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148Y1 - 자동차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148Y1
KR200186148Y1 KR2019970001481U KR19970001481U KR200186148Y1 KR 200186148 Y1 KR200186148 Y1 KR 200186148Y1 KR 2019970001481 U KR2019970001481 U KR 2019970001481U KR 19970001481 U KR19970001481 U KR 19970001481U KR 200186148 Y1 KR200186148 Y1 KR 200186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interior
molding
interior material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305U (ko
Inventor
전성도
Original Assignee
전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도 filed Critical 전성도
Priority to KR2019970001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14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3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내장재의 구조로는 강성 유지가 힘들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기가 난해하며, 성형 후에도 수축현상으로 인해 후변형이 발생하여 성형완료시 제품 불량이 많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생산량 계획에 차질이 생기게 되며 이에 따른 원가의 손실로 인하여 내장재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패드(110)의 양면에 금속 재질의 메쉬망(111)을 매입한 다음 그 패드(110)의 일측면에 표피재(120)를 접합하므로서, 패드(110)에 매입된 메쉬망(111)으로 인해 내장재(100)의 강도 유지가 양호하여 성형성이 좋아지고, 성형한 다음에도 수축이 없어 후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됨에 따라 성형완료시 제품의 불량률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고, 정확한 생산량 계획에 따른 제작으로 인하여 원가 손실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장재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 여러 부위에는 내장재가 설치되어 차음, 흡음 및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내장재는 자동차 실내의 천장이나 도어의 내측면, 뒷좌석의 선반 등에 사용되며, 그 구조는 통상 패드의 이면에 표피재를 접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즉, 제1도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내에 사용되는 내장재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재(10)는 연질의 패드(10a)의 이면에 역시 연질의 표피재(10b)를 접합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패드(10a)는 보통 우레탄 폼, 발포 폴리에틸렌폼 등이 사용되며, 표피재(10b)로는 염화비닐레저, 염화비닐필름, 퍼블릭, 부직포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2도는 자동차의 천장에 사용되는 내장재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천장을 구성하는 내장재(20)는 통상 표피재(20b)와 그 이면에 패드(20a)가 설치되고 그 이면에는 강성, 강도를 위해 성형팰트나 성형하드보드, 유리섬유, 우레탄, 골판지 플라스틱, 성형골판지, 폴리스틸렌 등이 사용되는데, 여기서는 내장재(20)의 강도 유지를 위하여 골판지(20c)의 내부에 은박지(20d)를 삽입 성형하여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제3도는 도어의 내측면에 사용되는 내장재의 요부 측단면도로서, 표피재(30b)와 패드(30a), 그리고 강성 및 강도 유지 위한 기재(30c)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재(30c))에는 값이 싸고 가공하기가 쉬운 하드보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내장재에 있어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1도에 도시한 일반적인 내장재(10)는 소재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성형성이 나쁘고 성형 후, 수축 현상으로 인한 후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제2도에 도시한 천장에 사용된 내장재(20)는 수축 현상은 적은 반면, 강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므로 성형성이 나쁘고 후변형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도어 내측면에 사용되는 내장재(30)는 강도 유지는 양호하여 성형성은 좋으나, 성형 후 수축 현상에 따른 후변형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장재가 강성 및 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성형 후 수축 현상에 따른 후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드와 표피재의 사이에 금속 재질의 메쉬망을 설치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패드와 표피재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내장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패드의 양면에 금속 재질의 메쉬망을 매입한 다음 그 패드의 일측면에 표피재를 접합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고, 이러한 본 고안은 패드에 매입된 메쉬망으로 인해 내장재의 강도 유지 양호하여 성형성이 좋아지고, 성형한 다음에도 수축이 없어 후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됨에 따라 성형완료시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생산량 계획에 차질로 인한 원가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제2도는 종래 자동차의 천장에 사용되는 내장재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제3도는 종래 자동차의 도어에 사용되는 내장재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의 구성을 보인 요부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의 패드와 이에 매입되어 있는 메쉬망을 보인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내장재 110 : 패드
111 : 메쉬망 120 : 표피재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패드에 메쉬망이 매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용 내장재(100)를 구성하되, 패드(110)의 양면에 금속 재질의 메쉬망(111)을 매입한 후, 그 패드(110)의 일측면에 표피지(120)를 접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각종 부위, 즉 도어의 내측이나 천장, 또는 뒷좌석 뒤에 있는 선반 등에 설치되며, 보통 패드(110)와 그 이면의 표피재(120)로 구성되어 있는 내장재(100)에 있어서, 종래 내장재(10)는 강성 유지가 힘들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기가 난해하며, 성형 후에도 수축 현상으로 인하여 후변형이 발생하여 성형완료시 제품 불량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량 계획에 차질이 생겨 원가의 손실이 많아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패드(110)의 양면에 금속 재질인 메쉬망(111)을 매입한 다음 그 이면에 표피재(120)를 접합하여 구성함에 따라 패드(110)에 매입된 메쉬망(111)으로 인하여 내장재(100)의 강도 유지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성형성이 좋아지고, 성형후에도 수축이 없어 내장재(100))의 후변형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내장재(100)가 제작된 후에도 제품의 불량률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생산 원가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드(110)에 메쉬망(111)을 매입하는 과정에서 메쉬망(111)을 패드(110)의 양면에 매입하지 않고 표피재(120)와 접합되는 일측면에만 매입하여도 강도 유지 및 성형성은 그대로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내장재(100)의 제작공정에 있어서, 패드(110)가 두꺼운 경우에는 패드(110)에 메쉬망(111)을 매입함과 동시에 그 이면에 표피재(120)를 접합하여 단일 공정으로 내장재(100)를 성형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고, 패드(110)가 얇을 경우에는 우선 패드(110)에 메쉬망(111)을 매입한 다음 그 이면에 표피재()를 접합하여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며, 패드와 그 이면 표피재를 접합하여 구성하는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패드에 금속 재질의 메쉬망을 매입한 다음 그 이면에 표피재를 접합하여 성형함에 따라 상기 패드에 매입된 메쉬망으로 인하여 패드의 강도 유지 양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성형성이 좋아지고, 성형 후에도 후변형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생산 원가도 더욱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천장이나 도어의 내측면 또는 뒷좌석 후면의 선반 등에 사용되고 있는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패드와 표피재로 구성되는 내장재에 있어서, 패드의 양면에 금속 재질의 메쉬망을 매입한 다음 그 일 측면에 표피재를 접합하므로서, 상기 패드의 메쉬망으로 인하여 내장재의 강도 유지 및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성형 후 수축 현상을 방지하여 후변형이 잘 되지 않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3)

  1. 패드와 표피재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내부에 사용되는 내장재에 있어서, 패드(110)의 양면에 메쉬망(111)을 매입한 다음 그 일측면에 표피재(120)를 접합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메쉬망(111)을 패드(110)의 양면에 설치하지 않고, 표피재(120)와 접합되는 패드(110)의 일측면에만 메쉬망(111)을 매입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메쉬망(111)을 패드(110)의 이면에는 설치하고, 표피재(120)와 접합되는 패드(110)의 표면에는 메쉬망(111)을 설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KR2019970001481U 1997-01-31 1997-01-31 자동차용 내장재 KR200186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481U KR200186148Y1 (ko) 1997-01-31 1997-01-31 자동차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481U KR200186148Y1 (ko) 1997-01-31 1997-01-31 자동차용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05U KR19980057305U (ko) 1998-10-15
KR200186148Y1 true KR200186148Y1 (ko) 2000-07-01

Family

ID=1949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481U KR200186148Y1 (ko) 1997-01-31 1997-01-31 자동차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1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05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9066A3 (en) Acoustical composite headliner
BR9808573A (pt) Processo para produzir uma estrutura em forma de painel, que pode ser montada num veìculo automóvel para formar uma parte de seu interior, e, artigo que compreende uma estrutura em forma de painel.
US8613994B2 (en) Thermoplastic foil arrangement having a foamed cover layer
KR200186148Y1 (ko) 자동차용 내장재
JPS6341116A (ja) 加飾シ−ト付き積層成形体の製造方法
CA2224904A1 (en) Sun visor for vehicles
JPH10507700A (ja) 特に繊維材料からなる美的外観領域のライニングを有するパネルの製造方法
JP2553482B2 (ja) 加飾部材付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06540A (en) Trim structure
US5266375A (en) Masking member
JPH05229367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KR100631804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JPS60176731A (ja) 防水性を備えたセイフテイパツドとその製造方法
KR920003234B1 (ko) 차량용 내장 성형품
JPH01141145A (ja) 樹脂製ニープロテク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16920Y2 (ko)
JP3079691B2 (ja) 車両のガード部構造及びその成形方法
JP2545592Y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2851164B2 (ja) 自動車のサンバイザ
JPH03193430A (ja) 複層成形体の製造方法
JPH08113091A (ja) 自動車用リヤパーセルシェルフ
JP3235194B2 (ja) 複合成形品の製法
JPH01120311A (ja) インサート部品付樹脂発泡成形品の成形方法
KR20000000986U (ko) 자동차 내장재용 기재
JPH0722358Y2 (ja) 車両用成形天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