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486Y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486Y1
KR200183486Y1 KR2019990030517U KR19990030517U KR200183486Y1 KR 200183486 Y1 KR200183486 Y1 KR 200183486Y1 KR 2019990030517 U KR2019990030517 U KR 2019990030517U KR 19990030517 U KR19990030517 U KR 19990030517U KR 200183486 Y1 KR200183486 Y1 KR 200183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erson
backrest
fixing membe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술
Original Assignee
조재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술 filed Critical 조재술
Priority to KR2019990030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상단 양측부에 상기 의자의 전방으로 회동가능한 고정부재를 각각 설치하도록 하여 사람이 의자에 앉아 졸거나 잠을 청할 때 상기 각 고정부재를 의자의 전방으로 회동시켜 사람의 머리부분을 고정하므로 상기 사람의 몸이나 목의 꺽임이 방지되어 편안한 상태로 수면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옆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람의 둔부를 받쳐주는 방석부(1)와, 상기 방석부(1)의 상측 후방에 설치되어 사람의 등부분이 기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2)와, 상기 방석부(1)와 등받이부(2)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사람의 팔이 얹혀지는 팔걸이부(3)와, 상기 방석부(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의자를 지지하는 다리부(4)로 이루어진 의자(100)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의 상단 양측부에는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부재(10)를 각각 설치하여 평상시 상기 각 고정부재(10)는 등받이부(2)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사람이 의자에 앉아 잠을 청할 때에는 상기 각 고정부재(10)를 의자(100)의 전방으로 회동시켜 사람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의자에 앉아 잠을 청하는 사람의 목을 받쳐주어 상기 목의 꺽임이 방지되므로 편안한 상태로 의자에 앉아 수면을 취하도록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椅子)는 사람이 걸터앉아 몸을 뒤로 기대게 만든 기구로서, 안락 의자, 회전 의자 등 종류가 많이 있다.
그럼 여기서 의자의 구성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의자(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앉는 사람의 둔부를 받쳐주는 방석부(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석부(1)의 상측 후방에는 사람의 몸 중 등부분이 기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석부(1)와 등받이부(2)를 연결하는 의자(100)의 양측에는 의자(100)에 앉는 사람의 팔을 얹혀지도록 팔걸이부(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석부(1)의 하단부에는 의자(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2)의 소정위치 즉, 사람의 허리부분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사람의 허리부분 즉, 요추부분을 받쳐줌으로 편안함을 극대화시키도록 등받이부(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방석부(1)의 전면에는 의자(100)에 앉는 사람의 몸이 앞으로 쏠리지 않게 하므로 안정감을 주며, 허벅지와 무릎을 받쳐주면서 다리부분의 긴장을 해소시키도록 방석부(1) 내부에 앞쪽으로 볼록하게 높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의자(100)의 다리부(4)에는 자동차, 기차 및 비행기 등의 내부에 의자(100)를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결합부(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의자는 사람이 책상에서 공부하거나 식탁에서 식사하기 위해서는 의자(100)에 앉은 상태에서 공부 또는 식사를 하게 되는데, 즉 사람은 의자(100)를 책상이나 식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둔부를 의자(100)의 방석부(1)에 얹혀지도록 앉은 다음 상기 의자(100)의 등받이부(2)에 사람의 등부분을 기댐에 따라 상기 사람은 편안한 상태로 의자(100)에 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편안한 상태로 책상에서 공부하거나 식탁에서 식사를 하게 된다.
여기서, 등받이부(2)의 소정위치에는 의자(100)의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의자(100)에 앉은 사람의 허리부분이 돌출된 부분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사람의 허리부분 즉, 요추부분이 받쳐줌으로 의자(100)에 앉은 사람은 편안함을 극대화시킴과 함께 허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방석부(1)의 전면에는 의자(100)의 전방으로 즉, 방석부(1) 내부에 앞쪽으로 볼록하게 높이도록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의자(100)에 앉은 사람의 몸이 의자(100)의 전방 즉, 앞쪽으로 쏠리지 않으면서 안정감을 가지면서 의자(100)에 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의자에 앉은 사람의 허벅지와 무릎을 받쳐주면서 다리부분의 긴장을 해소시킴에 따라 상기 사람은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로 의자(100)에 앉게 된다.
한편, 상기 의자(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기차 및 비행기 등의 내부에 의자(100)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자동차 및 기차 또는 비행기 등의 내부 차체에 의자(100)의 결합부(5)를 결합시키므로 상기 의자(100)는 자동차 및 기차 또는 비행기 등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의자(100)에 앉은 사람이 피곤하거나 쉬고 싶어서 졸거나 잠을 자게 되는데, 상기 졸거나 자는 사람은 의자(100)의 방석부(1) 상부에 머리를 기댄 채로 졸거나 잠을 자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에 사람이 앉아서 졸거나 잠을 청하게 되면 상기 사람의 몸이나 머리가 자연스럽게 의자의 양측방 중 어느 한 측방으로 쏠리거나 의자의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므로 옆에 앉아 있는 승객의 어깨에 머리를 기대게 되는 등 상기 옆자리의 승객에게 피해 및 불편을 주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자에 앉아서 졸거나 잠을 청하는 사람의 몸이나 목부분이 꺽여진 상태로 오래시간이 흐르게 되면 몸이나 목이 뻐끈해질 뿐만 아니라 피곤이 더욱 더 쌓이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의자의 상단 양측부에 상기 의자의 전방으로 회동되는 고정부재를 각각 설치하도록 하여 사람이 의자에 앉아 졸거나 잠을 청할 때 상기 각 고정부재를 의자의 전방으로 회동시키므로 상기 각 고정부재에 의해 사람의 머리부분이 고정됨과 함께 편하게 받쳐짐으로 인해 사람의 몸이나 목의 꺽임이 방지되어 편안한 상태로 수면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옆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람의 둔부를 받쳐주는 방석부와, 상기 방석부의 상측 후방에 설치되어 사람의 등부분이 기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와 등받이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사람의 팔이 얹혀지는 팔걸이부와, 상기 방석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의자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 양측부에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평상시 상기 각 고정부재는 등받이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사람이 의자에 앉아 잠을 청할 때에는 상기 각 고정부재를 의자의 전방으로 회동시켜 사람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의자에서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의자의 측면에서 고정부재가 회동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석부 2: 등받이부
3: 팔걸이부 4: 다리부
5: 결합부 10: 고정부재
20: 힌지부 30: 스토퍼
40: 걸림부 50: 홈부
60: 방음부재 70: 탄성부재
100: 의자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자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의자에서 고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의자의 측면에서 고정부재가 회동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사람의 둔부를 받쳐주는 방석부(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석부(1)의 상측 후방에는 사람의 등부분이 기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석부(1)와 등받이부(2)를 연결하는 의자(100)의 양측에는 사람의 팔이 얹혀지는 팔걸이부(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석부(1)의 하단부에는 의자(100)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부(4)에는 자동차나 기차 및 비행기 등의 내부에 의자(100)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결합부(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의자(100)의 등받이부(2) 상단 양측부에는 평상시 등받이부(2)와 동일선상에 위치됨과 함께 의자(100)에 앉은 사람이 잠을 청할 때에는 상기 사람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고정부재(10)가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2)의 상부 양측부 후면에는 스토퍼(3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고정부재(10)의 상부 후면에는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각 고정부재(10)가 의자(100)의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스토퍼(30)에 걸리도록 걸림부(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걸림부(40)에는 등받이부(2)와 각 고정부재(10)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각 스토퍼(30)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등받이부(2)에 각 고정부재(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등받이부(2)와 각 고정부재(10)가 서로 직교되게 상기 각 고정부재(10)가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각 고정부재(10)의 외관과 동일하도록 부풀려지는 탄성부재(70)가 각각 삽입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70)는 스폰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이 즉, 스토퍼(30)에 의해 용이하게 눌려짐과 함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원활하게 복귀되도록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탄성력이 뛰어난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각 힌지부(20)는 등받이부(2)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힌지부(20)는 각 고정부재(10)에 형성된 홈부(50) 내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힌지부(20)는 각 고정부재(10)를 등받이부(2)에 견고하게 결합시킴과 함께 상기 각 고정부재(10)가 힌지부(20)를 중심으로 원활하게 각각 회동되도록 상기 의자(100)를 측면에서 볼 때 각 고정부재(10)의 중앙 하부측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각 스토퍼(30)는 각 고정부재(10)가 힌지부(20)를 중심으로 의자(100)의 전방으로 각각 원활하게 회동됨과 함께 상기 각 고정부재(10)가 의자(100)의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 고정부재(10)의 높이(H)보다 낮은 높이(h)로 상기 등받이부(2)의 상단면에서 등받이부(2)의 하방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부(2)의 중심부 측인 각 고정부재(10)의 내측면에는 옆사람의 소리 등을 방음하는 방음부재(6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휴식을 취하거나 잠시 눈을 붙이고 졸거나 잠을 청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의자(100)에 앉게 되는데, 상기 의자(100)의 방석부(1)에 사람의 둔부를 얹혀 놓고 나서 상기 의자(100)의 등받이부(2)에 사람의 허리부분을 위치시킨 상태로 사람은 의자(100)에 앉는다.
상기 의자(100)의 방석부(1) 전면은 앞쪽으로 볼록하게 높이도록 돌출됨과 함께 상기 등받이부(2)의 소정위치에는 의자(100)의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의자(100)에 앉는 사람의 몸은 방석부(1)의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의자(100)의 전방으로 쏠리지 않는 안정된 상태에서 허벅지와 무릎을 받쳐주므로 인해 다리부의 긴장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등받이부(2)의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서는 사람의 허리부분을 받쳐줌으로 의자(100)의 앉은 사람은 편안함이 극대화됨과 함께 허리의 부담이 줄어듬으로 상기 의자(100)에 앉은 사람은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의자(100)에 앉아 휴식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의자(100)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사람이 머리를 등받이부(2)의 상부에 기댄 채로 졸거나 잠을 청하게 되면 상기 사람의 몸이나 목은 자연스럽게 옆으로 쏠리게 되므로 인해 상기와 같은 상태로 오랜시간이 흐르게 되면 사람의 몸이나 목이 뻐끈해지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의자(100)의 등받이부(2)의 상부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고정부재(10)를 의자(100)의 전방으로 회동시키므로 상기 각 고정부재(10)에 사람의 머리가 접촉됨과 함께 고정되므로 상기 사람의 몸이나 목이 꺽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각 고정부재(10)는 평상시에는 등받이부(2)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있다가 사람이 졸거나 잠을 청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각 고정부재(10)를 의자(100)의 전방으로 당기게 되는데, 그러면 상기 각 고정부재(10)의 홈부(50) 내로 삽입 결합되는 등받이부(2)의 각 힌지부(20)를 중심으로 상기 각 고정부재(10)는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되는 각 고정부재(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2)와 직교되게 위치되므로 상기 의자(100)에 앉아 졸거나 잠을 청하는 사람의 머리는 각 고정부재(10)에 의해 받쳐짐에 따라 사람의 몸이나 목의 꺽임이 방지된다.
한편, 각 힌지부(20)는 의자(100)의 측면에서 볼 때 각 고정부재(10)의 중앙 하부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고정부재(10)는 등받이부(2)에 견고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각 고정부재(10)가 각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하여 원활하게 각각 회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고정부재(10)가 설치된 등받이부(2)의 상부면과 각 고정부재(10)의 하부면이 걸리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각 고정부재(10)가 회동된다.
상기 등받이부(2)의 중심부 측인 각 고정부재(10)의 내측면에는 소리를 방음하는 방음부재(6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방음부재(60)에 의해 옆에서 나는 소리 및 소음 등이 흡수되어 방음됨에 따라 의자(100)에 앉아 졸거나 잠을 자는 사람은 옆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의해 잠을 방해받지 않으면서 편안한 상태로 잠을 청하게 된다.
또한, 방음부재(60)는 부드러운 천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방음부재(60)에 접촉되는 사람의 얼굴부분이 흠집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음부재(60)에 의해 사람은 부드러우면서도 포근함을 느끼며 잠을 자게 된다.
그리고, 의자(100)에 앉아서 졸거나 잠을 자던 사람이 깨워나게 되면 상기 각 고정부재(10)를 의자(100)의 후방측으로 회동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 때, 등받이부(2)의 상부 양측부 후면에는 스토퍼(3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고정부재(10)의 상부 후면에는 각 스토퍼(30)에 의해 걸리는 걸림부(4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고정부재(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상기 각 스토퍼(30)에 각 걸림부(40)가 걸림에 따라 상기 각 고정부재(10)가 의자(100)의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각 걸림부(40)에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70)가 각각 삽입 결합되어 있으므로 평상시 또는, 등받이부(2)와 각 고정부재(10)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즉, 각 스토퍼(30)가 각 걸림부(40)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부재(70)는 각 스토퍼(30)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기 각 고정부재(10)는 탄성부재(70)에 의해 등받이부(2)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된다.
그리고, 각 고정부재(10)가 도 4에서와 같이 등받이부(2)에서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어 직교되게 위치하면 즉, 상기 각 걸림부(40)에 결합된 각 탄성부재(7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각 탄성부재(7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부풀어 지면서 원위치로 복귀되어 각 고정부재(10)의 외관과 동일하게 되므로 상기 각 고정부재(10)의 외관이 미려해진다.
한편, 상기 각 스토퍼(30)와 각 걸림부(40)의 높이(h)는 각 고정부재(10)의 높이(H)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고정부재(10)가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각 스토퍼(30)에 걸리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의자는 가정용 또는 사무실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기차 또는 비행기 등 사람을 태우는 운송수단에 사용할 수 있는 등 본 고안이 필요로 하는 모든 의자에는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각 고정부재를 평상시에는 원위치에서 사용하다가 상기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기 위해 졸거나 잠을 청할 때에는 의자의 앞쪽으로 각 고정부재를 회동시켜 사람의 머리를 받쳐줌에 따라 상기 사람의 몸이나 목의 꺽임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옆 사람에게 불편을 주지않으므로 편안한 상태로 오랜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방음부재를 결합하므로 인해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기 위해 졸거나 잠을 자는 사람은 상기 방음부재에 의해 옆 사람의 대화소리 및 소음 등이 흡수되어 방음됨에 따라 조용한 상태에서 잠을 잘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나 기차 또는 비행기 등을 타고 여행하는 사람은 옆사람에게 피해 및 불편을 주지않으면서 안락하면서도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동차 및 기차 또는 비행기 등이 코너를 돌거나 일정각도로 회전될 때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의 머리가 의자의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4)

  1. 사람의 둔부를 받쳐주는 방석부와, 상기 방석부의 상측 후방에 설치되어 사람의 등부분이 기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방석부와 등받이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사람의 팔이 얹혀지는 팔걸이부와, 상기 방석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의자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 양측부에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평상시 상기 각 고정부재는 등받이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사람이 의자에 앉아 잠을 청할 때에는 상기 각 고정부재를 의자의 전방으로 회동시켜 사람의 머리를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상부 양측부 후면에는 스토퍼를 각각 형성하고, 각 고정부재의 상부 후면에는 각 스토퍼에 걸리도록 걸림부를 각각 형성하여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상기 각 고정부재의 걸림부가 각 스토퍼에 걸림에 따라 의자의 후방으로 각 고정부재가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걸림부에는 탄성부재를 각각 결합하여 각 고정부재가 등받이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각 탄성부재는 각 스토퍼에 의해 눌려져 상기 등받이부에 각 고정부재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각 고정부재가 등받이부와 직교되게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각 탄성부재는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고정부재의 내측면에는 소리를 방음하는 방음부재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19990030517U 1999-12-30 1999-12-30 의자 KR200183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17U KR200183486Y1 (ko) 1999-12-30 1999-12-30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17U KR200183486Y1 (ko) 1999-12-30 1999-12-30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486Y1 true KR200183486Y1 (ko) 2000-05-15

Family

ID=1960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517U KR200183486Y1 (ko) 1999-12-30 1999-12-30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4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0446A (en) Headrest with side supports
US6123389A (en) Headrest
US4679263A (en) Head supported pillow
JPS59156836A (ja) 幼児用シ−ト
KR200183486Y1 (ko) 의자
KR101475947B1 (ko) 차량 시트의 머리받침대용 베개
CN215604420U (zh) 一种功能沙发
JP2001037594A (ja) 座面クッション
JP3133194U (ja) 座椅子
KR200148084Y1 (ko) 장의자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20210002220U (ko) 소파용 쿠션
CN219613458U (zh) 一种多功能床靠
KR200306659Y1 (ko) 좌변기용 보조의자
CN216101679U (zh) 一种后排座椅及汽车
CN216135523U (zh) 一种多用途靠垫
JP2585589Y2 (ja) ソファー用クッション
KR101011430B1 (ko) 의자
CN210169457U (zh) 一种带有可调节靠垫的座位
JPH0517308Y2 (ko)
KR200372229Y1 (ko) 침대 겸용 소파
JP2799405B2 (ja) 腰掛用家具
KR200298146Y1 (ko) 팔걸이가 있는 쿠션
KR960007636Y1 (ko) 머리받침용 리어 시트백
KR200347758Y1 (ko) 차량용 목받침대
JP3049228U (ja) 休息用背もた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