고 터브의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고농도 크린너(400)로 급송되며, 터브의 하측 배출구(113)를 경유하여 제2 배출부(132)를 통해 배출되는 중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탈수된 후에 별도의 후속공정에 의해 중간처리되거나,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
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와 연계하여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래거(200)가 설치되어, 상기 해리거의 터브(110)에서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래거(200)에 의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 내에서 회전하는 소량의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앵커를 일단에 고정한 인출수단(260)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로딩 롤러(240)와 구동 롤러(25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배출되는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래거(200)와 인접하게 설치된 커터(280)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그리고 터브의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고농도 크린너(400)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2차 파쇄되면서 원통형 터브(4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하강하면서 원추형 터브(420)의 하단부에서 공급되는 평형수를 만나게 된다. 이때, 중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그 비중으로 인하여 계속 하강하여 원통형 터브(4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2 배출구(4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과 같이 최종처리되며,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평형수와 함께 상승류를 형성하여 원추형 터브(420)의 상단에 마련된 제1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제2 선별기(600)로 급송된다.
상기 고농도 크린너(400)의 제1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된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제2 선별기(600)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2차 파쇄되면서 터브(610) 내에서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원심력에 의해 경량 유기성 폐기물 및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제2 선별기의 터브(6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배출구(616)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압착기(800)로 급송되며,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제2 선별기의 터브(61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배출구(617)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제2 선별기(600)의 제2 배출구(617)를 통해 배출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압착기(800)로 인입되어 이송부의 이송롤러(830)에 감긴 피더 매트 밴드(835)에 올려져서 가압부의 가압롤러(860)에 의해 가압되면서 탈수 농축된다. 이때,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피더 매트 밴드(835) 상에서 자연 탈수 및 강제 탈수를 동반하면서 배출되어 호퍼(900)로 이송된다. 따라서, 호퍼(900)에 보관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함수율 65-70%를 유지하며, 유기질 비료 및 가축용 사료의 원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소량의 무기성 폐기물과 다량의 음식물류의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혼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100)와; 상기 해리기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아서 분리 배출하는 래거(200)와; 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2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퍼지(300)와; 상기 해리기 및 퍼지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저장조(200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조(200)는 호퍼(900)의 수용되는 폐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동반하므로 방수처리된 대형 탱크이며, 하수 처리장에 설치된 저장조와 같은 종류이다.
도 14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소량의 무기성 폐기물과 다량의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혼성 폐기물이 해리기의 터브(110)로 투입되어, 해리기의 터브(110)의 바닥부에 장착된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혼성 폐기물은 회전구동부의 임펠러(121)에 의해 1차 파쇄되면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 경량 무기성 폐기물 및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하측 원주부에 형성된 하측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며,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원주부에 형성된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거나 터브의 바닥부에 형성된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며, 경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후술하는 래거(200)에 의해 배출된다.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후술할 퍼지(300)로 급송되며, 터브의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후술할 압착기(800)로 급송되며, 터브의 하측 배출구(113)를 경유하여 제2 배출부(132)를 통해 배출되는 중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탈수된 후에 별도의 후속공정에 의해 중간처리되거나,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해리기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래거(200)에 의해 배출되어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 내에서 회전하는 소량의 비닐류, 플라스틱류, 목재류 등의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앵커를 일단에 고정한 인출수단(260)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로딩 롤러(240)와 구동 롤러(25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배출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커터(280)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퍼지(300)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1차 파쇄되면서 퍼지의 터브(310) 내에서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원심력에 의해 경량 유기성 폐기물, 중량 유기성 폐기물 및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상기 퍼지의 터브(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313)를 통해, 그리고 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상기 퍼지의 터브(3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314)를 통해 배출되어 저장조(2000)로 급송되며,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상기 퍼지의 터브(310)의 하부에 형성된 제3 배출구(3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소량의 무기성 폐기물과 다량의 음식물류의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혼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중력, 원심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100)와; 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2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퍼지(300)와; 상기 퍼지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경량 유기성 폐기물과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제2 선별기(600)와; 상기 해리기, 퍼지 및 제2 선별기에 의해 분리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저장조(2000)를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해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소량의 무기성 폐기물과 다량의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혼성 폐기물이 해리기의 터브(110)로 투입되어, 해리기의 터브(110)의 바닥부에 장착된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혼성 폐기물은 회전구동부의 임펠러(121)에 의해 1차 파쇄되면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 경량 무기성 폐기물 및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하측 원주부에 형성된 하측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며,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원주부에 형성된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거나 터브의 바닥부에 형성된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다.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후술할 퍼지(300)로 급송되며, 터브의 바닥측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후술할 제2 선별기(600)로 급송되며, 터브의 하측 배출구(113)를 경유하여 제2 배출부(132)를 통해 배출되는 중량의 무기성 폐기물은 탈수된 후에 별도의 후속공정에 의해 중간처리되거나,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상기 해리기의 터브(110)의 중간측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퍼지(300)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2차 파쇄되면서 터브(310) 내에서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 및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상기 퍼지의 터브(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313)를 통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상기 퍼지의 터브(3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배출구(314)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제2 선별기(600)로 급송되며, 중량 무기성 폐기물은 상기 퍼지의 터브(310)의 하부에 형성된 제3 배출구(3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
된다.
상기 퍼지의 제1 및 제2 배출구(313, 314)를 통해 배출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은 제2 선별기(600)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2차 파쇄되면서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함께 발생하는 풍력에 의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은 경량 무기성 폐기물과 경량 유기성 폐기물로 각각 분리된다. 이 경량 무기성 폐기물은 제2 선별기의 터브(6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배출구(616)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되며, 경량 유기성 폐기물은 제2 선별기의 터브(61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배출구(617)를 통해 배출되어 저장조(2000)로 급송된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7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대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과 소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하는 드럼 스크린(700)과; 상기 드럼 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소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소형의 부유성 폐기물과 소형의 침전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400)와, 상기 드럼 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대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하는 압착기(800)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해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은 드럼 스크린(700)으로 인입되어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망상체(720)에 의해 대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이 걸러진다. 이때, 원통형 망상체(720)에 의해 걸러진 대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은 탈수되면서 원통형 망상체(720)와 일체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판(725)에 의해 농축되면서 이 나선형 안내판(725)을 따라 제2 배출구(755)로 배출되어 후술할 압착기(800)로 이송되며, 원통형 망상체(720)에 걸려지지 않은 소형의 침전성 폐기물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제1 배출구(745)를 통해 후술할 고농도 크린너(400)로 급송된다.
상기 드럼 스크린(700)의 제1 배출구(745)를 통해 분리 배출된 소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은 고농도 크린너(400)로 인입되어 원통형 터브(4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하강한다. 이때, 소형의 침전성 폐기물은 그 비중으로 인하여 계속 하강하여 원통형 터브(4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2 배출부(4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되며, 소형의 부유성 침전물과 분리된 분뇨/하수/축산폐수는 원추형 터브(420)의 상단에 마련된 제1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되어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급송된다.
상기 드럼 스크린(700)의 제2 배출구(755)를 통해 배출된 대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은 압착기(800)로 인입되어 이송부의 이송롤러(830)에 감긴 피더 매트 밴드(835)에 올려져서 가압부의 가압롤러(860)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자연 탈수 및 강제 탈수된다. 이때, 대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은 피더 매트 밴드(835) 상에서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되며, 탈수된 분뇨/하수/축산폐수는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된다.
도 17a 및 도 17b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제8 및 제9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침전성 폐기물과 부유성 폐기물을 각각 분리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a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침전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400)를 포함한다.
도 17a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해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침전성 폐기물을 분리 처리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침전성 폐기물은 분뇨/하수용 급송관을 통해 고농도 크린너(400)로 인입되어 원통형 터브(4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 하강한다. 이때, 침전성 폐기물은 그 비중으로 인하여 계속 하강하여 원통형 터브(4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제2 배출구(415)를 통해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된다. 그리고, 침전성 폐기물과 분리된 분뇨/하수는 원추형 터브(420)의 상단에 마련된 제1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되어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처리된다.
도 17b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폐기물을 걸러서 분리 배출하는 드럼 스크린(700)을 포함한다.
도 17b에 도시된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의해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폐기물을 분리 처리하기 위한 공정은 다음과 같다.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폐기물은 분뇨/하수용 급송관을 통해 드럼 스크린(700)으로 인입되어 원통형 망상체(720)에 의해 걸러져 회전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나선형 안내판(725)을 따라 분리 배출된다. 이때, 원통형 망상체(720)에 의해 걸러진 부유성 폐기물은 탈수되면서 원통형 망상체(720)와 일체로 형성된 나선형 안내판(725)을 따라 제2 배출구(755)로 배출되어 매립 또는 소각에 의해 최종처리되며, 원통형 망상체(720)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분뇨/하수는 제1 배출구(745)를 통해 배출되어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처리된다.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폐기물의 성상에 따라, 드럼 스크린의 원통형 망상체(720)의 메쉬가 조절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로부터 유기성 폐기물을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유기질 비료 또는 가축용 사료로 재활용하거나 발효 물질로 중간처리하는 자원의 재활용도가 대폭 증가된다.
또한,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및/또는 침전성 폐기물을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 설치된 시설물에 도달하기 전에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 설치된 시설물의 수명을 보장함과 동시에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에서의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능력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대형 식당, 농수산물 가공공장, 농수산물 판매장 등지에서 방출되는 혼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을 회수하여 교반수 및 세척수로 이용하기 때문에,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별도의 시설물이 필요없다.
Claims (9)
- 혼성 폐기물을 교반수와 함께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상기 해리기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아서 분리 배출하는 래거;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2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퍼지;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상기 퍼지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3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제1 선별기;상기 고농도 크린너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4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제2 선별기;상기 제1 및 제2 선별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탈수 농축하는 드럼 스크린;상기 드럼 스크린에 의해 탈수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 농축하는 압착기; 및상기 압착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인조 폐기물을 포함한 폐기물 처리 시스템.
- 소량의 무기성 폐기물을 포함한 혼성 폐기물을 교반수와 함께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2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퍼지;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 및 상기 퍼지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탈수 농축하는 드럼 스크린;상기 드럼 스크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 농축하는 압착기; 및상기 압착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 혼성 폐기물을 교반수와 함께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고농도 크린너에 의해 분리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탈수 농축하는 드럼 스크린;상기 드럼 스크린에 의해 탈수 배출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 농축하는 압착기 및상기 압착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 혼성 폐기물을 교반수와 함께 회전시켜 1차 파쇄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상기 고농도 크린너에 의해 분리된 경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2차 파쇄하여 원심력에 의해 경량 유기성 폐기물과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제2 선별기;상기 제2 선별기에 의해 분리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 농축하는 압착기;상기 압착기에 의해 탈수 농축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혼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원심력, 중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상기 해리기에 의해 미분리된 경량 무기성 폐기물을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꼬아서 분리 배출하는 래거;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2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퍼지; 및상기 해리기 및 퍼지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에 수반되는 혼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1차 파쇄하면서 중력, 원심력 및 부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해리기;상기 해리기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2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과 중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퍼지;상기 퍼지에 의해 분리된 경중량 무기성/유기성 폐기물을 회전시켜 3차 파쇄하면서 원심력에 의해 경량 유기성 폐기물과 경량 무기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제2 선별기; 및상기 해리기, 퍼지 및 제2 선별기에 의해 분리된 경량 유기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 분뇨/하수/축산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축산폐수에 수반되는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걸러서 대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드럼스크린;상기 드럼 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소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소형의 부유성 폐기물과 소형의 침전성 폐기물로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 및상기 드럼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대형의 부유성/침전성 폐기물과 상기 고농도 크린너에 의해 분리된 부유성 폐기물을 가압력에 의해 탈수하는 압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 분뇨/하수 처리장과 연결된 분뇨/하수용 급수관에 각각 인입구와 배출구가 연결되어,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부유성 폐기물을 걸러서 탈수 농축하는 드럼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 분뇨/하수 처리장과 연결된 분뇨/하수용 급수관에 각각 인입구와 배출구가 연결되어, 분뇨/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분뇨/하수에 수반되는 침전성 폐기물을 중력과 부력에 의해 분리 배출하는 고농도 크린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12351A KR100363941B1 (ko) | 2000-03-11 | 2000-03-11 | 폐기물 처리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12351A Division KR100363941B1 (ko) | 2000-03-11 | 2000-03-11 | 폐기물 처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0449Y1 true KR200190449Y1 (ko) | 2000-08-01 |
Family
ID=196544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6926U KR200190449Y1 (ko) | 2000-03-11 | 2000-03-11 | 폐기물 처리 시스템 |
KR1020000012351A KR100363941B1 (ko) | 2000-03-11 | 2000-03-11 | 폐기물 처리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12351A KR100363941B1 (ko) | 2000-03-11 | 2000-03-11 | 폐기물 처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019044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5503B1 (ko) * | 2008-06-30 | 2011-01-04 | 명신산업기계(주) | 라거장치 및 운전방법 |
KR101575674B1 (ko) * | 2015-03-31 | 2015-12-22 | 명신산업기계(주) | 래그 브레이커 설비 |
-
2000
- 2000-03-11 KR KR2020000006926U patent/KR2001904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3-11 KR KR1020000012351A patent/KR1003639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8240A (ko) | 2001-09-26 |
KR100363941B1 (ko) | 2002-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10583B2 (en) | Process of treating organic waste for anaerobic digestion | |
CN109719113B (zh) | 改进型餐厨垃圾碎解浆化处理设备 | |
CN210994503U (zh) | 一种垃圾破碎浮选装置 | |
KR100676729B1 (ko) |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 |
CN109772853A (zh) | 碾压辊、辊压破碎部件和餐厨垃圾碎解浆化处理设备 | |
KR101146230B1 (ko) | 스크린드럼형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조절장치 | |
KR200190449Y1 (ko) | 폐기물 처리 시스템 | |
CN209968631U (zh) | 一种砂石分离清洗设备 | |
KR100625211B1 (ko) | 탈수차량 시스템 | |
CN216732550U (zh) | 编织袋薄膜破碎清洗线 | |
CN216677272U (zh) | 一种厨余垃圾过滤设备 | |
KR100478008B1 (ko) | 축폐수.분뇨 및 정화조 오니 고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
CN215143279U (zh) | 一体化有机垃圾处理装置 | |
CN209501978U (zh) | 螺旋筛选部件和包括它的餐厨垃圾碎解浆化处理设备 | |
CN209792231U (zh) | 螺旋传送部件和包括它的餐厨垃圾碎解浆化处理设备 | |
KR100882264B1 (ko) | 유기물 슬러지를 연료화하기 위한 친환경 이물질 제거장치 | |
CN112500992A (zh) | 一种城乡易腐垃圾的预处理装置 | |
KR100261536B1 (ko) | 음식물을포함한협잡물쓰레기처리시스템 | |
CN212525408U (zh) | 一体式厨余垃圾预处理装置 | |
KR100493739B1 (ko) |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 |
CN215941037U (zh) | 一种餐厨垃圾预处理系统 | |
CN221231276U (zh) | 一种餐厨垃圾分离系统 | |
CN215143271U (zh) | 一种兼具自动分选、清洗功能的物料输送装置 | |
KR200176563Y1 (ko) | 음식물을 포함한 협잡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2498216B1 (ko) | 폐기물 선별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516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