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154Y1 -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154Y1
KR200189154Y1 KR2019950036731U KR19950036731U KR200189154Y1 KR 200189154 Y1 KR200189154 Y1 KR 200189154Y1 KR 2019950036731 U KR2019950036731 U KR 2019950036731U KR 19950036731 U KR19950036731 U KR 19950036731U KR 200189154 Y1 KR200189154 Y1 KR 200189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output
voltage
vehicle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6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847U (ko
Inventor
최완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6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154Y1/ko
Publication of KR9700228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8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1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 속도 이상에서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파킹 브레이크가 밟히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차속센서(1)와; 상기 차속센서(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해당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2)와; 설정 전압과 상기 컨버터(2)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파킹 브레이크에 락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비교부(3)와; 상기 비교부(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비교부(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출력신호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며 파킹 브레이크를 락시키는 동작부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속센서 2 : F/V컨버터
3 : 비교부 4 : 제어부
5 : 동작부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parking brak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속도 이상에서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파킹 브레이크가 밟히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파킹 브레이크가 발에 의해 조작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파킹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자동차의 뒷바퀴(rear wheel)에 락(lock)이 걸려 자동차는 주행 안정을 잃게 되고 사고의 위험이 더욱 증가된다.
운전자는 항상 오동작에 의해 파킹 브레이크가 밟히지 않도록, 주행시 페달을 밟을 때는 파킹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정 속도 이상에서는 파킹 브레이크가 밟혀도 작동되지 않도록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현재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차속센서와;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해당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설정 전압과 상기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파킹 브레이크에 락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며 파킹 브레이크를 락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현 주행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센서(1)와, 상기 차속센서(1)와 연결되어 차속센서(1)에서 감지된 현주행속도의 펄스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Frequency voltage converter : 이하 “F/V컨버터”라 약칭함)와, 상기 F/V컨버터(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비교부(3)와, 상기 비교부(3)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그 제어신호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장치를 동작시키는 동작부(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비교부(3)는 전원(Vcc)과, 상기 전원(Vcc)의 일측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1)과, 상기 저항(R1)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2)과, F/V컨버터(2)의 출력단자에 비반전 단자가 연결되고 저항(R1)의 타측단자에 반전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비교기(C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어부(4)는 상기 비교기(C1)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저항(R3)와,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S1)와, 상기 저항(R3)의 출력단자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S1)의 일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작부(5)는 솔레노이드(S1)와 연결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레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본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신호의 상태가 변화하는 차속센서(1)의 출력신호는 F/V컨버터(2)에 의해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해당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되어 비교부(3)로 출력된다.
이때, 비교부(3)에서는 저항(R2,R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이미 기준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F/V컨버터(2)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와 비교부(3)의 설정 전압을 비교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F/V컨버터(2)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설정 속도보다 높을 경우, 즉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설정 속도 이상일 경우, 비교기(C1)의 출력신호는 고레벨인 “H”상태가 된다.
따라서, 고레벨인 “H”신호는 저항(R3)를 거쳐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단자로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를 턴온시켜 솔레노이드(S1)에 자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S1)의 자계에 의해 동작부(5)가 레버를 동작시켜 파킹 브레이크의 페달이 밟히지 않도록 락을 걸어 준다.
따라서, 운전자가 파킹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파킹 브레이크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나, 차속센서(1)를 통하여 감지되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일 경우, F/V컨버터(2)에 의해 변환된 전압의 크기는 비교부(3)의 저항(R1,R2)에 의해 설정되는 기준 전압보다 낮다.
그러므로, 비교부(3)의 출력신호는 저레벨인 “L”상태가 되므로 트랜지스터(TR)가 턴오프 상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S1)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므로 자계의 발생이 생기지 않게 되고 동작부(5)는 파킹 브레이크에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파킹 브레이크에는 레버가 동작되지 않아 운전자가 파킹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파킹 브레이크는 본래의 동작을 하게 된다.
[효과]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현재 차속이 설정 차속보다 높을 경우에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파킹 브레이크가 밟혀도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해 파킹 브레이크는 동작되지 않게 되어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현재 자동차의 주행 속도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차속센서(1)와; 상기 차속센서(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해당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2)와; 설정 전압과 상기 컨버터(2)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파킹 브레이크에 락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비교부(3)와; 상기 비교부(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비교부(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동작 상태가 변화하여 파킹 브레이크의 잠금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출력신호에 따라 파킹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며 파킹 브레이크를 락시키는 동작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비교부(3)는, 상기 전원(Vcc)의 일측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1)과, 저항(R1)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2)과, 컨버터(2)의 출력단자와 상기 저항(R1,R2)에 연결되어 있는 비교기(C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되는 전압을 비교기(C1)의 기준 전압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C1)는 컨버터(2)의 출력 전압이 비반전 단자로 인가되고,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반전 단자로 인가되어 비교 동작에 따라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는, 비교기(C1)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저항 R3와, 전원(B+)과,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S1)와, 상기 저항R3의 출력단자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S1)의 일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5)는, 솔레노이드(S1)와 연결되어 있는 레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KR2019950036731U 1995-11-29 1995-11-29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장치 KR200189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731U KR200189154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731U KR200189154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847U KR970022847U (ko) 1997-06-18
KR200189154Y1 true KR200189154Y1 (ko) 2000-09-01

Family

ID=1943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6731U KR200189154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1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847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2920B1 (en) Voltage detection circuit with common-base configured transistor
KR200189154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제어장치
KR950017430A (ko) 전기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3251B1 (ko) 빠른 응답을 가지고 긴급상황시 안정되게 동작하는 전자제어 조향장치
JP2756687B2 (ja) 全電気式動力舵取装置制御方法
KR960010554Y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비상등 점등장치
JP3334145B2 (ja) 負荷電源電圧監視装置
KR100201374B1 (ko) 자동차의 전압 보상회로
JPS638507Y2 (ko)
JP2521655Y2 (ja) 表示器駆動回路
JPH0441331Y2 (ko)
KR0159155B1 (ko) 자동차의 기계식 속도계를 위한 속도 경고 장치
JPH0219843Y2 (ko)
JPS59109448A (ja) ロツク防止制御回路
KR200151679Y1 (ko) 자동차 램프 끓어짐 경고 장치
KR100422200B1 (ko) 철도차량용 속도검출장치
JPH0412864Y2 (ko)
KR0139061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장치
KR0178918B1 (ko) 차량의 후진등 작동 표시장치
KR20010088190A (ko) 브이디씨 시스템용 조향각 센서
KR19990026992A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잠김상태 주행시 경보장치
JPS59109449A (ja) ロツク防止制御回路
KR970040104A (ko) 자동차 와이퍼 정속도 제어장치
KR19980039439U (ko) 주차브레이크조작주행시 경보장치
KR970010350A (ko) 자동차의 제동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