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229Y1 - 침대 겸용 소파 - Google Patents

침대 겸용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229Y1
KR200372229Y1 KR20-2004-0027935U KR20040027935U KR200372229Y1 KR 200372229 Y1 KR200372229 Y1 KR 200372229Y1 KR 20040027935 U KR20040027935 U KR 20040027935U KR 200372229 Y1 KR200372229 Y1 KR 2003722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ofa
bed member
seat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만
Original Assignee
다우닝 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닝 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우닝 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7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2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2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2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045Seating furniture having loose or by fabric hinge connected cushions changeable to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 겸용 소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부재의 시트를 상하로 나누어 각각 세워지는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누워 있는 자세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고, 쿠션으로도 사용 가능한 베개를 구비함으로써 누웠을 때 머리를 편안하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베개를 준비할 필요가 없는 침대 겸용 소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대 겸용 소파{Sofa using as bed}
본 고안은 침대 겸용 소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로 사용되는 시트의 경사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누웠을 때 머리를 편안히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침대 겸용 소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는 2~3명이 앉을 수 있는 길이의 푹신한 시트가 있고, 그 뒤쪽에 등받이가 있어 시트에 앉았을 때에 등을 기댈 수 있으며, 양쪽 가에 팔걸이가 있어 팔을 얹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보통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위에 누울 수 있기 때문에 앉는 용도 외에 간이침대 대신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파는 시트에 걸터앉는 경우,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지만, 눕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폭이 편히 누워 있기에는 다소 비좁은 점과 그 상면이 내재된 쿠션에 의하여 앉는 자리별로 볼록하여 허리 부분에 무리가 유발되는 점, 누웠을 때 등받이가 바로 옆쪽에 위치되어 한쪽 팔을 편히 위치시킬 수 없는 점 등의 불편함을 감수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안출된 것이 일반 소파와 침대의 기능성이 부가된 소파를 ㄱ자형으로 배열 구성한 침대 겸용 소파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 겸용 소파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 겸용 소파는 도 1과 같이 팔걸이(11)가 한쪽에만 형성된 소파부재(10)와, 뒤쪽에 등받이(22)가 형성되고 한쪽에만 팔걸이(21)가 형성된침대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소파부재(10)와 침대부재(20)는 그 팔걸이(11)(21)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쪽 측면을 접촉시켜 그 시트(13)(23)가 ㄱ자 모양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침대부재(20)에서 그 시트(23)가 단순히 바른 자세로 눕기 위한 기능밖에 없어 텔레비전 시청 등을 위하여 전방을 주시할 목적으로 상체를 반쯤 세운다거나 다리의 피로를 풀고자 하체를 상체에 비하여 높이 둔다거나 하는 행위를 자체 내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방을 주시하기 위해서는 몸을 옆으로 눕혀야 하는 등 자세가 불편했고, 다리의 피로를 풀기 위해서는 별도의 베개나 쿠션 등을 준비하여 다리 밑에 괴어야만 했다.
또 종래기술은 침대부재(20)에 베개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침대부재(20)에서 수면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 베개를 따로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대부재의 시트를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각각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누워 있는 자세를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도록 변형시킬 수 있는 침대 겸용 소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침대부재에 쿠션으로도 사용 가능한 베개를 구비함으로써 누웠을 때 머리를 편안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침대 겸용 소파를 제공하는 데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 겸용 소파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겸용 소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겸용 소파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소파부재 51 : 소파부재의 팔걸이
52 : 소파부재의 등받이 53 : 소파부재의 시트
60 : 침대부재 61 : 침대부재의 팔걸이
62 : 침대부재의 등받이 63 : 침대부재의 시트
63a : 상체 받침부 63b : 하체 받침부
70 : 각도 조절장치 71 : 제1조절대
72 : 제2조절대 73 : 구동수단
74 : 동력 전달수단 80 : 베개 겸용 쿠션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팔걸이가 한쪽에만 형성된 소파부재와, 후방에 등받이가 형성되고 한쪽에만 팔걸이가 형성된 침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소파부재와 침대부재의 팔걸이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을 접촉시켜 상기 소파부재와 침대부재의 시트가 ㄱ자 모양으로 배열된 침대 겸용 소파에 있어서, 상기 침대부재는 시트의 누우면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 받침부와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받침부가 일정 각도 세워지도록 구동시키는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침대부재는 그 등받이에 기댄 자세로 앉는 경우 쿠션으로 사용되고 누운 경우 베개로 사용되는 베개 겸용 쿠션이 상기 침대부재의 등받이 앞쪽에 위치되도록 하단이 상기 침대부재의 시트 상단에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겸용 소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 겸용 소파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 겸용 소파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에만 팔걸이(51)(61)가 형성되고 후방에 등받이(52)(62)가 형성된 소파부재(50) 및침대부재(60)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소파부재(50)와 침대부재(60)는 그 팔걸이(51)(61)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을 서로 접촉시켜 소파부재(50)와 침대부재(60)의 각 시트(53)(63)가 ㄱ자 모양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즉 침대부재(60)를 구성하는 시트(63)가 소파부재(50)의 시트(53)와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한 것이다.
여기에서 각 시트(53)(63)는 그 하측에 위치된 베이스 프레임(54)(64)의 상측에 포개지도록 놓여지고, 상기 각 베이스 프레임(54)(64) 및 팔걸이(51)(61)는 저면에 지지다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침대부재(60)는 사용자가 시트(63)에 누웠을 때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63)의 상체 받침부(63a)와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63)의 하체 받침부(63b)가 일정 각도 세워지도록 작동시키는 각도 조절장치(70)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 조절장치(70)는 상체 받침부(63a)의 하측에 장착된 상태로 하단이 침대부재(60)의 베이스 프레임(64)에 힌지 연결된 제1조절대(71)와, 상기 하체 받침부(63b)의 하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단이 상기 제1조절대(71)의 하단에 힌지 연결된 제2조절대(72)와, 구동수단(73) 및 상기 구동수단(73)에서 발생된 동력을 제1, 2조절대(71)(72)가 각각 회전되도록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7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조절대(72)는 2개의 조절대(72a)(72b)로 나뉘어져 서로 힌지 연결되고, 상기 구동수단(73)은 모터이며, 상기 동력 전달수단(74)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링키지이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73) 및 동력 전달수단(74)으로는 동력을 발생하고 이 동력을 제1, 2조절대(71)(72)가 회전되어 침대부재(60)의 시트(63) 각도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모터와 링키지가 아닌 어떤 것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일례로 구동수단(73)인 모터를 손잡이가 달린 원판으로 대체하여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구동수단(73)을 작동시킴으로써 동력 전달수단(74)에 의하여 제1, 2조절대(71)(72)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면, 침대부재(60)의 시트(63)는 그 상체 받침부(63a) 및 하체 받침부(63b)의 세워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때문에 상체 받침부(63a)를 세우면, 상체를 반쯤 세운 상태로 누워 있을 수 있고, 하체 받침부(63b)를 세우면, 다리를 상체에 비해 높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다리의 피로를 풀 수 있다.
한편 상기 침대부재(60)는 그 등받이(62)에 기대어 앉는 경우 쿠션으로 사용되고 누운 경우 베개로 사용되는 베개 겸용 쿠션(80)이 구비된다.
상기 베개 겸용 쿠션(80)은 침대부재(60)를 구성하는 등받이(62)의 앞쪽에 위치되도록 그 하단이 침대부재(60)의 시트(63) 상단에 단단히 재봉된다.
이와 같은 베개 겸용 쿠션(80)은 침대부재(60)의 시트(63)를 완전히 눕혔을 경우, 그 등받이(62)에 기대어 세워진 상태가 되고(쿠션으로 사용 가능), 침대부재(60)의 시트(63)를 일정 각도 세운 경우, 그 시트(6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단이 들어올려져 누운 상태가 된다(베개로 사용 가능).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은 상기 침대부재에 시트의 상체 받침부와 하체 받침부를 각각 일정 각도 세워지도록 구동시키는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상체 받침부와 하체 받침부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로 누워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침대부재의 등받이 앞쪽에 위치되도록 침대부재의 시트 상단에 하단이 재봉된 베개 겸용 쿠션에 의하여 침대부재의 등받이에 기대어 앉는 경우 등의 푹신푹신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눕는 경우 머리를 편안하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베개를 준비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팔걸이가 한쪽에만 형성된 소파부재와, 후방에 등받이가 형성되고 한쪽에만 팔걸이가 형성된 침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소파부재와 침대부재의 팔걸이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을 접촉시켜 상기 소파부재와 침대부재의 시트가 ㄱ자 모양으로 배열된 침대 겸용 소파에 있어서,
    상기 침대부재는 시트의 누우면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 받침부와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 받침부가 일정 각도 세워지도록 구동시키는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침대 겸용 소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장치는 상기 상체 받침부의 하측에 장착되고 하단이 침대부재에 힌지 연결된 제1조절대와;
    상기 하체 받침부의 하측에 장착되고 상단이 상기 제1조절대의 하단에 힌지 연결된 제2조절대와;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제1조절대와 제2조절대가 각각 회전되도록 전달하는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소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부재는 그 등받이에 기댄 자세로 앉는 경우 쿠션으로 사용되고 누운 경우 베개로 사용되는 베개 겸용 쿠션이 상기 침대부재의 등받이 앞쪽에 위치되도록 하단이 상기 침대부재의 시트 상단에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소파.
KR20-2004-0027935U 2004-10-01 2004-10-01 침대 겸용 소파 KR2003722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35U KR200372229Y1 (ko) 2004-10-01 2004-10-01 침대 겸용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35U KR200372229Y1 (ko) 2004-10-01 2004-10-01 침대 겸용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229Y1 true KR200372229Y1 (ko) 2005-01-10

Family

ID=4935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935U KR200372229Y1 (ko) 2004-10-01 2004-10-01 침대 겸용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2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26B1 (ko) 2020-02-26 2020-10-21 주식회사 페르모사 소파의 가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26B1 (ko) 2020-02-26 2020-10-21 주식회사 페르모사 소파의 가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33979A1 (en) Chair with separate and interconnecting type lumbar and thoracic supports
US7713220B2 (en) Multiple mode massage chair
KR200372229Y1 (ko) 침대 겸용 소파
JP3137036U (ja) 椅子
JP3134689U (ja) 背もたれ器具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JP2009195262A (ja) ヘッドレスト付椅子
CN213075097U (zh) 折叠按摩躺椅
KR20220036002A (ko) 언더 서포트 기능을 구비하는 의자시트 구조
KR100991359B1 (ko) 요추를 지지하는 돌출가능한 등받이판이 구비된 의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210002220U (ko) 소파용 쿠션
KR100946664B1 (ko)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의자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200395547Y1 (ko) 침대겸용 소파
CN216135523U (zh) 一种多用途靠垫
KR200361519Y1 (ko) 다목적 등받이
CN219516902U (zh) 一种用于多功能支撑器具的支撑垫
CN218044435U (zh) 一种午睡枕
KR20090095700A (ko) 전동식 흔들의자
KR101132525B1 (ko) 매트리스 겸용 사무용 의자
KR200262004Y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팔걸이가 구비된 좌식 의자
JP3127460U (ja) 座椅子類及び寝布団として使用可能な家具構造
KR200148084Y1 (ko) 장의자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CN112401551A (zh) 一种具有折叠按摩功能的躺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