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651Y1 - 전 ·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 - Google Patents

전 ·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651Y1
KR200184651Y1 KR2019990027547U KR19990027547U KR200184651Y1 KR 200184651 Y1 KR200184651 Y1 KR 200184651Y1 KR 2019990027547 U KR2019990027547 U KR 2019990027547U KR 19990027547 U KR19990027547 U KR 19990027547U KR 200184651 Y1 KR200184651 Y1 KR 200184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ter
tape
work
present
ai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현모
Original Assignee
여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현모 filed Critical 여현모
Priority to KR2019990027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6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Landscapes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슬리터 몸체의 중앙 적소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하며, 외주면에 테이프가 끼워지는 주축; 상기 슬리터 몸체의 양 적소에 구비되며, 테이프를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2안내로울러; 상기 슬리터 몸체의 양 적소에 구비되며, 테이프를 흡착 고정시키는 제1,2에어석션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점착력이 낮은 수정·형광테이프는 전방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점착력이 강한 점착테이프는 후방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업자가 하나의 슬리터에서 필요에 따라 전·후방에서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 고안의 슬리터에서 점착성이 상이한 테이프의 종류들을 모두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SLITTER OF POSSIBLE WORK FRONT·BEHIND}
본 고안은 전·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력이 없는 수정·형광테이프는 전방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점착력이 있는 점착테이프는 후방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업자가 하나의 슬리터에서 필요에 따라 전·후방에서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 고안의 슬리터에서 점착성이 상이한 테이프의 종류들을 모두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테이프를 안내로울러를 통해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다수개로 절개한 후 권취하는 슬리터의 기술적 구성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전방에서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간의 제약을 받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점착력이 낮은 수정·형광테이프는 전방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점착력이 강한 점착테이프는 후방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업자가 하나의 슬리터에서 필요에 따라 전·후방에서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본 고안의 슬리터에서 점착성이 상이한 테이프의 종류들을 모두 절단할 수 있도록 한 전·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테이프를 안내로울러를 통해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다수개로 절개한 후 권취하는 슬리터에 있어서, 상기 슬리터 몸체의 중앙 적소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하며, 외주면에 테이프가 끼워지는 주축; 상기 슬리터 몸체의 양 적소에 구비되며, 테이프를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2안내로울러; 상기 슬리터 몸체의 양 적소에 구비되며, 테이프를 흡착 고정시키는 제1,2에어석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를 이용해 전방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를 이용해 후방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슬리터 11: 주축
12,12a: 제1,2안내로울러 20: 테이프
30,30a: 제1,2에어석션부 31,31a: 제1,2평판
40: 절개수단 50: 권취수단
본 고안에 적용된 전·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는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부호 1 은 테이프를 안내로울러를 통해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다수개로 절개한 후 권취하는 슬리터이다.
즉, 상기 슬리터(1)의 외관은 몸체(1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몸체(10)의 중앙 적소에는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하는 주축(11)이 구비되고, 이 주축(11)에는 선택적으로 수정·형광 또는 점착성분이 있는 권취된 테이프(20)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테이프(20)는 필름(21)의 일측면에 수정부(22)나 점착부(22a)가 도포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필름(21)의 일측면에 형광부 등이 도포된 테이프(20)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측 적소에는 다수개의 제1안내로울러(12)가 구비되는 동시에 타측 적소에는 다수개의 제2안내로울러(12a)가 구비된다.
부호 30, 30a는 에어석션부로, 이 에어석션부(30)(30a)는 상기 몸체(10)의 양단 적소에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에어석션부(30)(30a)는 제1,2평판(31)(31a)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 제1,2평판(31)(31a)의 하단에는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테이프(20)를 평판(310(31a)의 상면에 흡착 고정시키는 제1,2에어흡입관(32)(32a)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제1,2에어흡입관(32)(32a)에는 도면상 미 도시된 에어콤퓨레셔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적소에는 테이프(20)를 다수개로 절개하는 절개수단(40)이 구비되고, 이의 일측에는 절개수단(40)을 통과한 테이프(20)를 권취하는 권취수단(5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전·후방에서 작업가능한 슬리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슬리터(1)의 전방에서는 수정부(22) 또는 형광부가 도포된 테이프(20)를 작업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수정부(22)가 도포된 테이프(20)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즉, 주축(1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주축(11)에 끼워진 테이프(2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풀리게 되고, 이와 같이 풀리는 테이프(20)는 제1안내로울러(12)를 통해 소정위치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안내로울러(12)를 통과한 테이프(20)는 제1에어석션부(30)에 의해 제1평판(31)의 상면에 흡착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제1에어흡입관(32)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20)가 제1평판(31)의 상면에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련의 작업(수정부를 제거한 후 나이프로 절단하는 작업 등)을 수행한 후 상기 테이프(20)는 다시 이송되면서 절개수단(40)에 의해 다수개로 절개되고, 이후 상기 다수개로 절개된 테이프(20)는 권취수단(50)에 권취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슬리터(1)의 전방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후방에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후방에서의 작업은 필름(21)의 일측면에 점착부(22a)가 도포된 테이프(20)를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주축(11)의 외주면에 권취된 테이프(20)가 시계방향으로 풀리면서 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제2안내로울러(12a)를 따라 소정위치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안내로울러(12a)를 따라 이송된 테이프(20)는 제2에어석션부(30a)에 구비된 제2평판(31a)의 상면에 흡착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제2에어흡입관(32a)이 빨아들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평판(31a)상에 테이프(20)가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련의 작업(점착부를 제거한 후 나이프로 절단하는 작업 등)을 수행한 후 다시 테이프(20)는 이송되고, 이 이송되는 테이프(20)는 슬리터(1)에 구비된 절개수단(40)에 의해 다수개로 절개되고, 이후 이의 일측에 구비된 권취수단(50)에 의해 권취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점착력이 낮은 수정·형광테이프는 전방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점착력이 강한 점착테이프는 후방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업자가 하나의 슬리터에서 필요에 따라 전·후방에서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슬리터에서는 점착성이 상이한 테이프의 종류들을 모두 절단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테이프를 안내로울러를 통해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다수개로 절개한 후 권취하는 슬리터에 있어서,
    상기 슬리터 몸체의 중앙 적소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하며, 외주면에 테이프가 끼워지는 주축;
    상기 슬리터 몸체의 양 적소에 구비되며, 테이프를 소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2안내로울러;
    상기 슬리터 몸체의 양 적소에 구비되며, 테이프를 흡착 고정시키는 제1,2에어석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
KR2019990027547U 1999-12-08 1999-12-08 전 ·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 KR200184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547U KR200184651Y1 (ko) 1999-12-08 1999-12-08 전 ·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547U KR200184651Y1 (ko) 1999-12-08 1999-12-08 전 ·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651Y1 true KR200184651Y1 (ko) 2000-06-01

Family

ID=1960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547U KR200184651Y1 (ko) 1999-12-08 1999-12-08 전 ·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6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32077A1 (ja) 転写装置とその方法、剥離装置とその方法、貼付装置とその方法
US5094394A (en) Method and device for threading the end of a web
JPH03112660A (ja) 被印刷物のロールを準備する方法
JPH06339452A (ja) 接着テープ巻回体
EP0896864A3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slitting of a web and slitter/scorer machine incorporating said device
JP2008297027A (ja) 感光性ウエブ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テープ部材
KR200184651Y1 (ko) 전 ·후방에서 작업 가능한 슬리터
JP3695875B2 (ja) 貼付シートの間欠切断転写装置
ATE159680T1 (de) Lochvorrichtung für pflaster
JP2002068153A (ja) ノンセパラベル貼付装置
JP2005306604A (ja) フイルム剥離装置
EP1499549B1 (en) Sheeted roll
EP0987209A3 (en) Apparatus for affixing removable notes to a moving web
EP0899130A3 (en) Decalcamania with solvent-activated adhesive layers
KR102075063B1 (ko) 양면 테이프 부착 장치
CN212893036U (zh) 定位机构
JPS6021375Y2 (ja) 不連続状両面粘着剤
CN113879887B (zh) 一种自动贴片机的偏光片揭膜胶带放卷机构
CN219031277U (zh) 一种胶带粘接传送装置及自动包装设备
EP1172320A3 (en) Device for joining the trailing edge of a reel of paper about to finish to the leading edge of a new reel
JP3231252B2 (ja) 粘着性被覆体の製造装置
JP3108214U (ja) 自動巻取巻出機
JP3231253B2 (ja) 粘着性被覆体の製造装置及び粘着性被覆体の製造方法
JP2000318891A (ja) フィルムロールの連続切替方法
JP2792776B2 (ja) 巻取紙自動仕立装置における仕立作業用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