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217Y1 -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 운반리프트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 운반리프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217Y1
KR200185217Y1 KR2020000002161U KR20000002161U KR200185217Y1 KR 200185217 Y1 KR200185217 Y1 KR 200185217Y1 KR 2020000002161 U KR2020000002161 U KR 2020000002161U KR 20000002161 U KR20000002161 U KR 20000002161U KR 200185217 Y1 KR200185217 Y1 KR 200185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vehicle
load carrier
air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진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진산전
Priority to KR2020000002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2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92Design or construction of the moving platform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물을 승하강시키는 적재물운반대가 복수개의 제 1격판 및 제 2격판으로 구성하여 공기와의 저항으로 인하여 차량성능이 저함됨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와의 저항으로 인하여 불쾌한 마찰음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중의 증가 및 공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운반리프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적재물운반대(20)가 일정크기의 공기통로(22)가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제 1격판(24) 및 제 2격판(26)이 상호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 운반리프트구조{Structure of transporting lift having load in back of truck}
본 고안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운반리프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을 승하강시키는 적재물운반대가 복수개의 제 1격판 및 제 2격판으로 구성하여 공기와의 저항으로 인하여 차량성능이 저함됨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와의 저항으로 인하여 불쾌한 마찰음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중의 증가 및 공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운반리프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적재함은 각종 적재물을 실어줄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원하는 장소까지 운반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차량의 적재함은 차량의 크기에 따라 높이 및 크기가 다르게 구성되어진다. 통상, 적재함에 적재물을 실어주거나 내릴 경우, 부피가 적고 가벼운 적재물은 작업자가 직접 작업을 수행하지만, 부피가 크고 무거운 중량체의 적재물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함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적재물운반리프트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재물운반리프트를 이용하여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함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었지만, 이러한 적재물운반리프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차량주행연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적재물을 적재함으로 운반하는 적재물운반대가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차량의 주행시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차량성능이 저함됨은 물론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불쾌한 마찰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적재함운반대가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차량의 자중이 증가됨은 물론 차량의 주행시 공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연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재물을 승하강시키는 적재물운반대가 복수개의 제 1격판 및 제 2격판으로 구성하여 공기와의 저항으로 인하여 차량성능이 저함됨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와의 저항으로 인하여 불쾌한 마찰음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중의 증가 및 공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운반리프트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적재물 운반리프트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물 운반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량 12 : 수직지지바
14 : 결합홈 16 : 브라켓
18 : 가이드지지바 20 : 적재물운반대
22 : 공기통로 24 : 제 1격판
26 : 제 2격판 28 : 지지편
30 : 지지체인 32 : 수평지지바
34 : 제어박스 36 : 전원스위치
38 : 상향조절스위치 40 : 하향조절스위치
50 : 적재물 운반리프트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물운반대가 일정크기의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제 1격판 및 제 2격판이 상호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운반리프트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운반리프트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적재물운반리프트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물운반리프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일측이 차량(10)의 후방에 장착되는 한쌍의 수직지지바(12)가 구비되고, 이 수직지지바(12)의 상단에는 자유단에 결합홈(14)이 형성된 브라켓(16)이 결합고정된다. 브라켓(16)이 수직지지바(12)에 결합고정됨에 있어서는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수직지지바(12)는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차량(10)의 후방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수직지지바(12)에 선택적으로 수직운동하는 한쌍의 가이드지지바(18)가 구비되고, 이 가이드지지바(18)의 하단에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적재물운반대(20)가 결합고정된다. 이 적재물운반대(20)는 일정크기의 공기통로(22)가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제 1격판(24) 및 제 2격판(26)이 상호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적재물운반대(20)는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물운반대(20)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적재물운반대(20)의 양측에 수직지지바(12)의 상단 양측에 결합고정된 브라켓(16)의 결합홈(14)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지지편(28)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일측이 가이드지지바(18)의 상단에 결합고정되고, 타측이 적재물운반대(20)의 일측에 결합고정되는 지지체인(30)이 구비되고, 이 지지체인(30)은 적재물의 자중에 의하여 적재물운반대(20)가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수직지지바(12)와 수직지지바(12)의 사이에 수평지지바(32)가 결합고정되고, 이 수평지지바(32)의 내측에는 적재물운반대(20)를 선택적으로 수직운동시키는 작동수단(미도시)이 장착된다. 수직지지바(12)의 일측에 작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박스(34)가 장착되고, 이 제어박스(34)에는 작동수단으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36)와, 적재물운반대(20)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상향조절스위치(38)와, 적재물운반대(2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하향조절스위치(4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재물운반리프트가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적재물운반대(20)에 적재물을 위치시킬 경우, 제어박스(34)에 구비된 하향조절스위치(40)를 이용하여 상부로 이동된 적재물운반대(20)를 지면에 접촉시킨다. 이때, 작동수단의 작동으로 인하여 가이드지지바(18)가 수직지지바(12)를 따라 하부로 이동된다. 가이드지지바(18)의 이동으로 인하여 적재물운반대(20)가 지면에 접촉되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적재물을 적재물운반대(20)의 상면에 위치시킨다. 이때, 적재물운반대(20)의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적재물을 용이하게 적재물운반대(20)의 상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적재물이 적재물운반대(20)의 상면에 위치되면, 제어박스(34)에 구비된 상향조절스위치(38)를 이용하여 적재물운반대(2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수단의 작동으로 인하여 가이드지지바(18)가 수직지지바(12)를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작동수단에 의하여 적재물운반대(20)가 수직지지바(12)에서 수직운동됨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적재물도 용이하게 적재함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재물운반대(20)가 일정크기의 공기통로(22)가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제 1격판(24) 및 제 2격판(26)이 상호결합되어 있음으로 적재물운반리프트(50)의 자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재물운반대(20)가 제 1격판(24) 및 제 2격판(26)에 의하여 복수개의 공기통로(2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차량의 주행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운반리프트구조는 적재물을 승하강시키는 적재물운반대가 복수개의 제 1격판 및 제 2격판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공기와의 저항으로 인하여 차량성능이 저함됨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와의 저항으로 인하여 불쾌한 마찰음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중의 증가 및 공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적재물을 적재함으로 수직운동시키는 적재물운반리프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적재물운반대(20)가 일정크기의 공기통로(22)가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제 1격판 및 제 2격판(26)이 상호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운반리프트구조.
KR2020000002161U 2000-01-26 2000-01-26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 운반리프트구조 KR200185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61U KR200185217Y1 (ko) 2000-01-26 2000-01-26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 운반리프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161U KR200185217Y1 (ko) 2000-01-26 2000-01-26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 운반리프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217Y1 true KR200185217Y1 (ko) 2000-06-15

Family

ID=1963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161U KR200185217Y1 (ko) 2000-01-26 2000-01-26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 운반리프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21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27B1 (ko) 2009-02-09 2011-10-05 서봉원 차량용 골재스크린
KR200456172Y1 (ko) * 2009-06-02 2011-10-17 문학용 차량용 리프트
CN110254331A (zh) * 2019-06-28 2019-09-20 苏州得尔达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货车的内置尾板
CN110293890A (zh) * 2019-06-14 2019-10-01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军用卡车便携式提升机及用其装卸物料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27B1 (ko) 2009-02-09 2011-10-05 서봉원 차량용 골재스크린
KR200456172Y1 (ko) * 2009-06-02 2011-10-17 문학용 차량용 리프트
CN110293890A (zh) * 2019-06-14 2019-10-01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军用卡车便携式提升机及用其装卸物料的方法
CN110254331A (zh) * 2019-06-28 2019-09-20 苏州得尔达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货车的内置尾板
CN110254331B (zh) * 2019-06-28 2021-10-26 苏州得尔达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货车的内置尾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5217Y1 (ko)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적재물 운반리프트구조
JP2008081297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US2709018A (en) Load handling equipment for industrial trucks
KR100953165B1 (ko) 수평운반로봇
US5346356A (en) Fork-lift truck
JPH07315780A (ja)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
KR200322583Y1 (ko) 리프트장치가 구비된 덤프차량
KR200405942Y1 (ko) 시야확보가 가능한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JP3096376B2 (ja) 二段積みパレット変換装置
US3387728A (en) Ram attachment for tractors
JP3848075B2 (ja) 荷受台昇降装置を装備した貨物車における荷受台昇降装置の取付構造
JPH11246193A (ja) バッテリ交換方法及びその装置とバッテリ式フォークリフト
JP5268252B2 (ja) ローリフトトラック
KR100955020B1 (ko) 후판 이동 및 상하차장치
KR200216617Y1 (ko) 리치타입 지게차의 백레스트 장치_
JPH11116009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219239162U (zh) 一种可移动式堆垛机托板
JP2551479Y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ロードスタビライザ
KR100558338B1 (ko) 견인차
JP2024065626A (ja) ロール受けおよび運搬車
JPH02169401A (ja) 倉庫設備における安全柵
EP0421963A1 (en) A pallet drawer
JP2003212486A (ja) 荷役車両のパレット固定方法
KR200331404Y1 (ko) 3단 마스트 전동지게차
KR200216613Y1 (ko) 배터리 케이블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