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180Y1 -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180Y1
KR200182180Y1 KR2019980005661U KR19980005661U KR200182180Y1 KR 200182180 Y1 KR200182180 Y1 KR 200182180Y1 KR 2019980005661 U KR2019980005661 U KR 2019980005661U KR 19980005661 U KR19980005661 U KR 19980005661U KR 200182180 Y1 KR200182180 Y1 KR 200182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height
adjustment
inclina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210U (ko
Inventor
리해진
Original Assignee
리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해진 filed Critical 리해진
Priority to KR2019980005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180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2009/00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inclined slidabl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으로 인한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이 체형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으로 안출된 높이 조절용 책상들은 수종 있었으나 각각이 안고 있는 단점이 있어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경사 각도는 물론 높이 조절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책상의 상판(10)에는 낙하 방지간(12)이 삽입되고 상판(10) 하부를 받쳐주며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설합(30)에 있어 “8”자형 지그구멍(23)을 낸 경사 조절편(22)에 작동봉(33)과 스프링(32) · 핀(36)을 게재해 이루어지는 경사각도 조절 수단과, 설합(3)을 받쳐주며 높이 조절을 하는 설합에 있어 “8”자형 지그구멍(45)을 낸 높이 조절편(44)에 스테이 볼트(41) · 너트(42) · 스프링 와셔(47)를 게재해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 수단과, 이 상부를 받쳐주는 다리(50)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학습용 책상은 일선 각급 학교에서 별도의 부재나 공구없이 경사각도 및 높이를 전문지식이 없는 학생이 학업에 지장을 받지 않고 손쉽게 조절 사용할 수 있어서,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이 본인의 신체 조건에 신속히 대처해서 편안한 자세로 학업에 임하므로 성장 후 체형 변화없이 건강한 사회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으로서, 학교 · 학원 · 독서실은 물론 컴퓨터용 책상 등, 일반 가구류에도 활용할 수 있는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본 고안은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과 설합 및 다리로 구성되는 학생용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설합을 결합함에 있어 경사 조절 설합에 “8”자형 지그구멍을 삽설한 경사 조절편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은 작동봉과 스프링 · 핀을 게재해 이루어지는 경사 조절 장치와, 상기 설합과 다리를 결합함에 있어 다리에 “8”자형 지그구멍을 삽설한 높이 조절편에 일부를 깎은 스테이 볼트와 너트 · 스프링 와셔를 게재해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 장치로 일체화함에 있어, 낙하 방지간을 상판에 삽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경사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을 갖은 기술이 있어 이를 살펴보면, 첫째, 경사각도 조절에 관한 기술 분야로, 한국 실용신안공고 번호 제93-8025호는 책상의 전면부에 요홈을 형성하여 작동판과 걸림판을 힘지로서 축설하고 작동판의 하부 선단에는 손잡이와 중앙에 장공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책상 양측면에 돌설된 고정 보울트에서 승강되게 유설하고, 걸림판 하단의 돌조를 책상 몸체에 설치된 브라켓트의 조절구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한국 실용신안공고 번호 제95-8811호는 상판 지지대의 전단부에 축으로 축설되는 상판의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에 천공되며 상판 지지대에 축설된 조절간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판의 경사각을 조절시키기 위한 경사각도 조절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한국 실용신안공개 번호 제96-36125호는 상판 저면에 고정되는 취착편의 하단에는 측판에 끼워 고정된 지지구의 상단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지편을 형성시켜 이에 등각으로 분할 구성되는 다수의 걸림홈을 구비시키되, 여기에 브라켓에 고정된 이동 안내볼트에 끼워져 당김력이 부여된 상태로 탄설된 괘해정 수단을 구비시켜 상호 연관 동작되도록 하므로 상판의 경사 회동각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둘째, 높이 조절에 관한 기술분야는 우선 높이 조절구를 이용하는 기술로 한국 실용신안공고 번호 제85-232호를 비롯해, 탁구대나 테이블에 적용 가능한 조절구가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고 소61-66535호 등으로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 중 전자는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여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제작이 어렵고 사용도중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내포된 것이고, 후자의 것은 구조가 간단한 반면에 사용도중 조절된 높이가 원하지 않게 변화할 우려가 크며 조절 수단이 사용자의 다리 부위에 위치하여 다칠 우려가 큰 결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고 소49-99551의 “의자 · 책상 등의 금속제 파이프 다리”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그 수단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고 소57-72950호는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은 제시되어 있지만 록볼트가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옷가지나 인체에 걸리게 되고 다리에 단계적인 홈을 형성해야 하며 구조가 복잡한 관계로 부품수가 많아서 제작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동력을 이용하는 기술 중 한국 실용신안공고 번호 제95-8814호를 살펴보면, 책상판의 저면에 연결대를 형성하여 전방으로 경사 돌출되게 연결간을 연결함과 중공관과 너트를 용착하여서 받침대의 횡간에 형성한 주축과 나선축에 삽지하되 나선축의 상부에는 베아링을 삽설하여 횡간에 고정하고 하부에는 감속기 · 모타를 차례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실용신안공개 번호 제97-7932호는 책 · 걸상의 상부 지주관 내부 하측에 걸림돌봉을 가진 “”형 스프링을 내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외 높이 조절 기술은 상판과 다리 사이에 고정 관체와 나사봉에 너트를 이용하는 기술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셋째, 낙하 방지간에 관한 기술분야는 현재까지 공지된 대부분이 책상판에 고정설치되게 되어 있고, 한국 실용신안공고 번호 제93-8025호와 같이 브라켓트에 나설된 조절구를 틀어올리는 방식 등이 있다.
일정한 높이를 갖은 책상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조절하고 용도에 맞게 경사각을 조절하는 책상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좋은 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높이 조절용 책상에도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는데 첫째, 일선학교에 일괄 공급되는 것으로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설치가 간편하게 함으로서 물류비와 제조 원가를 낮추어 일반 책상과의 경쟁력에서 이길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둘째, 사용자가 어린 학생이기에 외관에 설치되는 구조들이 돌출되지 않아야 됨은 물론이고, 셋째, 때로는 책상 위에 올라가 놀거나 벌을 받을 수도 있어 쉽게 부서지거나 넘어지지 않아야 됨은 물론이고, 넷째, 높이 조절이 쉽게 변하지 않고 높이 조절 장치로 인한 유동이 없어야 될 것이며, 다섯째, 선생님의 도움을 받거나 한 두 가지의 공구라도 필요하면 학업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학생 본인이 간단한 손동작만으로 신속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상판 경사각도 조절부의 조절을 할 때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상판 경사각도 조절부의 조절을 마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a)도는 본 고안의 높이 조절부의 조절을 할 때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높이 조절부의 조절을 마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4(a)도는 본 고안의 상판 경사각도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제4(b)도는 본 고안의 높이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제5(a)도는 본 고안의 상판 경사각도 조절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b)도는 본 고안의 높이 조절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a)도는 본 고안을 적용 전 상판이 낮을 때의 상태를 보인 참고도.
제6(b)도는 본 고안을 적용 최상의 상태를 보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11 : 낙하 방지구
12 : 낙하 방지간 20 : 경사 조절 설합
21 : 경사 조절구 22 : 경사 조절편
23,45 : 지그구멍 24 : 리벳구
25 : 리벳 30 : 설합
31 : 걸림턱 32 : 스프링
33 : 작동봉 34 : 손잡이
35 : 지지체 36 : 핀
41 : 스테이 볼트 42 : 너트
43 : 지지부 44 : 높이 조절편
46 : 높이조절구 47 : 스프링 와셔
50 : 다리
본 고안을 첨부 예시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4(a)도, 제4(b)도는 본 고안의 구성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설합(30) 전단부에 축설된 리벳구(24')와 경사 조절 설합(20) 전단부에 축설된 리벳구(24)를 리벳(25)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축지시킨 설합(30)과 경사 조절 설합(20)에 천공된 경사 조절구(21)에 “8”자형 지그구멍(23)을 낸 경사 조절편(22)을 부착하여 핀(36)과 스프링(32) · 2개의 직경을 갖는 작동봉(33)으로 지지체(35)와 경사 조절편(22)에 게재해 일체화한 경사 조절 수단인 설합(30)으로 이루어지는 설합부와, 상기 설합부의 경사 조절 설합(20)을 상판(10)에 부착시키되 낙하 방지구(11)에 낙하 방지간(12)을 삽설하여 상판(1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상판부에 있어서, 상기 설합(30) 하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다리(50)에 안착시킴에 있어 다리(50)에 천공된 높이 조절구(46)에 “8”자형 지그구멍(45)을 낸 높이 조절편(44)을 부착하고 일부 깎은 스테이 볼트(41)와 너트(42) · 스프링 와셔(47)로 지지부(43)와 높이 조절편(44)을 게재해 설합(30)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높이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된 수단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상의 책상에 낙하 방지간(12), 경사 조절 설합(20), 높이 조절편(22, 44), 지지체 · 부(35, 43), 작동봉(33), 스테이 볼트(41)등 비교적 제작이 손쉬운 부품을 사용해 구조 및 설치가 간편하고 분리 제작 후 설치, 조립의 과정으로 물류비를 절약할 수 있어 원가 상승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조절 설합(20)을 없애고 경사 조절편(22)을 상판에 체결하는 방법과 지지체(35)와 지지부(43)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설합(30)을 제작할 때 내설하는 방법도 있다.
둘째, 조절 수단들을 설합(30) 내부에 설치해 외부에 돌출되는 부분을 없애 학생의 부상 위험을 없애고, 셋째, 네 개의 다리 기둥에 높이 조절부 및 경사 조절부의 하중이 실리도록 해 견고성을 높이고, 넷째, “8”자형 지그구멍(23, 45)에 작동봉(33)과 스테이 볼트(41)를 적용함으로 높이와 경사각이 쉽게 변하지 않도록 했고 작동이 쉬운 경사 조절 수단을 높이 조절 수단에 적용치 않고 일부 깎은 스테이 볼트(41)를 적용한 것은 높이 조절 장치의 유동을 없애기 위해서이다.
다섯째, 경사각도 조절은 상판 후방 하부에 있는 손잡이(34)를 눌러 조정하고 높이 조절은 일부 깎은 스테이 볼트(41) 머리를 90°회전시켜 조정하는 것이고, 낙하 방지간(12)은 평소에는 불필요해서 없어야 되는 것이 상판(10)에 경사각이 생겨 필요해지므로 경사각이 생길때만 낙하 방지간(12)이 솟아오르게 한 것으로 어린 학생들이 선생님의 도움이나 공구 없이도 모든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책상판을 수평되게 하여 사용하다가 책상판의 경사각을 조절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34)를 눌러 제2(a)도와 같이 2개의 직경을 갖는 작동봉(33)이 움직이게 해 작동봉(33)의 작은 직경에 “8”자형 지그구멍(23)이 걸려 “8”자형 지그구멍(23)과 작동봉(33) 사이에 유격이 생기도록해, 제5(a)도의 (R)과 같이 걸림턱(31)에 걸림이 없어져 상판(10)을 위로 들고 원하는 경사각에서 제2(b)도와 같이 손잡이(34)를 놓으면 조절봉(33)이 스프링(32)에 의해 밀려나와 “8”자형 지그구멍(23)과 작동봉(33) 사이에 유격이 없어져 제5(a)도의 (S)와 같이 걸림턱(31)에 작동봉(33)이 걸려 상판(10)의 경사각이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것이며, 이때 설합(30) 전단부를 사선으로 절개한 부분(T)에 의해 상판(10)이 수평으로 있을 때는 돌출되지 않고 있는 낙하 방지간(12)이 상판(10)에 경사각이 생김으로, 낙하 방지간(12)이 설합(30)에 눌려 솟아오르게 돼 경사진 책상판에 놓여진 책이나 기타 물건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이다.
한편, 책상의 높이 조절이 필요하면 설합(30) 하단부에 설치된 지지부(43)의 일부 깎은 스테이 볼트(41)를 90°회전시키면, 제3(a)도와 같이 “8”자형 지그구멍(45)에 깎은 부분이 걸려 유격이 생김으로 제5(b)도의 (R)과 같이 걸림턱(31')에 걸림이 없어져 상판(10)을 들어 올리거나 눌러 내리므로 원하는 높이에 맞출 수 있고, 다시 스테이 볼트(41)를 90°회전시키면 제3(b)도와 같이 “8”자형 지그구멍(45)에 유격이 없어져, 제5(b)도의 (S)와 같이 걸림턱(31')에 스테이 볼트(41)가 걸려 높이 조절이 완료되고 이렇게 조절된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제6(a)도와 같이 책상의 사용자인 학생들이 연령과 신체 조건에 맞지 않아 허리와 등의 상체가 앞으로 구부러지거나 뒤로 휘어 사용할 때는 자연히 의자에 앉은 자세가 허리와 의자 등판이 떨어진 상태로 장시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허리에 쉽게 피로감이 올 뿐만 아니라 목이 경직되어 머리가 무겁고 시신경이 자극되어 시력이 저하되거나 목이 아파와 성장기에 있는 학생이 성장하는데 체형의 변화가 오고 시력이 나빠져 건강한 사회 활동을 하는데 지장을 준다.
그러나 제6(b)도와 같이 상황 변화에 탄력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책상을 성장기에 있는 학생에게 제공해 신체조건 변화에 신속히 대처해 체형에 이상이 생기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학업에 임하게 함으로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상판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 그 효과를 배가시키고, 전문 지식이 없는 학생이 누구의 도움도 없이 경사 각도를 수시로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 높이 조절도 할 수 있어, 학교 · 학원 · 독서실 등은 물론 컴퓨터용 등에서 널리 이용할 수 있는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이다.

Claims (5)

  1. 책상의 상판(10)에는 낙하 방지간(12)이 삽입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위치해 상판부를 받쳐주며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설합부와; 상기 설합부를 지지해 주며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상판부와 설합부와 높이 조절부를 지탱해 주는 다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경사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 삽설된 낙하 방지간(12)이 설합부의 설합(30) 전단부에 사선으로 절개된 부분(T)에 의해 상 · 하 승강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 책상판 경사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합부 하단의 설합(30) 전단부에 축설된 리벳구(24')와 경사 조절 설합(20) 전단부에 축설된 리벳구(24)를 리벳(25)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축지시킨 설합(30)과, 경사 조절 설합(20)에 천공된 경사 조절구(21)에 “8”자형 지그구멍(23)을 낸 경사 조절편(22)을 부착하여 핀(36)과 스프링(32) · 2개의 직경을 갖는 작동봉(33)으로 지지체(35)와 경사 조절편(22)에 개재해 일체화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 책상판 경사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합(30) 하단에 고정되는 지지부(43)를 다리(50)에 안착시킴에 있어 다리(50)에 천공된 높이 조절구(46)에 “8”자형 지그구멍(45)을 낸 높이 조절편(44)을 부착하고, 일부 깎은 스테이 볼트(41)와 너트(42) · 스프링 와셔(47)로 지지부(43)와 높이 조절편(44)에 개재해 일체화되도록 구성한 특징을 갖는 책상판 경사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5. 제3항 내지 제4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 조절과 높이 조절이 같은 구조의 조절편(22, 44)을 이용하고도 조절체인 작동봉(33)과 스테이 볼트(41)를 채택함은, 원터치 방식으로 자주 경사 조절을 해야 하는 경사각도 조절과 달리 높이 조절은 상판부와 설합부로 이루어진 상부와 하부, 즉 다리(50)를 결합하는 것으로써, 책상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도록 채택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경사 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KR2019980005661U 1998-04-08 1998-04-08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KR200182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61U KR200182180Y1 (ko) 1998-04-08 1998-04-08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61U KR200182180Y1 (ko) 1998-04-08 1998-04-08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10U KR19980019210U (ko) 1998-07-06
KR200182180Y1 true KR200182180Y1 (ko) 2000-06-01

Family

ID=1953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661U KR200182180Y1 (ko) 1998-04-08 1998-04-08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1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9474B2 (en) 2010-04-07 2014-07-29 Sung Yoon Kim Desk for correct posture and system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9474B2 (en) 2010-04-07 2014-07-29 Sung Yoon Kim Desk for correct posture and system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10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0410T2 (de) Stuhl
US10045627B2 (en) Worksurface assembly, body support member having a worksurface and method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EP0839478B1 (de) Stuhlmechanik
DE202004004800U1 (de) Verstellbarer Büro-Lehnstuhl mit Gelenk zur synchronen Bewegung des Sitzes und der Rückenlehne
WO2004073457A1 (de) Stuhl, insbesondere büro- oder arbeitsstuhl
DE60033387T2 (de) Stuhl
DE102005049179B3 (de) Vorrichtung zur Anpassung des Körpergewichtes und des Schwerpunkts einer Person an ein Sitzmöbel
KR200182180Y1 (ko) 책상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조절되는 학습용 책상
KR19990034852U (ko) 책상판경사각도및높이가조절되는학습용책상
DE202005004932U1 (de) Bewegungsbeschlag
AT520854B1 (de) Mehrzweckmöbel
DE10200846B4 (de) Verschwenkbare Sitzanordnung
KR200334197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
AT1995U1 (de) Stuhl
CN219781898U (zh) 一种升降式学习桌
CN217309511U (zh) 具有可拆卸靠背的课桌椅
CN209712194U (zh) 一种多功能办公椅
CN210353965U (zh) 一种使用舒适的休闲椅
CN214913050U (zh) 一种便于控制背靠角度的哑铃凳
CN220966746U (zh) 一种可调高度的学生座椅
KR200358698Y1 (ko) 높이조절 장치를 구비한 책걸상
KR200340821Y1 (ko)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 조절기구
CN2165700Y (zh) 控制阅读距离的课桌椅
KR20060130918A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309599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