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191Y1 -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 - Google Patents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191Y1
KR200182191Y1 KR2019970043455U KR19970043455U KR200182191Y1 KR 200182191 Y1 KR200182191 Y1 KR 200182191Y1 KR 2019970043455 U KR2019970043455 U KR 2019970043455U KR 19970043455 U KR19970043455 U KR 19970043455U KR 200182191 Y1 KR200182191 Y1 KR 200182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frame
folded
stac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758U (ko
Inventor
안효순
Original Assignee
김정식
주식회사코리아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식, 주식회사코리아코프 filed Critical 김정식
Priority to KR2019970043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19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5Foldable rol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nestable by means of pivoted supports or support parts, e.g. baskets
    • B62B3/184Nestable roll containers
    • B62B3/188Z-shaped when nes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운반 및 보관시 부피를 줄여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지지틀과 좌우 지지대 그리고 수개의 적재판으로 구성되는 운반대차에 있어,지지틀(2)을 평면 "z" 형상으로 형성하여 일측지지대(4)는 지지틀(2) 일측에 고정설치하고 지지틀(2) 타측에는 전후에 걸림돌편(16)(18)을 돌출형성하여 분리구성된 타측 지지대(6)의 하단 걸림돌부(20)와 걸림이 이루어 지게 하고 좌우 지지대(4)(6)사이에는 각기 좌우 등분하여 축봉(44)으로 절첩가능케 연결되어 있고 또, 각 축봉(44)은 전후의 수직 받침대(46)사이에 연결된 수개의 적재판(8)(10)(12)을 축핀(36)(38)으로 연결설치하여 전후 수직 받침대(46)를 잡고 들어 올려 주게 되면 타측 지지대(6)가 일측 지지대(4)쪽으로 오무려져 절첩되고 절첩시에는 "z"형 지지틀(2)이 노출되어 절첩된 다른 운반대차의 지지틀과 "z"형으로 겹침에 의해 차곡차곡 적재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
본 고안은 적재판이 다단으로 구성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는 하부 적재판을 제외한 나머지 적재판은 운반대차의 구조상 좌우 지지대 사이에 상하 적정간격으로 설치해 주어야 하므로 지지대와 적재판을 조립식으로 제작하지 않는 한 절첩이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고 또 조립식으로 제작될 경우 약한 지지력으로 무거운 적재물의 적재용으로는 부적합할 수 밖에 없어 이제껏 적재판이 다단으로 구성된 운반대차는 적재판이 고정된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정식 일체형의 운반대차는 운반 및 보관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물류비용이 추가소요되고 또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공간 활용률이 매우 낮은 등의 문제점들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개의 적재판이 절첩 가능하고 또 적재판이 절첩된 다른 운반대차와도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는 일없이 서로간에 긴밀한 밀착에 의해 차곡차곡 적재될 수 있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운반대차의 절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틀을 "z"형으로 형성하여 일측 지지대를 지지틀에 고정설치하고 타측 지지대는 지지틀과 분리구성하여 타측에 형성된 걸림돌편과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좌우 지지대 사이에 축핀으로 연결되는 수개의 적재판은 각각 좌우 분리구성하여 각기 축봉으로 절첩가능케 연결하되 좌우 적재판을 연결하는 각 축봉은 전후 수직 받침대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수직 받침대를 지지틀이 받쳐줌에 따라 각 적재판이 수평고정되고 수직 받침대를 위로 들어 올려 주게 되면 타측 지지대가 일측 지지대쪽으로 오무려지게 되면서 각 적재판이 좌우로 절첩되게하여 "z"형 지지틀이 노출되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펼침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4 - 본 고안의 적재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5 - 본 고안 적재판의 펼침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 - 본 고안 적재판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지지틀 (4)(6)--지지대
(8)(10)(12)--적재판 (13)--받침구
(14)--케스터 (16)(18)--걸림돌편
(20)--걸림돌부 (22)--보조 걸림돌편
(24)(26)--결합돌부
(28)(30)(32)(34)--지지편 (36)(38)--축핀
(40)(42)--연결편 (44)--축봉
(46)--받침대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저부의 평면 "z"형 지지틀(2)과, 좌우 지지대(4)(6)사이에 상하 적정간격으로 절첩가능케 연결설치되는 수개의 적재판(8)(10)(12)으로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 "z"형 지지틀(2)에는 저부에 적층용 받침구(13)와 상기 받침구(12)보다 좀더 돌출되는 케스터(14)가 부설된다.
상기 지지틀(2)의 일측 상부에는 일측 지지대(4)가 수직 고정되고 그 타측의 상부 전후에는 내측의 걸림홈이 일측 지지대(4)쪽으로 개방된 걸림돌편(16)(18)을 돌출형성하여 지지틀(2)과 분리구성된 타측 지지대(6)의 하단 걸림돌부(20)와 걸림이 이루어지게 하고, 지지틀(2)의 타측 전후에도 상기 걸림돌편(16)(18)과 마주하도록 보조 걸림돌편(22)을 돌출형성하여 타측 지지대(6)가 걸림돌편(16)(18)과 보조 걸림돌편(22)사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되게 한다.
좌우 지지대(4)(6)는 상단 전후에 각 받침구(12)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부(24)(26)를 돌출형성하고, 그 내측 전후에는 상하로 긴 지지편(28)(30)(32)(34)을 각기 전후 서로 마주 보게 용접형성하여 그 사이에 수개의 적재판(8)(10)(12)을 상하 적정간격 유지되게 각각 축핀(36)(38)으로 연결한다.
상기의 각 적재판(8)(10)(12)은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각각 좌우 등분하여 각기 서로 마주하는 내측단부의 저부전후에 연결편(40)(42)을 돌출형성하여좌우 서로 축봉(44)으로 연결하고 상기 각 축봉(44)은 전후 수직 받침대(46)사이에 설치하되 상기 수직 받침대(46)는 각 적재판(8)(10)(12)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그 하단부가 지지틀(2)상면에 접하여 적재판(8)(10)(12)의 중앙부를 지지토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48)은 손잡이, (50)(52)는 안내대, (56)(56')은 운반대차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후 어느 한 받침대(46)의 손잡이(48)를 잡고 들어 올려 주게 되면 각기 좌우 분리구성된 적재판(8)(10)(12)이 전후 받침대(46)사이에 연결설치된 축봉(44)을 축으로 절첩되며 이때, 적재판(8)(10)(12)의 절첩으로 당김력이 주어짐에 따라 타측 지지대(6)는 전후 안내대(50)(52)의 안내로 일측 지지대(2)쪽으로 오무려지게 된다.
또한, 각 적재판(8)(10)(12)의 절첩시에는 도2에서와 같이 타측 지지대(6)는 안내대(50)(52)일측의 보조 걸림돌편(22)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각 운반대차(56)(56')마다 절첩폭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적재판(8)(10)(12)이 절첩된 운반대차(56)(56')는 "z"형 지지틀(2)이 거의 다 노출되므로 도4에서와 같이 그 타측으로부터 적재판들이 절첩된 다른 운반대차(56')들을 차례로 진입시켜줌에 따라 "z"형으로 서로 겹쳐져 차곡차곡 적재되는 것이다.
또한 차곡차곡 적재된 운반대차(56)(56')들은 진입 반대방향으로 간단히 분리시켜 줄 수있게 되며 절첩된 적재판(8)(10)(12)들은 타측 지지대(6)를 잡고 타측으로 당겨줌에 따라 각기 축봉(44)을 축으로 펼쳐지게 된다.
적재판(8)(10)(12)들이 완전히 펼쳐져 수평을 이루게 되면 전후 받침대(46)의 하단부는 지지틀(2)의 전후 안내대(50)(52)상면과 접하여 각 적재판(8)(10)(12)의 중앙을 지지하게 되고 타측 지지대(6)는 그 하단 걸림돌부(20)가 각각 걸림돌편(16)(18)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각 적재판(8)(10)(12)들은 좌우 지지대(4)(6)와 전후 받침대(46)에 의해 강한 지지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적재판(8)(10)(12)이 펼쳐진 운반대차(56)는 각 모서리의 적층용 받침구(12)보다 아래로 더 돌출된 케스터(14)를 이용하여 끌고 다닐수 있고, 또 적층용 받침구(12)와 좌우 지지대(4)(6)상단의 결합돌부(24)(26)에 의해 서로간에 적층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적재판(8)(10)(12)이 다단으로 구성된 운반대차(56) (56')에 있어서도 절첩가능하고, 또 절첩시 노출된 지지틀(2)은 "z"형으로 겹쳐져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는 일 없이 차곡차곡 적재되므로 운반 및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물류비용이 절감되고, 또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따르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케스터(14)에 의한 이동수단 및 적층용 받침구(12)와 결합돌부(24)(26)에 의해 적층수단을 갖는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에 있어서, 평면"z"형의 지지틀(2) 일측에 일측 지지대(4)를 고정설치하고 타측에는 걸림돌편(16)(18)을 돌출형성하여 별도로 제작된 타측 지지대(6)의 하단 걸림돌부(20)를 외측으로부터 지지토록 하고, 좌우 지지대(4)(6)사이에는 각기 좌우 분리구성하여 축봉(44)으로 연결되고 또 각 축봉(44)은 전후 받침대(46)사이에 연결된 수개의 적재판(8)(10)(12)을 각각 축핀(36)(38)으로 연결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
KR2019970043455U 1997-12-22 1997-12-22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 KR200182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455U KR200182191Y1 (ko) 1997-12-22 1997-12-22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455U KR200182191Y1 (ko) 1997-12-22 1997-12-22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58U KR19990030758U (ko) 1999-07-26
KR200182191Y1 true KR200182191Y1 (ko) 2000-06-01

Family

ID=1951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455U KR200182191Y1 (ko) 1997-12-22 1997-12-22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1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58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2191Y1 (ko) 적재판이 다단으로 된 운반대차의 절첩구조
JP3903253B2 (ja) 輸送用折畳コンテナ
JP2019182311A (ja) 側面フレームにスリットを備えた運搬用台車
CN215513765U (zh) 一种台车护栏升降结构及使用该结构的物流台车
JP6240803B2 (ja) 搬送台車
JPH0447129Y2 (ko)
JP2004210018A (ja) 運搬用台車
US2760743A (en) Platform for storage bins
KR101031189B1 (ko) 패널 적재용 팔레트
CN219821488U (zh) 一种可升降的物流推车
CN218172937U (zh) 一种汽车长车架堆叠用支撑工装
CN215553346U (zh) 一种台车护栏升降结构及使用该结构的物流台车
JP2004231330A (ja) 運搬装置用台車及び運搬装置
JP3384137B2 (ja) 自動倉庫
KR200407564Y1 (ko) 중량물 적재테이블
JP3685480B2 (ja) 荷役装置
JPS6216401Y2 (ko)
KR200147620Y1 (ko) 절첩형 물품 운반대차
SU1234270A1 (ru) Платфор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 перевоз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т желовесных грузов
JPH0626460Y2 (ja) 運搬用台車
KR19980034556U (ko) 원통형 물품전용 파렛트
KR200275907Y1 (ko) 물품운반용운반대차
JPH0449076Y2 (ko)
JP2546539Y2 (ja) 運搬用台車
JPH04332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